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6866A - Pwm 인버어터 - Google Patents

Pwm 인버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6866A
KR860006866A KR1019860001166A KR860001166A KR860006866A KR 860006866 A KR860006866 A KR 860006866A KR 1019860001166 A KR1019860001166 A KR 1019860001166A KR 860001166 A KR860001166 A KR 860001166A KR 860006866 A KR860006866 A KR 86000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le
pole voltage
pwm invert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082B1 (ko
Inventor
로버트 카프토 윌리암
로버트 카프토 윌리암 (외 2)
루이스 허슨 앨런
쿤 리 케니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에이. 더블류. 프리쉬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에이. 더블류. 프리쉬,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86000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 H02M7/52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by pulse width modulation
    • H02M7/52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by pulse width modulation using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digit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WM 인버어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배터리와 같은 고정 직류 전압원으로 부터 유도 전동기와 같은 3상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어터 전원부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8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컴퓨터를 사용한 변조기 회로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부하 52: 스피드 패턴 54: 프로세서 56: PWM제어부 116: 필터 118: 주프로세서 120: 버스액크 122: 타이머 124: 주파수 분할기 126: 폴 드라이버 128: ROM 130: RAM 132: 시작 136: FIFO 포인터 초기화 138: 1.02㎲ 타이머시작 140: 지속시간 타이머 초기화 142: M1을 페치 144: M2←2*M1-1 146: 주프로세서로 150: 지속시간 타이머 인터럽트 152: FIFO로 부터 차순의 지속시간을 페치하고 지속시간 타이머를 로드, FIFO로 부터 폴 신호를 페치 154: 버퍼로 출력 156: FIFO포이터로 진행 158: 리턴 164: 메인 166: 사인파의 샘플링 점 사이의 진폭 R과 각 F를 페치 168: 각 F를 포인터 A의 현 위치에 가산하고 포인터 A를 새로운 위치로 전진 170: 120°를 포인터 A 위치에 가산하고 포인터 B를 이 위치로 전진; 240°를 포인터 A 위치에 가산하고 포인터 C를 이 위치로 전진 172: 저장된 포인터 A, B, C의 값 W1및 W4를 페치하고 M2를 페치 174: R>M2176: W5←W4178: W5←(W4-0.5)*(R-1)+W4180: 참조표 값 W1을 진폭 R로 곱하고 W5를 가산하여 각 폴에 대한 평균 진폭값 V를 구한다. 182: R>M2188: 더블 에지 변조에 대한 폴의 온 오프시간 결정 190: 단일에지 변조에 대한 폴의 온 오프시간 결정 192: 각 폴변화 사이의 지속시간 결정, 각 지속시간의 폴신호 결정 및 FIFO RAM에 저장 194: 1.02㎲ 타이머 인터럽트 195: 차순의 캐리어 주기를 준비 196: 단계 164로 리턴 200: W4=0 202: W5←1 206: W4=0 208: W5210: W5212: W4≤0 214: V1←W5+R*W1216: V1`←W5-R*W1218: T1←V1T9.

Claims (20)

  1. 고정된 상한(Vmax) 및 하한 전압한계를 가지는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동작하는 PWM 인버어터로부터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직류 전압원의 상한 및 하한에 그접한 일정구역에서 아무런 값도 가지지 않는 사인 곡선적으로 변화하는 폴전압(V1, V2, V3)을 발생하고, 각 반 사이클 동안 미리 지정된 전압원의 한계로 각 폴 전압을 스위칭시켜 사인곡선적으로 변화하는 값으로 부터 고정된 한계값으로 폴전압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고, 미리 지정된 관련 폴 전압이 결정되는 동안 각 폴 전압의 파형을 수정하여 결과적인 3상 폴대 폴전압(U1, U2, U3) 파형이 사인 곡선적으로 되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시키는 단계는 각 폴전압을 각 반 사이클 동안 60도에 대한 고정된 전원 전압 한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계는 각각 정방향 및 부방향 반사이클 동안 각 폴전압을 전원의 고정된 상한 및 하한 전압한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메모리장치(128) 내에 원하는 폴전압 파형의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내에 원하는 폴전압 파형의 저장단계는 제1의 참조표(W1) 내의 파형에서 변화부분을 저장하고, 제2의 참조표(W4) 내의 파형에서 고정 부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인버어터에 대한 최대 변조지수 M1를 마련하고 현재 원하는 최대 공급 전압의 진폭 R을 제공하는 단계와, 미리 지정된 듀티 사이클의 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수 M1과 R사이의 설정관계에 반응하여 제1의 참조표로부터 획득한 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관계는 변조지수 M1을 2배한 것에서 1을 감산한 결과와 동일한 R의 상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8.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W1은 정극성 및 부극성의 값을 포함하고, W4의 값은 모두 같은 극성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인버어터에 대한 최대 변조지수 M1를 제공하고; 현재 원하는 최대 공급전압의 진폭 R을 제공하고; 2M1-1과 동등한 변수 M2를 설정하고; R>M2일 때 W4와 동일한 변수 W5를 설정하고; R이 M2를 초과하지 않을 때(W4-0.5)·(R-1)+W4와 동등한 변수 W5를 설정하고; W1·R+W5의 관계에 따라 폴 전압에 대한 실제 요구 전압의 진폭 V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 주기 T9을 가지는 다수의 캐리어 주기로 원하는 폴 전압 파형을 분할하고, V1·T9의 관계에 따라 폴 전압의 "온"시간 T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W1의 값은 모두 동일한 극성이고, W4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인버어터에 대한 최대 변조지수 M1을 제공하고; 현재 원하는 최대 공급전압의 진폭 R을 제공하고; 2M1-1과 동등한 변수 M2를 설정하고; R이 M2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W4가 0과 동등한지를 결정하고; R>M2이고 W4=0일 때 변수 W5를 설정하고; R>M2이고 W4≠0일 때 변수 W5를 설정하고; R<M2이고 W4=0일 때 변수 W5를 (1-R)/2로 설정하고; R<M2이고 W4≠0일 때 변수 W5를 (1+R)/2로 설정하고; W4가 부극성인가를 결정하고; W4가 부극성일 때 W5+RW1의 관계에 따라 폴전압에 대한 실제 요하는 진폭 V1을 결정하고; W4가 부극성이 아닐 때 W5+RW1의 관계에 따라 실제 요하는 진폭 V1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 시간 지속기간 T9을 가지는 캐리어 주기로 부터 원하는 폴전압 파형을 구성하고; V·T9의 관계에 따라 폴 전압의 "온"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의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14. 3상 최대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PWM 인버어터에 있어서, 3개의 전원폴을 가지는 3상 브리지 회로(38, 40, 42, 92)와, 미리 결정된 고정된 상한 및 하한 전압 한계를 가지는 단방향 전원(102)에 연결되어지는 직류 입력단자(104, 106)와, 부하회로(50, 114)에 연결되는 교류 출력단자(44, 46, 48)와, 각 전압한계에 인접한 M1과 Vmax사이 또는 (1-M1)과사이의 설정구역에 들어가지 않고 상기 전원의 상한 및 하한 전압 사이를 왕복하는 사인 곡선적의 폴전압(V1, V2, V3)을 공급하도록 전원폴의 도통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6, 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미리 지정된 전기적 각도에 대해 설정된 고정 전압 한계로 각 폴 전압의 반 사이클을 스위칭 시키고, 사인 곡선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을 연관된 고정 한계 전압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단방향 전원으로 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 실효치 폴대 폴 전압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원하는 최대 폴 전압 파형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폴 전압파형의 변화부분(W1)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제1의 참조표와, 폴전압 파형의 고정 부분(W4)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제2의 참조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인버어터의 변조지수와 인버어터로 부터 원하는 출력전압 사이의 미리 지정된 관계에 반응하여 제1의 참조표 값을 수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각 폴 전압이 전원의 미리 지정된 고정 한계에 있을 동안 사인 곡전적의 폴대 폴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폴 전압의 변화하는 진폭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19. 제14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각도의 설정된 수는 60도이고, 각 폴 전압의 각 반사이클의 중심에 대칭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20. 제1항에 있어서, 각 반사이클 동안 전기적 각도의 설정된 수로 스위칭된 전원전압 한계에 부가하여 상기 폴 전압 파형은 하나의 폴 전압의 고정부분이 미리 지정된 변화하는 폴 전압과 벡터 합으로 되어 사인곡선적인 폴 투 폴 전압으로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어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60001166A 1985-02-19 1986-02-19 Pwm 인버어터 KR940007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299785A 1985-02-19 1985-02-19
US702,997 1985-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66A true KR860006866A (ko) 1986-09-15
KR940007082B1 KR940007082B1 (ko) 1994-08-04

Family

ID=2482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166A KR940007082B1 (ko) 1985-02-19 1986-02-19 Pwm 인버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61196772A (ko)
KR (1) KR940007082B1 (ko)
CN (1) CN86100937A (ko)
AU (1) AU590871B2 (ko)
BR (1) BR8600686A (ko)
CA (1) CA1276978C (ko)
FR (1) FR2577729B1 (ko)
GB (1) GB21712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0871B2 (en) * 1985-02-19 1989-11-23 Inventio Ag Pwm inverter
JP2766407B2 (ja) * 1991-08-20 1998-06-18 株式会社東芝 太陽光発電用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US5506484A (en) * 1994-06-10 1996-04-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gital pulse width modulator with integrated test and control
CN101977084B (zh) * 2010-01-27 2013-08-07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无线电台管理局 音频信号的调制方法、调制控制设备及发射机
DE102012211356A1 (de) * 2012-06-29 2014-01-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motoreinrichtung sowie entsprechende Elektromotor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5343C2 (de) * 1977-02-09 1985-10-17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Steuerverfahren für einen selbstgeführten, pulsgesteuerten Wechselrichter und Steueranordnung zur Bildung der Sollwerte für die Pulssteuerung
DE3007629A1 (de) * 1980-02-29 1981-09-1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dreiphasendrehstromes durch wechselrichten
JPH0634587B2 (ja) * 1982-05-06 1994-05-02 株式会社東芝 電圧形インバータ装置
JPS59127577A (ja) * 1983-01-10 1984-07-23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電圧形pwmインバ−タの制御方法
US4656572A (en) * 1985-02-19 1987-04-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PWM inverter
AU590871B2 (en) * 1985-02-19 1989-11-23 Inventio Ag Pwm i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71266A (en) 1986-08-20
FR2577729A1 (fr) 1986-08-22
CA1276978C (en) 1990-11-27
AU5291986A (en) 1986-08-28
CN86100937A (zh) 1986-09-17
AU590871B2 (en) 1989-11-23
KR940007082B1 (ko) 1994-08-04
GB8603467D0 (en) 1986-03-19
BR8600686A (pt) 1986-11-04
JPS61196772A (ja) 1986-08-30
FR2577729B1 (fr) 199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545A (ko) Ac/ac 직변환기 시스템
JPH01214267A (ja) 多相負荷の帰還電流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970018975A (ko)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ting system)
Youm et al. An effective software implementation of the space-vector modulation
JPH03128672A (ja) 制御を改良した共振インバータ
KR890013866A (ko) Pwm제어전압형 인버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860006866A (ko) Pwm 인버어터
KR910005546A (ko) 펄스폭변조승압변환기의 제어장치
KR860002896A (ko) 주파수 변환장치의 제어방법
KR840004631A (ko) 전력 변환장치의 전류 제어방법
US5670859A (en) Feedback control of an inverter output bridge and motor system
RU2340071C1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напряжения питания многоуровневого автономного инвертора напряжения
JPH02146963A (ja) 電圧型pwm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obing et al. Digital implementation of bus clamped space vector modulation
US7804264B2 (en) Commu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C to AC inverter driving a three-phase asynchronous AC motor
JP2002058251A (ja)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2522407B2 (ja) パルス幅変調用パルス発生装置
KR970018951A (ko) 펄스폭 변조 컨버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830001119Y1 (ko) 펄스폭 변조 인버터를 이용한 전동기 구동장치
JP2002136152A (ja) Pwm制御イ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0164845A (ja) Pwm式順変換装置
JPH0614590A (ja) Pwmインバータ
KR920000483B1 (ko) 단상주파수 변환회로
KR100387333B1 (ko) 브리지형태로회로구성이이루어진전력변환기의스위칭장치및방법
JP3306290B2 (ja) 電力変換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動機駆動装置及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