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237Y1 -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237Y1
KR200352237Y1 KR20-2004-0007595U KR20040007595U KR200352237Y1 KR 200352237 Y1 KR200352237 Y1 KR 200352237Y1 KR 20040007595 U KR20040007595 U KR 20040007595U KR 200352237 Y1 KR200352237 Y1 KR 200352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supply
flow rate
pip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효영
Original Assignee
장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효영 filed Critical 장효영
Priority to KR20-2004-0007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237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체결된 유류유입관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저유탱크내의 유류를 펌핑하는 급유펌프가 내설되고, 외부 일측부에는 일측에 연결된 주유호스를 통해 공급된 유류를 차량에 주유하는 주유건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유기본체와, 상기 급유펌프의 일측에 체결된 급유관을 통해 급유된 유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유류는 상기 주유건의 주유호스의 일측에 체결된 토출관을 통해 주유건으로 토출되는 유량 확인 저장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주유되는 유류의 양과 유류에 이물질의 포함 여부를 차량안에서 간편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주유호스내에 유류가 남아 있는지 여부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주유량 및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유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Two-stage lublication appratus having confirmation funtion of oil amount}
본 고안은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유탱크에 저장된 유류가 주유기본체를 통과해 차량으로 바로 주유되지 않고, 주유기본체를 통과한 후 별도로 구비된 유량 확인 저장용기에 저장되도록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에게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류의 양 및 이물질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도시 안함)는 지하에 매설된 저유탱크에 저장된 유류가 주유기본체에 연결된 주유건을 통해 차량 운전자(유류 구입자)의 유류탱크로 바로 주유된다.
따라서, 많은 주유소 운영자가 유류 구입자에게 정량 주유를 광고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유류 구입자에게 정량 주유 및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정선된 유류만을 주유 한다는 사실을 실질적으로 전달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류 구입자 입장에서는 주유기의 전면 표시부에 디지털 숫자로 표시된 유량 수치만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뿐 달리 확인할 방법이 없고, 또한 주유건과 주유기본체를 연결하는 불투명재질의 주유호스에 남게되는 유류는 실제로 차량에 주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유원이 종래의 주유기로 주유를 할 때와 동일한 주유 조작으로 주유를 수행하고, 차량 운전자(유류 구입자)는 자신의 차량에 주유되는 유류의 양과 유류에 이물질의 포함 여부를 차량안에서 간편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주유호스에유류가 남아 있는지 여부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유량 확인기능을 가이 이단계 주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일측에 체결된 유류유입관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저유탱크내의 유류를 펌핑하는 급유펌프가 내설되고, 외부 일측부에는 일측에 연결된 주유호스를 통해 공급된 유류를 차량에 주유하는 주유건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유기본체와, 상기 급유펌프의 일측에 체결된 급유관을 통해 급유된 유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유류는 상기 주유건의 주유호스의 일측에 체결된 토출관을 통해 주유건으로 토출되는 유량 확인 저장용기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일예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유류흐름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이단계 주유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100. 주유기본체
120. 급유펌프
121. 유류유입관
122. 제1개폐수단
123. 에어유입관
125. 급유관
140. 주유건
131. 주유호스
135. 토출관
136. 제2개폐수단
200. 유량 확인 저장용기
250. 복귀관
251. 제3개폐수단
이하,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유류흐름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10)는 일측에 체결된 유류유입관(121)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저유탱크(도시 안함)내의 유류를 펌핑하는 급유펌프(유류급유 및 에어토출 펌프)(120)가 내설되고, 외부 일측부에는 일측에 연결된 주유호스(131)를 통해 공급된 유류를 차량(도시 안함)에 주유하는 주유건(14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유기본체(100)와, 상기 급유펌프(120)의 일측에 체결된 급유관(125)을 통해 급유된 유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유류는 상기 주유건(140)의 주유호스(131)의 일측에 체결된 토출관(135)을 통해 주유건(140)으로 토출되는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급유펌프(120)의 유류유입관로에 구비된 제1개폐수단(122)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저유탱크내의 유류가 급유관로를 따라 이동해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저장되고,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유류는 상기 토출관로에 구비된 제2개폐수단(136)이 개방됨에 따라 토출관로를 따라 이동해 주유건(140)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의 저면 일측에는 복귀관(25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복귀관로에 구비된 제3개폐수단(251)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급유관(125)을 통해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저장되어 상기 토출관(135)을 통해외부 주유건(140)으로 토출되고 남은 유류가 복귀관로를 따라 이동해 상기 저유탱크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급유펌프(120)는 일측에 에어유입관(123)이 더 구비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개폐수단(122)이 개방된 경우는 상기 유류유입관(121)을 따라 펌핑된 유류가 급유관(125)을 통해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급유되고, 상기 제1개폐수단(122)이 닫히고 제2개폐수단(136) 또는 제3개폐수단(251)이 개방된 경우는 상기 에어유입관(123)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펌핑되어 급유관(125)을 통해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로 토출된다.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는 투명 용기 즉, 유량 및 유류의 육안 확인을 위한 유류 임시 저장용 투명 용기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재질로는 알코올에 강하고 내수성, 단열성, 완충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 등의 고강도 투명 재질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량 확인 저장용기의 외면 일측에는 유량눈금(또는 유량게이지)(211)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주유호스(131)는 투명 호스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재질로는 강철, 구리 등의 메탈 재질이 혼합된 특수내유성 투명 염화비닐 등의 기밀성과 가요성을 가진 투명 재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제3개폐수단(122, 136, 251)은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1은 상기 주유건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거치부이고, 211은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상기 급유펌프(120)의 상세한 작동 구조는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의 이단계 주유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유류 구입자(차량 운전자)가 특정 주유량(예 30리터)을 지정하여 주문(자동주유)한다(S100).
그 후 주유원이 주유기본체(100)의 주유량지정버튼(410)으로 30리터를 입력한다(S110).
상기 입력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주유원 표시창(430)에 30리터가 표시되고,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 및 제1개폐수단(122)이 개방된다(S111).
상기와 같이 급유펌프(120)의 구동으로 저유탱크내의 유류가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급유관(125)의 일측에 설치된 제1유량계측센서(또는 유량계)(126)에 의해 유량이 계측된다(S112).
상기 제1유량계측센서(126)의 유량계측에 의해 30리터가 되면 그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이 정지되고 제1개폐수단(122)이 닫힌다(S113). 이때,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에는 유류 30리터가 저장된 상태이며, 유류 구입자는 투명 재질의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의 외면에 표시된 유량눈금(211)을 통해 유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물질 포함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주유원은 주유기본체(100)에서 주유건(140)을 탈거하여 유류 구입자의 차량에 주유건(140)을 넣고 주유건의 급유레버(141)를 눌러 주유한다.(S114)
상기와 같이 주유건의 급유레버(141)를 누르면 그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 및 제2개폐수단(122)이 개방된다(S115). 이때, 상기 급유펌프(120) 하단부 일측의 유류유입관(121)은 상기 제1개폐수단(122)에 의해 닫힌 상태이고, 타측의 에어유입관(123)이 열린 상태로 상기 급유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에어가 상기 급유관(125)을 통해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의 30리터 유류 전량은 상기 제2개폐수단(122)이 열린상태의 토출관(135)으로 밀려서 토출되어 상기 투명 재질의 주유호스(131)를 이동해 전량이 주유건(140)을 통해 차량에 주유되고, 이때 상기 주유건(140)의 일측에 설치된 제2유량계측센서(142)에 의해 30리터 유량의 주유가 확인 계측된다(S116).
상기 제2유량계측센서(142)의 유량계측에 의해 30리터가 되면 그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유기본체(100)의 사용자표시창(440)에 정확한 주유량이 표시되고,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이 정지되고 제2개폐수단(136)이 닫힌다(S117).
그 후, 주유원은 주유건(140)을 차량에서 뺀 후 주유기본체(100)에 부착함으로써 주유가 종료된다.(S118)
또 다른 작용 예시로서, 이하는 유류 구입자가 특정 주유량을 지정하여 주문하지 않고, 가득주유(수동주유)를 주문하는 경우를 설명한다(S100).
이 경우에는 주유원은 주유기본체(100)의 가득주유(수동주유)버튼(411)을 누른다(S120)
상기 입력 신호는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주유원 표시창(430)에 가득주유표시가 나타나고,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 및 제1개폐수단(122)이 개방된다(S121).
상기와 같이 급유펌프(120)의 구동으로 저유탱크내의 유류가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의 최대 저장 용량(예 100리터)과 동일한 유량이 상기 급유관(125)의 일측에 설치된 제1유량계측센서(126)에 의해 계측되면(S122), 그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급유펌프(120)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제1개폐수단(122)이 닫힌다(S123). 이때,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에는 최대 저장 용량의 유류가 저장된 상태이며, 유류 구입자는 투명 재질의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의 외면에 표시된 유량눈금(211)을 통해 100리터 유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후에 가득 주유가 완료된 후의 유량눈금(211)이 40미터라면 60리터가 가득 주유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주유량지정(자동주유) 경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작용만 설명한다.
차량에 가득 주유가 완료되면 상기 주유건(140)의 일측에 설치된 제2유량계측센서(142)에 의해 60리터 유량이 계측된다(S126). 이때, 주유건(140)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로서 차량 주유통이 가득찬 경우에 주유건(140)의 끝부분의 센서에 의해 급유펌프(130)가 정지된다. 이 신호가 제어부(400)에 전달되어 제2개폐수단(136)이 닫히고(S127), 이때, 유류 구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득 주유된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주유원은 주유건(140)을 차량에서 뺀 후 주유기본체(100)에 부착함으로써 주유는 종료된다(S128).
그 후 주유원은 상기 주유기본체(100)의 복귀버튼(412)을 누르면(S129), 상기와 같은 원리의 작용으로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의 잔여 유류는 제3개폐수단(251)의 개방(S130)에 따라, 상기 복귀관(250)을 통해 오일탱크로 복귀(S131)되고, 미리 설정된 최소의 제어 시간이 경과됨과 동시에 제어부(400)에 의해 급유펌프(120)의 구동이 정지되고 제3개폐수단(251)이 닫혀 자동 종료된다(S132). 즉,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부는 초기의 빈 상태가 항상 유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는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투명 용기)(200)는 상기와 같이 주유기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지 않고, 별도로 차량 운전자가 확인이 용이한 별도의 위치 즉, 주유기본체(100)에 내설되어 투명한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주유기본체와 별도로 분리된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는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200)내의 유류를 주유건(140)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주유기본체 내부의 급유펌프(120)를 이용하지 않고 주유건(140)의 일측에 별도로 소형모터가 내장된 소형급유펌프(도시 안함)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는 주유원은 종래의 주유기로 주유를 할 때와 동일한 주유 조작으로 주유를 수행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에 주유되는 유류의 양과 유류에 이물질의 포함 여부를 차량안에서 간편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주유호스내에 유류가 남아 있는지 여부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주유량 및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유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체결된 유류유입관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저유탱크내의 유류를 펌핑하는 급유펌프가 내설되고, 외부 일측부에는 일측에 연결된 주유호스를 통해 공급된 유류를 차량에 주유하는 주유건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주유기본체와,
    상기 급유펌프의 일측에 체결된 급유관을 통해 급유된 유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유류는 상기 주유건의 주유호스의 일측에 체결된 토출관을 통해 주유건으로 토출되는 유량 확인 저장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는 상기 급유펌프의 유류유입관로에 구비된 제1개폐수단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저유탱크내의 유류가 급유관로를 따라 이동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유류는 상기 토출관로에 구비된 제2개폐수단이 개방됨에 따라 토출관로를 따라 이동해 주유건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의 저면 일측에는 복귀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복귀관로에 구비된 제3개폐수단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급유관을 통해 저장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외부 주유건으로 토출되고 남은 유류가 복귀관로를 따라 이동해 상기 저유탱크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이단계 주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는 일측에 에어유입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수단이 개방된 경우는 상기 유류유입관을 따라 펌핑된 유류가 급유관을 통해 급유되고, 상기 제1개폐수단이 닫히고 제2개폐수단 또는 제3개폐수단이 개방된 경우는 상기 에어유입관을 따라 펌핑된 에어가 급유관을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의 일측부에는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내의 유류가 주유건으로 토출되도록 소형급유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확인 저장용기와 상기 주유건의 주유호스는 내부에 저장된 유류의 유량, 이물질 포함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KR20-2004-0007595U 2004-03-19 2004-03-19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KR200352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95U KR200352237Y1 (ko) 2004-03-19 2004-03-19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95U KR200352237Y1 (ko) 2004-03-19 2004-03-19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237Y1 true KR200352237Y1 (ko) 2004-06-04

Family

ID=4943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595U KR200352237Y1 (ko) 2004-03-19 2004-03-19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89Y1 (ko) * 2014-07-04 2014-11-14 노종근 윤활유 육안 확인이 가능한 정량 주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89Y1 (ko) * 2014-07-04 2014-11-14 노종근 윤활유 육안 확인이 가능한 정량 주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372A (en) Automated fluid changing system with single-point connection
US5586583A (en) Fluid exchanger with fluid reconciliation
EP2738443B1 (en) Metering system and method for cryogenic liquids
US7584644B2 (en) Calibrator for fuel pump
US5915499A (en) Apparatus for changing transmission fluid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condition and method of changing using same
JPH10167397A (ja) 懸垂式給油装置
KR200352237Y1 (ko) 유량 확인기능을 가진 이단계 주유장치
US7159625B1 (en) Device for verifying amount of dispensed gasoline and method of use
EP1253410A2 (en) Device for checking the quantity of gasolines, diesel fuels, fuels or liquids in general during introduction in a tank
JPH0526796A (ja) 液種判別装置
JPH1191899A (ja) 給油装置
JPH07315497A (ja) タンクローリ車用注液監視装置
JPH01226592A (ja) タンクローリからの給油装置
US1630067A (en) Oil-tes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JP3319274B2 (ja) 給油装置
KR930004788B1 (ko) 급유장치
JP3163740B2 (ja) 誤注油検知装置
CN2542494Y (zh) 可计量车用油箱
JPH0710199A (ja) 給油装置
FI104807B (fi) Laite nesteen annosteluun
RU17694U1 (ru) Стациона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правки незамерзающей жидкостью бачка системы омывания стекол автомобиля
EP0387386A1 (en) Dispensing of bulk fluids
KR960007966B1 (ko) 엔진오일 자동 주유장치
JP3033466U (ja) バッテリー液補充用漏斗
WO2003093164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of liquids, especially for filling washing liquid tanks of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