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88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88B1
KR930004788B1 KR1019890000479A KR890000479A KR930004788B1 KR 930004788 B1 KR930004788 B1 KR 930004788B1 KR 1019890000479 A KR1019890000479 A KR 1019890000479A KR 890000479 A KR890000479 A KR 890000479A KR 930004788 B1 KR930004788 B1 KR 93000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amount
data
tank
liqui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75A (ko
Inventor
타께히로 마노메
Original Assignee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다까시 filed Critical 도끼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automatic means for reducing or intermittently interrupting flow before completion of delivery, e.g. to produce dribble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유장치
제1도는 급유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급유노즐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급유장치의 제어회로를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오일의 유량과 액면센서, 펌프 모타의 ON, OFF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타임챠트.
제5도는 제3도의 선택 데이타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 데이타의 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제6도-제7도는 제1도-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표시하는 회로도 및 선택 데이타의 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제1도-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표시하는 회로도 및 선택 데이타의 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제10도는 전술한 제1, 제2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제11도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산업상의 이용분야]
제1도-제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이 발명은 가솔린 스탠드 등의 급유소에서 사용되는 자동 만탱크 급유가 가능한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가솔린 스탠드 등에서는 급유노즐의 선단에 설치한 액면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펌프구동용 모타나 유로 도중에 설치한 전자밸브를 구동정지 제어하여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를 자동적으로 만탱크로 하는 소위 만탱크 급유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만탱크 급유는 급유노즐에 설치한 액면센서가 가솔린의 액면을 검출한 시점을 종료로 하는 것이나 실제로는 급유함에 있어서의 비말로서 가솔린의 상층에 거품이 생기고 가솔린의 액면보다 먼저 거품을 검출하여 버린다.
그리고 이와 같은 거품에 의한 액면센서의 만탱크오류검출을 피하기 위하여 액면센서가 검출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에는 거품의 소멸을 기다리기 때문에 추가급유를 중단하고 더욱이 중단 후 액면센서의 검출신호가 소실하고 있으면 급유를 재개하는 추가급유를 적당히 반복하여 이로서 만탱크 급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꾸어 말해 만탱크 급유에 있어서는 전기한 액면센서가 처음 가솔린의 거품을 검출하였을 때로부터(이하 액면센서가 처음 가솔린을 검출할 때까지를 초기급유라 한다) 그 이후의 추가급유로서 만탱크로 될 때까지 가솔린을 연료탱크에 추가급유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추가급유를 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는 특개소 58-30993호 공보 및 특개소 61-164996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급유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급유장치는 예를 들어 만탱크로 되기까지 반복하여 행하는 추가급유의 일회마다의 가솔린양을 측정하여 추가급유데이타로서 기억시켜 두고 이 급유데이타에 따라 초기급유 이후의 1회의 추가급유의 량이 미리 정한 소정량 이하(예를 들어 0.2리터 이하)로 되었을 때를 만탱크 급유완료로 하는 것이고 또 만탱크로 되기까지 반복하여 행하는 각 추가급유의 급유시간을 측정하여 급유시간 데이타로 하여 기억시켜 두고 1회의 추가급유에 요하는 시간이 미리 정한 소정시간 이하(예를 들어 2초 이하)로 되었을 때를 똑같이 만탱크 급유완료로 하는 것이다.
또 후자의 급유장치는 만탱크로 될 때까지의 추가급유의 회수를 측정하여 급유회수 데이타로 하여 기억시켜두고 추가급유의 회수가 미리 정한 소정의(예를 들어 3회)로 되었을 때를 만탱크 급유의 완료 시간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급유장치에서는 1회마다의 추가 추가급유량, 1회마다의 추가급유의 시간 및 추가급유회수를 판정 기준으로 하여 만탱크 급유완료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급유장치에 있어서는 1회당 추가급유량, 1회당 추가급유의 시간 및 추가급유의 회수를 판정기준으로 하여 급유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하여도 급유구로 부터 가솔린의 누출하는 수가 있다. 즉 급유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변화(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작업자의 레버조작에 따른 급유노즐의 밸브의 개방도의 대소, 급유노즐에 노즐밸브와 더불어 설치되어 있는 자동 밸브의 압력의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하여 1회의 급유량이 미묘하게 변화하고 이로서 판전 기준에 따라 급유의 제어를 행하였다 하더라도 급유구로 부터 가솔린이 누출하여 고객의 차량을 더럽히던가 또 반대로 급유량이 부족하여 만탱크급유가 되지 않는 불합리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합리성을 제11도의 타임챠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도면의 상단, 중단, 하단에 각각 표시하는 것은 시간에 대한 급유량, 액면센서인 ON-OFF, 펌프구동 모타의 ON-OFF이다. 액면센서가 ON으로 된 시점에서 펌프구동용 모타가 OFF로 되었다 하더라도(T1으로 표시하는 타이밍) 펌프의 관성이나 급유노즐의 밸브 폐쇄조작에 의한 통상 급유할 때의 급유정지 상태와의 상이에 따라 급유하는 바로 정지하지 않고 부호 q0, q1, q2의 양으로서 표시하는 바와 같은 초과급유가 행하여진다. 이 통과량은 항시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노즐의 밸브의 개방도의 대소, 자동밸브의 압력의 변화 등의 요인에 따라 그 값이 Δq0, Δq1, Δq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묘하게 변화한다.
이로서 예를 들면 1회 추가급유에 있어서의 급유량이 QC이하로 되었을 때 만탱크로 판정하고 만탱크 급유를 완료하는 급유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2회째의 추가급유(타임챠트 (V)로 표시하는)로서 액면센서가 다시 ON로 되었을 때의 추가급유량 Q2가 QC이하로 만탱크 급유완료로 하였을 경우라 하더라도 본래 연료탱크에 Q0, Q1, Q2와 q0, q1, q2와 표시하는 양의 가솔린이 저류할 것이 실제로는 먼저 진술한 요인에 의하여 이것을 오버하여 다시 Δq0, ΔΔq1, Δq2로서 표시하는 양의 가솔린이 급유되어 그 결과 급유구로 부터 가솔린이 누출하게 되는 불합리점이 있다.
즉, 변화한 통과량(Δq0, Δq1, Δq2)로서 급유구로 부터 가솔린이 누출하여 또 이것과는 반대로 변화하는 통과량(Δq0, Δq1, Δq2)가 마이너스의 경우에 만탱크 급유로 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만탱크로 되지 않는 불합리점이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통과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준으로 되는 1회당 추가급유량, 1회당의 추가급유의 시간, 추가급유의 회수 등을 적당히 설정 변경하여 이로서 과부족없이 만탱크 급유를 행하게 한 급유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급유탱크로 부터 기름을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유량펄스 발신기가 부착된 유량계를 경유하여 이 펌프의 토출 쪽으로 연통된 급유노즐을 가지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급유노즐에 설치된 액면센서와, 전기한 급유노즐 상류쪽 유로에 설치되고 전기한 급유노즐로의 유액의 공급을 허용 또는 정지하는 급유 정지수단과, 이 급유 정지수단이 급유작업 중에 정지 작동될 때 전기한 유량펄스 발신기로 부터 출력되는 유량펄스를 계수하여 통과량을 계측하는 통과량의 계측수단과, 급유에 수반하여 만탱크 판정때문에 급유데이타를 계측하는 급유데이타 계측수단과, 전기한 통과량의 계측수단으로서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만탱크 판정때문에 판정 급유데이타를 설정하는 판정데이타 설정수단과, 이 판정데이타 설정수단으로서 설정되는 판정 급유데이타와, 전기한 급유데이타 계측수단에 의하여 계측되는 급유데이타를 비교하여 만탱크를 판정하는 만탱크 판정수단과, 전기한 액면센서로 부터는 액면 검출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이 만탱크 판정수단으로 부터는 만탱크 판정신호가 공급되고, 액면 검출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전기한 급유 수단을 정지작동시켜, 이 액면 검출신호의 입력소실에 의하여 전기한 급유 정지수단을 허용작동시키고 또한 만탱크 판정의 입력에 의하여 전기한 액면 검출신호에도 불구하고 전기한 급유 정지수단을 정지작동시키는 작동 제어수단을 설치하게 하고 있다.
[작용]
이 발명에 의하면 판정데이타 설정수단에 의하여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판정 급유데이타를 설정한 다음 급유에 수반하여 만탱크 판정 때문에 급유데이타를 계측하는 급유데이타의 계측수단에 의하여 계측된 급유데이타를 비교하고 이로써 이 추가급유에 의하여 연료탱크 내부가 만탱크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게 되었다.
즉, 전기한 통과량은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노즐밸브의 개방도의 대소, 자동밸브의 압력의 변화 등의 요인으로서 미묘하게 변화하는 것이나 이들 통과량의 변화에 따른 판정 급유데이타(1회당의 추가급유량, 1회당의 추가급유시간, 추가급유의 회수 등으로 이룬다)를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령, 전원전압에 변동등이 생겼다 하더라도 이들 전원전압의 변동 등에 요인에 대응한 적절한 추가급유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1도의 급유장치의 개략도, 제2도의 급유노즐 단면도를 참조하고, 급유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로 표시하는 것은 계량기본체이고 이 계량기본체 1의 측면부에는 이 계량기본체 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한쪽이 도시하지 않은 저유 탱크에 연통된 배관 2의 타단에 접속된 호오스 3이 설치되고 또 그 호오스 3의 선단에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에 삽입되는 급유노즐 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유노즐 4는 계량기본체 1의 측면에 설치된 노즐걸이 5로 탈착되게 하고 있다.
전기한 계량기본체 1내의 배관 2의 도중에는 전기한 호오스 3에 유액을 공급하는 펌프모타 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모타 6은 부호 8로 표시하는 제어장치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구동의 ON-OFF가 행하여지게 하고 있다. 이 펌프모타 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8에 있어서의 입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한 노즐걸이 5의 급유노즐 4의 부착 위치에는 노즐 스위치 9가 설치되고 또 전기한 급유노즐 4의 선단에는 액면센서 10이 설치되고 더욱 전기한 배관 2의 도중에는 유량계로서 구성된 유량펄스 발신기 11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노즐 스위치 9는 노즐걸이 5로 부터 급유노즐 4가 해제한 것을 검출한 것이고 또 전기한 액면센서 10은 연료탱크에 공급된 유액의 액면(상층의 거품)이 만탱크로 되는 위치에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더욱, 전기한 유량펄스 발신기 11은 배관 2를 흐르는 유액의 유량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부호 7은 밸브이다. 또한 전기한 액면센서로서는 유액 침입 공간을 가지고 대향배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되는 광센서 또는 발신소자와 수신소자로 되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정전용량센서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노들 스위치 9, 액면센서 10, 유량펄스 발신기 11의 검출신호는 제어장치 8에 적당히 입력됨과 동시에 이 제어장치 8로 부터 전기한 노즐 스위치 9, 액면센서 10, 유량펄스 발신기 11의 검출신호에 따라 펌프모타 6의 ON, OFF를 행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전기한 제어장치 8의 제어회로에 대하여는 제3도에 따라 후술한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2에 표시하는 것은 유량펄스 발신기 11의 펄스신호에 따라 급유노즐 4로 부터 공급된 유액의 총량을 표시하는 급유량 표시기이고 부호 13으로 표시하는 것은 릴리프(relief) 통로, 부호 14로 표시하는 것은 공기분리기(air-spearator), 필터, 스트레이나(strainer) 등을 가지는 펌프 유닛이다.
다음에 제2도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급유노즐 4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에 부호 20으로 표시하는 것은 호오스 3(제1도 참조)에 접속된 노즐본체이고 이 노즐본체 20에는 지점 21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작레버 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 21은 전기한 노즐본체 20내의 유로 22의 도중에 설치된 노즐밸브 23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것이고 이 조작레버 21을 조작자가 도면중 상방으로 인상하는 것으로서 노즐밸브 23의 개방도를 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노즐밸브 23은 주밸브 본체 24A, 부밸브 본체 24B로 이루는 밸브본체 24가, 이 밸브본체 24에 맞닿는 밸브시트 25와, 전기한 밸브본체 24를 지지하는 밸브축 26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조작레버 21의 인상으로 밸브본체 2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밸브본체 24와 밸브시트 25와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전기한 노즐본체 20과 밸브본체 24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 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스프링 27은 전기한 조작레버 21의 인상을 해제하였을 때에 밸브본체 24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밸브본체 4와 밸브시트 25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폭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또 제2도에 부호 30으로 표시한 것은 자동밸브이다. 이 자동밸브 30은 전기한 노즐본체 20쪽으로 고정된 밸브시트 31과 이 밸브시트 31에 맞닿은 밸브본체 32와 이 밸브본체 32를 지지하는 밸브축 34와 전기한 밸브본체 32를 밸브시트 31쪽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트링 34A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노즐본체 20의 선단에는 자동차내의 연료탱크내에 삽입되는 토출파이프 35가 설치되어 이 토출파이프 35의 선단위치에는 전기한 연료탱크내에 공급된 유액의 액면 또는 유액의 상층에 생긴 거품을 검출하는 액면센서 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액면센서 10은 신호선 36을 통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제어장치 8에 그 검출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또한 이 제2도에 있어서 부호 37로 표시하는 것은 레버후크로서 전기한 압축스프링 27의 스프링힘 및 펌프유닛 14로 부터 토출된 유액의 압력에 대항하여 지점 21A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조작레버 21을, 37A, 37B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단계적으로 결합정지하여 노즐밸브 23의 개방도를 2단(1예)에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다음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서 제어장치 8의 제어회로를 그 동작과 더불어 설명한다.
또한 이 제어회로 설명에 있어서 2진법 논리신호(1)(2)를 사용한다. 이 제어회로는 제3도에 각각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모타 6의 구도 및 정지를 지시하는 펌프 구동제어부(가)와 급유(초기급유, 추가급유)가 종료한 것을 검출하는 유량펄스 정기검출부(나)와, 초기급유시에 있어서의 통과량(발명을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에 있어서 이미 진술하였음)을 계측하는 통과량 계측부(다)와 그 통과량 계측부(다)에 의하여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만탱크인 것의 판정기준에 사용되는 선택데이타(판정데이타)를 선택하는 데이타 선택부(라)와, 전기한 초기급유 이후에 행하여지는 추가급유 1회당의 급유량(추가급유량)을 계측하는 추가급유량 계측부(마)와 이 추가급유량 계측부(마)로서 계측된 추가급유량을 검출하는 데이타(급유데이타)와 전기한 데이타 선택부(라)에 의하여 선택된 선택데이타를 비교하여 연료탱크 내부가 만탱크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만탱크 판정부(바)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1) 먼저 급유가 완료하여 급유노즐 4를 노즐걸이에 걸면 노즐스위치 9의 출력이 (0)으로 된다. 이 출력(0)은 부호 38, 39로 표시하는 인버터게이트로서 반전되어 부호 40으로 표시하는 필립플롭(후술한다) 및 부호 41로 표시하는 통과량 카운트(후술한다)에 각각 공급된다. 이로서 이들 플립플롭 40과 카운트 41이 다같이 리셋트된다. 또 이때에 전기한 인버터게이트 39의 출력(1)에 의해 부호 42로 표시되는 플립플롭의 출력은 (1)이 된다.(급유완료일때)
비록 이 상태에서 급유노즐 4가 계량기본체 1의 노즐걸이 5로 부터 제거되어 노즐스위치 9의 출력이 (1)이 되면 유량펄스 발신기 11로 부터 출력된 펄스를 카운트하기 위한 공급량 카운터 43이 리셋트되어 또 공급량 표시기 12에 표시하는 급유치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기 구동회로 44가 구동되어 급유량 표시기 12의 값이 “0”이 되게 리셋트된다.
(2) 소정의 급유가 행하여져 액면센서 10의 출력이 (1)로 되면 이 출력(1)이 플립플롭 45의 S 입력에 공급된다. 이로서 플립플롭 45의 출력 Q가 (1)로 부터 (0)으로 되고 더욱 AND 게이트 46, 47의 출력이 순차적(0)으로 되어 펌프모터 구동회로 48에 입력된다. 이 펌프모터 구동회로 48은 펌프모터 6의 ON-OFF를 행하는 것이고 전기한 AND 게이트 47의 출력이 (0)으로 되는 것으로서 펌프모터 6의 구동을 정지한다.
(3) 소정의 급유가 행하여져 액면센서 10의 출력이 (1)로 되면 전기한 내용(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모터 6의 구동이 정지하는 한편, 통과량 카운터 41에 의해 펌프모터 6의 구동정지 후의 급유량(통과량)이 계측된다. 즉 액면센서 10이 (1)로 되어있을 때의 유량펄스 발신기 11의 출력펄스를 AND 게이트 51, 52를 통하여 카운트하고 이로서 제4도에 (q0+Δq0)에서 표시하는 초기급유시에 행하여지는 통과량이 검출된다.
또한 전기한 유량펄스 발신기 11, 42의 출력 Q는 유량펄스 발신기 11로 부터 소정간격의 펄스가 발신되어 있는 사이에는 (1)로 되나 이 펄스간격이 예를 들어 400mㆍsec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전기한 플립플롭 42의 출력 Q를 (0)으로 하여 유량펄스의 카운트를 정지하는 것이다.
즉, MM으로 표시하는 모노스테이블, 멀티 바이브레이타 53 및 인버터게이트 54로서, 유량펄스 발신기 11로 부터 발신된 펄스의 간격이 미리 설정한 400mㆍsec 이상으로 되는 Tr로 표시하는 트리거 신호발신기 55로 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어 이로서 플립플롭 42의 출력 Q가 (0)로 되어 통과량 카운터 41에 의한 통과량의 계측이 중지되게 된다.
또 전기한 트리거 신호발신기 55로 부터 출력된 트리거 신호는 전기한 플립플롭 42의 S입력에 공급됨과 동시에 플립플롭 40의 T입력에도 공급되나 이때 플립플롭 40의 D입력은 아직 만탱크로 판단되지 않고 (1)이므로 이 플립플롭 40의 출력은 (1)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4) 전기한 통과량 카운트 41로서 계측된 유량펄스 발신기 11의 카운트 값은 초기급유할 때의 통과량을 표시하는 데이타(q0+Δq0)로 하여 데이타 선택회로 56에 공급된다. 이 데이타 선택회로 56은 통과량을 표시하는 데이타(q0+Δq0)에 대응하는 선택데이타 Qc로서의 펄스, Qc0, Qc1, Qc2…Qcm의 하나를 선택 데이타 기억회로 57로 부터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이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데이타 Qc로서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과량(q0+Δq0)로 표시하는 펄스의 카운트 값 a0, a1, a2…an에 대응한 펄스수 Qc0, Qc1, Qc2…Qcm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택데이타 Qc의 펄스수 Qc0, Qc1, Qc2…Qcm은 초기급유 후에 행하는 추가급유 1회에 있어서의 만탱크 판정을 위한 판정데이타에 있어서 급유량(추가급유량)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전기한 통과량(q0+Δq0)를 표시하는 카운트값(a0, a1, a2…an)에 대응하여 미리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되는 것이다.
즉, 전기한 통과량 카운트 41로서 계측되는 통과량(q0+Δq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전압의 상태, 호오스의 상태(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노즐밸브의 개방도와 대소, 자동밸브의 압력이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하여 차츰차츰 변동하는 것으로서 이들 요인을 가미한 통과량에 따른 선택데이타 Qc로서 펄스수(Qc0, Qc1, Qc2…Qcm)를 적당히 결정하여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미리 판정데이타로서 기억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 표시하는 기억회로(q0+Δq0)를 표시하는 카운트값과 선택데이타 QC를 표시하는 카운트 값과는 a0<a1<a2<…anㆍQc0<Qc1<Qc2<…Qcm과 같은 관계가 있다. 그리고 전기한 데이타 선택회로 56으로서 선택된 선택데이타 Qc는 부호 58로 표시하는 비교회로에 공급된다. 또한 전기한 데이타 선택회로 56은 플립플롭 42의 출력이 (1)로 되었을 때에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로 부터 선택데이타 Qc를 선택하는 것이다.
(5) 초기급유가 종료하여 연료탱크 내에 급유된 유액의 상층에 생긴 거품이 없어지고 이로서 액면센서 10의 출력이 (0)으로 되면 인버터게이트 59의 출력(1)으로서 타이머 60이 설정시간 to(제4도 참조)를 계측한다. 이 설정시간 to는 오일의 상층으로 부터 거품을 완전하게 소실시키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그리고 설정시간 to 경과 후에 타이머 60의 출력이 (1)로 되어 플립플롭 45의 출력 Q를 (1)로 하여 펌프모터 구동회로 48에 펌프모터 6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추가급유량 카운트 61(후술한다)를 리셋트한다.
(6) 전기한 내용(5)으로서 펌프모터 6의 구동이 재개되면 유량펄스 발신기 11로 부터 재차 펄스가 발신되나 이 펄스는 추가급유량 카운트 61로서 카운트된다. 그리고, 이 추가급유량 카운트 61로서 카운트된 카운트값은 추가급유량을 표시하는 급유데이타(Q1′, q1+Δq1)로서 전기한 비교회로 58에 순차 공급한다.
(7) 전기한 비교회로 58에 있어서 데이타 56으로 부터 공급된 선택데이타 Qc(상기내용(4)에서 이미 기술하였음)와 추가급유량 카운트 61로 부터 공급된 급유데이타(Q1′+q1+Δq1)(내용(6)에서 이미 기술하였음)와를 비교하고 그 결과 추가급유량을 표시하는 데이타(Q1′+q1+Δq1)가 선택데이타 Qc 보다 적어졌다. (즉 연료탱크가 만탱크로 되어 있다)로 판단되었으면 검출신호 (0)이 출력된다.
(8) 전기한 내용 (7)에 있어서 비교회로 58로 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로서 플립플롭 40의 입력 D가 (0)으로 되고 그 후, 추가급유가 완료한 것을 표시하는 트리거 신호가 트리거 신호발신기 55로 부터 출력되면 플립플롭 40의 출력 Q가 (1)로 부터 (0)으로 되고 이로서 AND 게이트 46, 47의 출력이 순차 (0)으로 되어 펌프모터 구동회로 48이 펌프모터 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전기한 내용 (2) 내지 (8)이 행하여지고 있을 동안에 급유량 카운트 43으로서 유량펄스 발신기 11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가 연속적으로 카운트되어 더구나, 연속적인 카운트값은 표시기 구동회로 44로서 급유량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급유량 표시기 12에 표시된다.
또 상기 내용 (7)에 있어서 1회째의 추가급유에 의하여 만탱크로 된 것을 표시하는 검출신호 (0)이 비교회로 58로 부터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2회째의 추가급유량이 추가급유량 카운트 61로서 계측되는 것으로 된다. 또 2회째의 추가급유로서 만탱크로 된 것을 표시하는 검출신호 (0)이 비교회로 58로 부터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똑같이 하여 3회, 4회…로 순차 추가급유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제4도의 타임챠트에서는 1회의 급유만을 기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급유장치에 있어서는 초기급유의 최종단계에서 계측되는 통과량이 전원전압의 상태, 호오스의 상태(탄성력 변화에 의한), 노즐밸브의 개방도의 대소, 자동밸브의 압력의 변화의 요인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이므로 전기한 통과량의 변화에 따라 1회의 추가급유할 때에 어느 정도 량(예를 들어 0.2리터 1회)의 유액을 공급하면 좋은가를 미리 결정하여 두고 이것을 추가급유를 행할 때의 판정기준(선택데이타)로서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시키게 하였다.
그리고 초기급유 후에 행하는 추가급유에 의하여 얻어진 급유데이타(Q1′+q1+Δq1)를 전기한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미리 기억시켜 둔 선택데이타 Qc와 비교하고 그 결과 연료탱크가 만탱크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게 하였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전압의 상태, 호오스의 상태(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등의 영향을 예측하여 이것을 배제할 수가 있음으로 이로서 예를 들면 만탱크 공급한 경우에 유액이 주입구로 부터 누출되는 것과 또 유액이 연료탱크에 가득 채워지지 않는 불합리성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제3도에 표시하는 통과량 계측부(다)는 통과량 계측수단에 대응하고 추가급유량 계측부(마)는 급유 데이타 계측수단에 대응하며 데이타 선택부(라)는 판정데이타 설정수단에 대응하여 만탱크 판정부(바)는 만탱크 설정수단에 대응하고 또 펌프 구동제어부(가)는 작동 제어수단에 대응하여 또 펌프 14, 펌프모터 6 및 펌프모터 구동회로 48은 급유 정지수단에 대응한다.
[변형실시예]
이 변형실시예에서는 연료탱크가 만탱크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요소를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당 급유량에 대치하여 만탱크로 될 때까지 필요한 급유회수(변형실시예(1) : 제6도, 제7도), 1회당의 급유시간(변형실시예(2) : 제8도, 제9도)로 하고 있다.
(1) 상기에 표시하는 제어장치의 X로 표시하는 부분(급유정보 수집수단)을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이 제6도에 표시하는 액면센서 검지회수 카운트 70은 인버터게이트 71로서 노즐스위치 9의 출력이 (0)으로 되었을 때에 리셋트된 것이고 또 액면센서 10의 출력에 의하여 연료탱크 내에 공급된 유액의 상층(액면 또는 거품)이 검출된 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고 이 카운트값 l(급유데이타)(제10도에 l=1, l=2을 기재)이 미리 설정된 회수치 lc(선택데이타) 보다 크게 되었을 때에 부호 72로 표시하는 비교회로로 부터 만탱크로 된 것을 표시하는 (0)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전기한 비교회로 72에 공급되어 설정된 각 lc로서의 선택데이타 Kc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급유 이후에 행한 추가급유 회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통과량(q0+Δq0)에 대응하는 수치가 미리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되어 있다. 즉 전기한 통과량 카운트 41로서 계측되는 통과량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탄력성의 변화에 의한) 등의 요인에 의하여 순차변동하는 것이므로 이들 요인을 가미한 통과량(q0+Δq0)를 표시하는 카운트값(a0, a1, a2…an)에 따라서 선택데이타 Kc로서의 추가급유수 lc0, lc1, lc2…lcm(lc)를 적당히 결정하여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그 후 추가급유회수 lc0, lc1, lc2…lcm의 하나(lc)를,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q0+Δq0)을 표시하는 카운트값(a0, a1, a2…an)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액면센서 회수 검지 카운트 70으로서 계수된 추가급유의 회수가 적당한 양인가 아닌가의 판정기준으로 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된 추가급유수 lc0, lc1, lc2…lcm는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펄스수(Qc0, Qc1, Qc2…Qcm)의 선택과 똑같이 데이타 선택회로 56으로서 그 하나가 선택되게 하고 있다.
또 통과량(q0+Δq0)을 표시하는 펄스수 a0, a1, a2…an과 선택데이타 Tc를 표시하는 급유회수 lc0, lc1, lc2…lcm과는 a0<a1<a2<…<an, lc0>lc1>lc2>…>lcm의 관계에 있다.
(2) 상기에 표시하는 제어장치 X로 표시하는 부분(급유정보수집수단)을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즉, 펌프모터 6의 구동, 정지를 표시하는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인버트게이트 74를 경유하여 액면센서 10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또한 타임 펄스발신기 75의 발신신호가 입력되는 AND 게이트 76과 이 AND 게이트 76으로 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또 타이머 60(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음)로서 추가급유 개시 전에 리셋트되는 타임펄스 카운트 77를 설치하고 추가급유가 행하여지고 있는 시간을 타임펄스의 카운트값 t(제10도 참조)로 하여 계측하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전기한 타임펄스 카운트 77로서 카운트된 값 t는 검출데이타(급유데이타)로서 부호 78로 표시하는 비교회로에 공급되어 이 비교회로 78로 부터는 전기한 타임펄스 카운트 77로서 카운트된 값 t가 미리 설정된 값 tc(선택데이타)(후술함) 보다 크게 되었을 때 만탱크로 된 것을 표시하는 (0)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급유회로에 공급되어 설정된 값 tc로서의 선택데이타 Tc는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급유 이후에 행하는 추가급유의 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통과량(q0+Δq0)에 대응한 펄스수로서 미리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되어 있다.
즉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통과량(q0+Δq0)을 표시하는 각 펄스수 a0, a1, a2…an에 대응하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전압의 변동 등의 요인을 가미한 1회당의 추가급유시간을 타임펄스의 카운트값(tc0, tc1, tc2…tcm(tc))로서 미리 기억시켜 두고 이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된 선택데이타 Tc로서의 추가급유시간(tc0, tc1, tc2…tcm)의 하나를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q0+Δq0)을 표시하는 각 펄스수 a0, a1, a2…an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고 1회당의 추가급유시간이 적당한가 아닌가의 판정기준으로 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선택데이타 기억회로 57에 기억된 추가급유의 시간 tc0, tc1, tc2,…tcm은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펄스수(Qc0, Qc1, Qc2…Qcm)의 선택과 똑같이 데이타 선택회로 56으로서 이중의 하나가 선택되게 하고 있다.
또 제9도에 있어서 통과량(q0+Δq0)을 표시하는 펄스수 a0, a1, a2…an과 선택데이타 Tc를 표시하는 tc0, tc1, tc2…tcm과는 a0<a1<a2<…<an, tc0, tc1, tc2<…<tcm의 관계에 있다.
더욱 이들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유 정지수단으로서 펌프 14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펌프 14는 노즐스위치 9의 출력에 대응하여 단순히 구동, 정지하게 하고 제1도 중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 2의 펌프 14 하류쪽에 급유 정지수단으로서의 전자밸브 7을 설치하고 제3도에 표시하는 펌프 구동제어부(가)의 출력을 공급하고 개폐밸브를 구동하게 하여도 좋다.
또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지상 설치식의 계량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현수식의 계량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는 노즐스위치 9의 출력신호에 대체하여 호오스 승강스위치의 조작신호 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판정데이타 기억회로에 통과량에 대응한 각종의 판정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이 판정데이타의 하나를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선택한 위에 급유 정보수집수단에 의하여 수집된 추가급유시에 있어서의 급유데이타와 비교하고 이로서 이 추가급유에 의하면 연료탱크내가 만탱크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게 하고 있다.
즉, 전기한 통과량은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탄성력의 변화에 의한) 노즐밸브의 개방도의 대소 자동밸브의 압력의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하여 미묘하게 변화하는 것이나 이들 통과량의 변화에 따른 각종의 판정데이타(예를 들어 1회당의 추가급유량, 1회당의 추가급유의 시간, 추가급유의 회수 등)을 미리 판정데이타 기억회로에 기억시켜 이들 판정데이타의 하나를 실제로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선택하는 것으로서 가령 전원전압의 변동 등이 생겼다 하더라도 이들 전원전압의 변동 등의 요인에 대응한 적절한 추가급유를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급유시에 계측된 통과량에 따라 만탱크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데이타를 적당히 선택하게 한 것임으로 전원전압의 변동, 호오스의 상태변화 등의 요인이 있다 하더라도 이것을 유효하게 대처할 수가 있어 그 결과 만탱크 급유로 한 경우에 기름이 주입구로 부터 넘쳐 흐른다든지 또 기름이 연료탱크에 가득 채워지지 않는 불합리점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저유탱크로 부터 기름을 흡상 토출하는 펌프유닛(14)과 유량펄스 발신기(11)로서 형성된 유량계를 경유하여 이 펌프유닛(14)의 토출부 쪽으로 연통된 급유노즐(4)을 가지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급유노즐(4)에 액면센서(10)를 설치하고 급유노즐(4)의 상류쪽 유로에 급유노즐(4)의 유액의 공급을 허용 또는 정지하는 제어장치(8)를 설치하되 이 제어장치(8)는 펌프모타(6)에 연결된 펌프 모타 구동회로(48)가 펌프 구동제어부(가)와 연결됨과 동시 노즐스위치(9)와 액면센서(10)에 연결되며 펌프 구동제어부(가)는 유량펄스 정지검출부(나)와 연결되고 다시 만탱크를 판정하는 통과량 계측부(다)에 연결하고 다시 데이타 선택부(라)에 연결하며 유량펄스 발신기(11)와 급유량 표시기(12)의 회로를 추가급유 계측부(마)에 연결하여 이를 각기 통과량 계측부(나)가 급유작업중에 정지작동될 때 전기한 유량펄스의 발신기(11)로 부터 출력되는 유량 펄스를 계수 통과량을 계측하고 급유에 수반하여 만탱크 판정에 의한 급유 데이타를 계측하며 계측된 통과량에 따른 만탱크 판정하기 위한 판정 급유데이타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판정 급유데이타와, 전기한 급유데이타를 비교하여 만탱크를 판정하여 전기한 액면센서(10)으로 부터 액면 검출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만탱크 판정신호가 공급되고 액면 검출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급유를 정지작동시키고 액면 검출신호의 입력소실로서 전기한 급유를 다시 허용 작동시켜 추가급유를 행하고 또한 만탱크 판정신호의 입력으로 액면 검출신호에 불구하고 급유를 정지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선택부(라)는 통과량 계측부(다)로 부터의 통과량을 표시하는 출력신호에 따라 이 통과량에 대응한 추가급유량을 판정 급유데이타로서 설정하고 유량펄스정지검출부(나)를 유량펄스 발신기(11)로 부터 출력되는 유량펄스를 계수하여 급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선택부(라)는 통과량 계측부(다)로 부터의 통과량을 표시하는 출력신호에 따라 이 통과량에 대응하여 추가급유의 회수를 판정 급유데이타로서 설정하고 유량펄스 정기검출부(나)는 액면센서(10)가 액면을 감지하는 회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선택부(라)는 통과량 계측부(다)로 부터의 통과량을 표시하는 출력신호에 따라 이 통과량에 대응하는 추가급유시간을 판정 급유데이타로서 설정하고 유량펄스 정지검출부(나)는 실제로 추가급유에 행하여져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890000479A 1988-01-20 1989-01-18 급유장치 KR930004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10252A JP2542661B2 (ja) 1988-01-20 1988-01-20 給油装置
JP63-10252 1988-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75A KR890011775A (ko) 1989-08-22
KR930004788B1 true KR930004788B1 (ko) 1993-06-08

Family

ID=117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479A KR930004788B1 (ko) 1988-01-20 1989-01-18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2661B2 (ko)
KR (1) KR930004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2840B1 (en) 1999-06-04 2007-12-25 Nec Corporatio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with 5MM contact hole in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630A (zh) * 2020-03-02 2020-06-12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重型汽车驾驶室举升系统油液加注装置及其工艺
CN112113622A (zh) * 2020-10-14 2020-12-22 广州机械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油液流量监控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2840B1 (en) 1999-06-04 2007-12-25 Nec Corporatio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with 5MM contact hole in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99899A (ja) 1989-08-11
JP2542661B2 (ja) 1996-10-09
KR890011775A (ko) 198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1350A1 (en) Measuring fluid volumes in a container using pressure
KR930004788B1 (ko) 급유장치
KR0119119B1 (ko) 급액장치
US4166713A (en) Auxiliary liquid tank
JPS6154674B2 (ko)
JP4612168B2 (ja) 燃料充填装置
JPS5830993A (ja) 給油装置
KR0134339Y1 (ko) 연료펌프 내구성시험장치
JPH0116758B2 (ko)
JP3548950B2 (ja) 燃料漏れ検出機能を有する燃料供給システム
JP3463472B2 (ja) 給油装置
JP3500859B2 (ja) 給油装置
JP2745057B2 (ja) 給油所における残油量管理装置
KR960007966B1 (ko) 엔진오일 자동 주유장치
JPH0114114B2 (ko)
JPH0321437B2 (ko)
KR960003390B1 (ko) 차량 탑재용 주유기의 계량장치 및 방법
JPH0710199A (ja) 給油装置
JP3463465B2 (ja) 給油装置
JPH06100095A (ja) 給油装置
KR200352237Y1 (ko)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JPH02219794A (ja) 給油装置
JP2561094B2 (ja) 給油装置
JP3518182B2 (ja) 給油装置
JPS62139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