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80B1 - 전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80B1
KR860002080B1 KR8205743A KR820005743A KR860002080B1 KR 860002080 B1 KR860002080 B1 KR 860002080B1 KR 8205743 A KR8205743 A KR 8205743A KR 820005743 A KR820005743 A KR 820005743A KR 860002080 B1 KR860002080 B1 KR 86000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fixed contact
arc runner
fixed
ru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137A (ko
Inventor
데이지로오 모리
마사히로 가까소에
시게루 마스다
히로유끼 오까도
유우지 사꼬
Original Assignee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1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297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262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98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52623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9818A/ja
Application filed by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ublication of KR84000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6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arcing hor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력 개폐장치
제1도 내지 제 4도는 종래의 전력개폐장치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종단정면도.
제2도는 일부종단측면도.
제 3도는 일부횡단평면도.
제4도는 디아이온그리드의 사시도.
제5(a)도 내지 제5(f)도는 종래 전력개폐장치의 아크의 움직임을 표시한 도면.
제6도는 종래의 개량형 전류전극 사시도.
제7(a)도는 고정접촉자와 아크런너의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A-A선 단면도.
제8(a)도 내지 제8(f)도는 개량형 개폐장치의 아크의 움직임을 표시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비접합부와 흐름을 표시한 도면.
제10(a)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제10(a)도는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의 A-A선 단면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종단정면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종단정면도.
제13(a)도는 제1도에 표시한 아크런너를 모사적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A-A선 단면도.
제14(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전자개폐장치의 아크런너를 모형적으로 표시한 구조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A-A선 단면도.
제15(a)도는 제1도에 표시한 아크런너를 모사적으로 표시한 정면도.
제15(b)는 제13(a)도의 A-A선 단면도.
제16(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개폐장치의 아크런너를 모사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16(b)도는 제16(a)도의 G-G선과 H-H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고정접촉자 13a : 고정접점
13b : 아크런너 13c : 아크런너측단
13d, 13e : 아크런너표면 13f, 13g : 아크런너이면
13h : 돌기 13j : 아크런너절결부
15i : 아크런너외측가장자리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갖고 있으며, 이들을 온/오프 시킴으로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력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된 차단성능을 발휘하는 전력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종래의 전력개폐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금속제강판으로 형성된 설치대(1)에는 전력개폐장치 본체설치용의 설치공(1a)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2)는 나사(3)에 의하여 설치대(1)에 고정되어 있고, 규소강판으로 적층된 고정철심(4)에는 조작코일(5)이 장착되며 다시 설치대(1)와의 간극에는 완충재로서 판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철심(4)이 대향되게 설치된 가동철심(7)은 코일(5)에 통전되면 고정철심 (4)에 흡착되고 절연재료로 형성된 크로스바(8)는 핀(9)을 통하여 가동철심(7)과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바(8)와 설치대(1)와의 사이에 설치된 트립스프링(10)은 보통일 때에는 전력개폐장치의 주회로가 개로되도록 크로스바(8)를 밀어올린다.
11은 강동접점(11a)을 가진 가동접촉자로서, 크로스바(8)의 지지공(8a)에 설치되어 가압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13은 가동접촉자(11), 가동접점(11a)과 대향하는 고정접점(13a)을 가진 고정접촉자로서 이 고정접촉자(13)는 나사(14)에 의해 단자(15)에 고정됨과 동시에 단자(15)는 베이스(2)에 나사(16)(1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3b는 아크런너로서 고정접촉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고정접촉자(13)와 일체화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주회로 전선과 접속되는 단자나사는 단자(15)에 결합되었고 절연재료로 형성된 아크박스(19)는 나사(20)에 의해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아크박스(19)는 아크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멍(19a)과 천정부(19b), 측판(19c)으로 구성되어 있다.
21은 제4도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자성체로 된 디아이온그리드, 22는 전류적극으로서 아크박스(19)의 천정부(19b)에 고정되어 가동접점(11a)과 고정접점(13a)은 소호실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전력개폐장치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회로가 개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코일(5)에 전압을 인가하면, 고정철심(4)과 가동철심(7)사이에 자속이 발생하여 스프링(10)에 대항하여 가동철심(7)이 고정철심(4)에 흡착되고 크로스바(8)도 똑같이 동작하여 가동접점(11a)이 고정접점(13a)과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되어 주회로가 폐로된다.
이어서 조작코일(5)을 단전시키면 가동접점(11a)과 고정접점(13a)이 이탈된다.
이 이탈시 있어서 가동접점(11a)과 고정접점(13a)사이에는 (제1도중 A로 표시한 부분)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가 발생하여 전류가 차단되기까지의 아크의 움직임을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소호실은 좌우대칭되어 있으므로 제5도에는 한쪽 부분만을 표시한다.
제5(a)도는 양접점(13a)(11a)이 닫쳐져 있는 상태인데, 양접점을 열면 제5(b)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아크(23)가 발생한다.
접점의 이탈거리는 일정거리까지 시간경과와 더불어 커진다. 이 아크(23)는 가동접촉자(11)나 고정접촉자(13)를 흐르는 전류와 디아이온그리드(21)에 의하여 제5(c)도와 같이 구도신장되어 아크(23)의 일단은 제5(d)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고정접점(13a)의 표면에서 아크런너(13b)로 전이된다.
이어서, 제5(d)도에 표시한 아크(23)의 원호형 돌출단부와 아크런너(13b)의 (B)로 표시한 부분과의 사이에서 절연파괴가 생겨 아크(23)의 일단은 제5(e)도의 아크런너(13b)의 (B)부분으로 전이하고 제5(f)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아크(23)의 다른 일단이 고정접점(11a)에서 전류전극(22)으로 전이됨과 동시에 아크(23)가 디아이온그리드(21)와의 사이에 흡인되어 소호된다.
이 소호에 의하여 차단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개폐장치는 아크(23)의 일단이 고정접점(13a)의 단부에 그리고 다른 일단은 가동접점(11a)의 표면에 교착되기 쉬우므로 비싼접점(11a)(13a)의 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아크시간이 길어져 아크에너지가 크게 되어서 대전류의 차단을 할수 없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개량형 전력개폐장치가 발명되어 있다. 개량형 전력개폐장치는 전류전극과 아크런너가 다른 점을 제외하면 제1도 내지 제4도의 종래형과 동일하다.
개량형 전류전극은 제6도에 표시하였는데, 제6도의 (M)은 전류전극(22)의 절결부, (N)은 전류전극(22)의 평면부로서 디아이온그리드(21)와 대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동접점(11a)과 가동접촉자(11)가 전류전극(22)의 절결부(M)의 가운데 들어가게끔 구성되어 있다.
즉, 양접점의 이탈거리가 최대로 되었을 때 양접점간에 전류전극(22)이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크런너(13b)는 제7(a)도 제7(b)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ㄷ자형 고정접촉자(13)와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아크런너 두께(Y1)는 고정접점(13a)의 두께(X1)보다 두껍게 선택되어 있다.
개량형 전력개폐장치에 있어서 아크(23)의 움직임을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8(a)도는 고정접점(13a)과 가동접점(11a)이 닫쳐진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양접점(11a)(13a)이 열리면 제8(b)도와 같이 양접점간에 아크(23)를 발생시킨다. 접점 이탈거리가 멀어지면 아크(23)의 양단은 제8(c)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양접점에서 전류전극(22), 아크런너(13b)로 신속하게 전이된다.
아크(23)는 양접촉자(11)(1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된다.
전류전극(22)으로서는 자성체가 사용된다. 전이할때 아크(23)는 가동접촉자(11)에 흐르는 전류와, 자성체인 전류전극(22)에 의하여 아크(23)에는 제6도의 화살표 B로 표시한 강한 자장이 작용하고, 이때 구동력(F)이 생겨 아크(23)는 가동 접점(11a)에서 전류전극(22)으로 전이한다. 이 전이는 위의 구동력(F)과 전류전극(22)의 형상에 의해 빠르게 진행된다.
아크런너(13b)로서 자성체를 쓰면 아크(23)는 아크런너(13b)에 흡인되어 아크(23)의 종단이 고정접점(13a)에서 아크런너(13b)로 빠르게 전이된다. 그리고 아크(23)는 전류전극(22)이나 고정접촉자(1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제8(d)도와 같이 구동신장되어 제8(e)도의 상태를 경유하여 제8(f)도와 같이 디아이온그리드 사이에서 소호된다.
이 소호에 의해 차단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개량형 전력개폐장치에는 아크의 일단이 가동접점(11a)에서 전류전극(22)으로 대단히 빠르게 전이 되기때문에 가동접점(11a)의 소모가 적음과 동시에 아크시간이 단축되고, 아크에너지가 저감되어서 차단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 개량형 전력개폐장치에서는 아크런너(13b)와 고정접촉자(13)를 접합하기 위해셔 납땜을 하게 되는데 이 납땜에 의한 접합율(실제 접합면적과 해당 접합면적의 비율을 %로 표시한 것)은 표준적으로 60%전후에 불과하여 아크런너(13b)와 고정촉자(13)의 전면이 접합되는 것이 아니며 비접합부의 위치를 콘트롤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땜납할때마다 다른 장소가 비접합부로 된다.
만약 비접합부(24)가 제9도가 사선부에 생기면 전류는 고정접촉자(13)를 경유하여 아크런너(13b)에 있어서 제9도의 화살표로 표시한방향으로 흐르고 이것이 아크(23)로 유입하므로 아크(23)는 디아이온그리드(21)가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아크전류 차단하기가 어렵게 되는 결점을 개량형 전력개폐장치는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개량형 전력개폐장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접점의 측면을 아크런너의 측면과 3방향에서 대향시켜 아크런너의 적어도 접점근접부분을 고정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동시에 아크런너를 아크의 주행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아크를 항상 디아이온그리드측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아크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고 안정된 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는 항상 디아이온그리드측에 구동되므로 안정된 차단성능을 얻을수 있으며 또한 이 발명은 아크박스의 열손상을 완화하므로서 상기 상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크런너의 형상에 연구끝에 아크런너의 폭이 아크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였으며 그것에 의하여 아크박스에 구멍이 뚫려 상간의 절연이 유지되지 못하므로서 상간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아크런너가 구부러져 그리드와 접촉하므로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아크런너에 돌기를 설치하였으며 이것으로서 아크열에 의한 아크런너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0(a)도 제10(b)도 내지 제1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0(a)도 제10(b)도에 표시한 것은 절결부(13j)를 가진 아크런너(13b)의 선단부를 늘어뜨려 U자형 고정접촉자(13)의 수직부와 제10(b)도의 (B)부분에서 납땜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아크런너(13b)에는 제10(a)도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아크(23)는 디아이온그리드(21)측으로 구동되어 안정된 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11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아크런너(13b)의 선단을 단면 U자형으로 형성하고, U자형 고정접촉자(13)의 하부(c)의 위치에서 납땜한 것이고, 제12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고정접촉자(13)의 상면 선단부와 아크런너(13b)이 선단부(D)의 위치에서 납땜한 것이다. 또한 아크런너(13b)와 고정접촉자(13)의 전기적접합은 납땜이 아닌 다른 접합수단, 예컨대 나사접합, 리베트접합등에 의하여 이루어지 수 있다.
더구나 본발명을 마그네트에 의하여 전류를 개폐시키는 전력개폐장치, 즉 전자개폐기 또는 전자접촉기에 적용시킨 경우에 있어서 설명하였으나 배전용차단기와 같은 전력개폐기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개폐장치는 안정된 차단동작을 할 수 있으나, 한편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즉, 제13(a)도에 표시한 구조를 가진 전자개폐장치에 있어서 아크의 종단이 아크런너(13b)의 점(p)에 있는 경우를 생각키로 한다.
이 경우 아크는 점(p)에 있어서 지면(祗面)과 수직방향으로 생기고 아크의 타단은 전류전극(22)상에 형성되어 있다.
아크런너(13b)에서 아크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는 제13(a)도에 있어서 아크런너(13b)의 점(A)와 점(B)에서 점(P)에 다다르게 되어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한 통로를 흐르게 된다.
여기에서 점(A)에서 점(P)로 흐르는 전류를 i, 점(B)에서 점(P)로 흐르는 전류를 i2라 하면 접(A)에서 점(P)까지의 거리는 점(B)에서 점(P)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므로 i1<i2로 된다.
제13(a)도에 있어서 F1는 i1에 의한 아크구동력, F2는 i2에 의한 아크구동력, F는 F1와 F2의 합력이고 지금 i1<i2이므로 F1<F2로 되기때문에 아크는 제13(a)도에 표시한 힘 F를 받게되지만 F는 제13(a)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의 힘과 상방향의 힘으로 분해되며 상방향의 힘에 의하여 아크의 종단은 아크런너(13b)의 측단(13c)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측단(13c)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주행한다.
아크런너(13b)이 측단(13c)의 근방에는 아크박스(19)의 일부가 근접되어 있으므로 아크박스(19)는 아크열에 의하여 손상을 받아 여러번의 차단동작을 하면 구멍이 뚫려서 인접 상(相)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상간 단락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면 전자개폐장치에 쓰이는 아크런너(13b)는 제1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아크런너(13b)의 아크주행면에 있어서 폭이 아크런너(13)의 길이 방향으로 끝부분쪽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제14(a)도에 있어서, 아크의 종단이 아크런너(13b)의 점(p)에 있는 경우를 생각키로 한다.
이 경우 아크는 점(p)에 있어서 저면과 수직방향으로 생겨있고 아크타단은 전류전극(22)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아크런너(13b)에서 아크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는 제14(a)도에 있어서, 아크런너(13b)의 점(A)과 점(B)에서 점(p)로 이르게 된다.
점(A)에서 점(P)로 흐르는 전류를 i1, 점(B)에서 점(P)로 흐르는 전류를 i2라 하면 점(A)에서 점(P)까지의 거리는 점(B)에서 점(P)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므로 i1<i2로 된다.
제14(a)도에서 F1는 i1에 의한 아크구동력, F2는 i2에 의한 아크구동력, F는 F1와 F2의 합력이며, 지금 i1은 i2보다 크므로 F1는 F2보다 크게된다.
아크는 제14(a)도에 표시한 힘 F를 받게되지만 F는 제14(a)에 있어서 우측방향의 힘과 상방향의 힘으로 분해되어 상방향의 힘에 의하여 아크의 종단은 아크런너(13b)의 측단(13c)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측단(13c)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주행한다.
아크의 종단이 아크런너(13b)의 측단(13c)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할때 아크박스(19)에서 멀리떨어지면서 주행하기 때문에 아크박스(19)의 아크열에 의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발생이 예상된다.
부하전류를 차단시키면 베15도에 있어 아크의 종단은 최초 고정접점(13a)상에 생긴 후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1)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장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아크의 종단은 고정접점(13a)에서 아크런너(13b)로 전이되고 아크런너(13b)의 표면(13d)(13e)의 위를 주행하여 차단된다.
여기에서 아크열에 의하여 아크런너(13b)는 그 표면(13d)(13e)이 가열되지만 그 이면(13f)(13g)은 가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크열에 의해 아크런너(13b)의 표면에 수축력이 작용하여 아크런너(13b)는 제15(b)도의 화살표로 표시한 B방향, C방향으로 만곡된다.
부하전류를 여러번 차단시키면 이 만곡이 커지게 되어 아크런너(13b)와 그리드(2)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단불능을 일으킬 염려가 있었다.
제16도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발명의 일시시예의 아크런너를 표시한다.
제16(a)도에 있어서 (13d)(13e)는 아크런너(13b)의 표면이고, (13f)(13g)는 아크런너(13b)의 이면인데, 아크는 아크런너(13b)의 표면인 (13d)(13e)상을 주행하는 점은 종래와 동일하다.
제16(b)도는 제16(a)도에 있어서, 아크런너(13b)의 G-G, H-H선의 단면도이다.
제16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아크런너(13b)는 압출가공을 하여 그 표면(13d)(13e)에 돌기(13h)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아크런너(13b)의 표면(13d)(13e)이 아크열에 의하여 가열되면 종래의 전가개폐장치에서와 같이 아크런너(13b)이 표면(13d)(13e)에 수축력이 작용하지만, 이 실시예의 아크런너(13b)에서는 돌기(13h)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축력에 대한 내력이 크기때문에 아크런너(13b)의 상기 수축력에 의한 만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개폐장치에있어서 아크런너(13b)의 만곡이 원인으로 되어 아크런너(13b)와 그리드(2)가 접촉하여서 생기는 차단불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아크런너(13b)에 돌기(15h)가 설치되어 있어 아크가 이 돌기(15h)의 위를 주행하는데 용이하므로 아크가 아크런너(13b)의 외측가장자리(15i)를 주행하기 어렵게 되어 아적박스(19)이 아크런너근접부의 아크에 의한 열적손상을 저감할 수 있는 부차작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돌기(13h)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돌기의 단면형상은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V자형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또 돌리(13h)는 아크런너(13b)를 만곡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표시하였으나, 이 돌기(13h)의 대신에 별개체의 부재(아크런너와 동일)를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0)

  1. (정정) 고정접점과 가동접점과 아크종단을 접 점외로 전이시키는 아크런너와, 고정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ㄷ자형의 고정접촉자와 그리고 아크를소호하는 디아이온그리드를 구비한 전력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을 아크가 상기 디아이온그리드로 향하여 주행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3측방으로부터 둘러싸는 구조의 아크런너측면에 대향시키며 상기 고정접점에 근접하는 아크런너의 부분은 고정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동시에 아크런너가 고정접점을 기준으로 하여 아크의 디아이온그리드로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접촉자의 일부에 접속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아크의 주행방향에 따라 연속적으로 구성된 아크런너를 구비한 전력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의 아크런너의 고정접접에 근접된 부분에 대한 전기적 절연은 아크런너의 고정접점 근접부분을 고정접촉자에서 이탈시켜 양자간에 갭(Gap)을 형성하므로서 이루어진 전력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접촉자는 단면이 U자형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U자형 부분의 한쪽의 다리편에 고정접점이 장착되어 있고 아크런너는 한쪽다리편 이외의 부분에서 고정접촉자에 접속고정되었으며 한쪽의 다리편에 대하여는 떨어진 상태로 되어있는 전력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아크런너는 고정접촉자에 대한 접속고정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있어서 고정접촉자와 간극을 두고 있는 전력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아크런너는 고정접촉자의 U자형 저부에 접속고정되어 있는 전력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아크런너는 고정접촉자의 한쪽다리편과 반대측의 다른쪽 다리편에 고정되어 있는 전력개폐장치.
  7. (삭제)
  8.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아크런너의 절결부는 아크런너의 고정접촉자에 대한 접속고정부까지 또는 그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력개폐장치.
  9.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아크런너의 폭을 아크의 주행방향으로 서서히 좁혀 형성하여서 된 전력개폐장치.
  10.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아크런너의 아크주행면에 아크의 주행방향을 따라 돌기를 설치한 전력개폐장치.
KR8205743A 1982-01-28 1982-12-22 전력 개폐장치 KR86000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2211 1982-01-28
JP12211 1982-01-28
JP1221182A JPS58129716A (ja) 1982-01-28 1982-01-28 電力開閉装置
JP5262482A JPS58169819A (ja) 1982-03-31 1982-03-31 電磁開閉装置
JP57-52623 1982-03-31
JP5262382A JPS58169818A (ja) 1982-03-31 1982-03-31 電磁開閉装置
JP52623 1982-03-31
JP52624 1982-03-31
JP57-52624 1982-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137A KR840003137A (ko) 1984-08-13
KR860002080B1 true KR860002080B1 (ko) 1986-11-24

Family

ID=2727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743A KR860002080B1 (ko) 1982-01-28 1982-12-22 전력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77704A (ko)
KR (1) KR860002080B1 (ko)
DE (1) DE3302884A1 (ko)
GB (1) GB21179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53B1 (ko) * 2011-05-27 2013-01-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5919C2 (de) * 1982-04-29 1986-09-04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Explosionsgeschütztes oder schlagwettergeschütztes elektrisches Schaltgerät
WO1984002032A1 (en) * 1982-11-10 1984-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Switch
DE3337515A1 (de) * 1983-10-14 1985-05-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stueck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WO1985002710A1 (en) * 1983-12-07 1985-06-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witch
US4628163A (en) * 1983-12-07 1986-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witch
US4560847A (en) * 1984-06-22 1985-12-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witch
FR2569304B1 (fr) * 1984-08-15 1990-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Interrupteur de circuit
US4684772A (en) * 1985-04-09 1987-08-04 Square D Company Mounting apparatus for arc quenching plates for electric contacts
US4766273A (en) * 1985-06-17 1988-08-23 Eaton Corporatio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EP0207458B1 (en) * 1985-07-02 1992-03-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ircuit breaker
US4649242A (en) * 1985-09-24 1987-03-1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tationary contact assembly for a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EP0269750B1 (en) * 1986-05-30 1994-07-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witch
KR900007273B1 (ko) * 1986-09-16 1990-10-06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FR2619955B1 (fr) * 1987-08-31 1989-12-01 Merlin Gerin Dispositif de coupure pour disjoncteur electrique multipolaire a contacts multiples
CH678989A5 (ko) * 1989-10-04 1991-11-29 Sprecher & Schuh Ag
DE4109717C1 (ko) * 1991-03-25 1992-09-03 Kloeckner-Moeller Gmbh, 5300 Bonn, De
FR2696273B1 (fr) * 1992-09-25 1994-11-18 Telemecanique Disjoncteur électrique à soufflage magnétique.
KR100282641B1 (ko) * 1998-12-28 2001-02-15 윤문수 차단기 소호부 고정 접촉자
JP5838056B2 (ja) * 2011-08-11 2015-12-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コネクタ
WO2019106836A1 (ja) * 2017-12-01 2019-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タ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543A (en) * 1947-07-05 1952-03-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Spaced plate circuit interrupter
DE1027280B (de) * 1953-02-27 1958-04-03 Allis Chalmers Mfg Co Stromunterbrecher mit einem Schacht zum Aufnehmen und Loeschen des Schaltlichtbogens
DE1207027C2 (de) * 1960-09-19 1976-05-0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Kontaktstueck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DE1415944A1 (de) * 1961-03-24 1969-02-06 Licentia Gmbh Schaltgeraet mit einer ungleich breit ausgebildeten Lichtbogenkammer
DE7333155U (de) * 1973-09-13 1973-12-06 Bbc Ag Lichtbogenloschkammer
FR2378344A1 (fr) * 1977-01-25 1978-08-18 Telemecanique Electrique Piece de soufflage
EP0155707B1 (en) * 1981-05-20 1992-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chwitchgea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53B1 (ko) * 2011-05-27 2013-01-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77704A (en) 1984-10-16
DE3302884A1 (de) 1983-08-04
GB2117974B (en) 1986-01-08
GB2117974A (en) 1983-10-19
DE3302884C2 (ko) 1988-01-21
KR840003137A (ko) 1984-08-13
GB8302417D0 (en) 198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080B1 (ko) 전력 개폐장치
KR100304150B1 (ko) 회로차단기의아아크소멸장치
KR890003377B1 (ko) 회로차단기(circuit interrupter)
EP0155707B1 (en) Power schwitchgear device
US9196433B2 (en) Electromagnetic switch
EP0117288A1 (en) Switch with arc-extinguishing means
EP0165321B1 (en) Power switch
EP0165998B1 (en) Power switch
KR880000760Y1 (ko) 전력개폐장치
WO2017159442A1 (ja) 開閉器
JP2562867B2 (ja) 開閉器
JPH0345494B2 (ko)
JPH0124328B2 (ko)
JP3879879B2 (ja) 電磁接触器の固定接触子
JPH0129003B2 (ko)
JPH0610942B2 (ja) 電力開閉器
JPH11353968A (ja) 開閉器
JPS5998419A (ja) 電力開閉器
JPS59111210A (ja) 開閉器
KR880000401Y1 (ko) 회로 차단기
JPS6142823A (ja) 電力開閉装置
JPH09231854A (ja) 開閉器
JPH03266317A (ja) 電力開閉装置
JPS58117612A (ja) 電力開閉装置
JPH11353967A (ja) 開閉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