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88B1 -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88B1
KR870001088B1 KR1019810004544A KR810004544A KR870001088B1 KR 870001088 B1 KR870001088 B1 KR 870001088B1 KR 1019810004544 A KR1019810004544 A KR 1019810004544A KR 810004544 A KR810004544 A KR 810004544A KR 870001088 B1 KR870001088 B1 KR 87000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alkyl
formula
hydroge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78A (ko
Inventor
루오 타타오
Original Assignee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제이 에이 부캐넌,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제이 에이 부캐넌, 쥬니어 filed Critical 셰브런 리써취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70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71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4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49/0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of oximes
    • C07C249/0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of oximes by reaction of hydroxylamines with carbonyl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at least one of the bonds to hetero atoms is to nitrogen
    • A01N35/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at least one of the bonds to hetero atoms is to nitrogen containing a carbon-to-nitrogen double b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carboxylic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by the carbon atom to a cycloaliphatic ring;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5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pyrolysis, rearrangement or decomposition
    • C07C45/5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pyrolysis, rearrangement or decomposition of compounds containing doubly bound oxygen atoms, e.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38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 C07C49/403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 being part of a ring of a six-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구조식(I)의 신규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은 1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거나 페닐그룹이며,
R1은 1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고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알킬, 2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고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 6내지 10의 탄소원자를 갖고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아릴 또는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벤질이거나, 5내지 7의 탄소원자를 갖는 사이크로알킬이거나 1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1내지 3의 알킬로 치환되거나 1내지 4의 탄소원자와 1내지 9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킬로 치환된 벤질기이고,
R2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1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1내지 6의 탄소를 갖는 알킬티오 또는 2내지 8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기이며,
R4는 수소 또는 2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카브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 또 양이온 또는 하기구조식을 갖는 그룹인데
Figure kpo00002
이때 R6는 1내지 6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이거나 6내지 10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011,256호는 제초효력을 갖고 있는 사이클로핵산-1,3-디온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합은 이와 다르면서도 신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은 유용한 제초제로서 특히 발아전 및 발아후 시용시 화분과 식물제초제(Grassy herbicides)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치환된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5,5-디알킬사이클로핵산-1,3-디온이다.
대표적인 R그룹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네오펜틸, n-헥실과 페닐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R은 1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R이 1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며, 더한층 바람직한 것은 R이 에틸 또는 프로필이다.
대표적인 R1구룹으로선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플루오로메틸, 2-클로로에틸, 2-브로모에틸, 3,4-디클로로부틸, 6-클로로헥실, 3-트란스-클로로알릴, 2,3-트란스-디클로로알릴, 2-클로로알릴, 4,4-디클로로-부트-3-엔일, 4-브로모-3-브로모메틸-부트--2-엔일, 5,5-디브로모-4-메틸-펜트-2-엔일, 2,5-디클로로-헥스-2-엔일, p-플루오로페닐,p-플르오로벤질,p-클로로벤질,p-브로모페닐,p-브로모벤질, 3,4-디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벤질, 2-플르오로페닐, 2-플르오로벤질, 2,4,6-트리클로로-페닐, 2,4,6-트리크로로벤질, 1-브로모-나프트-2-일, 2-클로로-나프트-1-일,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필, P-메틸벤질, m-메틸벤질, 2,4,6-트리에틸벤질, P-부틸벤질, P-이소프로필-벤질 및 P-트리플루오로메틸 벤질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R1이 2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고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이거나 1내지 3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할로벤질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는 R1이 할로알릴 특히 3-트란스-클로로알릴일 때이다.
대표적인 R2및 R3그룹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메틸티오, 에틸티오, n-부틸티오,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프로필티오 프로필, 에틸티오헥실 2-에틸티오 프로필 등이다.
바람직하기로는 R2및 R3이 1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그룹이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R2및 R3이 모두가 메틸일 때이다.
대표적인 R4그룹은 수소, 카보메톡시, 카보에톡시, 카보프로폭시일 때인데, 바람직한 것으로는 R4가 수소일 때이다.
대표적인 R5그룹은 수소, NH4+, Na+, K+, Ca++, 아세틸, 프로피온일, 부틸릴, 이소부틸릴, 이소바랄릴, 3,3-디메틸부틸릴,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이며, 바람직하기로는 R5가 수소일 때이다.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은 하기 반응도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구조식(Ⅳ)의 적절한 중간체는 다음 반응단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6
구조식(I)의 화합물중 R5가 수소가 아닌 화합물은 구조식(I)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절한 염기성염과 처리하여 R5가 Na+, NH4+, Ca++, 등인 화합물로 제조할 수 있다. 유사하게로는, 구조식(I)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적절한 산할라이드와 처리함으로써 아실화시켜 R5
Figure kpo00007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반응(I)은 거의 동량물의 구조식(Ⅱ)의 디온과 구조식 (Ⅱa)의 산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주위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x가 클로로인 산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텔 또는 그리콜과 같은 유기용매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진행중 발생되는 할로겐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유기아민 또는 알카리금속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기아민은 피리딘과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을 들 수 있다. 반응에 적용되는 압력은 결정적이 아니며 대기압에서 반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반응 (2)는 할로겐화탄화수소 또는 에텔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구조식 (Ⅲ)의 에스테르 1몰당 최소한 2몰의 알루미늄 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조작이 끝난후 조생성물을 양자공여체 바람직하기로는 염산과 같은 무기산으로 처리하여구조식(Ⅲa)의 트리온을 얻는다.
반응 (3)은 통상적인 옥심을 형성하는 축합반응이다. 구조식 (Ⅳ)의 염산염을 사용함에 따라 우선 이화합물을 구조식 (Ⅲa)의 트리온과 축합시키기 전에 염기(바람직하기로는 알카리금속 알콕시드)로 중화시킨다. 반응은 유기용매(바람직하기론 알칸올)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4)는 통상적인 알킬화반응으로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토니트릴, 에텔, 그리콜에텔 또는 탄화수소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은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존재하 주위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5)는 상승온도(바람직하기로는 30-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구조식 (Ⅳ)의 프탈이미드를 약간의 과량 몰량의 하이드라진과 상압하에서 저급 알콜올과 같은 불활성 용매내에서 환류 온도까지 가열시킨다. 조혼합물을 식힌 다음 무기산(바람직하기로는 염산)으로 중화시켜 구조식(Ⅳ)의 염을 수득한다.
상기 반응 (1)과 (2)에 다른 방법으로서, 구조식 (Ⅱ)의 디온을 할로겐화 탄화수소용매(바람직하기론 4 염화탄소)내에서 트리플르오로메틸 설폰산 존재하에 구조식 (Ⅱa)의 산할라이드로 처리하여 1단계 반응으로서 구조식 (Ⅲa)의 트리온을 형성시킬 수 있다. 반응은 상승온도(30-150℃)에서 수행할 수 있고 90분 이내에 완료되나 수득된 생성물은 혼합물의 형태이다.
반응 (1)과 반응 (2)의 단계적으로 수행하였을 때 총 반응시간은 단지 24시간이며 또한 순수한 생성물을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반응 (1)과 반응 (2)를 2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1단계로 수행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해당 생성물을 때에 따라 크로마트그라피, 중류, 결정화 같은 통상적인 수단으로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와 도표 A에 기재된 화합물은 IR, nmr 및 원소 분석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1]
2-〔1-(3-클로로알릴옥시아미노)-부틸리렌〕-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의 제조의 방법
A. 14.2g의 99% 디메돈(5, 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 9ml의 피리딘 및 10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후래스크내에서 혼합시킨 뒤 이에 11.4g의 부틸릴 클로라이드를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6시간 교반한 뒤 여과한다. 여과액을 100ml의 6N 염산, 100ml의 물, 50ml의 포화탄산나트륨 및 50ml의 물의 순서로 세척한 뒤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던 황색액체인 3-부톡시-5,5-디메틸사이클로헥스-2-인-1-온이 수득된다.
B. 3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26.67g의 알루미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하고 빙욕에 정치된 후라스크에 50ml을 디플로로메탄에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용해한 용액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2-½시간 동안 교반한 뒤 100ml의 찬 6N 염산액에 서서히 교반하면서 부은 뒤 혼합물을 밤새 정치시킨다. 유기용매층을 포집한 뒤 100ml의 포화탄산나트룸과 100ml의 물로 세척한다.용매를 제거하면 15.9g의 황색액체를 수득한다. 탄산나트륨 세척액을 농염산으로 PH2로 산성화시킨 뒤, CH2Cl2로 추출한 뒤 용매를 제거하면 4.8g의 황색 액체를 수득하는데 이는 상기 15.9g의 황색 액체와 동일한 물질이다. 두 생성물을 합치면 20.7g의 2-부틸로-5,5-디메틸사이크로헥산-1,3-디온을 수득하게 된다.
C. 20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33.6g의 N-하이드록시 프탈이미드가 용해된 용액에 28g의 무수탄산칼륨을 넣는다. 10분후에 이에 20l의 2,3-클로로프로펜을 가한 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킨다. 혼합물을 1.2l의 어름과 물의 혼합물에 부은뒤 생긴 침전물을 포집한 뒤 찬물로 세척하고(2x100ml)대기 건조시킨 다음 1.1l의 에틸 알콜올로 재결정시키면 49.0g의 백색 침상인 N-(3-클로로 알릴옥시)프탈이미드를 얻는다.
D. 과정(C)에서 얻은 화합물 21.2g, 650ml의 무수에탄올 및 3.7g의 하이드라진의 혼합물을 후라스크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환류 온도까지 가열시킨다. 두시간 후에 혼합물을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식힌뒤, 12.5ml의 농염산을 가한 다음 0℃까지 냉각시킨다. 침전물을 채취한 뒤 냉에탄올과 물로 세척한다. 세척액을 농축하면 21.5g의 조생성물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50ml의 메탄올로 슬러리시킨 다음 백색 고체를 여과 포집한 다음 건조시키면 3.3g의 결정체인 생성물을 수득한다. 여과액을 다시 농축하여 재결정(50ml의 아세토니트릴, 50ml의 에텔)하면 추가로 5.5g의 백색 결정체를 수득하게 되는 이는 3-클로로알릴옥시아민하이드로 클로라이드이다.
E. 10ml의 메탄올에 460mg의 나트륨 메톡시드가 용해된 용액에 1.22g의 과정(D)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가한 다음, 현탁액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다. 이 현탄액에 10ml의 메탄올에 동몰량(1.6g)의 2-부틸로-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은(상기 과정(B) 참조)이 용해된 용액을 가한다. 실온에서 2일간 교반한 뒤,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킨다. 잔유물을 30ml의 에틸아세테이트와 25ml의 10% 가성소다로 처리하면 3층이 생긴다. 하단 2층을 포집하고, 냉각시킨 다음, PH가 1인 농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3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두차례 추출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추출액을 합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2x20ml)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하면 액체인 2-〔1-(3-클로로알릴옥시아미노)-부틸리렌〕-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을 수득한다. 도표 A 화합물 3 참조.
[실시예 2]
2-〔1-(3-클로로알릴옥시아미노)-프로필리렌〕-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의 제조방법
A. 실시예 1(A) 방법에 따라, 14.2g의 5,5-디메틸사이클로헥산 -1,3- 디온과 9.7g의 프로피온일 클로라이드를 9ml의 피리린 존재하에 100ml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에서 반응시켜 21.0g의 3-프로피온옥시-5,5 -디메틸사이클로헥스-2-엔-1-온을 얻는다.
B. 19.62g의 실시예 2(A)의 생성물과 26.67g의 알루미늄 클로라이드를 실시예 1(B)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면 17.9g의 2-프로피오노-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을 얻는다.
C. 실시예 1(D)에서 얻은 생성물 1.22g과 실시예 2(B)에서 얻은 생성물 1.65g을 실시예 1(E)에 방법에 따라 반응, 처리하게 되면 액체인 2-〔1-(3-클로로알릴옥시아미노)-프로필리렌〕-5,5-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을 얻는다. 도표 A 화합물 2 참조.
도표 A에 기재된 기타 화합물은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용 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반적으로 발아전 및 발아후 처리시 제초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원치않는 식물의 발아전 억제에 있어서, 식물성장의 서식지나 또는 성장매계채, 예로서는 원치 않는 식물의 적종 또는 파종으로 감염된 토양에 본 발명의 제초제를 제초효력이 있을 만큼의 양을 사용시킨다.
이와 같이 시용함으로써 적종, 발아하는 적종 또는 파종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해 버린다.
발아후 적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초제를 잡초의 잎이나 기타 부분에 직접 접촉 시용시킨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초제는 화분과 잡초에 대하여 탁월한 제초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중 어떤 것은 적용량이라든가 시용방법 그리고 잡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 제초작용을 한다.
본 화합물을 성장기의 식물이 자라고 있는 지상에 어떤 적정량을 시용함으로써 작물을 사멸 시키지는 않고 오히려 효과적인 식물성장조정 또는 성장억제효과를 보여주는데 이는 식물의 싹이 옆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함으로 아주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과일나무의 쓸데없이 많이난 과일을 솎아주는 역활을 하여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가지 형태의 제제로서 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알려진 불활성고체, 물 및 유기용매와 같은 담체와 썩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기한 제제에 제초 또는 성장조정효과를 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양이 함유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본 화합물이 중량부로 0.5 내지 95%가 상기 제제에 함유되어야 한다.
고체형태인 제제는 불활성 분말과 더불어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제는 균질 분말형태로 될 수 있으며 그 자체 형태로 사용하든가 불활성 고체와 희석하여 분제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적절한 용액 매체와 현탁시켜 분무제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분말제제는 흔히 활성성분과 약간의 조정제와 혼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분야에서 분말제초제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타펄자이트 (at tapulgite)와 같은 흡수성인 점토 또는 중국점토(China Clays)와 같이 비교적 비흡수성인 점토와 같은 자연점토, 규조토, 합성미세실리카, 칼슘실리카 및 기타 불활성고체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성분이 이와 같은 분말제제에 함유될 수 있는 양은 흔히 중량부로 0.5-90%이다.
이와 같은 고체제제는 흔히 세분, 분산 상태이어야만 한다. 분말상태에서 분제형태로 변형시킬 때는 탈크, 피로필라이트(Pyrophyllite) 및 이와 유사한 것이 통상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형제제는 상기 화합물과 적절한 액체희석 매계체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매계체의 전형적인 것은 메탄올, 벤젠, 톨루엔 및 이와 유사한 것이다.
액체제제의 활성성분의 함유량은 0.5 내지 50%이다. 액체제제의 어떤 것은 그 자체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다른 것은 상당량의 물과 희석하여 사용된다.
수화제형태 또는 액체형태인 제제는 하나 이상의 습윤제, 분산제 또는 유탁제와 같은 게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화제 또는 액체제제로 하여금 물속에서 쉽게 분산시키거나 유탁시켜 수용성 분무제를 만들 수 있게끔 한다.
사용할 수 있는 게면활성제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서 나트륨 장쇄카복실레이트, 알킬아릴설포네이트, 나트륨 라오릴 설페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리지닌설포네이트 및 그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발아전 처리제로 사용할 때는 비료, 살충제, 살균제 또는 기타 타 제초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성분의 량 또는 제제의 투여량은 접촉되는 특정식물 부분 또는 식물생장 매계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할 위치, 즉 경작지와 같은 비포장지역에 비하여 온실과 같은 포장지역에 달라질 수 있으며 식물억제 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아전 및 발아후 잡초의 억제를 위하여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0.2 내지 60kg/ha의 비율로 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비율은 0.5 내지 40kg/ha이다. 작물성장조절 또는 성장억제작용을 하는데 있어서는 본 화합물을 작물을 사멸하여서는 안될 만큼의 적당량을 시용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작물성장조절 또는 성장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은 일반적으로 식물을 사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양보다는 적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비율은 0.1부터 5kg/ha가 될수 있는데 바람직한 비율은 0.1부터 3kg/ha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에 관한 제조체 시험을 하기 기술한 방법에 의하여 행하였다.
[발아전 제초제 시험]
500mg의 시험 화합물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0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켜 아세톤 용액을 만든다.
20ml의 아세톤 용액을 80ml의 물에 가하여 시험용액을 만든다.
시험할 식물의 접종을 흙이 담긴 화분에 심은 후 시험 용액을 27.5 마이크로그람 /cm2의 양으로 흙 표면에 균일하게 분무시킨다. 이와같이 처리된 화분에 물을 준 뒤 온실에 정치시킨다. 화분에 물을 자주 주며 파종이 발아하는 것, 발아된 파종의 건강상태 등을 3주일간 관찰한다. 이 기간후에 시험화합물의 제초제효과를 생태학적 관찰 근거에 의하여 평가한다.
0부터 100의 구분으로 평가하는데, 0일 때는 식물 독성이 전혀 없는 것을 뜻하며, 100은 완전히 식물이 사멸된 것을 의미한다. 시험의 결과는 도표 I에 나타나 있다.
추가시험으로서 희석된 시험용액을 사용하여 투여량을 변경하여 흙 표면에 분무시키면서 상기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이 시험의 결과는 도표 II에 나타나 있다.
[발아후 제초제 시험]
시험화합물을 상기한 발아전 시험 때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제한다. 이 제제를 24-일생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2개의 화분(대략 화분당 15 내지 25 식물이 서식함)에 27.5미크로그람/㎠의 양으로 균일하게 분무시킨다.
식물을 건조시킨 뒤, 화분을 온실에 정치시키고 필요에 따라 가끔 물을 준다. 이와 같은 처리에 따라 식물에 대한 식물독성 효과 및 식물의 생태학적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3주후 상기한 바와 같은 관찰의 근거에 의하여 시험화합물의 제초효과를 평가한다. 0 내지 100의 구분으로 평가하는데 0일 때는 식물독성이 전혀 없는 것을 뜻하며 100은 식물이 완전히 사멸된 것을 의미한다. 이 시험의 결과는 도표 1에 나타나 있다. 추가시험으로서 희석된 용액을 사용하여 투여량을 변경하여 흙표면에 분무하여 상술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이 시험의 결과는 도표 Ⅱ에 나타나 있다.
[표 aa]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표 ab]
Figure kpo00010
[표 ac]
Figure kpo00011
[표 ad]
Figure kpo00012
[표 ae]
Figure kpo00013
[도표 Ⅰa-제조제효과]
Figure kpo00014
[도표 Ⅰb-제조제효과]
Figure kpo00015
[도표 Ⅱa-제조제효과]
Figure kpo00016
[도표 Ⅱb-제조제효과]
Figure kpo00017
[도표 Ⅱc-제조제효과]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Claims (9)

  1. 구조식(Ⅲa)의 화합물을 구조식(Ⅳ)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과 반응시키고, 생성물로 부터 양이온성염이나 에스테르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I)의 치환된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헥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0
    상기 구조식에서, R은 1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거나 페닐그룹이며, R1은 1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고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킬, 2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고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 6 내지 10의 탄소원자를 갖고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아릴 또는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벤질이거나, 5 내지 7의 탄소원자를 갖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1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1 내지 3의 알킬로 치환되거나 1 내지 4의 탄소원자와 1내지 9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킬로 치환된 벤질기이고, R2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1 내지 6의탄소를 갖는 알킬티오 또는 2 내지 8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티오알킬기이며, R4는 수소 또는 2 내지 4의 탄소원자를 갖는 카브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 또는 양이온 또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그룹인데 이때 R6은 1 내지 6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이거나 6 내지 10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4및 R5가 수소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R이 1 내지 6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R1이 2 내지 6의 탄소원자와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알케닐이거나 1 내지 3의 할로겐원자를 갖는 할로벤질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R2및 R3이 1 내지 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R은 프로필이고, R2및 R3은 메틸이며, R1은 3-트란스-클로로알킬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5항에서 R은 에틸이고, R2및 R3은 메틸이고 R1은 3-트란스-클로로알킬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4항에서 R2가 수소이고 R3가 2-에틸티오 프로필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서, R1이 트란스-3-클로로알킬이고 R이 프로필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10004544A 1980-11-25 1981-11-24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70001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020680A 1980-11-25 1980-11-25
US210,206 1980-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78A KR830007478A (ko) 1983-10-21
KR870001088B1 true KR870001088B1 (ko) 1987-06-04

Family

ID=2278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544A KR870001088B1 (ko) 1980-11-25 1981-11-24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JP (1) JPS57116041A (ko)
KR (1) KR870001088B1 (ko)
AU (1) AU545368B2 (ko)
BE (1) BE891190A (ko)
CA (1) CA1218379A (ko)
CH (1) CH648547A5 (ko)
DE (1) DE3146309A1 (ko)
FR (1) FR2494688B1 (ko)
GB (1) GB2090246B (ko)
IL (1) IL64282A0 (ko)
NL (1) NL1922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7389A1 (de) * 1982-07-22 1984-01-26 Basf Ag, 6700 Ludwigshafen Cyclohexan-1,3-dio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herbizide,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BE897413A (fr) * 1982-08-09 1983-11-14 Chevron Res 2- [1-(oxvamino)-alkylidene] -5-(2-ethylthiopropyl)-cyclohexane-1,3-diones substituees herbicides
ATE52500T1 (de) * 1983-10-05 1990-05-15 Basf Ag Cyclohexenol-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kaempfung unerwuenschten pflanzenwuchses.
DE3410492A1 (de) * 1984-03-06 1985-09-12 Basf Ag, 6700 Ludwigshafen Cyclohexano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bekaempfung unerwuenschten pflanzenwuchses
US4640706A (en) * 1984-03-30 1987-02-03 Ciba-Geigy Corporation Cyclohexen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with herbicidal and plant growth regulating properties
US4626276A (en) * 1984-06-11 1986-12-02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trans-2-[(3-chloroallyloxyimino)alkyl]-5-(substitutedsulfinylalkyl)-cyclohexane-1,3-diones and derivatives thereof
DE3546928C2 (de) * 1985-09-19 2003-04-30 Arysta Lifescience Corp Verwendung von Trans-2-[1-(3-chlorallyloxyamino)propyliden]-5-(2-ethylthiopropyl)cyclohexan-1,3-dion in herbiziden Mitteln
AT398074B (de) * 1985-09-19 1994-09-26 Chevron Res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neuen 2-(1-(3-trans-chlorallyoxyamino)-propyliden)-5- 2- ethylthiopropyl)-cyclohexan-1,3-dions
US4741768A (en) * 1985-11-15 1988-05-03 Chevron Research Company Herbicidal substituted 2-[1-(3-trans-chloro-allyloxyamino)alkylidene]-cyclohexane dione salts
US4945178A (en) * 1986-02-03 1990-07-31 Eastman Kodak Company Preparation of 4-carboalkoxy-1,3-cyclohexanedione type compounds
US5225589A (en) * 1989-08-28 1993-07-0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compositions and their manufacture
US5041613A (en) * 1989-08-28 1991-08-2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compositions and their manufacture
TW221367B (ko) * 1991-11-15 1994-03-01 Dunlena Pty Ltd
WO1994026696A1 (en) * 1993-05-11 1994-11-24 Dunlena Pty. Limited Herbicidal cyclohexanes
US6300281B1 (en) * 2000-07-03 2001-10-09 Valent U.S.A. Corporation Optically pure(−) clethodi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growth comprising the same
EP1382247A1 (en) 2002-07-18 2004-01-21 Bayer CropScience GmbH Combinations of cyclohexanedione oxime herbicides and safeners
EP2052605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DE102008037632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256A (en) * 1973-08-15 1977-03-08 Nippon Soda Company Limited Cyclohexane derivatives
US3950420A (en) * 1973-08-15 1976-04-13 Nippon Soda Company, Ltd. Cyclohexane derivatives
JPS577122B2 (ko) * 1973-12-24 1982-02-09
IL48839A0 (en) * 1975-01-22 1976-03-31 Nippon Soda Co Novel cyclohexenyloxy-ester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2263B (nl) 1996-12-02
DE3146309C2 (ko) 1990-11-08
JPS57116041A (en) 1982-07-19
AU545368B2 (en) 1985-07-11
IL64282A0 (en) 1982-02-28
NL192263C (nl) 1997-04-03
AU7748481A (en) 1982-06-03
DE3146309A1 (de) 1982-06-16
KR830007478A (ko) 1983-10-21
CA1218379A (en) 1987-02-24
JPH034540B2 (ko) 1991-01-23
BE891190A (fr) 1982-03-16
CH648547A5 (de) 1985-03-29
GB2090246B (en) 1984-12-05
FR2494688A1 (fr) 1982-05-28
FR2494688B1 (fr) 1985-12-06
GB2090246A (en) 1982-07-07
NL8105314A (nl) 198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0566A (en) Herbicidal substituted 2-(1-(oxyamino)-alkylidene)-cyclohexane-1,3-diones
KR870001088B1 (ko) 2-[1-(옥시아미노)-알킬리덴]사이클로핵산-1,3-디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CA1130308A (en) Preparation of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and esters
RU2045512C1 (ru) 2-[ 2′,3′,4′ -тризамещенные бензоил]-1,3-циклогександионы или их соли,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JPH0468295B2 (ko)
JPH06172348A (ja) 有害生物防除剤
US4432786A (en) Thienylmethoxyiminoalkyl cyclohexanedione herbicides
US4062977A (en) Substituted-N-(1,1-disubstituted ethyl)-α-(substituted phenoxy)-α-alkoxyacetamides and their use as miticides
JPH0331266A (ja) 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除草剤
GB2125042A (en) Herbicidal cyclohexane-1,3- diones
JP2835641B2 (ja) 若干種のグリオキシル―シクロヘキセンジオン化合物
USRE32489E (en) Herbicidal substituted 2-(1-(oxyamino)-alkylidene)-cyclohexane-1,3-diones
JPH0352862A (ja) 置換ピリジン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除草剤
KR950003497B1 (ko) 제초성 시클로헥산-1,3-디온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KR900006709B1 (ko) 설페닐화 아실히드라존의 제조방법
JPH05222029A (ja) 含ヘテロシクロヘキサンジオ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除草剤
US4701205A (en) Chemical tobacco sucker control
CA1217778A (en) Herbicidal substituted 2-[1-(oxyamino)- alkylidene]-5-(2-ethylthiopropyl)-1,3-diones
JPS5844643B2 (ja) シンキナジヨソウザイ
KR900002675B1 (ko) 제초효과가 있는 신규 2-옥시아미노알킬리덴-시클로헥산-1,3-디온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IT8320341A1 (it) Composti eterociclici ad attivita' erbicida
KR840001557B1 (ko)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2726A (ja) シクロヘキセノ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除草剤
KR950006923B1 (ko) 제초성 2,3-디히드로티오펜일시클로헥산-1,3-디온 유도체 및 그 제법
US4039313A (en) Herbicidal methods using 4-chlorobenzyl-N,N-hexamethylenethiolcarbam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