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34B1 -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34B1
KR870001134B1 KR1019850006853A KR850006853A KR870001134B1 KR 870001134 B1 KR870001134 B1 KR 870001134B1 KR 1019850006853 A KR1019850006853 A KR 1019850006853A KR 850006853 A KR850006853 A KR 850006853A KR 870001134 B1 KR870001134 B1 KR 87000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ntistatic
polyester
fiber
shrinkag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241A (ko
Inventor
임무산
곽진태
김성중
최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5000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134B1/ko
Publication of KR87000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본 발명은 저수축 성분의 멀티필라멘트와 고수측성분의 멀티필라멘트를 혼섬시킨 폴리에스테르게 이수축혼섬사로서 제전성을 가진 대전방지성 이수축혼섬사에 관한 것이다.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첫째로 섬유표면에 대전방지제를 처리하는 방법과,
둘째로 일본특공소 39-5214호로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성분을 포함하는 블록코폴리머를 폴리에스테르의 방사이전 단계에서 첨가혼합하는 방법과,
셋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내부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폴리아마이드와의 공중합물을 가늘고 긴 선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첫째의 방법은 세탁이나 사용중에 대전방지제가 탈락하기 쉬워서 내구성이 없으며 제품의 촉감을 해치는 결점이 있으며,
둘째의 방법은 알카리 감량가공시에 대전방지제가 알카리용액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추출되어 제전효과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결함이 있으며,
셋째의 방법은 섬유내부에서 공중합물의 분산상태가 나쁠 경우는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착색되고 피브릴화가 일어나기 쉬워서 원사의 물성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감량가공시에 섬유표면 부근에 분포된 제전성 고분자가 추출되기 때문에 제전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제품을 제전화하는데 수반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리알킬렌글리콜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블록코폴리머를 폴리에스테르섬유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분포시킨 대전방지성 이수축혼섬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이수축혼섬사의 제조기술과 제전성폴리에스테르의 제조기술을 결합시켰는 바, 저수축성분으로는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고수축성분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부터 제조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성 성분으로는 알킬렌옥사이드와 폴리아마이드의 공중합에 이용되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로 분자량 2,000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노닐페닐글리콜,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이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공중합시키는 폴리아마이드로는 나일론-6, 나일론-8, 나일론-12등의 호모폴리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코폴리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우수한 대전방지성과 물성을 갖기 위해서는 제전성분인 블록공중합체가 섬유측의 중심에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어야 하며, 또 이 공중합물의 폴리에스테르 전체에 대한 비율은 0.1중량%-5.0중량%가 적당하지만 이경우 공중합 토출량이 방사기의 최소 토출량 이하가 되므로 방사공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전성분과 상용성이 우수하여 완전하게 혼합될 수 있고 포릴에스테르와의 상용성도 상기한 공중합물보다 우수한 호모폴리아미드를 제전성분과 일정한 비율로 브랜딩한 후 폴리에스테르와 복합방사하였으며, 이렇게 하므로서 우수한 대전방지성과 물성의 제품을 얻을수 있었다.
한편 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계가 5 내지 15몰% 함유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를 고수축성분으로 사용하면 저수축성분과의 열수축율 차이가 5% 이상 잠재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대전방지성과 이수축성을 동시에 지닌 대전방지성 이수축혼섬사를 얻을 수 있다. 열수축율 차이가 5% 미만이 되면 이수축효과의 발현이 부족하여 포릴에스테르섬유의 실크화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조된 대전방지성 이수축 혼섬사를 경,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직물을 3몰%가 성소오다 용액에서 20% 감량 처리한 후 염색, 열고정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최종제품은 이수축 효과가 발현되어 저수축 성분인 제전성 폴리에스테르가 랜덤한 권축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직물은 실크에 상응하는 지연스러운 촉감, 심미한 색상 및 은은한 진주 광택을 갖는 대전방지성 직물이 된다.
또한 랜덤한 권축에 의해서 직물의 소프트한 감각과 드레이프성이 증가하게 되어 직물표면의 불균일로 인한 마찰계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대전방지성능은 떨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제품의 중대한 결점인 정전기 장해를 완전히 해결하고, 또한 촉감, 광택성, 색상등이 실크와 거의 유사하면서도 폴리에스테르 제품의 최대 장점인 이지케어성도 견지한다.
[실시예 1]
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계를 10몰% 함유한 고유점도 0.55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방사한 미연신 멀티필라멘트를 고수축 성분으로 하고, 알칼리 촉매하에서 수평균 분자량이 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말단기를 아미노기로 치환하여 폴리에틸렌에테르 아민을 합성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아디핀산과 ε-카프로락탐을 혼합하여 축증합시켜 용융점도가 10000포아즈 정도의 블록폴리에테르 아마이드를 합성한 다음 호모폴리아마이드와 블랜딩한 후 코아부분으로서 고유점도 0.65 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내부에 배치하여 제전성 복합섬유로 방사한 미연신 멀티필라멘트를 저수축 성분으로 한다.
이와같이 각각 방사된 고, 저수축 성분 미연신 필라멘트를 열롤러 85℃, 연신배율 3배로 합연신하여 100 데니아 48필라멘트의 대전방지성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조업성은 양호하며 다음과 같은 물성을 얻었다.
[다 음]
Figure kpo00001
[실시예 2]
실시예1에서 제조한 대전방지성 이수축 혼섬사를 경, 위사로 사용하여 평 하브타이 조직으로 제직하였다.
제직밀도는 경사 38올/cm, 위사 35올/cm로 하였다. 제직된 생지를 이완된 상태로 95℃, 3% 가성소오다 수용액의 감량조에서 100분간 처리하여 20% 감량하였다.
이러한 감량지를 건조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였던바 최종직물의 밀도는 경사 52올/cm, 위사 49올/cm이며, 견과 거의 유사하 자연스러운 촉감과 은은한 광택을 나타내며 대전방지성을 갖는 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직물의 특정은 표1과 같다.
[비교예 1]
실시예1에서 저수축 성분인 제전성 복합섬유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사된 미연신 멀티필라멘트를 통상의 방법으로 연신하여 100데니아 48필라멘트로 제조된 제전성 멀티필라멘트를 경, 위사로 사용하여 경사 38올/cm, 위사 35올/cm로 제직하였다.
이러한 생지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감량, 염색, 열고정하여 얻은 최종직물은 대전방지성은 뛰어나지만 촉감, 광택등은 표1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좋지못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2]
고수축성분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계를 10몰% 함유한 고유점도 0.55인 공중합폴리에스테르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50데니아 24필라멘트이고, 저수축성분은 고유점도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부터 제조된 50데니아 24필라멘트인 100데니아 48필라멘트의 이수축 혼섬사를 경위사로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직, 감량, 염색, 열고정하여 얻은 최종직물은 실크와 거의 유사한 외관을 얻을 수 있었으나 대전방지성은 표1과 같이 불량하였다.
[표1] 직물 특성 비교
Figure kpo00002

Claims (3)

  1.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와 폴리아미드를 공중합시켜 얻은 블록 폴리에테르 아마이드 공중합물을, 다시 호모폴리아마이드와 블레딩하고 이것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복합방사하여서 제전성 성분이 섬유축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저수축성분으로 하고, 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성분을 5내지 15몰% 함유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부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섬유를 고수축성분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이수축 혼섬사.
  2. 제1항에 있어서, 블록 폴리에테르 아마이드 공중합물은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이상이고, 말단기가 아미노기로 95% 이상 치환된 폴리알킬렌글리콜과 폴리아마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와 공중합시켜서 된 대전방지성 이수축혼섬사.
  3.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성분과 저수축성분의 열수축율차이가 5% 이상이 되도록 제조된 대전방지성 이수축혼섬사.
KR1019850006853A 1985-09-19 1985-09-19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KR87000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853A KR870001134B1 (ko) 1985-09-19 1985-09-19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853A KR870001134B1 (ko) 1985-09-19 1985-09-19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241A KR870003241A (ko) 1987-04-16
KR870001134B1 true KR870001134B1 (ko) 1987-06-09

Family

ID=1924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853A KR870001134B1 (ko) 1985-09-19 1985-09-19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1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241A (ko) 198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6183A (en) Polyester sheath-core conjugate filaments
US5262460A (en) Arom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iber
JP2003515000A (ja) 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同じものを製造する方法
JP3473890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
KR100510766B1 (ko) 해도형극세사
US5331032A (en) Hydrophilic aromatic polyester fiber
KR870001134B1 (ko) 대전방지성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JPH04308271A (ja) 伸縮性織物の製造方法
EP0386256B1 (en) Arom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ibers thereof
JPH03287820A (ja) 複合繊維
JPH06240536A (ja) 高収縮複合繊維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H05295634A (ja) ポリエステル系織編物の製造方法
JP2638586B2 (ja) 濃染色された高強度、高弾性率ポリアミド系繊維の製造方法
JPS5898426A (ja) 芯鞘型複合繊維
KR870001133B1 (ko) 제전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JP2018168515A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JP6858686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JP2000212834A (ja) 制電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2201530A (ja) ストレッチ性織編物用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5579B2 (ja) 複合微細捲縮付与軽量ポリエステル混繊糸
KR860002172B1 (ko) 플리에스테르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및 그 직, 편물의 제조방법
JPH07126920A (ja) ポリエステル常圧カチオン可染性霜降り調太細繊維の製造方法
JP2000212836A (ja) 制電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H11217730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および仮撚加工糸
JPS62156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