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213B1 -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213B1
KR860002213B1 KR1019830003963A KR830003963A KR860002213B1 KR 860002213 B1 KR860002213 B1 KR 860002213B1 KR 1019830003963 A KR1019830003963 A KR 1019830003963A KR 830003963 A KR830003963 A KR 830003963A KR 860002213 B1 KR860002213 B1 KR 86000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station
signal
command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14A (ko
Inventor
아끼라 다께야마
겐시 다자끼
사또시 노지마
노리히로 아리다까
데루요시 미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 가이샤
야마모도 다까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 가이샤, 야마모도 다까마사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04B1/74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using by-passing or self-heal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04L1/242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 H04L1/243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at the transmitter, using a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일부분에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각 스테이션의 상태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제2d도는 제2a도에 보여진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표.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 시스템의 다른 일부분에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각 스테이션의 상태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제3b도는 제3a도에 보여진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표.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또 다른 부분에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각 스테이션의 상태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제4b도는 제4a도에 보여진 부분에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표.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시스템에 사용된 노우드 스테이션의 제어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6도, 제7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제5도의 제어회로에 사용된 전송선 스위칭회로, 루우프-백제어회로 및 명령수신회로의 구체적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회로도.
본 발명은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루우프전송조건을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특히 시스템에서 이중전송선이 고장이 날 경우에 두 개의 이중 전송선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이중전송선으로의 루우프-백경로가 단시간 내에 형성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루우프전송 시스템인 제1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ND1,ND2,ND3 등) 및 감시 스테이션(SV)은 이중전송선(TL1,TL)에 의해 상호간에 접속되며, 신호는 이중 전송선(TL1,TL2) 및 감시스테이션(SV)을 통하여 역방향으로 전송된다.
정상상태에서 이중 전송선중의 하나, 예를들면 TL 1은 활동(active) 루우프, 즉 "0" 루우프로서 사용되며 다른 이중전송선, 즉 TL2는 예비루우프, 즉 "1"로서 사용된다. 만약 단지 2중의 전송선(TL1)이 그것의 어느 지점에 고장이 날 경우에 감시스테이션(SV)은 고장을 감지하며 즉시 이중전송선을 스위치하여 예비전송선(TL2)이 활동루우프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각 노우트 스테이션 사이에 정상 통신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두 개의 루우프가 동시에 고장날 경우, 예를들어 두 개의 이중전송선(TL1,TL2) 양쪽이 동시에 단선될 경우에 활동전송선과 예비전송선 양쪽의 통신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고장이 검지될 때 감시스테이션(SV)은 전송선의 단부 양측의 노우드 스테이션에 있는 전송선의 입력측과 출력측을 접속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루우프-백, 즉 각 노우드 스테이션에 신호를 귀환하는 접속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속로는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보내온 명령을 해독하는 제어장치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동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양쪽방향의 전송선을 사용함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송경로에 의해서 통신하는 것은 소위 "루우프-백"이라고 불린다. 만약 통신선 중 하나 혹은 양쪽 모두가 고장이 날 경우에 감시 스테이션(SV)은 클록펄스의 교란, 수신된 프레임의 혼란 등으로부터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원거리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2노우드 스테이션 이에서 고장이 발생된 곳을 즉시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고장이 발생한 곳을 결정하기 위하여 노우드 스테이션은 순차적으로 감시스테이션 근처에 있는 노우드 스테이션(ND1)을 시작으로 검사된다.
즉 노우드 스테이션(ND1)이 우선 루우프-백 상태로 되도록 한다. 만약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노우드 스테이션(ND1)으로 송신된 신호가 감지스테이션(SV)에 정상적으로 귀환될 경우에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노우드 스테이션(ND1)까지의 전송루우프는 정상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때문에 노우드 스테이션(ND1)의 루우프-백 접속은 해제된다.
그후 노우드 스테이션(ND2)이 루우프-백상태로 되어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한 신호가 노우드스테이션(ND2)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거기에 귀환하는 여부가 검사된다. 다음에 다른 노우드스테이션이 순차적으로 루우프-백 상태로 되어 감시 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한 신호가 노우드 스테이션을 통하여 정상으로 귀환하는지가 검사된다.
만약 신호가 정상적으로 귀환되지 않을 경우 감스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한 신호가 정상적으로 귀환하지 않는 노우드 스테이션과 그 노우드 스테이션 바로전의 다른 노우드스테이션 사이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일시적으로 결정된다.
그후 감시스테이션(SV)은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 방향으로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을 검사하여 각 전송선의 고장 부분을 검지한다. 만약 전송선의 동일한 부분이 고장으로 검지될 경우에 고장부분 양측의 노우드 스테이션은 루우프-백 상태로 되어 통신은 양 루우프와 루우프-백경로의 전송선을 사용함에 의해서 다시 시작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루우프전송 사스템에서는 고장부를 검지하는 복합동작을 수행하는 것과특히 노우드 스테이션의 수가 많을 경우에 장시간 동안 통신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시스템의 상기한 결점을 제거하며 이중 전송선에 고장이 검지될 때 루우프-백 전송경로가 짧은 시간 안에 형성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노우드스테이션, 감시스테이션 및 반대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이중루우프 전송선으로 구성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전송시스템은 이중 루우프 전송선 양쪽에 고장이 동시에 검지될 때 이중 루우프 전송선 양쪽에 루우프-백 명령을 송출하고 각 노우드 스테이션은 루우프-백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다음의 노우드 스테이션에 접속을 유지하는 동안 루우프-백 경로를 설정하며 루우프-백경로는 감시스테이션이 루우프-백 명령을 송출한 후 노우드 스테이션에 해제명령을 송출한 때 이중 루우프 전송선 양쪽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된다. 제2a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시스템은 감시스테이션(SV) 및 이중전송선(TL1,TL2)에 의해 접속된 다수의, 예를 들어 4개의 노우드 스테이션(ND-A, ND-B, ND-C, ND-D)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단단자, 다수의 콤퓨터 시스템 등등은 각 노우드 스테이션에 접속되며 종단단자, 다수의 콤퓨터 시스템 등등 사이의 통신은 각 노우드 스테이션(ND-A 내지 ND-D) 및 전송선(TL1) 또는 전송선(TL2) 또는 양쪽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이 정상상태일 때 제1도의 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송선중의 하나 예를들어 TL1이 활동루우프, 즉 "0" 루우프로 사용되고 다른 전송선, 예를들어 TL2가 예비루우프, 즉 "1"루우프로서 사용된다.
만약 단지 전송선중의 하나, 예를들어 TL1만 어느 지점에 고장이 날 경우에 감시스테이션(SV)은 고장을 검지하고 즉시 전송선을 스위치하여 대기전송선(TL2)이 활동루우프로 사용된다. 때문에 각 노우드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a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만약 전송선(TL1,TL2) 양쪽 모두가 노우드 스테이션(ND-B, ND-C) 사이에서 동시에 고장이 날 경우에 루우프-백 경로는 노우드 스테이션(ND-B, ND-C) 사이에 설정된다.
즉 감시스테이션(SV)이 전송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상태로부터 양 루우프의 전송선상에 고장이 검지될 때 감시 스테이션(SV)은 양 루우프상에 루우프-백 명령(LB-0 ON, LB-1 ON)을 송출하며 상기 명령은 유효선송선을 경유하여 각 노우드스테이션에 의해 수신된다.
양 명령이 감시스테이션(SV)에 귀환할 때 감시스테이션(SV)은 시스템에 정상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만약 1명령이 감시 스테이션(SV) 귀환하지 않을 때에 감시스테이션은(SV)시 스템에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노우드 스테이션에 소정데이타 포맷으로 구성되는 명령(LB-0 ON 및 LB-1 ON)을 재송부한다.
명령(LB-0 ON, LB-1 ON)을 수신할 때 각 노우드 스테이션은 제2b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내에 전송선(TL1 및 TL2)을 접속하고 루우프-백 루우프를 설정한다.
그 결과 2개 루우프-백 루우프(SV→TL1→ND→B→TL2→SV 및 SV→시2→ND-D→ND-C→TL1→SV)가 제2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다.
제2b도에 있어서 시스템은 활동상태이며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반면에 만약 감시 스테이션(SV)에 어떤 명령도 귀환하지 않을 경우 감시스테이션(SV)은 시스템이 완전히 기능장애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에 루우프 백 재구성 상태에 있어서 감시스테이션(SV)은 상기 루우프 설정 동작의 완료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양루우프에 루우프-백 상태를 해제하는 명력(LB-0 OFF, LB-1 OFF)을 송부한다.
소정시간은 각 노우드 스테이션에서 루우프-백상태를 형성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제2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선(TL1)상에 루우프-백해제명령(LB-0 OFF)이 노우드 스테이션(ND-A)을 통하여 노우드 스테이션(ND-B)에 도달하며 그내에서 전송선(TL2)으로 루우프-백되며 노우드 스테이션(ND-A)으로 귀환한다. 따라서 노우드 스테이션(ND-A)은 노우드 스테이션(ND-B) 사이의 전송선(TL1과 TL2)이 정상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유사하게 전송선(TL2)상에 로우프-백 해제명령(LB-1 OFF)은 노우드 스테이션(ND-D)을 통과하여 노우드 스테이션(ND-C)에 도달하며 노우드 스테이션(ND-C)에서 전송선으로 루우프-백되며 노오드 스테이션(TL1)으로 귀환한다. 노우드 스테이션(ND-D)은 또한 노우드스테이션(ND-D)과 노우드 스테이션(ND-C) 사이의 전송선(TL1과 TL2)이 정상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 결과 노우드 스테이션(ND-A와 ND-D)은 그내에 접속선을 분리시킨다.
한편 노우드 스테이션(ND-B)은 전송선(TL1)상의 명령(LB-0 OFF)은 수신하나 전송선(TL2)상의 명령(LB-1 OFF)은 수신할 수 없으므로 따라서 노우드스테이션(ND-B)은 루우프-백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노우드 스테이션(ND-C)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루우프 구성이 설정된다. 그러므로 전 통신시스템은 제2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LB-0 OFF 명령에 기초한 "0"루우프와 LB-1 OFF 명령에 기초한 "1"루우프 양자를 포함하는 루우프회로와 노우드 스테이션(ND-B와 ND-C)에 형성된 루우프-백 경로로 구성된다. 이러한 루우프 전송 시스템의 상태는 시스템이 예를 들어 보수동작에 의해 재건될 때까지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통신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우프전송시스템에서 감시스테이션(SV)은 상기한 방법으로 루우프-백 상태를 형성하는 명령 및 해제하는 명령을 송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따른 시스템에서는 감시스테이션(SV)이 신호가 정상적으로 노우드 스테이션으로부터 귀환하는지를 검사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양 전송선(TL1,TL2)이 고장인 경우에 루우프-백 경로를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d도는 제2a도에 표시된 부분에 고장이 발생할 때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각 스테이션 및 기타의 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고장발생과 루우프-백 경로의 구성의 개시사이의 기간내에 감시스테이션(SV)은 전송클록펄스 등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함에 의해서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는지를 결정한다. 루우프 백을 개시할 때 전송선의 수신상태를 보여주는 제2d도의 행(roW)에 있어서 감시스테이션(SV)은 X로 표시한 양루우트의 신호의 비정상 상태를 검지한다.
감시스테이션(SV)은 클록펄스 및 프레임을 재발생하는 기능을 가지며 감시 스테이션(SV)을 통하여 통과된 신호는 정상적이 된다.
때문에 각 노우드 스테이션에서 "0"루우트가 정상상태(0으로 표시됨)이고 "1"루우트가 비정상상태(X로 표시됨)이거나 "0"루우트가 비정상상태이고 "1"루우트가 정상상태이다.
감시스테이션(SV)은 "0"루우트 및 "1"루우트 상의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에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는 명령을 송출한다. 제2d도에서 명령 "LB-0 ON"은 신호가 "0"루우트로부터 "1"루우트로 귀환되도록 루우트-백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노우드 스테이션에 단지 송신상태가 된 0으로 표시된 루우트에만 명령이 수신가능하기 때문에 루우프-백 경로는 정상 루우트를 통하여 수신된 명령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각 스테이션의 루우프-백상태는 제2d도에서 "동작"으로 표시된 행에 보여진 것과 같이 된다.
루우프-백 경로가 설정된 후 각 노우드 스테이션의 각 송신의 상태는 노우드 스테이션(ND-B)의 "1"루우트 및 노우드 스테이션(ND-C)의 "0"루우트가 이들 두 노우드 스테이션이 입력신호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X로 표시된 것을 제외한 "0"루우트 및 "1"루우트 모두가 정상으로 된다.
다음에 루우프 재구성 상태에 있어서 감시스테이션(SV)은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에 루우프-백 경로를 해제하는 명령을 동시에 송출한다.
명령 "LB-0 OFF"은 "0" 루우트로부터 "1"루우트로 개설된 루우프 경로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루우프 백경로를 해제하 는 명령 X로 표시된 루은우트상의 것들을 제외한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에 전송되어 일부 루우프-백 경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2c도에 보여진 상태가 얻어진다.
즉 노우드 스테이션(ND-B)에서 신호는 "1" 루우트를 경유하여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의 루우프-백 경로는 해제되지 않는다. 각 노우드 스테이션은 "0"루우트 및 "1"루우트의 입력신호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CT)를 갖고 있다.
제어회로(CT)의 회로상태 및 감시 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되 루우프-백 경로를 해제하는 명령에 따라서 각 노우드 스테이션은 그것의 루우프-백 경로가 해제되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 회로의 하아드 웨어 구조는 논리동작 회로를 사용함에 의해서 단순화될 수 있다(회로의 구조는 뒤에 상세히 기술된다).
여러 가지 상태에 따라서 루우프-백 경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루우프-백 경로는 감시 스테이션(SV)으를 부터 송신된 신호가 레벨에러 또는 클록펄스 에러없이 "0"루우트 및 "1"루우트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루우프-백 경로들을 해제하는 명령이 양 루우프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루우프-백경로들을 해제하는 동일한 명령이 양 루우트를 통하여 수신될 때 루우프-백경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하나의 루우프-백경로를 해제하는 명령이 한 루우트를 통하여 수신되고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다른 루우트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 루우프-백 경로를 해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루우프-백 경로는 제2c도에 보여진 것과 같이 고장부분의 양쪽의 노우드스테이션에 유지되며 새로운 통신 경로가 전시스템을 통하여 설정된다. 새로운 통신 경로를 사용함에 의해서 통신은 다시 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스테이션의 수신상태는 제2d도에 "루우프-백후"로 표시된 행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된다.
상기한 루우프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스테이션(SV)은 명령이 한 노우드 스테이션을 통하여 송신되어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짧은시간 내에 루우프-백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장상태의 다른예를 보여준다.
제3a도에 보여진 바와 같이 노우드 스테이션(ND-C, ND-D) 사이의 "0" 루우트 상의 전송선과 노우드스테이션(ND-B, ND-A) 사이의 "1" 루으트상의 전송선이 고장이다. 이 경우에 감시스테이션(SV)으로부터 송신된 두 명령(LB-0, LB-1)은 각 노우드 스테이션(ND-B, ND-C)에 의해 수신되기 때문에 적당하게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이들 노우드 스테이션(ND-B, ND-C)은 활동루우트를 통하여 수신된 명령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두명령(LB-0, LB-1)에 의해 초기설정된 동작들은 금지된다. 그러한 제어동작의 결과로서 최소한 노우드스테이션(ND-A, ND-D)에 헝성된 루우프-백 경로는 유지되며 노우드스테이션(ND-B, ND-C)은 통신시스템으로 부터 분리된다.
제4a 및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장상태의 3번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0"루우트는 노우드스테이션(ND-A, ND-B) 사이에 고장이 있으며 "1"루우트는 노우드스테이션(ND-D, ND-C) 사이에 고장이 있다.
이 경우에 감시스테이션(SV)으로 부터 송신된 명령은 노우. 스테이션(ND-B, ND-C)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이들 두 노우드 스테이션은 즉시 통신 시스템으로 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루우프 백-경로는 노우드 스테이션(ND-A, ND-D)에 형성되어 통신은 유지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다른 루우프전송시스템에 사용된 노우드 스테이션의 제어회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도에서 RV는 신호 수신증폭기 및 기타를 포함하는 수신부를 가리킨다. 만약 전송선이 광학섬유선으로 구성될 경우에 수신부(RV)는 광전트랜스 듀서를 포함한다.
LV는 자동레벨제어회로 또는 자농이득 제어회로 또는 그와 같은 것을 포함하는 레벨재생회로를 가리킨다. CSC는 수신된 신호로 부터 펄스를 동기하는 클록펄스 및 프레임을 추출하는 클록동기회로를 가리킨다.
TLC는 전송선 스위칭회로를 가리키며 그것의 구조는 추후 상세히 설명된다. DV는 신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송부 및 만약 전송선이 광학섬유선으로 구성된다면, 광전 트랜스듀서를 가리킨다.
LBC 및 CMR은 루우프-백 제어회로 및 명령수신회로를 각각 가리키며 이것은 추후 상세히 기술된다.
PU는 수신데이타 및 전송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이타처리부를 가리킨다.
제5도의 제어회로에서 "0"루우트 및 "1"루우트를 통한 전송선 입력의 정보는 대응하는 수신부(RV), 레벨재생회로(LV) 및 클록동기회로(CSC)를 경유하여 전송선 스위칭회로(TLC)로 입력된다.
각각의 레벨재생회로(LV)는 신호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적을경우 입력신호의 레별을 체크하여 루우프-백제어회로(LBC)에 공급되는 레벨 에러신호(ERL)를 출력한다. 각각의 클록동기회로(CSC)는 추출된 큰록펄스의 등기가 교란될 경우 루우프-백제어회로(LBC)에 공급되는 클럭에러신호(ERC)를 출력한다. 노우드단에 대해 필요한 정보는 전송선 스위칭 회로(TLC)에 있는 각 신호경로(path)로 부터 추출되어 데이타처리부(PU)에 전송된다. 전송데이타는 데이타처리부(PU)로 부터 전송선 스위칭 회로(TLC)에 공급되어 전송선내로 입력된다.
각 클럭동기회로(CSC)의 출력신호는 명령수신회로(CMR)에 공급된다. 전송선 스위칭회로(TLC)로 부터의 데이타출력은 전송부(DV)로 부터 다른 노우드단에 보내진다. 수신측상의 전송선들이 정상상태에 있는 한 감시단(SV)으로부터 보내진 상기 명령들(LB-0 ON, LB-0- OFF, LB-1- ON, LB-1 OFF)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명령들은 그 안에 명령들을 유지하고 루우프-백 제어회로(LBC)에 그들을 보내는 명령수신회로(CMR)에 의해 수신된다.
루우프-백 제어회로(LBC)는 레벨재생회로(LV) 및 클록동기회로(CSC)로 부터 입력된 에러신호(ERL-ERC) 및 명령수신회로(CMR)로 부터 입력된 수신명령들에 대해 논리적연산을 수행하며 그것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선 스위칭호로(TLC)에 루우프-백신호(LB-0 또는 LB-1)를 전송한다.
제6도는 전송선 스위칭회로(TLC)의 실제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0"루우트와 "1"루우트로 부터의 입력신호들은 신호 LB-0 및 LB-1을 사용함에 의해 회로(TLC)의 제1단에서 논리적으로 제어되어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며 스위칭작동은 "0"루우트로부터 "1"로우트와 그 반대의 루우프백 상태와 동일한 "0"루우트 또는 동일한 "1"루우트가 상호 연결되는 정상접속의 상태 사이에서 수행한다.
즉 만일 루우프백신호 LB-1과 LB-1이 둘다 로우(Low)일 경우 "0"루우트로 부터의 입력신호는 AND게이트(AG1) 및 OR게이트(OG1)를 통과하며 "1"루우트로 부터의 입력신호는 AND게이트(AG3) 및 OR게이트(OG2)를 통과한다. 만일 루우프백 신호(LB-1)가 하이(High)일 경우 "0"루우트로부터의 입력신호는 AND게이트(AG4) 및 OR게이트(OG2)를 통과하며, 만일 루우프백 신호(LB-1)가 하이(H)일 경우는 "1"루우트로부터의 입력신호는 AND게이트(AG2) 및 OR게이트(OG1)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루우프백 경로가 개설된다.
"0"루우트 또는 "1"루우트로 부터 데이타 처리부(PU)까지 추출된 정보의 전송과 데이타 처리부(PU)에서 "0"루우트 또는 "1"루우트까지의 정보의 전송은 AND게이트(AG5), (AG6) 및 OR게이트(OG3)로 구성되는 제2단 회로에 있어서 루우 스위칭신호(SRT)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루우트 스위칭신호(SRT)는 AND게이트(AG7 내지 AG10)및 OR게이트(OG4 및 OG5)러 이루어지는 제3단 회로를 제어한다.
만일 루우트 스위칭 신호(SRT)가 로우(L)일 경우 OR게이트(OG1)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AND게이트(AG7) 및 OR게이트(OG4)를 통과하여 "0"루우트에 전송된다. 이 상태에서 데이타처리부(PU)로 부터의 신호촐력은 AND게이트(AG10) 및 OR게이트(OG5)로 부터의 신호출력은 "1"루우트에 전송된다. 비슷하게 만일 루우트스위칭신호(SRT)가 하이(H)일 경우 OR게이트(OG2)로 부터의 신호출력은 "1"루우트에 전송되며, 데이타처리부(PU)로 부터의 신호출력은 0루우트에 전송된다.
제7도는 제5도의 회로에 사용된 루우프백 제어회로의 실제 구성을 나타낸다.
루우프-백 제어회로(LBC)는 AND게이트(AG11 및 AG12), OR게이트(OG6 및 OG7), 그리고 플립플롭회로(FF1 및 FF2)로 구성된다. 제7도에서 명령(LB-0 ON 또는 LB-1 ON)이 감시 스테이션(SV)으로 부터 보내질 경우 플립플롭회로(FF1 및 FF2)가 세트되어 루우프-백신호(LB-0 또는 LB-1)가 발생된다. 만일 명령(LB-0 OFF 또는 LB-1 OFF)이 감시 스테이션(SV)으로 부터 송부되고 어떤 고장(fault)도 검출되지 않을 경우, 플립플롭GHLFH(FF 또는 FF2)는 AND게이트(AG11) 및 (AG12)를 통해 서리세트된다. 고장, 즉 클록에러 또는 레벨에러가 검출되었을 때 OR게이트(OG6 또는 OG7)에 가해지는 클록에러신호(ERC) 또는 레벨에러신호(ERL)가 하이(H)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명령(LB-0 OFF 또는 LB-1 OFF)의 수행이 AND게이트(AG11 및 AG12)에 의해 금지되며 루우프-백신호(LB-0 또는 LB-1)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송전선의 수신상태가 고장이 있는 노우드 스테이션에서, 비록 해재명령(LB-0 OFF 또는 LB-1 OFF)은 루우프백 경로가 이전명령에 의해 형성된 후 감시스테이션(SV)으로 부터 보내져도 루우프백 경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루우프백 경로의 재구성이 수행된다.
제8(a)도는 제5도의 회로에 사용된 명령수신회로(CMR)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8도의 명령수신회로(CMR)에 있어서, 루우프 "0" 및 루우프"1"에 대한 명령은 그의 출력신호가 그들의 명령에 대응하는 셀렉터(SEL)에 보내지는 대응명령 레지스터 REC 0 및 REG 1에 의해 래치된다. 이 셀렉터는 거기에 공급되는 루우트 스위칭신호(SRT)의 위치레벨에 의해 "0"루우트 또는 "1"루우트로 부터수신된 신호들을 선택한다.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셀렉터(SEL)는 AND게이트(AG13, AG14) 및 OR게이트(OG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스테이션(SV)이 전송선에서 잘못을 검지하여 루우프맥 경로를 형성하도록 노우드 스테이션에 지령했을 때 감시스테이션(SV)은 먼저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에 대해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명령을 보내며 다음 모든 노우드 스테이션에 대해 루우프백 경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낸다.
노우드 스테이션은 명령(들)이 수신되었을 때 소정의 수신상태가 만족되었을 때 루우프백 경로를 해제하며 이에 의해 필요한 루우프백 경로를 개설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시간에 특정의 노우드 스테이션에 루우프백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을 갖는 통신시스템에 탁월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수단; 루우프-백 명령 및 해제 명령을 송부하기 위한 감시스테이션 및 상기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수단 및 상기 감시스테이션에 접속되어 반대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이중 루우프 전송선으로 구성되는 루우프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스테이션은 상기 이중 루우프전송선의 양쪽에서 고장이 동시에 검지될 때 상기 이중루우프 전송선의 루우프-백(loop-back) 명령을 송출하고 각각의 상기 노우드 스테이션은 루우프-백 명령을 수심함에 따라 다음의 노우드 스테이션에 접속경로를 유지하는 동안 루우프-백경로를 개설하며, 상기 루우프-백 경로는 상기 감시 스테이션이 루우프-백 명령을 송출한 후 노우드 스테이션에 해제 명령을 보냈을 때 이중 루우프 전송선 양쪽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루우프-백 경로는 상기 이중 루우프 전송선의 양쪽으로 부터 상기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수단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루우프-백 경로는 상기 이중 루우프 전송선으로 부터 동일한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수단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루우프-백 경로는 상기 이중 전송선의 한족으로부터 해제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이중 전송선의 다른쪽으로 부터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 수단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노우드 스테이션수단은 상기 신호가 소정치 보다 더 큰 치로 되었을 때 상기 신호로 부터 추출된 클록펄스의 동기가 교란(disturb)되지 않았을 때 상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6.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 루우프-백 명령 및 해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감시스테이션 및 상기 다수의 노우드 스테이션 및 상기 감시 스테이션에 접속되어 반대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2개의 이중전송선으로 구성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노우드 스테이션은; 상기 이중 전송선에 접속되어 상기 이중루우프 전송선의 하나로부터 상기 이중루우프 저송선의 다른 하나로 수신된 신호를 귀환시키기 위한 접속선 및 상기 접속선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선의 턴온(Turning on) 및 오프(Turning off)를 제어하되 상기 감시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루우프-백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접속선을 턴온하며 상기 루우프-백 명령의 전송후 상기 감시스테이션으로 부터 해제 명령이 전송되고 각각의 노우드스테이션이 상기 이중 루우프전송선의 양쪽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접속선을 턴오프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우드 스테이션은 더우기; 상기 2이중루우프 전송선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가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가졌을 때 레벨에레신호를 출력하는 레벨에러검지회로 및 상기 전송선, 상기 제어회로 및 상기 레벨에러검출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로 부터 축출된 클록펄스의 동기가 교란되었을 때 클록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클록 에러 검지회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노우드 스테이션은 각각의 상기 레벨 에러 검지회로가 레벨에서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클록에러검지회로가 상기 크록에러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때 상기 상기 신호들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드 스테이션 각각의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클록에러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감시스테이션으로 부터 보내진 명령을 검지하기 위한 명령 수신회로 및 상기 명령수신호로, 상기 레벨에러검출회로, 상기 클록에러검출회로 및 상기 접속선에 접속되어 상기 명령 수신회로에 수신된 상기 명령과 상기 레벨에러검지회로로 부터 공급된 레벨에러신호와 상기 클록에러검지회로로 부터 공급된 상기 클록에러신호에 따라 루우프-백 신호를 출력하는 루우프-백 제어회로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접속선은 상기 2이중루우프 전송선, 상기 클록에러 검출회로 및 상기 루우프-백 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루우프-백 제어회로로 부터 출력하는 상기 루우프-백신호에 따라 루우프-백경로를 개설하는 전송선 스위칭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10. 다수이 노우드 스테이션, 감지스테이션 및 반대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2개의 이중루우프 전송선으로 구성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장(fault)이 상기 이중루우프 전송선의 양단에서 동시에 검지되었을 때 상기 감시스테이션으로 부터 상기 이중 루우프 전송선의 양쪽에 루우프-백 명령을 보내고, 상기 루우프-백명령을 받음에 따라 다음의 노우드 스테이션에 대해 접속경로를 유지하는 동안 각각의 상기 노우드 스테이션에 루우프백-경로를 개설하며, 그리고 상기 감시스테이션이 상기 루우프-백 명령을 송부한 후 상기 노우드 스테이션에만 상기 루우프-백경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루우프-백상태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루우프-백경로는 상기 이중 루우프 전송선의 양쪽으로 부터 상기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노우드스테이션수단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전송시스템의 루우프-백상태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루우프-백경로는 상기 이중 루우프 전송선의 양쪽으로부터
    *동일한 해제명령을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수단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루우프-백 경로는 상기 이중 전송선의 한 쪽으로 부터 해제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이중전송선의 다른쪽으로 부터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노우드 스테이션에서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더우기 노우드 스테이션에서 상기 신호가 소정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졌을 때 및 상기 신호로 부처 추출된 클록펄스의 동기가 교란되지 않을 때 정상적으로 상기 신호들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의 루우프-백 제어방법.
KR1019830003963A 1982-08-30 1983-08-24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860002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50480A JPS5940739A (ja) 1982-08-30 1982-08-30 ル−プパツク制御方式
JP150480 198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14A KR840006114A (ko) 1984-11-21
KR860002213B1 true KR860002213B1 (ko) 1986-12-31

Family

ID=1549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963A KR860002213B1 (ko) 1982-08-30 1983-08-24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42496A (ko)
EP (1) EP0102222B1 (ko)
JP (1) JPS5940739A (ko)
KR (1) KR860002213B1 (ko)
AU (1) AU542693B2 (ko)
BR (1) BR8304681A (ko)
CA (1) CA1196976A (ko)
DE (1) DE3377609D1 (ko)
ES (1) ES525201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43B2 (ja) * 1983-12-05 1994-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ル−プ式デ−タ伝送システムの障害回復検出方法
JPS60142647A (ja) * 1983-12-29 1985-07-27 Hitachi Ltd マルチドロツプ接続のデ−タ収集装置
US4633246A (en) * 1984-01-09 1986-12-30 Fiberlan, Inc. Time divison multiplex ring
DE3411013A1 (de) * 1984-03-24 1985-09-2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Nachrichtenuebertragungssystem
JPH0630516B2 (ja) * 1984-07-13 1994-04-20 富士通株式会社 自動障害排除方式
US4683563A (en) * 1984-10-11 1987-07-2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Data communication network
GB2172175B (en) * 1985-02-15 1989-04-05 Hitachi Ltd Method for controlling ring network
US4777330A (en) * 1985-02-15 1988-10-11 Hitachi, Ltd. Network system diagnosis system
IT1199859B (it) * 1985-03-06 1989-01-05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Rete locale integrata ad alta velo-cita'riconfigurabile
JPS62176345A (ja) * 1986-01-30 1987-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2重系ル−プ形伝送制御装置
US4719625A (en) * 1986-03-24 1988-01-12 Unisys Corporation Method of recovering from transmission errors in a local area network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lence on all network ports
US5049871A (en) * 1987-01-20 1991-09-17 American Magnetics Corporation Loop communication system
DE3702591A1 (de) * 1987-01-29 1988-08-11 Sonnenschein Accumulatoren Schaltung zur laufenden ueberpruefung der qualitaet einer mehrzelligen batterie
JPH0752886B2 (ja) * 1987-12-19 1995-06-05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プ型ネットワークの構成方法
US4835763A (en) * 1988-02-04 1989-05-3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urvivable ring network
JPH02121547A (ja) * 1988-10-31 1990-05-09 Toshiba Corp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JP2515588B2 (ja) * 1989-03-23 1996-07-10 武夫 有馬 二系統の同期リングカウンタ回路を用いた制御信号方式
US5113398A (en) * 1989-06-01 1992-05-12 Shackleton System Drives Corporation Self-healing data network and network node controller
JP2713605B2 (ja) * 1989-06-17 1998-02-16 富士通株式会社 リングネットワーク切替制御方式
US5003531A (en) * 1989-08-11 1991-03-26 Infotron Systems Corporation Survivable network using reverse protection ring
US5081624A (en) * 1989-12-29 1992-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ult-tolerant serial attachment of remote high-speed i/o busses
US5199025A (en) * 1990-04-20 1993-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op back method for loop type lan transmission line
JP2784080B2 (ja) 1990-05-09 1998-08-06 富士通株式会社 リング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障害復旧方法並びにリングネットワークに用いられるノード
JP2578704B2 (ja) * 1991-03-26 1997-02-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リング伝送網のループバック方法およびリング伝送装置
IT1251119B (it) * 1991-07-26 1995-05-04 Rete radiomobile isofrequenziale con dorsale di collegamento realizzata mediante un sistema di drop/insert.
JP3140531B2 (ja) * 1992-02-04 2001-03-05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
JP2829189B2 (ja) * 1992-04-15 1998-11-25 富士通株式会社 海底ケーブル通信システムの給電監視支援システム。
US5485465A (en) * 1992-05-20 1996-01-16 The Whitaker Corporation Redundancy control for a broadcast data transmission system
JPH0795225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Ltd 双方向リングネットワーク制御方式
JP2601197B2 (ja) * 1994-06-22 1997-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ス設定制御システム
US6631018B1 (en) 1997-08-27 2003-10-07 Nortel Networks Limited WDM optical network with passive pass-through at each node
GB2348782B (en) * 1999-04-06 2004-03-17 Motorola Ltd A fault location system and method
JP3477709B2 (ja) * 1999-10-29 2003-12-10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システム
US6622258B1 (en) * 2000-04-10 2003-09-16 Appian Communications, Inc. Data protection in a ring network
DE10042380C1 (de) * 2000-08-29 2002-02-21 Infineon Technologies Ag Basiselement für eine Multiplexerstruktur sowie entsprechende Multiplexerstruktur
DE102006004339A1 (de) * 2006-01-30 2007-08-02 Robert Bosch Gmbh Redundantes Kommunikationsnetzwerk
DE102006055887A1 (de) * 2006-11-27 2008-05-29 Beckhoff Automation Gmbh Kommunikationssystem mit einer Master-Slave-Struktur
DE102006055889B3 (de) * 2006-11-27 2008-05-29 Beckhoff Automation Gmbh Kommunikationssystem mit einer Master-Slave-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9632A (en) * 1967-08-15 1971-03-09 Ultronic Systems Corp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witchover
GB1229149A (ko) * 1969-07-28 1971-04-21
US3859468A (en) * 1973-07-25 1975-01-07 Bell Telephone Labor Inc Redundant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
JPS5368046A (en) * 1976-11-30 1978-06-17 Toshiba Corp Loop-type data highway system
FR2472898B1 (fr) * 1979-12-27 1987-01-09 Jeumont Schneider Reseau de transmission en boucle double
JPS5797754A (en) * 1980-12-10 1982-06-17 Fujitsu Ltd Loop reconstituting system for fault of dual loop transmission network
JPS57109439A (en) * 1980-12-26 1982-07-07 Fujitsu Ltd Optical data highway device
JPS58138146A (ja) * 1982-02-10 1983-08-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ル−プ伝送システムの折り返し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14A (ko) 1984-11-21
DE3377609D1 (en) 1988-09-08
EP0102222B1 (en) 1988-08-03
AU1814183A (en) 1984-03-08
CA1196976A (en) 1985-11-19
ES8501937A1 (es) 1984-12-01
AU542693B2 (en) 1985-03-07
US4542496A (en) 1985-09-17
BR8304681A (pt) 1984-04-10
EP0102222A3 (en) 1986-01-22
JPS5940739A (ja) 1984-03-06
ES525201A0 (es) 1984-12-01
EP0102222A2 (en) 198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213B1 (ko) 루우프전송 시스템의 루우프-백 상태를 제어하는 루우프 전송시스템 및 방법
US3859468A (en) Redundant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
US4745597A (en) Reconfigurable local area network
US4594709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loop transmission system
US5387902A (en) Data networks
US4538026A (en) Loop back system for loop transmission line
US4777330A (en) Network system diagnosis system
US5421002A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redundant buse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H041543B2 (ko)
JPS5941620B2 (ja) 二重系ル−プ伝送システムのル−プバック方式
EP0231907A2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for duplex loop type transmission system
JPS5981943A (ja) ル−プ系障害自動回復方式
EP0300606A2 (en) Ring shaped local area network
JP2513007B2 (ja) 遠方監視制御装置のデ―タ送受信方式
JPH0370947B2 (ko)
EP0300609A2 (en) Ring shaped local area network
JPS6276949A (ja) ル−プネツトワ−クシステム
JP2956385B2 (ja) バスライン監視方式
JP2973373B2 (ja) 二重ループ型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集線装置
JPH11261615A (ja) 二重ループ型データ伝送装置
JPS63316956A (ja) リングネットワ−ク通信装置における分散障害復旧制御装置
JPS598451A (ja) 伝送制御装置
JPS61179638A (ja) ル−プ状デ−タ伝送路の試験方式
JPS61283253A (ja) 伝送制御方式
JPS60136444A (ja) ル−プ状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ル−プバツク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