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72B1 -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 Google Patents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72B1
KR920010772B1 KR1019870007315A KR870007315A KR920010772B1 KR 920010772 B1 KR920010772 B1 KR 920010772B1 KR 1019870007315 A KR1019870007315 A KR 1019870007315A KR 870007315 A KR870007315 A KR 870007315A KR 920010772 B1 KR920010772 B1 KR 92001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punch
hole
freel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06A (ko
Inventor
마사까즈 가끼모도
Original Assignee
우시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사까즈 가끼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사까즈 가끼모도 filed Critical 우시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772B1/ko
Publication of KR89000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천공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동측면도.
제4도는 작업테이블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평면도.
제5도는 펀칭유닛트부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배선기판의 정면도.
제7도는 제2발명을 실시한 펀칭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펀칭유닛트의 종단 정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8도의 IX-IX선 단면도로서, 제9도는 록크(Lock) 열린 상태, 제10도는 록크 상태.
제11도는 승강기구를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지지간 상반부의 종단면도.
제12도는 펀치와 다이스 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천공장치 B : 펀칭유닛트
C : 배선기판(피가공물) a-1,a-3 : 천공위치
b : 펀치 b´ : 다이스
g : 승강기구 1 : 작업테이블
2 : 유지틀 3 : 이동기구
4 : 제어부 6 : 지지간
7 : 승강피스톤 17 : 부착구멍
본 발명은 박판상태 물체를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의 펀칭유닛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선기판이나 가용성 필름 및 금속박등의 박판상태의 물체의 소정위치에 환형, 각형 및 타원형의 구멍을 뚫게 하는 천공장치는, 박판상태의 피가공물을 올려놓게 하는 작업면상에 있어서 각 천공위치의 바로 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원하는 형상의 구멍을 뚫는 펀치를 장착한 복수의 펀칭유닛트를 각각 고정한 구성이다.
상기한 천공장치로서 박판상태의 물체에 펀칭하려면, 작업면상에 피가공물을 올려 놓은 후에 각 펀칭유닛트의 펀치를 동시에 강하시켜 펀칭해서, 상기한 피가공물의 소정위치에 소정형상의 구멍을 뚫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천공장치는 각 펀칭유닛트를 피가공물의 천공위치의 바로 위에 고정해 버리는 것이 되므로, 구멍의 형상이나 천공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기존의 펀칭유닛트를 떼어 내어 새로운 배치로 바꿀 필요가 있고, 이 펀칭유닛트의 배치바꿈에 의한 시간낭비는 작업능률을 대폭 저하시키고 있다.
또, 상기한 천공장치에 쓰이는 펀칭유닛트는 펀치의 교환을 단시간에 하지 못하므로, 펀치만을 다른 형상의 것과 교환하였을때에도 펀칭유닛트마다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제1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펀핑하는 구멍의 형상이나 천공위치의 변경에 대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펀칭유닛트에 장착되는 펀치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발명이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하는 수단은, 작업테이블 위에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각각에 서로 다른 형상의 펀치와 다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펀칭유닛트와, 박판상태의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틀을 지지하고, 그 유지틀을 상기한 작업테이블 위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피가공물의 천공위치 및 펀치의 형상을 입력해서, 이 데이터에 입각하여 전기한 이동기구와 펀칭유닛트의 작동을 제어하고, 피가공물의 천공위치를 소정의 펀칭유닛트의 펀치 바로 밑으로 이동시켜 펀칭시키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이다.
제2발명이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하는 수단은, 대략
Figure kpo00001
꼴 형상으로 형성한 지지간의 윗변부에 승강피스톤을 갖춘 승강기구를 같은 윗변부를 따라 이동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지지간 상변측 끝부분에 뚫어 설치한 부착구멍에 펀치를 승강등이 자유자재롭게 그리고 빼냄과 꽂아넣음이 자유롭게 끼워 만들고, 이 펀치후단에 전기한 승강피스톤을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접속하고, 그리고 지지간하변측단에는 상기한 펀치에 대응하는 다이스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한 것이다.
전기한 바와 같이 제1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천공위치 및 펀치의 형상 구멍의 형상)의 데이터에 입각하여, 이동기구와 각 펀칭유닛트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기구는, 피가공물을 유지한 유지틀을 작업테이블 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피가공물의 천공위치를, 설정한 형상의 펀치를 장착하고 있는 펀칭유닛트의 펀칭 바로 아래로 순차이동시켜, 그리고 선택된 펀칭유닛트는 피가공물의 천공위치가 펀치 바로 밑으로 이동하였을때에 펀치를 강하시켜 상기한 천공위치에 구멍을 꿰뚫어 구멍을 낸다.
제2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승강피스톤을 강하시키면 그 승강피스톤에 접속된 펀치가 부착공에 지지되어 강하하고, 펀치선단에서 다이스 위에 올려 놓은 피가공물을 꿰뚫어 구멍을 낸다.
그후 승강피스톤이 상승하여 펀치로 상승한다. 그리고 펀치는 승강피스톤과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승강기구를 상변부를 따라 후방에 이동시키면 부착구멍내에서 상방으로 빼냄과 꽂아 넣음이 가능하고, 그리고 또 역공정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또 다이스는 지지간 하변측 끝부분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지지된다.
제1발명은 이상과 같은 것으로써 이하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성취한다.
제어부에 필요로 하는 복수종의 펀칭작업에 관한 천공위치에 펀치 형상의 데이터를 미리 입력하여 둠으로써, 천공위치나 구멍의 형상의 설정이 서로 다른 펀칭작업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다음에 예정하고 있는 펀칭작업을 즉시로 계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서 종래의 천공장치가 필요로 하고 있든 펀칭유닛트의 교환작업을 위한 노력과 시간낭비를 일체없이 할 수가 있다.
가공물에 천공하는 같은 형상의 구멍끼리는 한 개의 펀칭유닛트로 차례로 펀칭하도록 한 것인데, 필요한 형상의 펀치를 장착한 펀칭유닛트를 한 개씩 설치하는 것으로써 소정의 펀칭작업을 전부 행할 수가 있고, 펀칭유닛트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제2발명은 이상과 같은 펀치 및 다이스를 간단한 작업으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구성한 것이므로, 펀치 및 다이스의 교환이 단시간내에 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이들의 유지를 자유롭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제1발명 및 제2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서 나타낸 (A)는 제1발명을 실시한 천공장치이고, 홈판형상의 물체, 예를들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기판(C)이나, 가용성필름, 금속박등에 소정위치에 환형이나 각형,타원형 등의 구멍(c)을 뚫게 하는 것이다.
천공장치(A)는 작업테이블(1)위에 복수개 병열시켜 설치한 펀칭유닛트(B1)-(B6)와, 배선기판(C)를 유지하는 유지틀(2)을 지지하고, 이 유지틀(2)을 작업테이블(1)면상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기구(3)와, 상기한 이동기구(3)와 각 펀칭유닛트(B1)-(B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로부터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4)를 제외한 각 구성은 기반(5)위에 설치되는 것이고, 기반(5)위에 작업테이블(1)를 수평상으로 장치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2발명의 펀칭유닛트(B1)-(B6)를 고정한다.
펀칭유닛트(B1)-(B6)는 제5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02
형으로 형성한 지지간(6)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상이 다른 펀치(b) 및 다이스(b´)를 갖추고, 승강피스톤(7)에 의하여 펀치(b)를 강하시켜, 그 펀치(b)와 다이스(b´)의 사이에 끼워 넣은 배선기판(C)에 각 펀치(b)와 동형의 구멍(c)을 뚫게 하는 것이고, 각 펀칭유닛트(B1)-(B6)를 포개어 맞추어 병렬하고, 이들에게 장착되는 펀치(b1)-(b6)의 축심부를 작업테이블(1)위의 중앙에서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병렬시켜 있다. 펀칭유닛트(B1)-(B6)로서 펀칭하는 배선기판(C)은 창틀 모양으로 형성한 유지틀(2)상에 동틀(2)내의 개구(2a)를 덮히도록 올려 놓고, 그 주위를 조편(2b)으로 집어 갖게 함으로써 유지틀(2)위에 유지한다.
상기한 유지틀(2)은 이동기구(3)의 클램프(8)에 의하여 클램프되고, 작업테이블(1)면상에서 수평상으로 지지된다.
이동기구(3)는 상기한 클램프(8)를 X축 방향으로 보내는 횡송대(3a)와, 그 횡송대(3a)를 지지하여 Y축 방향으로 보내는 종송대(3b)로 부터 구성하고 있다.
횡송대(3a)는 대본체(9)에 의하여 클램프(8)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클램프(8)동면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8a)를 대본체(9)내에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지지한 X축 나사(10)에 나사맞춤하고, 그 X축 나사(10)를 대본체(9) 한 끝에 장치한 X축 모우터(11)에 의하여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종송대(3b)는 기반(5)위에 설치하고,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로이 지지한 슬라이드(12)(12)를 갖추고, 이 양 슬라이드판(12)(12)에 의하여 전기한 횡송대(3a)를 지지함과 동시에 횡송대(3a) 중앙에 Y축 방향으로 향하여 관통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나사구멍(13)에, 기반(5)에서 축받이한 Y축 나사(14)를 나사맞춤하고, 이 Y축 나사를 기반(5)에 고정한 Y축 모우터(15)에 의하여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선기판(C)을 유지한 유지틀(2)은, 그 유지틀(2)을 클램프하는 클램프(8)를 X축 모우터(11)의 회동에 의하여 대본체(9)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함과 동시에, 상기한 대본체(9)를 Y축 모우터(15)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작업테이블(1) 면상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각은 펀칭유닛트(B1)-(B6)와 이동기구(3)의 X축 모우터(11) 및 Y축 모우터(15)는 제어부(4)(마이크로 컴퓨터)와 연계하고 있다.
제어부(4)는 입력된 천공위치 및 펀치(b1)-(b6)형상(구멍형상)의 데이터에 입각하여, 각 펀칭유닛트(B1)-(B6)의 작동과 이동기구(3)의 X축 모우터(11) 및 Y축 모우터(15)의 시동정지를 제어하는 것이다.
천공위치의 데이터는 작업테이블(1)위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병열되는 각 펀치(b1)-(b6)열의 연장선상에 설치한 옵셋용 현미경(16)에 의하여 행한다.
천공위치와 펀치형상의 입력을 행함에는, 배선기관(C)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동기판(C)의 각 천공위치를 옵셋용 현미경(16)에 의하여 행한다.
천공위치와 펀치형상의 입력을 행함에는, 배선기판(C)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동기판(C)의 각 천공위치를 옵셋용 현미경(16)의 중심에 순차로 맞추어가면서 입력함과 동시에, 각 천공위치에 천공하는 천(穿)의 형상, 즉 이들 천을 꿰뚫는 펀치(b1)-(b6)를 갖춘 펀칭유닛트(B1)-(B6)를 선택하여 입력해 나가는 것이다.
또 제어부(4)에는 옵셋용 현미경(16) 중심과 각 펀치(b1)-(b6) 중심과의 위치관계를 기초로 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현미경(16) 중심에서 입력된 각 천공위치를, 소정형상의 구멍을 뚫은 펀치(b1)-(b6) 바로 아래까지 순차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각 천공위치를 소정의 펀치(b1)-(b6)의 바로 아래로 순차이동시켜, 이들 천공위치가 소정의 펀치(b1)-(b6) 바로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에 그 펀치(b1)-(b6)를 갖춘 펀칭유닛트(B1)-(B6)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있다.
더우기 제어부(4)에는 천공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복수종류의 배선기판(C)의 천공위치와 구멍형상(펀치형상)의 데이터를 미리 입력해 놓는 것이고, 작업할때에는 목적으로 하는 배선기판(C)의 프로그램을 선출하고, 이 프로그램에 따라 펀칭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선기판(C)을 보기로 하여 천공위치 및 펀치(b1)-(b6) 형상의 입력과 펀칭작업시에 있어서 각 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배선기판(C)을 유지틀(2)에 정확히 장착한 후, 이동기구(3)를 순조작하여 배선기판(C)을 작업테이블(1)위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서, 도면에 표시한 환공(d)의 천공위치(a-1)를 옵셋용 현미경(16)의 아래까지 이동시킨다(제4도).
그리고 옵셋용 현미경(16)을 들여다 보면서 이동기구를 미동시켜, 천공위치(a-1)를 현미경(16) 중심에 정확히 맞추고, 이 상태에서 제어부(4)에 천공위치(a-1)를 입력한다.
상기한 천공위치(a-1)와 같은 요령으로 천공위치(a-2)-(a-3)에도 입력한 후, 각 천공위치(a-1)에 환공(d)을 천공시키는 펀칭유닛트로서 환공(d)의 펀치(b1)를 장착한 펀칭유닛트(B1)을 입력한다.
그런후 소환공(e)와 각공(f)의 각각의 천공위치(a-2)(a-3)와, 상기 양 구멍(a-2)(a-3)을 펀칭하는 펀칭유닛트(B2)(B3)를 마찬가지로 입력하는 것이다.
펀칭작업을 행하는데는 펀칭전의 배선기판(C)을 유지틀(2)에 장착한후, 제어부(4)에 의하여 상기한 데이터를 입력한 프로그램을 출발시킨다.
그리고, 이동기구(3)는 제어부(4)에 제어되며, 배선기판(C)을 작업테이블(1)위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드시켜, 천공위치(a-1)를 펀칭유닛트(B1)의 환공펀치(b1)의 바로 아래로 이동시킨다.
그 직후, 제어부(4)는 펀칭유닛트(B1)의 승강피스톤(7)을 작동시켜, 환공펀치(b1)을 강하시킨다.
환공펀치(b1)가 강하되면 다이스(b′1)상에 위치하는 기판(C) 천공위치(a-1)가 환공펀치(b1)에 의하여 꿰뚫린다.
이후 배선기판(C)을 슬라이드 시키면서 상기한 환공펀치(b1)의 바로 아래에 각 천공위치(a-1)를 차례로 이동시켜 환공(d)을 펀칭하여 간다.
다음에 배선기판(C)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서, 펀칭유닛트(B2)의 소환공펀치(b2)의 바로 아래에 천공위치(a-2)를 이동하여 소환공(e)을 천공하고, 그리고 또 펀칭유닛트(B3)의 각공펀치(b3)의 바로 아래에 천공위치(a-3)을 이동시켜 각종(f)을 천공시켜 전작업공정이 완료한다.
또 상기한 배선기판(C)의 작업에 계속하여 별도의 배선기판의 펀칭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에 입력한 당해 배선기판의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펀칭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더우기 배선기판의 천공위치를 소정의 펀치 바로 아래로 이동시키려면 X축, Y축 양 모우터(11)(15)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천공위치를 비스듬히 슬라이드시켜 펀치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시켜도, 또는 천공위치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따로따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이동시켜도 좋은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천공장치(A)에 사용한 제2발명의 펀칭유닛트(B)를 제7도-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8도에서 표시하는 펀칭유닛트(B)는 대개 그 꼴 형상의 지지간(6)의 상변부에 승강피스톤(7)를 갖춘 승강기구(g)를 설치함과 동시에, 지지간 상변측단부에 뚫어 설치한 부착구멍(17)에 상기한 승강피스톤(7)에 의하여 승강하는 펀치(b)를 끼워 만들고, 그리고 지지간(7) 하변측단에는 상기한 펀치(b)선단에 대응하는 다이스(b′)를 장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지지간(6)은 소정두께의 강판을 대개
Figure kpo00003
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그의 상단부에 따라 승강기구(g)를 끼워 맞춤하는 도브레일(dovetail)(18)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간(6) 상변측단에 펀치(b)를 끼워 넣은 부착구멍(17)을 관통상으로 뚫어 설치하고, 그리고 지지간(6) 하변측단에 있어서 상기한 부착구멍(17) 바로 밑에는 다이스(b′)의 지지도구(19)를 끼워 넣는 감삽공(20)을 뚫어 설치한다. 또 지지간(6)의 하변에 따라 T홈(21)을 오목하게 설치하고, 이 T홈(21)을 천공장치(A)의 기반(5)위에 설치한 단면 T형의 고정레일(22)에 끼워맞춤으로써, 지지간(6)을 기반(5)위의 소정위치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로이 장치한 것이다.
더우기 지지간(6)의 도브레일(17)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긴구멍(23)을 뚫어 설치하고, 이 긴구멍(23)내에 캠축(24)를 끼워만듬과 동시에, 도브레일(18)의 상면에 설치한 개구(25)로부터의 안으로 들어 보낸 록크편(26)을 상기한 캠축(24)의 캠부(24a)위에 올려 놓고(제9도), 제11도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기한 캠축(24)을 전용공구(i)에 의하여 회동시킴으로써, 록크편(26)이 캠부(24a)로서 눌러 올리고, 도브레일(18) 상면의 개구(25)보다 상방에 돌출하도록 이룬다.
지지간(6) 상변부에 설치하는 승강기구(g)는, 승강기구 본체(27) 내부에 승강피스톤(7)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동본체(27)의 밑면에는 도브레일 홈(29)를 오목하게 설치하고, 이 도브레일 홈(29)을 전기한 지지간(6) 상변부의 도브레일(28)에 끼워 맞춤으로써, 동본체(27)가 소정의 부착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부착위치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도록 이룩한다.
또 승강기구 본체(27)가 부착위치에 있을 때, 캠축(24)을 회동시켜 록크편(26)을 눌려 올림으로써 동본체(27)은 부착위치에 록크되어(제10도), 또 캠의 축을 역회전시켜 록크편(26)을 내림으로써 록크가 해제된다(제9도).
승강기구 본체(27)에 있어서 펀치(b) 곧바로 위에는 승강피스톤(7)을 수직상으로 내설하고 있다.
승강피스톤(7)은 상승용 피스톤(7a)와 강하용 피스톤(7b)의 두 개의 피스톤을 연결축(7c)에서 연결하여 구성하고, 이 양 피스톤(7a)(7b)을 각각 다른 실린더(28a)(28b)내에 끼워 만들고, 양 실린더(28a)(28b)에 연통시킨 급배기공(29) 및 (29b)로부터 압착공기를 공배기함으로써 상기한 승강피스톤(7)이 상강 및 강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승용 피스톤(7)에는 실린더(28a)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충지핀(30)을 부설함과 동시에 그 충지핀(30)의 선단을 조정나사(31)에 맞닿게 하여, 상기한 조정나사(31)를 돌려서 상하시킴으로써 승강피스톤(7)의 상승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강하용 피스톤(7b)의 하면에는 제11도, 제12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쇠붙이(32)를 부착한다.
이 접속쇠붙이(32)는 강판을 대략
Figure kpo00004
형상으로 굴곡시켜 그 선단에 두 갈래부(32a)를 형성하여 이루고, 강하용 피스톤(7b)의 하면에 나사맞춤하여 부착한다.
승강피스톤(7b)의 바로 아래에 뚫어 설치하는 부착구멍(17)에는 통상으로 또 주면에 소정수의 분출구멍(33a)을 뚫어 설치한 축받이(33)를 끼워 만듬과 동시에, 이 축받이(33)내에는 축상의 펀치(b)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만든다.
그리고 도면에 표시하지 아니한 압착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착공기를 급기통로(34)로부터 축받이(33) 주면의 간격(35)내에 공급한다. 간격(35)에 공급된 압착공기는 각 불출구멍(33a)으로부터 펀치(b) 바깥둘레면과 축받이(33) 내주면간의 틈새에 날아 들어 가게 되고, 그 축받이(33) 양끝에서 외부에 배출된다.
따라서, 펀치(b)는 펀치 외주면과 축받이(33) 내주면 사이의 간격에 생기는 압착공기막에 의하여 축받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펀치(b)는 축상의 펀치본체(b1)이 선단에 목적으로 하는 구멍을 꿰뚫는 내리누르고 자르는 칼날(b2)을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붙임과 동시에 이 내리누르고 자르는 칼날(b2)의 주위를 덮도록 실리콘 고무재의 누르는 부재(b3)를 끼워 붙이고, 그리고 후단측의 주면에는 끼워맞춤 홈(b4)을 오목하게 설치하여 이룬다.
상기한 펀치(b)의 후단에는 연결판(36)의 일단을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맞춤과 동시에, 그 연결판(36)의 다른 끝에 가이드축(37)을 끼워 붙여서, 펀치(b)와 가이드축(37)을 평행으로 유지하고, 그리고 또 가이드축(37)을 부착하는 구멍(17)의 측쪽으로 끼워 붙여 슬라이드 베어링(38)에 끼워넣음으로써, 펀치(b)가 상기한 가이드축(37)에 가이드 되어서 축받이(33)의 중심에 따라서 승강하도록 하고 있다.
축받이(33)내에 끼워 만든 펀치(b)의 후단을 강하용 피스톤(7b)의 하면에 접속함에는 후퇴시켜 놓은 승강기구(g)를 부착위치에 향하여 슬라이드하면서, 강하용 피스톤(7b) 하면에 나사식 붙이기 한 접속 쇠붙이(32)의 두 갈래부(32a)내에, 펀치(b) 후단의 끼워맞춤 홈(b4)를 끼워 맞추어 길이한후, 결합쇠붙이(32)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펀치(b) 단부가 강하피스톤(7b) 아랫면에 압압될때까지 심하게 조르는 것이다.
펀치(b)가 환공 이외의 경우에는, 그때에 펀치(b)의 원주방향의 각도를 조정하면서 접속한다.
펀치(b)를 강하용 피스톤(7b)에 접속하였다 하면 전용공구(i)로 캠축(24)를 회동하고 상기한 이동기구(g)를 장치위치에 록크한다.
또 펀치(b)의 교환이나 정비의 경우에는, 상기한 록크를 개방하고, 접속쇠붙이(32)를 늦춘후에 이동기구(g)를 후퇴시켜 펀치(b)를 상방으로 빼내는 것이다(제11도).
펀치(b)에 대응하는 다이스(b′)는 제7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구(19)의 대판부(19a)에 뚫어 설치한 다이스 장착구멍(19c)에 부착 및 떼내는 것이 자유로이 끼워 만들고, 그 지지구(19)의 관상부(19b)를 지지간(6) 하변측이 끝부분에 뚫어 설치한 끼워 넣음 구멍(20)에 끼워 놓고, 다이스(b′)를 펀치(b) 아래로 장착한다.
지지구(19)의 관상부(19b)는 상기한 끼워 넣음 구멍(20)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하고, 같은 끼워 넣음 구멍(20)내에서 지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로써 펀치(b)의 누르고 자르는 칼날(b2)과 다이스(b′)가 정확히 끼워맞추는 위치까지 지지구(19)를 슬라이드 하도록 한다.
위치를 정한 지지구(19)은 후술하는 록크기구(h)에 의하여 지지간(6)에 대하여 록크하는 것이다.
록크기구(h)는 지지간(6) 하변부에 오목하게 설치한 공간내에 내설하는 것으로써, 두장의 완판(39)(39)을 지축(40)에 의하여 축받이하고, 완판(39)(39) 선단을 가늘게 좁혀서 걸어맞춤부(39a)를 형성함과 동시에, 완판(39)(36) 후단측에 캠축(41)의 캠부(41a)를 끼워 맞춤과 동시에 같은 축(41) 양끝을 지지간(6) 본체로 지지한다.
상기한 걸어 맞춤부(39a)를 지지구(19)의 관상부(19b) 하단에 나사맞춤시킨 걸어두는 나사(42)(42′) 사이에 찔러 넣고, 캠축(41)을 회동함으로서 걸어맞춤부(39a)가 관상부(19b)를 끌어 내리고, 대판부(19a)가 지지간(6)의 끼워 넣는 구멍(20) 둘레의 부재에 압압되어 록크되는 것이다.
더우기 지지구(b)에 환공이외의 다이스(b′)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이스(b′)의 위치맞추기와 더불어 원주방향의 각도 조정을 한 후에 록크하는 것이다.
제5도는 상기한 구성의 펀칭유닛트(B)를 기반(5)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펀치가공하는 배선기판(C)은 지지틀(2)에 장착하고, 다이스(b′)위에서 유지하고, 천공위치를 펀치(b) 바로 아래로 세트한다.
다음에 펀치(b)를 강화시켜 배선기판(C)의 천공장치를 펀치(b)의 내리누르고 자르는 칼날(b2)에 의하여 꿰뚫어 구멍을 낸다.
이때 배선기판(C)은 펀치(b) 선단의 누르는 부재(b3)에 의하여 다이스(b′)위에 눌러 부착하게 되는 것이므로, 내리누르고 자르는 칼날(b2)에 의하여 꿰뚫히는 경우에 접촉함이 없어, 깨끗한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뚫을 수가 있다.
상기한 펀칭유닛트(B)는 펀치(b) 및 다이스(b′)의 부착 및 떼어내기가 간편함과 동시에, 펀칭유닛트(B) 자체를 천공장치(A)의 기반(5)에 수직상태로 고정하고, 그리고 떼어낼 수가 있으므로 펀칭유닛트(B)의 교환이나 위치바꿈이 간단하고, 유지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다이스(b′)의 위치맞추기 및 각도조정도 간편하고, 그리고 정도가 좋게 행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한 펀칭유닛트(B)는 종래 구성의 천공장치에도 물론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작업테이블(1)위에 복수개 병열시켜 설치하고, 각각에 서로 다른 형상의 펀치(b)와 다이스(b′)를 장착하는 펀칭유닛트(B)와 박판상태의 피가공물을 유지하는 유지틀(2)을 지지하고, 그 유지틀(2)를 상기한 작업테이블(1)위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3)와 피가공물의 천공위치(a-1)-(a-3) 및 펀치(b)의 형상을 입력하고, 이 데이터에 입각하여 전기한 이동가구(3)와 펀칭유닛트(B)의 작동을 제어하고, 피가공물의 천공위치(a-1)-(a-3)를 소정의 펀칭유닛트(B)의 펀치(b) 바로 아래로 이동시켜 펀칭시키는 제어부(4)와 이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2. 대략
    Figure kpo00005
    꼴 형상으로 형성한 지지간(6)의 상변부에 승강피스톤(7)을 갖춘 승강기구(g)를 동상변부에 따라 이동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지지간(6)의 상변측 끝부분에 뚫어 설치한 부착구멍(17)에 펀치(b)를 승강동 자유롭게 그리고 빼냄과 꽂아넣음이 자유롭게 끼워만들고, 이 펀치(b) 후단과 전기한 승강피스톤(7)을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접속하고, 그리고 지지간(6) 아랫측 끝에는 상기한 펀치(b)에 대응하는 다이스(b′)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KR1019870007315A 1987-07-08 1987-07-08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KR92001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315A KR920010772B1 (ko) 1987-07-08 1987-07-08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315A KR920010772B1 (ko) 1987-07-08 1987-07-08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06A KR890001706A (ko) 1989-03-28
KR920010772B1 true KR920010772B1 (ko) 1992-12-17

Family

ID=1926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315A KR920010772B1 (ko) 1987-07-08 1987-07-08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8776B3 (de) * 2003-06-25 2005-01-27 Groz-Beckert Kg Stanzvorrichtung für flächige Gegenstände
CN107322679A (zh) * 2017-08-08 2017-11-07 苏州维信电子有限公司 柔性电路板冲孔机及冲孔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06A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7683A (en) Punching device for thin plates and punching units used with punching device
US5224915A (en) Punch press with dual tool changing assemblies and method of punching
CN211614013U (zh) 一种自动化冲孔装置
KR920010772B1 (ko)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유닛트
JPH0866837A (ja) 位置合わせ装置および位置合わせ方法
JP2003230922A (ja) 金型交換装置
JP2003025284A (ja) 高速cncパンチング装置
CN210060539U (zh) 一种锁芯打孔机
CN211679543U (zh) 一种用于微波天线压条的冲孔设备
CN113579781A (zh) 基于数控机床的数控夹具自动更换装置及其使用方法
CN220697984U (zh) 一种带有定位结构的冲孔机
JPS60130428A (ja) プレス機用型交換装置
JP2515611Y2 (ja) 自動交換用可変段曲げ金型
CN220547894U (zh) 全自动方孔圆孔打孔机
CN220112090U (zh) 一种旋转冲孔模具
CN215545043U (zh) 一种生产高铁配件的机械设备工装
CN218253517U (zh) 一种激光打孔机
CN217452189U (zh) 一种机械零件加工用钻孔装置
CN108788778B (zh) 用于铝型材钻孔的多位置定位工作台及定位方法
CN219767525U (zh) 一种工件自动输送机构
CN114425577B (zh) 一种五金冲压机械人输送系统
CN217046164U (zh) 一种凸轮分割器滚子辅助组装治具
CN217393560U (zh) 一种可拆卸定位上料机构及冲切设备
CN219705476U (zh) 一种服装加工开孔设备
CN219465508U (zh) 一种螺钉加工用固定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