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493Y1 -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493Y1
KR860002493Y1 KR2019810007994U KR810007994U KR860002493Y1 KR 860002493 Y1 KR860002493 Y1 KR 860002493Y1 KR 2019810007994 U KR2019810007994 U KR 2019810007994U KR 810007994 U KR810007994 U KR 810007994U KR 860002493 Y1 KR860002493 Y1 KR 860002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off
drilling
center
punch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7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068U (ko
Inventor
야스오 가끼모도
Original Assignee
우시오 에아 쓰으루 가부시기 가이샤
야스오 가끼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 에아 쓰으루 가부시기 가이샤, 야스오 가끼모도 filed Critical 우시오 에아 쓰으루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2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chine Tool Positioning Apparatuse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공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중요부분을 절결한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다이스 (5) : 스코오프
(15) : 작동아암 (23) : 펀치
(26) : 로울러 (27) : 스톱퍼
(30) : 피천공판 (a) : 천공대판
본 고안은 프린트기판, 기타 피천공판에 개구하는 천공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로는 스코오프가 부착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코오프가 부착된 천공장치는 그 스코오프를 천공대판의 천공중심 윗쪽에 가설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천공대판위에 천공구를 배설하여 천공동작을 행하게 하였다. 즉, 펀칭(PUNCHING)방식의 장치구조로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천공대판 아래에 위로 향하여 돌출하는 드릴을 배설하여 피가공재에 개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피가공재의 재질에 따라서는, 상기한 드릴에 의한 천공은 아니고 펀칭방식에 의한 천공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사정에 비추어 천공대판 위에 스코오프 및 천공구를 배설하여 스코오프의 사용에 지장없이 천공작업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상기한 스코오프의 사용 및 천공구의 위치결정수단에 의하여 정밀도가 높은 천공장치를 제공할려고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천공대판 위에 천공구를 스코오프와 대판과의 사이에서 천공중심 위에 위치결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천공장치의 정면도로서, 도면의(A)는 작업대, (a)는 천공대판, (b)는 작업대(A)에 세워서 설치하여 대판(a) 위에 돌출하는 한쪽을 지지한 형태의 지지프레임이다.
작업대(A)의 밑바닥부에는 발로 딛는식의 스위치(1)를 설치하고, 지지프레임(b)에는 장치회로를 제어하는 조작판(2)를 설치한다.
천공대판(a)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이스(3)를 갖춘 천공형(4)을 대판(a)과 동일한 면으로 되도록하여 끼워맞추고 고정해서 설치한다.
지지프레임(b)은 대판(a)위에 돌출하는 앞쪽끝부분에 스코오프(5)의 지지부(6)를 끼워넣어서 고정부착하여 스코오프(5)를 프레임(b)위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함과 아울러 스코오프(5)의 경동(鏡胴)(5')을 상기한 천공형(4)위로 돌출시킨다.
상기한 경동(5')은 천공형(4)의 다이스(3)의 축심 즉, 천공중심과 동일 축 위에 설정하고 그 천공형(4)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있는 윗쪽위치에 배설한다.
상기한 스코오프(5)는 천공형(4)의 상기한 천공중심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대판(a)위에 재치한 피천공판(30)의 천공위치를 상기한 천공중심에 일치하도록 영상에 의하여 확인해서 피천공판(30)을 위치결정시킨다.
또, 상기한 경동(5')의 바깥쪽에는 에어실린더(7)를 가설하여 그 로드 앞쪽끝에 누름용 바아(8)를 에어실린더(7)에 의해서 상하 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부착하고, 그 누름용 바아(8)를 하강시켜서 천공하였을 때의 피천공판(30)을 눌러서 안정시키도록 한다. (제1도)
또, 지지프레임(b)에는, 상기한 스코오프 지지부에 나란히 설치하여 지지체(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삽입하여 고정부착해서 설치하고, 그 지지체(10)는 축심에 따라서 구멍(11)을 개구함과 아울러 윗부분에 구멍을 확대시키며, 그 윗면에 덮어 씌워지는 캡(12)과 함께 형성되는 실린더부(13)를 설치한다.
상기한 캡(12)에는 상기한 구멍(11)과 동일 축위에 구멍(11)을 개구한다.
지지체(10)에는 구멍(11) 및 실린더(13)를 관통하는 승강축(14)을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롭게 관통삽입함과아울러 지지체(10)의 아래부분 바깥둘레에는 작동아암(15)의 축받이통(15')을 베어링(16)을 개재하여 회전 및 상하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워붙이고, 그 축받이통(15) 아래쪽끝과 상기한 승강축(14) 아래쪽끝을 연결구(17)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승강축(14)은 상기한 실린더부(13)내에 격벽을 형성하는 피스톤(18)을 부착하고, 캡(13)에는 송기구(19)를 개구해서 그 송기구에 송기용 호오스(19')를 연결하여 실린더부(13) 윗부분에 압축공기를 송입하도록 하며, 이 압축공기의 송입에 의해서 피스톤(18)을 개재하여 승강축(14)이 하강한다.
또, 송강축(14)에는 그 축심에 따라 윗쪽끝에서 송기용 구멍(20)을 개구함과 아울러 피스톤(18) 아래면에 상기한 송기용 구멍(20)과 연통하는 연통구(20')를 개구한다.
상기한 승강축(14)의 윗쪽끝에는 송기용 호오스(21)를 연결해서 송기용 구멍(20)을 개재하여 피스톤(18) 아래면의 연통구(20')에 압축공기를 적당한 시기에 송입하도록하며, 그 공기의 송입에 의해서 피스톤(18)을 개재하여 승강축(14)이 위로 작동한다.
또한, 송기구(19) 및 소기용 구멍(20)에의 압축공기의 송입동작은 도면표시를 하지않은 밸브에 의하여 그 한쪽이 송기될 때에는 다른쪽이 해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승강축(14)은 적당한 시기에 승강작동이 가능하며, 그것에 따라서 작동아암(15)도 승강작동한다.
작동아암(15)은 그 축받이통(15')에서 천공형(4)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대략 3각 형모양의 아암레버이며, 그 아래쪽끝에 수평상태의 지지부(22)를 형성하고, 그 지지부(22)에는 상기한 다이스(3)와 한벌로되는 펀치(23)를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부착하고 아래로 향하여 돌출시킨다.
작동아암(15)의 축받이통(15') 바깥벽에는 옆으로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하는작용레버(24)를 부착하고, 그 작용레버(24)의 앞쪽끝에는 지지프레임(b)을 상하로 요동이 자유자재롭게 부착된 에어실린더(25)의 로드(25')를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연결하며, 그 로드(25')의 돌출, 후퇴동작에 따라서 작용레버(24)를 개재하여 축받이통(15')이 지지체(10)를 지축으로 하여 회동하도록한다.
따라서 작동아암(15)은 축받이통(15')의 회동에 따라서 일체로 좌우로 회전동작하고, 그 앞쪽끝에 부착한 펀치(23)를 천공형(4)위에서 좌우로 회전동작시킨다.
상기한 작용레버(24)에는 그 소정위치에 위치결정용 로울러(26)를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부착하고, 지지프레임(b) 아래면에는 상기한 로울러(26)와 걸어맞추도록 위치결정용 스톱퍼(27)를 지지레버(28)를 개재하여 부착시킨다.
위치결정용 스톱퍼(27)는 작용레버(24)와 함께 회동하는 로울러(26)를 맞닿게하여 작동아암(15) 앞쪽끝의 펀치(24)가 천공형(4)의 천공중심위에 일치하였을 때에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그 스톱퍼(27)와 로울러(26)에 의하여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한다.
상기한 스톱퍼(27)는 펀치(23)의 정지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레버(28)에 대하여 그 돌출량을 조정가능하게해서 부착시킨다.
상기한 에어실린더(25)는, 보통때에는 그 로드(25)를 돌출시킨 상태 즉, 펀치(23)를 스코오프(5)의 경동(5') 바깥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보전되고, 로드(25')가 후퇴하였을 때에 작용레버(24)와 작동아암(15)을 개재하여 펀치(23)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경동(5') 아래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에어실린더(25)의 움직임은 상기한 스위치(1)에 의하여 행하며, 또 승강축(14)의 승강작동 바꾸어 말하면, 펀치(23)은 승강작동은 작동아암(15) 또는 작용레버(24)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도면표시 아니하였음)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천공작업을 설명하면, 피천공판(30)을 대판(a)위에 재치하여 스코오프(5)를 보면서 천공위치를 합치시킨후에 스위치(1)를 온(ON)으로 하면, 에어실린더(7)에 의하여 압압용 바아(8)가 하강하여 피천공판(30)을 눌러서 지지함과 아울러 에어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하여 그 로드(25')가 후퇴해서 작용레버(24)를 개재하여 작동아암(15)을 좌우로 회전시켜서 펀치(23)가 천공중심위로 이동하고, 그 위치결정이 확인된 다음에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송기구(19)로 압축공기가 송입되어서 승강축(14)이 하강하며, 그것에 의하여 작동아암(15)과 함께 펀치(23)가 하강해서 피천공판(30)에 천공한다.
그리고 작동아암(15)의 하한위치가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검출되었을 때에 송기용 구멍(20)에 압축공기가 송입되어서 승강축(14)이 상승하고, 이어서 에어실린더(25) 및 (7)이 복귀하여 작동아암(15)이 반대방향으로 좌우로 회전해서 펀치(23)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누름용 바아(8)가 상승하여 1회의 천공동작이 완료한다.
계속하여 피천공판(30)을 이동시켜서 다음의 천공위치를 위치맞춤하여 동일한 동작으로써 차례로 천공을 행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천공 대판위에 천공중심을 검출하는 스코오프를 가설하고, 이 스코오프에 의하여 피천공판의 천공위치를 천공중심과 위치합치시키므로 천공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또, 스코오프와 대판과의 사이에서 천공구를 좌우로 회전하고 또한 승강동작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하므로 천공할때에 천공구를 스코오프 아래로 이동시켜서 스코오프의 동일 면위에 설치하는데 지장없이 천공동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천공구를 천공중심위에 위치결정하는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천공구의 위치결정하는 정밀도는 높고, 상기한 스코오프를 사용한 피천공판의 위치결정조작과 아울러 높은 정밀도의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기대한 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천공대판(a)위에 천공중심을 검출하는 스코오프(5)를 가설하고, 그 스코오프와 대판과의 사이에서 천공구를 천공중심위에 위치결정하는 수단이 스톱퍼(27)와 로울러(26)를 설치한 천공장치.
KR2019810007994U 1981-05-29 1981-11-26 천공장치 KR8600024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79670U JPH0118318Y2 (ko) 1981-05-29 1981-05-29
JP?56-79670 1981-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68U KR830002068U (ko) 1983-11-14
KR860002493Y1 true KR860002493Y1 (ko) 1986-09-30

Family

ID=1369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994U KR860002493Y1 (ko) 1981-05-29 1981-11-26 천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18318Y2 (ko)
KR (1) KR860002493Y1 (ko)
DE (1) DE3151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1061A1 (zh) * 2017-08-31 2019-03-07 胡泽熙 热刀冲切汽车扶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51934A1 (de) 1982-12-16
KR830002068U (ko) 1983-11-14
JPH0118318Y2 (ko) 1989-05-29
JPS57193398U (ko) 198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7091A (en) Terminal applicator
US5454336A (en) Work-sheet retainer including apertured support plate
KR860002493Y1 (ko) 천공장치
JP4376951B1 (ja) プレ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レス方法
US4067273A (en) Device for cutting and inserting a strip beneath the presser foot of a sewing machine
JPH08323076A (ja) 自動ミシン用たたみ機
JP3524263B2 (ja) 自動裁断機における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JP2001341099A (ja) 穿孔装置
US3677121A (en) Printing plates in registry
JPH04227297A (ja) 工業用ミシンの縫い込み場所へのラベル送り装置
CN210754567U (zh) 一种汽车外壳冲压模具
JP3091826B2 (ja) 多層基板のピン打ち方法
KR960002618Y1 (ko) 모자 구성부재의 아이릿(eyelet) 재봉기에 있어 소재이송장치
KR920010772B1 (ko)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JP3125462B2 (ja) ミシンの補助ラベル供給装置
KR200389572Y1 (ko) 자수기의 스팽글 공급장치
KR890002715Y1 (ko) 인쇄판 핀 펀처의 이동식 펀칭 헤드 거치장치
CN219924612U (zh) 控制柜定位打孔装置
CN218588292U (zh) 一种服装开孔设备
JP3382531B2 (ja) ポケットセッター及びポケットの縫着方法
CN215628622U (zh) 一种缝纫机的拓展模块
JP2834875B2 (ja) 部品装着装置
JPS60242922A (ja) 部品取付け装置
JPH075932Y2 (ja) 多軸穿孔装置
JPH02198744A (ja) 印刷用の板に孔を明ける為の方法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