KR870001731B1 -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31B1
KR870001731B1 KR1019840007305A KR840007305A KR870001731B1 KR 870001731 B1 KR870001731 B1 KR 870001731B1 KR 1019840007305 A KR1019840007305 A KR 1019840007305A KR 840007305 A KR840007305 A KR 840007305A KR 870001731 B1 KR870001731 B1 KR 87000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circuit
mode
prese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84A (ko
Inventor
다께오미 요시다
가즈히사 야마시다
시게미 고무까이
Original Assignee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filed Critical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3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means for predetermining quantity of liquid to be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제1a도, 제1b도, 제1c도 및 제1d도는 각각 종래 급유시스템에 있어서 2연속급유동장의 급유모드의 다른 조합에 대하여 실제 급유량과 표시급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시스템에 적용되는 급유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계통도.
제4도는 제3도에 보인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계측제어수단의 구체적인 회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계통도.
제5(a)도 내지 제5(s)도는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통상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2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이 통상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4도에 보인 회로시스템의 각부분에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제6(a)도 내지 제6(s)도는 2연속 급유 동작의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2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이 통상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4도에 보인 회로 시스템의 각 부분에서의 출력신호를 보이는 타임차트.
제7(a)도 내지 제7(s)도는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2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4도에 보인 회로 시스템의 각 부분에서의 출력신호를 보이는 타임차트.
제8(a)도 내지 제8(s)도는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통상급유모드로 2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4도에 보인 회로시스템의 각 부분에서의 출력신호를 보이는 타임차트.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 시스템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의 주 루틴(routine)을 보이는 플로우차트.
제10도는 제9도에 보인 주루틴의 부분 ⓛ로부터 시작되는 서브루틴을 보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유량계 32 : 표시기
29 : 프리세트스위치 42 : 급유정지수단
68 : 전희모드기억수단 64 : 현재모드기억수단
84 : 보정량기억수단 85 : 유량보정수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리세트 급유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용 급유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프리세트 급유모드와 통상급유모드와 같은 다른 급유모드로 동작되는 2연속 급유동작이 실행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급유량에서의 오차를 수정하는 급유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그래서 정확한 급유동작이 급유모드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종래, 프리세트 급유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급유장치가 있다. 이 급유장치에 따라서, 요구되는 급유량 또는 가격이 프리세트되고 소정의 급유동작이 프리세트된 급유량 또는 가격에 해당하는 급유를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그런 급유장치는 펌프, 유량계, 급유노즐, 유량발신기, 표시기, 프리세트스위치 및 급유정지수단으로 구성된다. 펌프는 한끝이 탱크와 통하는 배관의 중간에 마련된다.
급유노즐은 급유호스를 통하여 배관의 다른 끝에 연결된다.
유량발신기는 유량계에서 계측된 유량에 해당하는 유량신호를 발신한다.
표시기는 유량발신기에서 발신된 유량신호에 기초하여 급유량을 표시한다. 프리세트 스위치는 프리세트 급유모드 동안 요구되는 급유량을 프리세트하는데 사용된다. 급유정지수단은 급유량이 프리세트 스위치에 의해 프리세트된 프리세트 급유량에 도달할 때 급유노즐로 부터의 급유를 정지시킨다. 급유정지수단은 급유펌프를 위해 마련된 모터와 스톱밸브 또는 배관에 마련된 그와 같은 것으로 구성된다.
통상 급유동작 동안, 급유의 시작과 정지는 급유노즐의 밸브를 개폐하여 실행한다.
한편, 프리세트 급유동작동안, 급유의 시작은 급유노즐의 밸브를 열어서 실행하지만 급유정지는 급유정지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말해 프리세트 급유동작 중에 급유는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정지함으로써 또는 배관에 마련된 스톱밸브를 닫아서 정지된다.
더우기, 급유노즐 밸브는 프리세트급유 동작이 완료된 후에 동작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급유노즐의 밸브는 프리세트 급유동작 중에 급유 정지수단이 정지하여도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급유정지수단과 급유노즐 사이의 배관내부 및 호스부분의 유액이 자동차의 탱크로 흘러 들어갈 것이다.
실제 프리세트 급유동작이 완료된 후 이 방법으르 자동차 연료 탱크로 흐르는 유량은 배관과 호스의 길이에 좌우되고 각 급유 스테이션(station)에 따라 다르다.
통상적으로, 이 연료의 양은 0.1 내지 0.5리터이다.
예를들어, 급유동작이 실행되는 모드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즉 제1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제2급유동작이 통상의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작은 오차가 실제급유량에 산입된다.
다시말해, 급유동작이 2연속 급유동작에 대하여 통상의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한 급유동작중에 급유량은 급유노즐의 밸브가 열렸을 때부터 급유노즐의 밸브가 닫혔을 때같지 공급된 연료의 양과 동일하고, 표시계상에 표시된 공급된 연료의 실제량은 2연속 급유동작에 대해 동일한다.
다른 한편, 앞의 급유 동작이 프리세트 급유 모드로 실행되고 그 다음의 급유 동작이 통상의 급유모드로 실행될 때, 통상의 급유 모드로 급유 동작이 시작될 때 펌프를 구동하여 앞의 프리세트 급유동작이 완료되었을 때에 속이 비게되는 호스와 배관을 채우기 위해 필요한 유량은 급유노즐의 밸브가 열리기 전에 유량계에서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급유노즐밸브가 열렸을 때부터 급유노즐 밸브가 닫혔을 때까지 실제 급유량은 통상 급유모드로 급유개시점에서 배관과 호스의 속이 빈 부분을 충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료량 때문에 표시계상에 표시된 양보다 작다.
급유동작이 2연속 급유동작에 대하여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될 경우에 있어서, 2연속 급유동작의 나중 급유동작의 시작점에서 배관과 호스의 속이 빈 부분을 충전하는데 요구되는 유량은 이 나중 급유동작의 완료점에서 급유노즐을 흘러나간 유량과 동일하다.
다시말해서, 실제 급유량은 표시기상에 표시된 급유량과 일치한다.
한편, 앞의 급유동작이 통상의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그 다음의 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될때 급유노즐의 밸브가 열렸을 때부터 급유노즐의 밸브가 닫혔을 때까지 공급된 실제 급유량은 프리세트급유모드로 급유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배관과 호스의 부분에서 흘러나오는 양만큼 표시기 상에 표시된 양보다 많다.
따라서, 프리세트 급유능력을 갖는 급유장치에 대한 신규하고 유용한 급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방적인 목적이며, 그것은 다음에 기술하는 단점을 제거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그리고 더욱 특별한 목적은 프리세트 급유모드와 통상의 급유모드의 다른 급유모드로 2연속 급유동작이 실행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급유량에서의 오치를 보정량으로서 기억하고, 앞의 급유동작의 급유모드에 다라서 저장된 보정량을 소정의 감산 또는 가산을 실행하여 급유동작의 시작점에서 오차를 보정하고, 그래서 공급된 연료량은 표시계상에 표시된 유량과 일치하는 급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세트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급유모드가 프리세트 급유모드 또는 통상급유 모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급유모드 기억수단, 유량발신기로 부터 발신되는 유량신호 펄스를 계수하고 급유노즐 밸브가 열리기 전에 급유동작의 시작점에서 배관과 급유호스의 부분을 충전하기 위해서 유량계를 통하여 연료가 흐를 때 보정량으로서 계수된 값을 기억하기 위한 보정량 기억수단 및 앞의 급유동작의 급유모드에 따라서 보정량기억수단으로 부터 보정량를 득출하고 급유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수단으로 구성된 급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시스템은 급유 동작이 실행될 때 앞의 동작의 급유 모드에 따라서 급유량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다른 특성은 해당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으로 부터 확실해질 것이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통상급유모드의 급유동작은 급유노즐의 밸브를 닫음으로 완료된다.
따라서 두 계속되는 급유 동작의 첫번째가 통상 급유 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료는 급유호스에 남아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두 계속되는 급유 동작의 나중 급유 동작이 통상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액은 제1(a)도에 보인 바와 같이 시각(T1)에서 펌프가 구동될 때 조차 유량계를 통하여 흐르지 않고 급유는 급유노즐밸브가 열릴 때 시각(T2)에서 즉시 시작된다. 결과로, 시각(T2)와 시각(T3) 사이에 급유노즐로 부터 공급되는 실제 유량은 유량계를 통하여 흐르고 표시계상에 표시된 유량과 일치하고, 두량에는 오차가 없다.
하여튼, 프리세트 급유모드의 급유동작은 급유노즐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펌프구동을 정지하여 완료된다.
그러므로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급유호스는 급유호스 내의 유액이 첫번째 급유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급유노즐을 통하여 흘러나가기 때문에 비어 있다.
급유노즐의 밸브는 첫번째 급유동작이 완료된 후에 닫힌다. 결과적으로, 2연속 급유동작의 나중 급유동작이 통상급유모드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펌프는 시각(T1)에서 구동되고 유액은 급유호스가 제1(b)도에 보인 바와 같이 유액으로 충전되는 시각(T4)까지 유량계를 통하여 흐른다. 다시말해, 시각(T1)과 시각(T4) 사이에 흐르는 유량은 유량기에서 측정된다.
결과로, 급유노즐밸브가 나중 급유동작이 통상 급유모드로 시작되기 위해서 시각(T2)에서 열리고, 급유호스 안의 유액이 시각(T1)과 시각(T4) 사이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제1(a)도에 관련하여 기술된 경우에서의 급유량과 같은 연료량이 시각(T3)에 앞서는 시각(T5)에서 도달되고, 따라서, 표시기에 표시된 급유량이 제1(a)도에 보인 급유량과 같을지라도 실제 급유량은 시각(T2)과 시각(T5) 사이에 급유량과 같고 제1(a)도에 보인 급유량 보다 적다.
두 계속되는 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 모드로 실행되고 두 계속되는 급유 동작의 나중급유 동작이 시각(T1)에서 펌프를 구동하여 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액은 제1(c)도에 보인 바와같이 시각(T4)까지 유량계를 통하여 흐른다. 하여튼, 펌프가 프리세트 급유 모드의 급유 동작을 중단하기 위해 시각(T5)에서 정지될 때, 급유호스 안의 연료는 시각(T3)까지 급유노즐을 흘러나각다.
그 결과, 실제급유량은 표시기에 표시된 급유량과 같다.
더우기, 두 계속되는 급유동작의 첫번째는 통상 급유모드로 실행되고 두 계속되는 급유동작의 나중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될 때 펌프는 시각(T1)에서 구동되고 유액은 유량계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하여튼 펌프가 시각(T3)에서 정지되었을 때, 급유호스 안의 유액은 제1(d)도에 보인 바와 같이 시각(T6)까지 급유 노즐을 흘러나간다. 그 결과, 표시계상에 표시된 급유량은 시각(T2)와 시각(T3) 사이의 급유량이다. 하여튼, 급유의 실제량은 시각(T2)와 시각(T3) 사이의 급유량이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의 실제급유량은 표시계상에 표시된 급유량 보다 많다.
본 발명은 종래 급유시스템의 문제를 제거한다.
즉 두 계속되는 급유동작의 급유모드의 조합에 관계없이 그것은 실제 급유량과 표시계상에 표시된 급유량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를 없게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시스템에 적용되는 급유장치의 한 실시예를 제2도에 보인다.
제2도에서, 사무실 등 포함하는 건물(12)은 급유소부지(11)에 건설된다.
천정, 대들보 및 차량으로 형성된 천정부분(13)은 건물의 상부를 형성한다.
배관(14)과 건물(12)을 따라 설치되고 배관(14)의 한끝은 부지(11)의 지하에 설치된 지하탱크(15)에 연결된다.
배관(14)의 다른 끝은 다음에 기술될 호스 승강기(20)에 연결된다. 모터(16)로 구동되는 펌프(17)와 급유량 측정용 유량계(18)는 배관(14)에 설치된다.
유량계(18)에서 측정된 양에 비례하는 유량신호를 발신하는 유량발신기(19)가 유량계(18)에 설치된다.
호스승강기(20)는 천정부분(13)에 설치된다.
호스승강기(20)는 회전가능한 호스리일(hose reel)(21)과 호스리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기 위한 모터(22)로 구성된다.
배관의 다른 끝(14)은 호스 리일(21)에 연결되고, 끝에 급유 노즐(24)을 갖는 급유 호스(23)가 호스 리일(21)에 감겨 있다. 다른 한편, 급유노즐(2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박스(24)가 호스승강기(20)에 설치된다. 스위치(25A, 25B, 25C)는 스위치 박스(25)에 설치되고, 모터(22) 또는 호스리일(21)의 회전에 따라 급유노즐(24)의 위치를 검출한다. 스위치(25A)는 급유 노즐(24)의 최상부의 격납위치(A)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스위치(25B)는 급유노즐(24)이 대략 지상 1.8m 위치인 대기위치(B)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스위치(25C)는 급유노즐(24)이 차량에 급유하기 위한 급유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스위치박스(26)는 급유노즐(24) 근방의 호스(23) 또는 급유노즐(24)상에 설치된다.
대기위치(B)로 부터 급유위치(C)로 급유노즐(24)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스위치(27), 급유위치(C)로 부터 대기위치(C)로 급유 노즐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스위치(28) 및 다음에 설명될 프리세트 급유량을 프리세트하기 위한 단일의 프리세트 스위치(29)는 스위치 박스(26)에 설치된다. 스위치(27, 28, 29)는 호스(23) 주위에 나선상으로 감긴 신호선(30)을 통하여 후에 설명될 제어회로에 연결되었다.
조작용 끈(31)은 하강스위치(27)에 연결된다.
다음에 기술될 실시예에서, 프리세트 급유량은 단일의 프리세트 스위치(29)를 눌러서 프리세트할 수 있고, 프리세트 급유량은 10리터, 20리터, 30리터… 등으로 프리세트 스위치(29)가 눌린 회수에 따라 프리세트된다. 또한, 다른 수단이 프리세트 급유량을 프리세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10건(ten key) 프리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고 프리세트급유량은 10건중의 하나를 눌러 프리세트할 수 있다.
더우기, 다이알형식 프리세트스위치 또는 카드형식 프리 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카드형식 프리세트스위치는 카드리더 박스(card reader box)에 삽입되는 카드를 읽고 삽입된 카드에 따라 급유량을 프리세트한다. 다른 한편, 프리세트 스위치(29)는 반드시 스위치박스(26)상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사무실 또는 카드리더박스 등과 같은 적당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표시기상자(32)는 예를들어 표시기상자(32)가 소비자에게 쉽게 관찰될 수 있는 건물(2)의 천정부분(13)에 설치된다. 유량기(18)에서 측정된 유량표시용 표시기(33)와 프리세트 스위치(29)에 의해서 프리세트된 프리세트급유량 표시용 프리세트량표시기(34)가 표시기상자(32) 내에 설치된다.
제어반(35)은 예를들어 건물(12)의 사무실 내에 설치된다. 제3도에 보인 제어장치(40)가 제어반(35) 내에 설치된다. 제어장치(40)는 일반적으로 모터(22) 제어용 호스승강 제어수단(41), 프리세트스위치(29)에 의해서 프리세트된 프리세트급유량과 실제 급유량을 비교하고 두 비교된 양이 일치할 때 모터(16)를 정지하기 위한 프리세트 제어수단(42), 스위치박스(25) 내의 스위치(25A, 25B, 25C)의 조작에 응답하여 모터(16)를 시동 또는 정지하기 위한 모터 제어수단(43) 및 표시기(33)에 급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측정제어수단(44)으로 구성된다.
측정제어수단(44)은 제4도에 보인 회로로 구성되고 급유모드에 따라서 보정을 실행한다.
제어장치(40)의 입력측은 유량계(18), 스위치박스(25) 내의 스위치(25A, 25B, 25C), 하강 스위치(27), 상승스위치(28) 및 주승강스위치(보이지 않음)에 연결된다.
한편, 제어장치(40)의 출력측은 모터(16) 제어용 모터제어회로(45), 모터(22) 제어용 모터제어회로(46) 및 표시기(33, 44)에 연결된다.
첫째로, 급유장치의 일반적인 작동에 대하여 기술될 것이다.
주승강스위치가 조작되면, 노즐(24)은 격납위치(A)로 부터 제2도에 보인 대기위치(B)로 하강하고, 스위치(25B)가 닫힌다. 이 상태에서, 조작용끈(31)이 급유위치(C)로 노즐(24)를 하강하고 하강스위치(27)를 닫기 위해 잡아 당겨진다.
하강스위치(27)가 닫혔을 때, 하강신호가 호스승강제어수단(41)으로부터 모터제어회로(46)에 공급되고, 모터(22)는 노즐(24)을 하강하기 위해 회전한다.
스위치(25C)는 노즐(24)이 급유위치(C)에 도달할 때 닫히고 모터(22)는 회전을 멈춘다.
이 시간동안, 모터(22)가 노즐(24)를 하강하기 위해 회성암에 따라 스위치(25B)가 닫힌 상태에서 열릴때, 구동신호가 모터(16)를 시동하기 위해 모터제어수단(43)으로 부터 모터제어회로(45)에 공급된다.
노즐(24)이 급유위치(C)로 하강될 때, 전의 급유동작에 관계하여 표시계(33)에 표시된 값이 리세트(reset) 된다.
급유동작이 통상 급유모드로 실행될 때, 노즐(24)은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삽입되고, 노즐(24)의 밸브가 열린다. 지하 탱크(15)의 연료는 배관(14), 펌프(17), 유량계(18) 및 호스(23)를 통하여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공급된다. 연료가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동안, 유량발신기(19)로부터 발신된 유량신호가 측정제어수단(44)에서 계수되고 급유량이 표시기(33)상에 표시된다.
한편, 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실행될 때, 예를 들어 20리터의 프리세트 급유량이 프리세트 스위치(29)의 조작에 의하여 프리세트된다.
프리세트 급유량이 프리세트 제어수단(42)에 기억되고 표시기(34)에 표시된다. 급유동작이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삽입될 때 이 상태에서 시작되고 노즐(24)의 밸브가 통상 급유모드의 급유동작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열린다. 실제급유량이 프리세트급유량에 도달할 때 소정량 신호가 모터(16)를 정지하기 위해 프리세트제어수단(42)으로 부터 모터제어회로(45)에 공급된다.
그후에, 노즐(24)이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부터 제거되고 노즐(24)의 밸브가 닫힌다.
상승스위치(28)가 급유위치()에서 대기위치(C)로 노즐(24)를 상승시키기 위해 닫힌다.
그 결과, 상승신호가 승강제어수단(41)으로 부터 모터제어회로(46)에 공급되고, 모터(22)가 노즐(24)를 상승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스위치(25B)가 노즐(24)이 대기위치(B)에 도달했을 때 닫히고 모터(22)는 정지된다. 통상 급유 모드의 급유동작의 경우에, 스위치(25C)가 열렸을 때 모터(16)를 정지하기 위해 정지신호가 모터제어회로(45)에 공급된다.
다음에 기술되는 급유시스템의 기본동작은 종래의 급유시스템의 동작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4도는 제3도에 보인 계측제어수단(44)을 보이는 계통적인 회로도이다.
제4도에서, 단안정 멀티 바이브래이터(이하 MM 회로라 칭함)(51)가 대기위치(B)의 검출을 위해 설치되고, 스위치(25B)의 닫힘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MM회로(52)가 급유위치(C)의 검출을 위해 설치되고, 스위치(25C)의 닫힘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더우기, MM회로(53)가 프리세트 급유동작의 검출을 위해 설치되고, 프리세트스위치(29)의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다음에 기술될 MM 회로(51) 내지 MM 회로(53)와 MM 회로(44) 및 MM 회로(15)는 원쇼트(one shot) MM 회로로서 작동한다.
회로(56, 57, 58, 59, 60, 61, 62, 63)는 각각 입력신호의 상승을 검출하여 작동되게 설계되고, 각각은 인버터 및 MM회로로 구성된다. 검출회로(56)는 스위치(25B)의 열림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검출회로(58)는 프리세트스위치(29)에 응답하는 프리세트 급유동작이 취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통상 급유동작을 검출한다.
검출회로(62)는 다음에 기술될 보정지시신호의 취소를 검출하여 보정의 취소를 검출한다.
지연회로(57, 59, 60, 61, 및 63)는 타이밍에 맞추도록 지연시킨다.
예를들어, 플립플롭회로(64, 65, 66, 67)는 각각 R-S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플립플롭회로(64)는 급유동작이 실행되는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플립플롭 회로(64)의 Q출력이 프리세트 급유동작이 실행될 경우 레벨(1")를 출력하여 플립플롭 회로(64)의 Q 출력이 통상 급유동작이 실행될 경우 레벨("0")를 출력한 플립플롭회로(67)는 더 후에 설명될 드라이버의 리세트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플립플롭회로(68)는 D형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지고 이전 급유동작이 실행되는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플립플롭(51)의 Q출력이 플립플롭(68)의 클록입력단자(C)에 인가될 경우 플립플롭회로(64)의 출력은 데이타 입력단자(D)를 통해 플립플롭(68)으로 입력된다. 이런 급유동작은 플립플롭(68)의 Q출력이 레벨("1")를 나타낼 경우 통상 급유방법을 실행하며, 이전 급유동작이 플립플롭의 Q출력이 레벨("0")를 나타낼 경우 프리세트 급유방법을 실행한다.
플립플롭(64와 68)의 출력단자(Q)는 배타적 OR회로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이전 및 현재의 급유동작이 동일한 급유 방법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배타적 OR회로(69)는 보정용 신호로서 레벨("1")를 갖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이전 및 현재의 급유동작이 동일한 급유방식으로 되어있는 경우, 배타적 OR회로(69)는 보정불요(不要) 신호로서 레벨("0")를 가지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AND회로(72)는 보정량을 리세트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전 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방식으로 실행될 경우에 한해서 이 이후에 설명될 보정량 계수회로(84)를 리세트시킨다. AND회로(73)는 감산동작을 지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AND회로(73)의 출력이 레벨("1")를 나타내는 경우에 한해서 이 이후에 설명될 급유량 계수회로(85)에 감산보정을 지시한다. AND회로(74)는 보정펄스를 게이트하기 위해 제공된다.
AND회로(76)는 가감산을 지시하도록 동작하여 이것의 출력이 레벨("1")를 나타낼 경우 감산신호를 발생시키며 이것의 출력이 레벨("0")를 나타낼 경우 가산신호를 발생시킨다.
AND회로(77)는 이 이후에 설명될 표시기 구동회로의 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프리세트 급유동작에 잇따르는 프리세트 급유동작을 실행할 경우, 보정량 계수회로(84)는 배관(14) 및 호스(23)의 일부를 채우는데 필요한 유량을 보정량으로서 기억시킨다. 보정량 계수회로(84)는 AND 회로(74)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단자(84A), AND 회로(72)의 출력에 관련된 리세트 단자(84B) 및 출력단자(84C)를 가지고 있다. 급유량 계수회로(85)는 유량발신기(19)로 부터 유량 신호를 계수한다.
더우기, 급유량 계수회로(85)는 이전 급유동작이 실행되는 급유방식에 의존해서 보정량 계수회로(84)에 기억되는 보정량을 액세스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급유량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 보정을 수행한다.
급유량 계수회로(85)는 입력단자(85A 내지85E), 출력단자(85F) 및 보로(borrow) 단자(85G)를 가지고 있다. 입력단자(85A)는 AND 회로(71)의 출력에 결합되고, 입력단자(85B)는 인버터(82)의 출력에 결합된다. 리세트단자(85C)는 MM회로(52)의 Q 출력단자에 결합되고, 입력단자(85D)는 보정량 계수회로(84)의 출력단자(84C)에 결합된다. 입력단자(85E)는 AND회로(76)의 출력에 결합된다.
보로신호는 보로단자(85G)를 통해 인버터(81)에 공급된다.
급유량 계수회로(85)는 클록신호로서 이곳에 공급된 유량신호에 응해서 보정량 데이타의 계수를 연속적으로 감산시키며, 감산의 결과가 "0"과 같을 경우, 즉 계수가 "4", "3", "2", "1", "0" 의 방식으로 하향으로 계수함으로써 "0"으로 감소될 경우 유량 신호의 하락에 응해서 유량신호의 로우레벨 부분과 같은 폭을 갖는 로우레벨 펄스를 보로단자(85G)를 통해 발생시킨다.
보통, 하이 레벨출력은 보로단자(85G)를 통해 발생된다.
표시계 구동회로(86)는 급유량계수회로(85)의 출력단자(85F)에 결합되며, 급유량신호에 응해서 표시기(33)의 각 디지트에 표시기 소자(예를들어, 7세그먼트)를 구동시킨다. 표시기 구동회로(86)의 단자(86A)는 플립플롭회로(67)의 Q출력단자에 결합되며, 표시기(33)의 리세트 상태는 플립플롭회로(67)가 레벨("1")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안 유지된다. 표시기(33)의 각 디지트에서 표시기소자는 표시기(33)가 리세트 상태에 있을 경우에라도 내부적으로 구동된다. 펄스가 전송되는 신호선(87)은 모터 제어수단(43)에 결합된다. 급유량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88)은 프리세트 제어수단(42)에 결합된다.
다음에 측정제어수단(44)의 동작에 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우선, 제5도에 표시된 타임 차트를 참조해서, 2개의 연속 급유동작이 통상 급유방식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이 경우에 제1(a)도에서 설명된 어떤 오차도 도입되지 않으며, 보정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제5(a)도 내지 제5(s)도는 각각 순서대로 스위치(25B)의 출력, MM회로(51)의 출력 검출회로(56)의 출력, 스위치(25C)의 출력, MM회로(52)의 출력, 프로세트스위치(29)의 출력, MM회로(53)의 출력, 프립플롭회로(64)의 출력, 플립플롭회로(68)의 출력, 배타적 OR회로(69)의 출력, AND회로(73)의 출력, 육량발신기(19)의 출력, AND회로(71)의 출력, AND회로(74)의 출력, AND회로(72)의 출력, 인버터(82)의 출력, AND회로(76)의 출력, 보로단자(85G)를 통한 출력 및 플립플롭회로(67)의 출력을 나타낸다.
이 이후에 설명될 제6(a)도 내지 제6(s)도, 제7(a)도 내지 제7(s)도 및 제8(a)도 내지 제8(s)도에 표시한 타임차트는 제5(a)도 내지 제5(s)도와 동일한 회로의 출력을 유사하게 나타낸다.
노즐(24)은 급유위치(C)에 있고, 노즐(24)은 차량의 연료 탱크로 삽입되며, 통상 급유동작이 2개의 연속급유 동작의 제1동작 동안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전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 플립플롭 회로(68)는 레벨("1")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프라세트 급유동작의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 플립플롭회로(64)는 레벨("0")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때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전의 급유동작이 예로서 프리세트 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
더우기, 배타적 OR회로(69)와 AND회로(73) 각각은 레벨("1")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2연속 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완료될 경우, 작업자는 제5도의 시점(t1)에서 노즐(24)의 밸브를 닫으며 상승 스위치(28)는 노즐(24)를 상승시키기 위해 시점(t2)에서 닫혀진다. 노즐(24)이 시점(t3)에서 대기 위치(B)에 이를 때, 대기위치검출신호는 제5a도와 같이 스위치(25B)로부터 발생된다. MM회로(51)는 대기위치 검출신호의 상승에 응해서 대기위치 (B)를 검출하며, 제5(b)도에 표시된 대기위치 도달신호를 원쇼트로서 발생시킨다. MM회로(51)의 출력대기 위치 도달신호는 플립플롭회로(68)의 클록입력단자(C)에 공급되며, 레벨("0")를 갖는 플립플롭회로(64)의 출력신호는 플립플롭회로(68)로 입력된다. 따라서, 플립플롭회로(68)는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통상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립플롭회로(64)의 출력신호를 기억시킨다.
한편, MM회로(51)의 출력대기위치 도달신호는 원쇼트 하락에 응해서 동작하는 지연회로(57)를 통과하며, OR회로(78)를 통해 플립플롭회로(64)의 리세트단자(R)에 공급된다.
2개의 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이 또한 통상 급유 방식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프리세트 스위치(29)는 조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플립플롭(64)는 리세트 상태로 유지되며, 레벨("0")를 가지고서 통상 급유방식을 표시하는 출력신호는 플립플롭회로(64)의 Q출력단자를 통해 발생된다. 이 결과로서, 플립플롭회로(64)는 현태(차후) 급유동작이 통상 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기억시킨다.
더우기, 신호레벨은 배타적 OR회로(69)의 입력에서 "0"이며, 배타적 OR회로(69)는 보정불요신호를 나타내는 레벨("0")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레벨은 AND회로(73)의 출력에서 "0"이며, AND회로(73)는 감산 지시신호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검출회로(62)는 배타적 OR회로(69) 출력의 하락에 응해서 원쇼트로서 보정해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며 OR회로(79)를 통해 플립플롭회로(66)을 리세트시킨다. 신호레벨이 AND회로(76)이 입력에서 "0"이기 때문에, AND회로(76)는 가산신호로서 레벨("0")를 갖는 신호를 발생한다. AND회로(76)의 이러한 출력가산신호는 가산(count-up)을 지시하기 위채 급유량 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E)에 공급된다.
AND회로(76)의 출력가산신호는 또한 인버터(83)를 통해 AND회로(77)에 공급되며, AND회로(77)의 게이트를 개방시키고 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해 AND회로(77)를 준비시킨다.
다음에, 하강 스위치(27)가 대기위치(B)로 부터 노즐(24)를 하강시키기 위해 시점(t4)에서 닫혀질 때, 검출회로(56)는 스위치(25B)의 개방에 기인해서 발생한 스위치(25B) 출력의 하락에 응해서 원쇼트로서 제5(c)도로 분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노즐(24)이 대기위치(B)로 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검출회로(56)의 출력분리신호는 AND 회로(72)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배타적 OR회로(69)는 보정불요신호로서 레벨("0")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AND회로(72)의 게이트는 따라서 닫혀진다.
여기서 플립플롭회로(65)의 리세트상태는 검출회로(56)의 출력분리신호가 AND 회로(72)에 공급된 경우라도 유지된다. 따라서, 어떤 신호도 플립플롭회로(65)로 부터 AND회로(74)에 공급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어떤 유량신호도 유량발신기(19)로부터 보정량 계수회로(84)로 공급되지 않으며, 보정량계수회로(84)는 리세트되지 않을 것이다.
노즐(24)이 하강하기 시작하고 분리 신호가 검출회로(56)로 부터 발생될 경우, 원쇼트 펌프구동 신호는 검출회로(56)의 출력분리신호 출력에서의 하락에 응해서 지연회로(63)로 부터 발생된다. 이러한 펌프구동신호는 신호선(87)을 통해 모터제어수단(43)에 공급된다.
모터 제어수단(43)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신호를 모터 제어회로(45)에 공급한다. 2개의 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통상급유방식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는 유액으로 이미 채워지며, 유량계(18)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유량계(18)가 이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고 유량신호가 유량발신기(19)로 부터 발생되는 경우라고, 보정량계수회로(84)는 AND회로(74)의 게이트가 닫혀있으므로 동작되지 않을 것이다.
하강하는 노즐(24)이 시점(t5)에서 급유위치(C)에 도달할 때, 스위치(25C)는 제5(d)도에 표시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AND회로(71)의 게이트가 개방되고, MM회로(52)는 스위치(25C) 출력의 상승에 응해서 제5(e)도에 표시한 급유위치 도달신호를 원쇼트로서 발생시킨다. MM회로(52)의 출력급유위치도달신호는 급유량계수회로(85)의 리세트단자(85C)에 공급되며, 이전(제1) 급유와 관련된 계수치를 리세트시킨다. 표시기 구동회로(86) 및 표시기 (33) 값은 또한 리세트된다.
MM회로(52)의 출력 급유위치 도달 신호는 지연회로(60)에서 지연되며, 플립 플롭회로(67)의 입력단자(S)에 공급된다. 플립 플롭회로(67)는 이것의 Q출력단자를 통해 리세트 상태 래칭신호를 나타내는 레벨("1")을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표시기 구동회로(86)의 입력단자(86A)로 이러한 리세트 상태 래칭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표시기 구동회로(86)는 모든 디지트가 리세트되는 상태로 래치된다.
한편, 원쇼트 출력신호는 지연회로(60)의 원쇼트출력신호의 하락에 응해서 지연회로(61)로 부터 발생되나, AND회로(75)는 레벨("0")를 갖는 배타적 OR회로(69)의 출력신호가 AND회로(75)에 공급되기 때문에 출력을 발생시키지 못할 것이다. 급유위치도달신호는 또한 플립플롭회로(75)의 리세트단자(R)에 공급되며, 플립플롭회로(65)는 리세트 상태로 유지된다.
더우기, 노즐(24)이 차량의 연로탱크로 삽입되고 노즐(24)의 밸브가 시점(t6)에서 개방될 경우, 연료는 노즐(24)로 부터 공급되며 유량계(18)가 작동한다.
제5(l)도에 표시된 유량신호는 유량 발신기(19)로 부터 발생된다. 유량신호는 AND회로(71)를 통과하며, 제5(m)도에 표시한 AND회로(71)의 출력신호가 계수하기 위해 급유량 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A)에 공급된다. 동시에, 유량신호의 제1펄스는 AND 회로(77)에 공급된다. AND 회로(77)의 게이트는 여기에 공급된 인버터(82)의 출력 신호에 기인해서 개방되며, 따라서 AND회로(77) 래치 해제신호로서 플립플롭회로(67)의 리세트단자(R)에 레벨(1)를 갖는 신호를 공급한다. 이 결과로서, 플립플롭회로(67)는 리세트상태 래칭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며, 표시기 구동회로(86)는 각각의 디지트를 위한 구동신호를 표시기(33)로 공급하고 연속표시값("1", "2", "3", "4"…)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2연속급유 동작의 제2동작은 지금까지 기술된 방식으로 개시되며, 급유량이 원해진 양에 도달할 때 노즐(24)의 밸브가 닫혀진다.
다음에, 2연속 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방식으로 실행되고 2연속급유동작중 제2동작이 통상 급유방식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관한 설명이 제6도에 표시한 타임차트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에, 배관(14) 및 호스(23)의 일부를 채우는데 필요한 양에 대응하는 오차는 제1b도와 관련해서 앞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발생하며, 이 이후에 설명될 감산 보정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즐(24)이 급유위치(C)에 있고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고 가정하자. 더우기 2연속 급유동작전에 실행된 급유동작이 예를들어 통상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이, 이전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 플립 플롭회로(68)는 레벨("0")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현재의 급유방식을 기억시키는 플립플롭회로(64)는 레벨("1")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소정량 신호가 프리세트 제어수단(42)으로 부터 발생되고 2연속 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완료될 때 모터(16)가 시점(t7)에서 중단될 경우, 작업자는 차량의 연료탱크로 부터 노즐(24)를 제거시키며 시점(t8)에서 노즐(24)의 밸브를 닫히게 한다. 노즐(24)은 시점(t2)에서 상승스위치(28)를 닫음으로써 상승된다. 이 경우에,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 내의 연료는 모터(16)가 중단할 때라도 노즐(24) 외부로 유출되며,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는 비어있게 된다. 노즐(24)이 시점(t3)에서 대기위치(B)에 도달할 경우, 스위치(25B)는 제6(a)도에 표시한 대기위치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MM회로(51)는 대기위치 검출 신호의 상승에 응해서 대로위치(B)를 검출하며 제6(b)도에 표시한 대기위치 도달신호를 원쇼트로서 발생시킨다. MM회로(51)의 출력대기 위치도달신호는 플립플롭회로(68)의 클록입력단자(C)에 공급되며, 레벨("1")를 갖는 플립 플롭회로(64)의 출력신호는 플립 플롭회로(68)로 입력된다. 따라서, 이전(제1) 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플립플롭(68)에 기억된다.
한편, MM회로(51)의 출력대기위치 도달신호는 대기위치 도달신호의 원쇼트하락에 응해서 동작하는 지연회로(57)를 통과하며 OR회로(78)를 통해 플립플롭회로(64)의 리세트단자(R)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플립플롭회로(64)를 지연회로(57)의 지연 시간으로 리세트되며, 레벨(0)를 갖고 현재(차후)의 급유동작이 통상 급유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는 제6(i)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플립플롭회로(64)의 Q 출력단자를 통해 발생된다. 그러므로 플립플롭회로(64)는 현재(차후)의 급유동작이 통상급유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기억시킨다.
더우기, 신호레벨은 배타적 OR회로(69)의 입력에서 "0"과 "1"이며, 배타적 OR회로(69)는 제6(j)도에 표시한 지연회로(57)의 타이밍으로 보정용신호를 나타내는 레벨("1")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레벨은 AND회로(73)의 입력에서 "1"이며, AND회로(73)는 제6(k)도에서 나타낸 감산지시신호를 나타내는 레벨("1")로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AND회로(6)의 게이트는 AND회로(73)의 출력에 의해 개방된다. 더우기, AND회로(73)의 출력은 MM회로(55)를 통해 플립플롭회로(66)를 세트시킨다.
이 결과로서, AND회로(76)는 제76(q)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감산 신호로서 레벨("1")를 갖는 신호를 발생한다. AND회로(76)의 이러한 출력감산신호는 감산(count-down)을 지시하기 위해 급유량 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E)에 공급된다. AND회로의 출력감산신호는 또한 인버터(83)를 통해 AND회로(77)의 게이트를 닫게된다. 한편, 배타적 OR회로(69)의 출력은 AND회로(72와 75)의 게이트를 개방시키기 위해 AND회로(72와 75)에 공급된다.
다음에, 대기 위치(B)로부터 노즐(24)를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스위치(27)가 시점(t4)에서 닫혀질 경우, 검출회로(56)는 스위치(25B)의 개방에 기인해서 발생한 스위치(25B)출력의 하락에 응해서 제6(c)도에 표시한 분리 신호를 원쇼트로서 발생시킨다. 노즐(24)이 대기위치(B)로 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검출회로(56)의 출력분리신호는 AND회로(72)에 공급된다.
따라서 AND회로의 게이트가 개방되고, 제6(o)도와 같이 레벨(1"")를 갖는 신호가 이런 급유동작에 관련되어 기억된 보정량을 리세트하기 위해 보정량 계수회로(84)의 리세트 단자(84B)에 공급되며, AND회로(74)의 게이트는 플립플롭회로(65)의 Q출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 결과로, 유량신호는 이상태에서 유량발신기(19)로 부터 보정량 계수회로(84)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24)이 하강하기 시작하고 분리신호가 검출회로(56)로부터 발생될 경우, 원쇼트펌프구동신호는 검출회로(56)의 출력분리신호에서의 하락에 응해서 지연회로(63)로 부터 발생된다. 이러한 펌프구동신호는 신호선(87)을 통해 모터제어 수단(43)에 공급된다. 모터제어수단(43)은 모터(16)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제어회로(46)로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2개의 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방식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는 비어있고 유량계(18)는 모터(16)의 구동에 응해서 동작한다. 따라서, 유량신호의 K펄스(1, 2, …, K)를 제6(l)도와 같이 유량발신기(19)로 부터 연속적으로 발신되며, 여기서 K는 정수이다. AND회로(74)의 게이트가 개방되기 때문에, 유량신호는 제6(n)도에서와 같이 보정량 계수회로(84)의 입력단자(84A)에 공급된다. 보정량 계수회로(84)를 유량신호펄스가 입력단자(84A)에 공급될 때마다 유량신호 펄스를 계수하며 이렇게하여 보정량을 얻는다. AND회로(71)의 게이트는 노즐(24)이 급유위치(C)에 도달할때까지 닫혀지며, AND회로(71)의 출력은 제6(m)도와 같이 급유량계수회로(85)에 공급되지 않는다.
하강하는 노즐(24)이 시점(t5)에서 급유위치(C)에 도달할때, 스위치(25C)는 제6(d)도에 표시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AND회로의 게이트는 개방되고, MM회로(52)는 스위치(25C)의 출력에서의 상승에 응해서 제6(e)도에 표시된 급유위치도달신호를 원쇼트로서 발생시킨다.
MM회로(52)의 출력급유위치 도달신호는 급유량계수회로(85)의 리세트단자(85C)에 공급되며, 이전(제1)급유 동작에 관련된 계수치를 리세트 시킨다.
표시기구동회로(86)와 표시기(33)값 또한 리세트된다. MM회로(52)의 출력급유위치 도달신호는 지연회로(60)에서 지연되며, 플립플롭회로(67)의 입력단자(S)에 공급된다. 플립플롭(67)는 리세트상태 래칭신호를 나타내는 레벨("1")를 가지는 신호를 이것의 Q출력단자를 통해 발생시키며, 이러한 리세트상태 래칭신호를 표시기 구동회로(86)의 입력단자(86A)에 공급한다.
따라서, 표시기구동회로(86)는 모든 디지트가 리세트되는 상태로 래치된다. 한편 원쇼트 출력신호는 지연회로(60)의 원쇼트출력신호에서의 하락에 응해서 지연회로(60)로부터 발생되며, AND회로(75)는 지연회로(61)의 출력신호에 응해서 레벨("1")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AND회로(75)의 출력은 OR회로(80)를 통해 인버터(82)에 공급된다. 제6(p)도에 표시된 인버터(82)의 출력은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B)레벨을 로우레벨로 순간적으로 변화시키며, 따라서 보정량 데이타를 갱신한다. 지연은 지연회로(60과 61)에 의해 2개 단계로 수행되며, 리세트단자(85C)에 의한 급유량 계수회로(85)의 리세트는 입력보정량데이타에 앞서 수행된다. 급유위치 도달신호는 또한 플립플롭회로(65)의 리세트단자(R)에 공급되며, 플립플롭회로(65)는 AND회로(74)의 게이트를 닫기 위해 리세트된다.
더우기, 노즐(24)이 차량의 연료탱크로 삽입되고 노즐(24)의 밸브가 시점(t6)에서 개방될 경우, 연료는 노즐(24)로부터 공급되고 유량계(18)는 작동한다. 유량신호는 유량발신기(19)로 부터 발신된다.
유량신호는 AND회로(71)를 통과하며, AND회로(71)의 출력신호는 계수하기 위해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A)에 공급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레벨("1")을 가지고 감산신호를 나타내는 AND회로(76)의 출력신호는 급유량 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E)에 공급된다. 더우기 신호레벨은 입력단자(85E)에서 하이로되며, 보정량 계수회로(84)에 계수된 유량신호의 K펄스에 대응하는 보정량은 입력단자(85D)에 공급된다. 여기서, 급유량계수회로(85)는 유량신호의 펄스가 입력단자(85A)에 공급될때마다 K-1, K-2, …의 순서로 보정량을 감한다. 보정량이 감산의 결과로서 값("0")을 나타낼 경우, 급유량계수회로(85)는 이것의 보로단자(85G)를 통해 제6(r)도에 나타낸 보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보로신호는 유량신호의 연속펄스가 입력단자(85A)를 통해 수신될때까지 제6(q)도에 나타낸 AND회로(76)출력의 하락에서 로우레벨을 나타낸다.
한편, 유량신호는 제6(m)도와 같이 AND회로(71)로 부터 AND회로(77)로 공급된다. 그러나, 레벨("1)를 가지고 감산신호를 나타내는 AND회로(76)의 출력신호가 인버터(83)를 통해 AND회로(77)에 공급되기 때문에, AND회로(77)의 게이트는 닫혀진다.
이와같이, 플립플롭회로(67)는 유량신호의 제1펄스에 의해 리세트될 수 없으며, 표시기 구동회로(86)는 리세트 상태로 래치된다. 계속해서, 표시기(33)는 급유량 계수회로(85)가 앞서 설명된 감산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리세트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레벨("0")를 가지는 보로신호는 보정량이 "0"과 같게되는 때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보로단자(85G)를 통해 발생되며, 레벨("1"를 가지는 신호는 인버터(81)로부터 발생되고 플립플롭회로(66)를 리세트하기 위해 OR회로(79)를 통해 플립플롭회로(66)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AND회로(76)는 제6(q)도와 같이 가산신호를 나타내는 레벨("0")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AND회로(76)의 출력가산신호는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자(85E)에 공급되며 급유량계수회로(85)는 "1", "2""3"…의 순서로 "0"의 보정량으로부터 가산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한다. AND회로(76)의 출력은 인버터(83)를 통해 AND회로(77)에 공급되며 AND회로(77)의 게이트를 개방시킨다. AND회로(77)는 "0"의 보정량에 연속해서 얻어진 유량신호에 응해서 래치 해제신호로서 플립플롭회로(67)이 리세트단자(R)에 레벨("1")를 가지는 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플립플롭회로(67)는 제6(s)도와 같이, 리세트상태 래칭신호의 발생을 중단하여 표시기 구동회로(86)를 "1", "2", "3", "4", …의 연속 표시치를 나타내기 위해 각 디지트에 대한 구동신호를 표시계(33)로 공급한다.
2연속급유동작중 후자는 전술한 방식으로 시작되며 노즐밸브(24)는 급유량이 소망량에 도달했을 때 닫힌다.
다음에 2연속급유동작이 프리세트모드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제7도에 도시된 타임차트를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이 경우에 제1(c)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실행된후에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가 비게된다.
더우기 배관(14)과 호스(23)중 일부는 2연속급유동작중 후자가 완료된후에 다시 비게된다.
그러므로 배관(14)과 호스(23)가 유액에 의하여 채워지는 동안 유량발신기(19)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량신호중 펄스(K)에 대응되는 정량이 현재상태에서 더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은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프리세트급유동작이 완료되는 시각(t7)으로부터 시작되며 시각(t2)에서 실행되는 노즐 상승동작, 시각(t3)에서 대기 위치(B)의 검출, 시각(t4)에서 하강조작, 및 시각(t5)에서 실행되는 급유위치(C)의 검출을 포함하는 제7도에 도시된 일련의 동작은 제6도에서 도시된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에 관한 기술은 생략하겠다.
노즐(24)이 급유위치(C)에 도달된후 시각(t9)에서 소망의 프리세트급유량을 프리세트되도록 프리세트 스위치(29)가 조작되었다고 가정하자.
프리세트급유량은 프리세트제어수단(42)에 기억된다.
한편 제7(f)도에 도시된 프리세트공급신호가 프리세트스위치(29)의 조작에 따라 발생될때 제7(g)도에 도시된 원쇼트출력은 프리세트 공급신호의 상승에 따라 단안정멀티바이브레터(53)로부터 발생한다.
MM회로(53)의 출력신호는 플립플롭회로(64)의 입력단(S)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현재(후자)급유동작이 정상급유동작모드가 정상급유모드로부터 프리세트 급유모드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가 플립플롭회로(64)에 기억된다.
프리세트 급유모드를 가르키는 레벨("1")를 갖는 플립플롭회로(64)의 출력이 배타적-OR회로(69)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배타적-OR회로(69)의 입력에서 신호레벨은 "1"이 되며 제7(j)도에 도시된 보정불요신호에 해당되는 신호가 배타적-OR회로(69)로부터 발생된다.
AND회로(73)의 출력에서 신호레벨이 제7(k)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0"이 되고, 감산지시신호를 정지시킨다. 정정취소검출신호가OR회로(79)를 통하여 플립플롭회로(66)에 공급되어 플립플롭회로(66)를 리세트시킨다. 따라서 AND회로(76)의 입력에서 신호레벨은 "0"가 되며 AND회로(76)는 가산신호를 나타내는 "0"레벨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가산신호는 급유량 계수회로(85)의 입력단(85E)에 공급되어 가산(카운트업)을 지령한다.
또한 상기 가산신호는 인버터(83)를 통하여 AND회로(77)에 공급되어 AND회로(77)의 게이트를 열고 AND회로가 래치(latch)를 해제한다.
한편 프리세트스위치(29)로부터 프리세트공급신호가 AND회로(70)에 공급된다.
스위치(25C)가 닫혀있기 때문에 AND회로(70)의 게이트는 열린다. 그러므로 AND회로(70)는 프리세트 공급신호에 따라 레벨("1")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며 MM회로(54)는 제7(i)도에 도시된 원쇼트출력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지연회로(59)는 MM회로(54)의 원쇼트출력이 하강했느냐에 따라 지연신호가 발생하며 지연회로(59)의 출력지연신호는 OR회로(80)를 통하여 인버터(82)에 공급된다.
다음에 급유량계수회로(85)의 보정량데이타입력단(85B)에서 신호레벨은 지연회로(59)의 타이밍에 따라 제7(p)도에 도시된 인버터(82)의 출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로우레벨이 되어 보정량이 갱신된다고 가정한다.
노즐(24)이 차량의 연료탱크속으로 삽입될때 유액이 노즐(24)로부터 공급되며 유량발신기(19)는제7(l)도에 도시된 유량신호를 발생한다.
유량신호가 AND회로(71)를 통과하여 제7(m)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85A)에 공급된다. 급유량계수회로(85)는 유량신호펄스를 계수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레벨("0")를 갖는 AND회로(76)의 가산신호출력이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85E)에 공급되며 입력단(85B)에서 신호레벨은 하이레벨이 된다. 더우기 보정계수회로(84)에서 계수되는 유량신호의 펄스(K)에 대응되는 보정량이 일련의 보정량(K+1, K+2, …)에 대하여 가산을 실행한다.
한편 AND회로(77)가 열리므로 플립플롭회로(67)는 유량신호의 제1펄스에 따라 리세트된다.
따라서 플립플롭회로(67)는 리세트상태 래칭신호의 발생을 정지하고, 표시기 구동회로(86)는 구동신호를 각 디지트(digit)를 위하여 표시기(33)에 공급하여 값("K+1", "K+2", …)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급유량이 프리세트급유량에 도달했을때 소정량신호가 프리세트제어수단(42)으로부터 발생하고, 모터(16)가 정지된다.
이 경우에 급유되는 실제량은 유량신호의 펄스(K)에 해당되는 보정량만큼 프리세트급유량보다 더 적게된다. 그러나 프리세트 급유 동작기간동안 배관(14)과 호스(23)의 일부내에 있으며 보정량에 해당되는 유가소정량신호가 프리세트제어수단(42)으로부터 발생한 후 조차 노즐(24)로부터 흘러나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급유량은 프리세트 급유량과 정확히 일치한다. 프리세트 급유량동작이 완료된후에 프리세트스위치(29)를 조작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때 1회 펄스출력이 프리세트 스위치(29)의 출력의 하강에 따라 검출회로(58)로 부터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플립플롭회로(64)가 리세트되어 정상급유모드를 나타내는 신호가 그안에 기억되어 있는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고나서 제2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8도에 도시된 타임차드를 참고로하여 기술하겠다.
이경우에 호스(23)와 배관(14)내에 있는 유액은 제1(d)도와 관련하여 전에 기술한 바와같이 급유가 소정량신호에 따라 정지된 후에도 노즐(24)로부터 흘러나간다.
상기 이유로인하여 보정량계수회로(84)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량이 제1급유동작중에(그것은 제1급유동작이 프리세트 급유모드에서 실행된후 정상급유동작이 실행된 회수와는 무관함)독출(read out)되어 보정량을 급유량에 가산함으로써 계수가 실행된다.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었기 때문에 제8도에 도시된 일련의 동작 즉 정상급유 동작이 완료되는 시각(t1)에서 시작되며 시각(t2)에서 실행되는 노즐상승동작, 시각(t3)에서 실행되는 대기위치(B)검출, 시각(t4)에서 실행되는 노즐 하강조작 및 시각(t5)에서 실행되는 급유위치(C)검출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은 제5도에 도시된 동작과 동일하므로 기술을 생략하겠다.
2연속급유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될 경우에 노즐(24)이 대기위치(B)로부터 분리되며 원쇼트출력이 지연회로(56)로부터 발생하는 시점에서 프리세트동작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플립플롭(68, 64)의 출력에서 신호레벨 "0"이 되며 배타적-OR회로(69)의 출력에서의 신호레벨도 또한 "0"이 된다.
보정량을 리세트하는 신호는 2연속급유동작중 제1동작이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될 경우에서와 같이 AND회로(72)로부터 보정량계수회로(84)에 공급되지 않는다. 노즐(24)이 급유위치(C)에 도달한후 소망의 프리세트 급유량을 프리세트하기 위하여 시각(t9)에서 프리세트스위치를 조작했을때 프리세트 급유량은 프리세트제어 수단에 기억된다.
한편 프리세트공급신호가 프리세트스위치(29)의 조작에 따라 프리세트스위치(29)로부터 발생할때 원쇼트출력은 프리세트공급신호의 상승에 따라 MM회로로부터 발생한다.
상기 MM회로(53)의 출력은 플립플롭회로(64)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플립플롭(64)은 현재(후자)급유동작모드가 정상급유공급모드에서 프리세트급유모드를 변환되었다는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기억하다. 프리세트급유모드로 나타내는 레벨("1")신호를 갖는 플립플롭(64)의 출력이 배타적-OR회로(69)에 공급된다. 한편 레벨("0")를 갖는 플립플롭(68)의 출력신호가 배타적-OR회로에 공급되어 배타적-OR회로(69)는 레벨("1")를 갖는 신호를 AND회로(73)에 공급한다. 더우기 플립플롭회로(68)의 출력에서 신호레벨이 "0"이 되기 때문에 AND회로(73)는 가산을 지시하는 레벨("0")를 갖는 신호를 발생한다. AND회로(76)는 가산신호를 급유계수 회로(85)의 입력단(85E)을 공급하여, AND회로(87)는 래치를 취소하도록 준비한다.
한편 프리세트스위치(29)의 출력프리세트공급신호가 AND회로(70)에 공급된다. 프리세트급유동작에 대한 제7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지연회로(59)의 원쇼트출력이 인버터(82)에 공급되어 급유량계수 회로(85)의 입력단(85B)에서의 출력이 순간적으로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보정량 계수회로(84)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량데이타(최후 프리세트 급유동작에 관련되며 보정량계수회로(84)내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데이타)가 독출되어 갱신된다.
노즐(24)의 밸브가 열릴때 유량신호가 급유량계수회로에 공급되어 계수된다. 이 경우에 레벨("0")의 입력단(85E)에 공급된다. 더우기 보정량계수회로(84)내에서 계수되는 유량신호의 펄스(K)에 해당되는 보정량이 급유량계수회로(85)의 입력단(85D)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유량신호가 입력단(85A)에 공급될때마다 급유량계수회로(85)는 열(K+1, K+2, …)의 형태인 보정량에 대하여 가산을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급유량이 프리세트 급유량에 도달했을때 소정량신호는 프리세트 제어수단(42)으로부터 발신되어 모터(16)가 정지된다. 이경우에 소정량신호는 유량신호의 펄스(K)가 진행하면서 가산되는 상태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급유의 실제량은 유량신호의 펄스(K)에 해당되는 보정량만큼 프리세트급유량보다 더 적다.
그러나 프리세트급유동작중에 배관(14)과 호스(23)부분내에 있으며 보정량에 해당되는 유액이 소정량신호가 프리세트 제어수단(42)으로부터 발신된후에 노즐(24)로부터 흘러나간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급유량은 프리세트 급유량에 정확히 일치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이 2연속 급유동작의 급유모드의 조합에 의하여 실행함으로써 정확한 급유동작의 실행이 항상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한번 급유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급유위치(C)로부터 대기위치(B)로 노즐(24)이 복귀한다. 더우기 급유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지령하는 명령스위치가 스위치박스(26)위에 장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한번 급유동작이 완료된후 다수의 급유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명령스위치가 조작되었을때 노즐(24)은 급유위치(C)에 남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시스템은 2연속급유동작의 제1급유모드에 기억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보정량이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 급유모드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됨으로써 배관과 호스부분을 유액으로 채운다. 따라서 연속급유동작의 급유모드의 조합과는 무관하게 정확한 급유동작의 실행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연속급유동작의 급유모드의 조합과는 무관하게 종래급유장치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급유의 실제량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급유모드에서 급유동작은 제4도에 도시된 측정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된다. 더우기 측정제어회로의 동작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 마이크로컴퓨터가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겠다.
제9도에 도시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주루틴에서 급유호스(23)와 급유노즐(24)은 단계(90)에서 하강된다. 단계(91)는 노즐(24)이 소정위치에 하강해 있는지를 검출하여 모터(16)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은 위치 (①)에서 10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을 계속한다.
제10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은 단계(110)부터 시작하여 단계(111)는 그레그(flag)(FLGI 또는 FLG2)가 "0"와 같은지를 판별한다. 급유량이 프리세트되는 제1급속유모드에서 제1동작이 실행될때 프레그(FLG1)가 "0"과 같으며, 2연속 급유동작의 제2동작의 급유량이 프리세트되는 제1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될때 프레그(FLG1)는 "1"과 같다.
한편 공급되는 유액의 가격이 설정되는 제2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실행될때 프레그(FLG)는 "0"과 같으며,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가 공급되는 유액의 가격이 설정되는 제2프리세트급 유모두에서 실행될때 "1"과 같다.
후에 기술할 때는(FLG 3)는 정상급유모드에서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실행될때 "0"과 같으며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가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될때 "1"과 같다.
단계(111)는 프레그(FLG 1 또는 FLG 2)가 "0"과 같은지 즉 2연속급유동작의 제1단계가 급유량이 설정되어 있는 제1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느냐 또는 공급될 유액가격이 설정되어 있는 제2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지를 판별한다.
단계(111)에서 판별결과 노(NO)일때 단계(112)는 제9동에 도시된 위치(①)로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복귀시키고 단계(92)로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111)에서 판별결과 예스일때 단계(113)에서 모터 (16)가 온(ON)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13)에서 판별결과 예스일때 단계(114)에서 유량발신기(19)로부터 발신된 유량신호의 펄스를 계수한다. 단계(114)에서 계수된 펄스의수는 제1급유동작의 완료가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수행된후 부족하여 배관(14)과 호스(23)부분을 채우기 위해 후자 급유동작중 필요한 급유량에 해당된다. 단계(115)는 프레그(FLG1)가 "0"과 같은지 또는 프레그(FLG2)가 "0"과 같은지를 판별한다.
프레그(FLG1)"0"과 같을때 단계(116)에서 급유량에 해당되는 계수된 펄스수를 제1메모리(MEM1)에 기억하고, 프레그(FLG2)"0"과 같을때 단계(117)에서 공급되는 유액의 가격에 해당되는 계수된펄스수를 제2메모리(MEM2)에 기억한다.
그후에 단계(118)에서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제9도에 도시된 위치(①)로 북귀하여 단계(92)동작으로 진행한다.
단계(92)는 급유량이 프리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92)에서 판별결과 예스일때 단계(93)에서 프레그(FLG1)를 "1"로 세트되어 프리세트 급유량이 설정된다.
한편 단계(92)에서 판별결과 노일때 단계(94)는 공급되는 유액의 가격이 설정(presrt)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94)에서 판별결과 예스일때 단계(95)에서 프세그(FLG2)를 "1"로 세트하여 공급되는 유액의 가격을 설정한다.
단계(96)는 단계(94)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급유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96)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단계(97)에서 프레그(FLG3)를 "1"로 세트하여 정상급유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다음에 단계(96)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은 위치(②)로 진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이 위치(②)에서 제11a도 또는 제11b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을 계속한다.
제11a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은 단계(120)부터 시작되며 단계(121)는 프레그(FLG1)가 "0"과 같은지 그리고 프레그(FLG3)가 "1"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21)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단계(122)에서 메모리(MEM1)내의 수를 계수하지 않고서 급유량을 계수한다. 한편 단계(121)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단계(123)는 프레그(FLG2)가 "0"과 같은지 그리고 프레그(FLG3)가 "1"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21) 및 단계(123)에서 2연속급유동작의 제1단계가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와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가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23)에서 판별결과 노일때 단계(124)에서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제9동에 도시된 위치(②)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123)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단계(125)에서 메모리(MEM2)내의 수를 계수하지 않고 급유량을 계수한다.
단계(122 또는 125)로 진행할때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며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는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배관(14)과 호스(23)부분은 급유동작이 시작될때 비게되는 배관(14)과 호스(23)의 빈부분을 채우는데 필요한 급유량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오차는 단계(122 또는 125)에서 수를 계수함이 없이 급유량을 계수함으로써 보정된다.
단계(122 또는 125)가 실행된후에 단계(126)에서 마이크로컴푸터의 동작은 제9동에 도시된 위치(2)로 복귀한다.
제11B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은 단계(130)부터 시작되며 단계(130)부터 시작되며 단계(130)는 프레그(FLG3 및 FLG2)가 각각 "0"과 "1"로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31)에서 판정결과가 예스일때, 단계(132)에서 메모리(MEM1)에서 계수를 가산함으로써 급유량을 계수한다. 한편 단계(131)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단계(131)에서 프레크((FLG3 및 FLG2)가 각각 "0"과 "1"로 세트되었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31 및 133)에서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이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며 2연속급유동작의 후자가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133)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단계(134)에서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은 제9동에 도시된 위치(②)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133)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단계(135)는 메모리(MEM2)에 있는 수를 가산함으로써 급유량을 계수한다.
단계(132, 또는 135)로 진행할때 2연속급유동작의 제1동작 정상급유모드에서 실행되며 2연속급유동작은 프리세트모드에서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배관(14)과 호스(23)부분이 급유동작이 시작될때 유액으로 채워지며 후자급유동작이 완료될때 배관(14)과 호스(23)부분으로부터 노즐(24)밖으로 흘러나가는 급유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차는 단계(132 또는 135)에서 계수를 가산하여 급유량을 계수함으로써 보정된다.
단계(132 또는 135)가 실행된후 단계(136)에서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제9도에 도시된 우치(②)로 복뒤된다.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이 제9도에 도시된 위치(②)로 복귀할때 단계(98)는 프레그(FLG1)가 "1"과 같은지를 판별하며 판별 결과 예스이면 단계(99)에서 급유동작을 시작한다. 단계(100)에서 급유량이 설정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프레그(FLG1)가 단계(101)에서 "0"토 리세트되고 단계(100)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동작은 단계(90)로 복귀된다. 한편 단계(98)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단계(102)는 프레그(FLG2)가 "1"과 같은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단계(103)에서 급유동작을 시작한다. 단계(104)는 급유량이 성정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프레그(FLG2)가 단계(105)에서 "0"으로 리세트되어, 단계(104)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동작은 단계(90)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102)에서 판별결과가 노일때 단계(106)에서 프레그(FLG3)가 "1"과 같은지 여부를 판별하여, 예스이면 단계(107)에서 급유동작을 시작한다. 단계(108)는 급유량이 설정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프레그(FLG3)가 단계(109)에서 "0"으로 리세트되며 단계(108)에서 판별결과가 예스일때 동작은 단계(90)에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단계(110, 120 및 130)는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각각의 서브루틴으로 진행하게 한다. 더우기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다른 프로그램이 필요할때 단계(11, 120 및 130)를 예컨데 각각 4.8ms의 타이머 인터럽스(timer interp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한 각종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밸브르 가지고 있으며 급유호스(23)의 팁(tip)끝에 제공되는 급유노즐(24), 유액(fule)을 상기 급유호스에 공급하는 펌프(17), 상기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액의 흐름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급유량에 대응되는 유량신호를 발신하는 측정장치(18, 19),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유량신호에 기한 급유량을 표시하는 표시기(33), 프리세트 급유동작을 실행할때 프리세트 급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프리세트 스위치(29), 및 급유량이 프리세트급유량에 도달했을때 급유를 정지시키는 급유정비장치(42)로 구성되어 있는 급유장치용 급유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유제어장치는 전회(前回)급유동작이 상기 프리세트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상급유모드 또는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며 전회급유동작의 판별된 급유모드를 기억하는 전회모드기억장치(68), 현재 급유동작이 정상급유모드 또는 프리세트급유모드에서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현재급유동작의 판별된 급유모드를 기억하는 현재모드를기억장치(64), 현재 급유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상기 급유노즐의 밸브가 열리기 전에 상기 급유호스를 채우기 위해 유액이 상기 측정장치를 통하여 흐를때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유량신호를 계수하며 보정량으로서 계수된 값을 기억하는 보정량 기억장치(84), 및 각각의 모드기억장치에 기억된 전회급유 모드와 현재 급유모드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량 기억장치에 기억된 보정량을 독출(read out)하여 전회 급유모드에 따라 현재 급유동작의 급유량을 보정하는 유량보정장치(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더우기 상기 전호급유모드가 정상급유모드에 있으며 상기 현재 급유모드가 또한 정상급유모드에 있을때 상기 유량보정장치(85)를 비작동되게 만드는 장치(6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유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보정장치(85)는 상기 전회급유모드가 프리세트급유모드이며 상기 현재 급유모드가 정상급유모드일때 상기 보정량에 대하여 감산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보정장치(85)가 감산동작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표시기(33)를 리세트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6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회급유모드가 정상급유 모드이며 상기 현재급유모드가 프리세트급유모드일때 상기 유량보정장치(85)가 상기 보정량에 대하여 가산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전회 모드기억장치(68)와 상기 현재 모드기억장치(64)는 기억된 급유모드에 따서 그의 출력 극성이 반전되는 플립플롭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제어장치.
KR1019840007305A 1983-11-22 1984-11-22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KR870001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20126 1983-11-22
JP58220126A JPS60110696A (ja) 1983-11-22 1983-11-22 給油方式
JP58-220126 198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84A KR850004084A (ko) 1985-07-01
KR870001731B1 true KR870001731B1 (ko) 1987-09-26

Family

ID=1674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305A KR870001731B1 (ko) 1983-11-22 1984-11-22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95122A (ko)
JP (1) JPS60110696A (ko)
KR (1) KR870001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6605B2 (en) 2009-10-06 2012-11-27 Craig Oberg Insulated metal roofing and wal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615946B2 (en) 2010-12-23 2013-12-31 Craig Oberg Insulated metal wal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701366B2 (en) 2008-05-27 2014-04-22 Craig Oberg Insulated metal roof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99A (ja) * 1983-07-20 1985-02-05 トキコ株式会社 給油装置
JPS61127491A (ja) * 1984-11-15 1986-06-14 株式会社 東京タツノ 給油装置
JPS61178895A (ja) * 1985-01-16 1986-08-11 エムケ−精工株式会社 給油装置
US5225995A (en) * 1985-01-25 1993-07-06 Sharp Kabushiki Kaisha Flow rate measurement control for refuelling control system
JPH089400B2 (ja) * 1985-12-20 1996-01-31 トキコ株式会社 給油装置
JP2583210B2 (ja) * 1988-08-04 1997-02-19 株式会社 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液装置
US5249129A (en) * 1991-02-22 1993-09-28 Alain Lamoureux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precise amount of fluid with automatic set reset
FR2685475B1 (fr) * 1991-12-20 1995-09-22 Luro Sarl Ets Procede de distribution controlee a comptage volumetrique de quantites dosees de liquid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US5794667A (en) * 1996-05-17 1998-08-18 Gilbarco Inc. Precision fuel dispenser
US5947148A (en) * 1998-01-07 1999-09-07 Devito; Robert Fluid delivery hose recovery system
US6244384B1 (en) 1999-04-27 2001-06-12 Flo-Dynamics, Inc. Llc Transmission fluid exchanger
JP4753699B2 (ja) * 2005-12-06 2011-08-24 株式会社クボタ ガス充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480A (en) * 1968-07-02 1971-09-07 Tokico Ltd Fuel supplying apparatus
JPS5127287B2 (ko) * 1972-02-17 1976-08-12
US4200203A (en) * 1978-05-30 1980-04-29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ntrol device for batch metering system
GB1598265A (en) * 1978-05-31 1981-09-16 Ferranti Ltd Dispensing preset amounts of a product
JPS5658618A (en) * 1979-10-19 1981-05-21 Tokico Ltd Quantity setting device
JPS5749089A (en) * 1980-09-05 1982-03-20 Tokico Ltd Liquid supply system
US4410949A (en) * 1980-09-09 1983-10-18 Unidynamics/St. Louis, Inc. Controller for fuel dispenser
JPS5872012A (ja) * 1981-10-26 1983-04-28 Toshiba Corp 流量計測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1366B2 (en) 2008-05-27 2014-04-22 Craig Oberg Insulated metal roof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316605B2 (en) 2009-10-06 2012-11-27 Craig Oberg Insulated metal roofing and wal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615946B2 (en) 2010-12-23 2013-12-31 Craig Oberg Insulated metal wal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10696A (ja) 1985-06-17
JPH0459213B2 (ko) 1992-09-21
KR850004084A (ko) 1985-07-01
US4595122A (en) 198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731B1 (ko) 프리세트급유 기능을 갖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급유 시스템
US4726492A (en) Fuel supplying apparatus
US444295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luid of preset quantity
US4572405A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supply of fluid to an integral quantity
US4637525A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CN114777884A (zh) 流量计校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7160674B2 (ja) 流量計
JPH059639B2 (ko)
JPS6154674B2 (ko)
JP3516776B2 (ja) 無線式液位測定送信装置
JP3082783B2 (ja) 無線式液量測定装置
JP3005723B2 (ja) 定量給液制御装置
JPS6126240Y2 (ko)
JPS63282000A (ja) 給液装置
JP2000044000A (ja) 給油装置
KR930004788B1 (ko) 급유장치
JPH0637236B2 (ja) 給油システム
JPH0333679Y2 (ko)
JPH0532296A (ja) 給油装置の制御装置
JPS60204500A (ja) 懸垂式給油装置
JP2002332100A (ja) 給油装置
JPS58122434A (ja) 自動車の消費燃料計測装置
JPH0735330A (ja) 燃料計量装置
JPS62122994A (ja) 給油装置
JPS6386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