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79B1 - 동합금 부재 - Google Patents

동합금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79B1
KR860002079B1 KR1019800002701A KR800002701A KR860002079B1 KR 860002079 B1 KR860002079 B1 KR 860002079B1 KR 1019800002701 A KR1019800002701 A KR 1019800002701A KR 800002701 A KR800002701 A KR 800002701A KR 860002079 B1 KR860002079 B1 KR 86000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onductivity
strength
alloy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782A (ko
Inventor
세이가 마찌도리
마사도 사까이
Original Assignee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filed Critical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079B1/ko
Publication of KR83000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합금 부재
본 발명은 도전성과 강도를 겸비한 동합금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동은 도전성이 우수하지만 첨가물을 첨가한 동합금은 아무래도 순동에 비해서 도전성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전선, 케이블 등의 도전성을 중요시하는 사용분야에서는 순동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순동을 사용하여 꼰선을 제조할 때는 지나치게 늘어나게 되면, 가는 선의 경우에도 제조하는 도중에 끊어지는등의 결점이 있다. 따라서, 첨가물을 첨가하여 강도를 높인 동합금 부재의 사용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선등의 높은 도전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적합하지 못했다. 예를들면 크롬등, 지르코늄동 등은 석출경화 처리에 의해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나 도전률이 낮고, 또 용체화 처리나 석출경화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전선의 경우와 같이 대량 생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동합금 부재의 결점을 해소하고, 전선에도 사용 가능한 정도로 도전성, 강도, 대량 생산성을 겸비한 동합금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밖의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종 요점은 종래 석출경화 처리를 필요로 하던 동합금부재를 용체화 처리하지 않고 소둔과 가공을 반복함으로써 결정입도가 JIS G 0551의 입도번호 7번 이상으로 되는 도전성과 강도를 겸비한 동합금 부재를 제공하는 것 이다. 따라서 용체화 처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공업상으로 대단히 유리하다.
이하 0.81% 크로움, 0.30% 지르코늄 및 잔동(殘銅)으로 구성된 동합금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조성합금을 용제(溶製)후 700-850℃로 열간 가공하여 직경 7-10mm의 선을 만들어 이것을 산세척 처리후에 냉간가공 및 500-650℃의 소둔을 반복하여 직경 0.26mm의 선을 만들었다. 이때의 냉간가공 완성된 동합금의 결정입도는 JIS G 0551의 입도번호 9번이고, 도전률은 88 IACS%(Int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 인장강도 50kg/㎠이었다. 또, 550℃의 소둔을 했을 경우에는 결정입도 10번, 도전률 92 IACS%, 인장강도 45kg/㎠이었다. 이와같이 가공 완성된 것인가 소둔 완성된 것인가에 따라 도전률과 강도는 변화하기 때문에 소기의 특성이 쉽게 얻어진다. 결정입도는 여러가지 특성에 있어서 가장 좋기로는 10-11번으로 생각된다. 또, 결정형상은 압연 완성된 형상에 있어서는 비교적 길쭉하고, 소둔 완성된 형상에 있어서는 비교적 원형에 가깝다.
또, 종래의 석출경화를 실시한 경우는 결정입도 5-6번, 도전률 70-85 IACS%, 인장강도 50-60kg/㎠이다.
다음에 상기 합금을 전선이나 케이블에 사용하는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순동을 사용하는 경우는 그 제조과정에서 끊어지거나 지나치게 늘어나거나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합금부재를 사용하면 이런 일이 없다. 따라서 특히 꼰선으로 사용할 때 극히 적합하다. 끊어지거나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은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내력과 신성(伸線性)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이점에서 본 발명의 합금부재는 내력이나 신선성이 우수하고 전선이나 케이블용으로 적합하다.
이하 전선, 케이블에 본 발명의 합금부재를 적용하는 경우를 0.18%크로움, 0.30%지르코늄, 잔동으로 구성된 합금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상기 합금을 용제후 700-850℃에서 열간 가공을 실시하여 직경 10mm의 선으로 만들어 이것을 산 세척 처리후에 신선가공과 500-650℃의 소둔을 반복하면서 직경 0.26mm의 선으로 만들었다. 소둔완성 상태 및 냉간 가공완선 상태에서 특성을 측정한 결과 제1표와 같고, 순동의 경우와 비교해서 내력, 신선성이 다같이 우수함을 알게될 것이다.
또, 이 선재를 사용하여 꼰선을 제조한 결과 제조과정에서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일이 없고 결정립 형상도 꼬기전과 같았다.
[제1표]
Figure kpo00001
평가법은 다음의 방법에 따랐다.
(1) 도전률
비저항을 실온에서 측정하여 0.7241(국제표준동 비저항치)을 100으로 하여 환산한 것(IACS%)
(2) 열전도
단위 면적을 일정 시간에 통과하는 열량으로 정의되는 물질상수(Cal/cm.deg)
(3) 내산화성
400℃에서 30시간 가열한 경우의 산화증가량(mg/㎠)
(4) 내 력
0.2%비틀었을 때의 강도(kg/㎟)
(5) 반복절곡성
하중 250gr를 가하여 0.3R로 90°절곡을 반복했을 때 절단되기까지의 횟수.
(6) 플렉서블 성
꼰선으로 만들었을 경우의 플레서블성의 유무.
(7) 도금성
Ag, Au, Sn, Nt 땜납 등의 도금가공성의 양부.
(8)신선성
신선가공의 용이성(내절단성 : 순동과 비교)
(9) 결정입도
JISG 0551 입도번호에 의한다.
상기의 여러 특성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합금은 다음의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즉, 예를들어 용접기용 케이블에는 내력, 반복절곡, 피로, 열전도, 도전성, 내산화성, 신선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다. 또, 엘레베이터용 케이블에는 내력, 반복절곡, 피로, 도전성등의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 차량용 점퍼선에는 내력, 반복절곡, 피로, 도전성, 내부식성, 신선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적합하다. 또, 크레인용 케이블에는 내력, 반복절곡, 피로, 도전성, 신선성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적합하다. 또, 용해로용에는 내력, 반복절곡, 도전성, 내산화성, 신선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적합하다. 또, 발변전소용 케이블에는 내력, 반복절곡, 도전성, 내산화성, 내부식성, 신선성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적합하다. 또, 가공선의 트롤리 경동 꼰선, 리이드 선등의 요동에는 내력, 내마모성, 반복절곡, 열전도, 도전성, 내산화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므로 적합하다
이상 크롬, 지르코늄 도압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상기의 기술 사상은 종래 석출경화재로서 알려져 있는 동합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특히 크롬 0.3-1.5중량%, 잔부동인 합금, 지르코늄 0.1-0.5중량5, 잔부동인 합금 크롬 0.3-1중량%, 지르코늄 0.-0.5중량%, 잔부동인 합금, 이들 합금에 규소, 게르마늄, 붕소, 마그네슘 등을 0.005-0.1중량% 함유한 합금 등을 용체화 처리하지 않고, 결정입도 7번 이상으로 조정하면 도전률, 열전도, 내산화성, 내력, 반복절곡, 피로, 파열, 플렉서블성, 도금성, 신선성 등의 개량이 이루어져서, 종래 순동이 사용되고 있는 분야에서 효과적인 개량이 이루어진다. 또 규소, 게르마늄, 붕소, 마그네슘 등은 강도, 결정 입자가 크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의 예시한 합금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를 경우의 각종 특성을 제2표에 나타낸다.
[제2표]
Figure kpo00002

Claims (1)

  1. 중량%로 크롬 0.3-1.5%, 지르코늄 0.1-0.5%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결정입도가 JIS G 0551의 입도번호 7번 이상이며, 용체화 처리를 하지 않고 700-850℃로 열간 가공한 후에 냉간가공 및 500~650℃로 소둔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부재.
KR1019800002701A 1980-07-08 1980-07-08 동합금 부재 KR86000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701A KR860002079B1 (ko) 1980-07-08 1980-07-08 동합금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701A KR860002079B1 (ko) 1980-07-08 1980-07-08 동합금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82A KR830003782A (ko) 1983-06-22
KR860002079B1 true KR860002079B1 (ko) 1986-11-24

Family

ID=1921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701A KR860002079B1 (ko) 1980-07-08 1980-07-08 동합금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0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782A (ko) 198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936B2 (ko)
EP0023362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pper alloy material
US459411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copper alloy wire
JPS6328971B2 (ko)
KR860002079B1 (ko) 동합금 부재
US4727002A (en) High strength copper alloy wire
JP685831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電部材、電池用部材、締結部品、バネ用部品、構造用部品、キャブタイヤケーブル
JPH09256084A (ja) 耐屈曲性銅合金線
JPH05302155A (ja)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線材の製造方法
JPS63262435A (ja)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
JP3348501B2 (ja) 耐屈曲性銅合金
JP2501290B2 (ja) リ―ド材
JP5672939B2 (ja) 可動部用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3736B2 (ja) 銀合金の製造方法
JP2500143B2 (ja) 導電性および強度を兼備した銅合金部材
US483895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copper alloy wire
JPS63243240A (ja) 高導電性、高強度銅合金
JPH0325494B2 (ko)
JPH0830231B2 (ja) 耐屈曲ケ−ブル導体
JP2562447B2 (ja) 耐屈曲ケ−ブル導体
JPS63262436A (ja) 高強度と高導電性を有する銅合金
JPH0355529B2 (ko)
JPS63243241A (ja) 高導電性耐熱耐屈曲高力銅合金
JPS6164835A (ja) 耐熱高力高導電性銅合金
JPS63243242A (ja) 優れた導電性、耐熱性及び耐屈曲性を有する銅合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