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40Y1 -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40Y1
KR860001440Y1 KR2019840008143U KR840008143U KR860001440Y1 KR 860001440 Y1 KR860001440 Y1 KR 860001440Y1 KR 2019840008143 U KR2019840008143 U KR 2019840008143U KR 840008143 U KR840008143 U KR 840008143U KR 860001440 Y1 KR860001440 Y1 KR 860001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rriage
paper
paper feed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39U (ko
Inventor
이꾸오 히비노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8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transversely- movin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76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78Positive-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25Mechanical power drives using a single or common power source for two or more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제1도는 프린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종이 이송장치의 동력 전달부를 나타내는 제5(a)도의 Ⅲ부분의 사시도.
제4도는 캐리지의 이동 동력을 종이 이송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의 정면도.
제5(a)도는, 종이 이송장치의 동력 전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b)도는 제4도의 V부분의 사시도.
제6도는 종이 이송장치의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7(a)도, 제7(b)도는 제3도의 동작 설명도.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제4도의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플라탠 6 : 캐리지 안내판
7 : 캐리지 8 : 와이어
9 : 동력 전달기구 10 : 종이 이송장치
18 : 종이 이송축 35 : 보빈
52 : 종동치차 52 : 돌기
53 : 구동치차 54,55 : 부분치차
54a,55a : 치부 54b,55b : 무치부
Ra: 종이 이송로울러 P : 기록용지
H : 열헤드
본 고안은 열(thermal) 프린터등의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자헤드의 왕복 이동에 타이밍을 맞추어 종이 이송 로울러를 소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종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는 인자헤드의 이동 동작과, 종이 이송동작을 별개의 구동원에 의하여 행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러므로, 프린터 전체가 커져서, 탁상계산기등에 탑재시킬 수가 없었다.
또한, 프린터를 소형화 시키기 위하여 인자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에 의하여 종이 이송로울러도 구동시키고자 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은, 일정한 동력 전달기구에 의하여 인자헤드의 운동과 종이 이송로울러의 회전을 연동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연동을 위한 기구가 획일적이기 때문에, 종이 이송 피치의 자유로운 설정 및 미세한 조정이 불가능하고, 또 종이 이송피치가 기기에 의하여 불균일 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인자헤드의 구동과 종이 이송로울러의 구동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하여 행하고 있는 프린터에서, 종이 이송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는 플라텐(platen)에 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종이 이송로울러에 연동하는 종동치차(從動齒車) 및 이 종동치차의 일측 방향의 회전을 종이 이송로울러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와, 인자 헤드가 플라텐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범위의 양단부에 이동했을 때에 소정 각도 만큼 왕복 회동하는 구동축을 갖고 있으며, 이 구동축에는 인자헤드가 왕복범위의 일단에 도달했을 때 상기 종동치차에 맞물리는 부분치(齒)와 인자헤드가 왕복범위의 타단에 도달했을 때 종동치차와 맞물리는 또하나의 부분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양 부분치는 구동축에 설치되고, 이 부분치를 구동축에 대하여 각도를 변화시켜 설치할 수가 있어, 이 종이 이송 로울러의 회전각도의 설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열 프린터의 개략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부분의 단면도, 제3도 이하는 종이 이송장치 및 종이 이송장치를 위한 동력 전달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프린터의 베이스는 금속판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의 상부 전방에는 플라텐 지지판(2)과, 이 지지판(2)에 지지되어 있는 플라텐(3)이 설치되어 있다.
플라텐 지지판(2)은 베이스와 일체로 된 좌측판(4)과 우측판(5)간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의 상부 후방에는 캐리지 안내판(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캐리지 안내판(6)은 플라텐(3)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고 있다. 플라텐(3)과 캐리지 안내판(6)사이에는 캐리지(7)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캐리지(7)의 플라텐 (3)과 대향하는 면측에 열헤드(H)가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7)는 와이어(8)에 견인되어, 플라텐(3)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좌측판(4)의 외면에는, 이 와이어(8)를 견인하는 헤드이동기구와 이 헤드이동기구의 동작을 종이 이송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판(5)의 외면에는 상기 동력 전달기구 (9)로 부터의 동력을 종이 이송로울러에 간헐적으로 전달하는 본 고안의 특징부분인 종이 이송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라텐 지지판(2)은 금속판으로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플라텐 지지판(2)의 양단부에는 설치편(2a)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편(2a)이 지지축(11)에 의하여 상기 양측판 (4)(5)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11)에는 스프링(12)이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라텐 지지판(2)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또 플라텐 지지판(2)의아래쪽에는 상부 종이 안내판 (13)과 하부종이 안내판(14)이 대향 설치되어 있고, 상부 종이 안내판(13)과 하부종이 안내판(14)간에는 기록용지(P)의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라텐 지지판(2)의 양단의 설치편(2a)와 (2a)간에는 플라텐 축(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라텐(3)의 하부가 이 플라텐축(15)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라텐(3)의 상면에는 판 스프링(16)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판스프링(16)의 선단은 플라텐 지지판(2)의 상면에 서로 맞닿아 있다. 플라텐(3)이 열헤드(H)의 가압력에 의하여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이 판스프링(16)이 탄성 변형되어 헤드 압력에 흡수 될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플라텐(3)의 전면에는 탄성 보조재(17)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텐(3)의 아래쪽 위치에는 종이 이송로울러(Ra)와 이것에 압접하는 핀치 로울러(Rb)가 설치되어 있다. 종이 이송로울러(Ra)는 종이 이송축 (18)에 고착되어 있고, 이 종이 이송축(18)은 상기 좌측판(4) 및 우측판(5)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핀치로울러(Rb)는 축(19)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축(19)은 상기 하부종이 안내판(14)에 지지되고, 그리고, 판스프링등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Rb)가 종이 이송로울러(Ra)에 압접되어 기록용지(P)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열헤드(H)는 캐리지(7)의 전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의 좌우양측판(4)와 (5)사이에는 안내축(21)이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 (7)의 하부는 이 안내축(21)에 대하여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7)의 후부에는 축(23)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축(23)에 가압 로울러(2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로울러(24)는 캐리지(7)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리지 안내판(6)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에 의하여 단면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절곡부, 즉 플라텐(3)에 대향하는 면의 중앙부는 플라텐(3)에 대하여 좁은 간격으로 대향하는 가압면(6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의 좌단부에는 플라텐(3)에 대하여 넓은 간격으로 대향하는 대피부(6b)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절곡부의 우단부에도 대피부(6c)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7)가 제1도의 중앙 위치에 있어, 가압로울러(24)가 가압면(6a)상을 서로 맞닿아 있을 때에는, 캐리지(7)가 플라텐(3)과 가압면(5a)과의 좁은 간격내에서 압압되어, 열헤드(H)가 플라텐(3)에 대하여 가압된다. 또한 캐리지(7)가 상기 대피부(6b) 또는 (6c)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넓은 간격부내에 있기 때문에, 가압로울러(24)에 대한 가압력이 없으므로, 열헤드(H)의 플라텐(3)에 대향하는 가압력은 제거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캐리지(7)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8)의 좌측판은 좌측판에 지지되어 있는 작은 풀리(32)에 걸려 있다. 또 캐리지(7)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8)의 우측단은, 우측판(8)에 지지되어 있는 아이들 풀리(31)에 걸처지고, 다시 캐리지 안내판(6)의 아래쪽을 통하여, 좌측판(4)상의 작은 풀리(33)에 걸쳐저 있다. 또한 캐리지 안내판 (6)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이어(8)의 중간부분에는 장력 설정용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작은 풀리(32)와 (33)에 걸쳐진 와이어(8)는 보빈(35)에 감겨져서 고정되어 있다. 보빈(35)은 좌측판(4)상의 축(36)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5(b)도 참조).
보빈(35)의 기저부에는 치차(3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치차(35a)가 중간치차(37)를 거쳐 피니온(38)과 맞물려져 있다. 이 피니온(38)은 좌측판(4) 내에 고정된 펄스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종이 이송장치의 구성은 주로 제3도, 제4도, 제5(a)도, 제5(b)도에 도시되어 다. 제3도는 제5(a)도의 Ⅲ사시도, 제5(b)도는 제4도의 Ⅴ사시도이다.
상기 종이 이송로울러(Ra)는 종이 이송축(18)에 고정 설치도어 있으나, 이 종이 이송축(18)의 우측판(5)으로 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볼클러치 등을 사용한 클러치(51)가 설치되어 있고, 종이 이송축(18)은 이 클러치(51)를 거처 종동치차(52)에 연결되어 있다(제5(A)도 참조). 이 종동치차(52)에 대하여 화살표(바) 방향(제3도 참조)으로의 회전력을 가했을 경우에는 클러치(51)에 의하여 종동치차(52)로 부터 종이 이송축 (18)으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반대로 종동치차(52)에 대하여 화살표 (마)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종이 이송축(18)에 동력이 전달되어, 종이 이송 로울러 (Ra)가 화살표 (마)방향으로 회전하여 종이 이송동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치차(52)의 원주상의 한곳에는 돌기 (52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2a)의 선단(52b)에는 凹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치차(52)와 평행위치에는 구동치차 (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치차(53)는 연결 구동축(4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구동축(42)은 좌우 양측판(4)와 (5)사이에 설치되고,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5(A)도, 제5(B)도 참조). 이 구동치차(53)는 2개의 부분 치차(54)와 (55)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치차(54)는 치부(54a)와 무치부(無齒部)(54b)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치부 (54a)와 무치부(54b)와의 경계부에는 대피홈(54c)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치차부(55)도 치부(55a)와 무치부 (55b) 및 대피홈(55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두 부분치차(54)와 (55)는 연결 구동축(42)에 대하여 압입 또는 나사 고정등의수단으로 설치되는 것이나, 어느 고정수단에 의하더라도, 두 부분치차(54)와 (55)를 연결 구동축(42)에 설치할 때에는, 치부(54a)와 (55a)의 연결 구동축(42)에 대한 설치 각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두 부분치차(54)와 (55)의 무치부(54b),(55b)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무치부(54b),(55b)의 곡율은 상기한 돌기(52a)의 선단(52b)의 凹곡면의 곡율과 일치하고 있다.
다시, 연결 구동축(42)의 좌측판(4)으로 부터 돌출하고 있는 부분에 차동기어 (4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차동기어(43)는 외측과 내측이 2단 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좌측판(4)에 가까운측)에는, 부분치(43a)와, 이것과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 무치부(43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동기어(43)의 외측부분에는, 평활부 (43c)와 3개의 돌기(43d),(43e),(43f)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부(43c)와 상기 부분치(43a)는 대략 동일 각도내에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무치부(43b)와 3개의 돌기(43d),(43e),(43f)도 대략 동일 각도내에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빈(35)의 선단부에는 치차(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치차 (35b)는 하아프 기어(half gear)(43)의 부분치(43a)와 맞물리는 위치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치차(35b)의 선단부에는 대략 일주(一周)간에 연속되는 평활부(35c)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활부(35c)의 일부에 타이밍치(35d)가 형성되어 있다. 타이밍치(35d)의 양측에는 홈(35e)이 한쌍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밍치(35d)는 치차(35b)의 치중(齒中)한개의 동일 형상이고, 또 치차(35b)의 치와 동일 피치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차동기어(43)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3개의 돌기(43d)(43e),(43f)의 선단면은, 모두 상기 평활부(35c)와 동일곡율인 凹곡면으로 되어있다. 또한, 돌기 (43d)와 (43e)의 사이에는 홈(43g)이 돌기(43e)와 (43f)의 사이에는 홈(45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홈(43g)와 (43h)는 타이밍치(35d)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헤드의 이동 및 헤드 가압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용지(P)는 상부 종이 안내판(13)과 하부 종이 안내판(14)간에 공급되고, 또한 종이 이송 로울러(Ra)와 핀치 로울러(Rb)에 끼워 지지되어 플라텐(3)의 탄성보조재(17)의 앞면에 설치된다.
펄스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그 동력은 피니온(38)으로 부터 중간치차(37)을 거처 치차(35a)에 전달되어 보빈(35)이 회전한다. 보빈(35)이 화살표 (사)방향 (제4도 참조)으로 회전하면, 캐리지(7)는 와이어(8)로 당겨져서, 제1도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35)이 화살표 (아) 방향으로 회전하면, 캐리지(7)는 제1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캐리지(7)가 캐리지 안내판(6)의 중앙의 가압면(6a)상을 이동하는 경우, 캐리지(7)에 설치된 가압로울러(24)가 가압면(6a)상을 회전 이동한다.
이때, 캐리지(7)는 플라텐(3)과 가압면(6a)간의 좁은 간격내에서 끼워져서 열헤드(7)는 기록용지(P)에 압접된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7)가 이동하는 동안에, 열헤드(H)상의 발열점을 선택적으로 발열 시킴으로써, 기록용지(P)(감열지)에 도트매트릭스 구성의 문자 또는 기호등이 프린트 된다.
이하 동력 전달 동작을 설명한다.
동력 전달 동작과 종이 이송 동작은 주로 제7(a)도, 제7(b)도, (제3도에 상당하는 동작도), 및 제8(a)도∼제8(c)도(제4도에 상당하는 동작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동력 전달기구(9) 및 종이 이송장치(10)(제1도 참조)가 존재함으로써, 캐리지(7)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종이 이송 로울러(Ra)가 회전 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서, 캐리지(7)가 (A)의 위치에 있을때,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35)의 선단의 차차(35b)는 차동기어(43)의 부분치(43a)와 맞물려 있다. 또, 이때 우측판(5)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치차(53)의 한쪽의 부분치차(54)의 치부 (54a)도 종동치차(52)와 맞물려 있다. 캐리지(7)가 제1도에서, (B)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보빈(35)이 (사)방향으로 회전하고,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 (35)상의 타이밍치(35d)가 차동기어(43)의 부분치(43a)의 단부에 오게된다.
다음에, 캐리지(7)를 제1도의 (B)위치로부터 (C)위치로 이동시켜, 즉 제8(b)에서 보빈(35)을 (사)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8(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동기어 (43)의 한개의 돌기(43d)의 선단의 凹곡면부가 보빈(35)의 선단부의 평활부(35c)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8(b)도로 부터 제8(c)도로 변화하는 사이에, 돌기(43d)의 각부(角部)는 타이밍치(35d)의 측부의 홈(35e)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제8(b)도에 나타낸 상태), 돌기(43d)의 각부(角部)가 평활부(35c)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제8(c)도의 상태 이후는, 보빈(35)의 (사)방향으로의 회전은 차동기어(43)에 전달되지 않고, 차동기어(43)는 정지 상태가 된다.
다시, 캐리지(7)가 제1도에서 (D)위치에 도달하면, 보빈(35)상의 타이밍치 (35d)는 (사)방향으로 1회전하여 차동기어(43)의 홈(43g)에 걸어 맞춰진다. 다시 보빈(35)이 (사)방향으로 회전하면, 차동기어(43)의 두번째의 돌기(43e)의 선단 凹곡면이 평활부(35c)에 서로 맞닿는다. 그후 보빈(35) 이(사)방향으로 회전하면, 평활부(35c)와 돌기(43e)의 선단 凹곡면이 접동하여, 제8(c)도의 상태와 같이, 차동기어(43)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 다음 다시 보빈(35)이 (사)방향으로 회동하여 캐리지(7)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타이밍치(35d)가 두번째의 홈(43h)에 걸어맞춰지고, 다시 보빈(35)이 (사)방향으로 회동하면, 차동기어(43)의 세번째 돌기(43f)의 선단 凹곡면이 평활부(35c)에 접동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지(7)가 제1도에서 (E)위치에 도달하면, 타이밍치(35d)가 세번째의 돌기(43f)와 부분치(43a)와의 경계부에 걸어맞춰진다.
즉, 캐리지(7)가 제1도에서 (B)위치로 부터 (E)위치까지 도달하는 사이에 보빈 (35)은 3회전 하나, 이 기간동안 차동기어(43)는 3개의 돌기(43d),(43e),(43f)의 배열 길이만큼의 작은 각도만 회전할 뿐이다.
다시 캐리지(7)를 제1도에서 (E)위치로 부터 (F)위치까지 이동시키면, 타이밍치 (35d)가 세번째의 돌기(43f)의 단부로부터 벗어나 보빈(35)의 치차(35b)와 차동기어 (43)의 부분치(43a)가 맞물려 보빈(35)의 (사)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차동기어 (43)에 전달되어, 차동기어(43)가 (자)방향으로 회동한다.
반대로 캐리지(7)를 제1도의 (F)위치로 부터 (E)위치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이 역행하게 되어, 보빈(35)의 (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차동기어(43)에 전달되어, 차동기어(43)가 함께 (차)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다음, 캐리지(7)를 제1도에서 (E)위치로부터, (B)위치로 복귀시킬 때에는, 평활부(35c)가 각 돌기(43f),(43e),(43d)의 凹곡면부에 순차적으로 접촉할 뿐이고, 차동기어(43)는 (차)방향으로 약간 회동할 뿐이다.
그 다음 캐리지(7)를 (B)위치로부터 (A)위치까지 복귀시키는 동안에는 치차 (35b)가 부분치(43a)와 치합되어, 차동기어(43)가 (차)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동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일련의 캐리지 이동 동작에 있어서, 캐리지(7)가 제1도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A)→(B) 및 (E)→(F)의 과정에서, 차동기어(43)는 부분치 (43a)가 치차(35b)와 맞물려 (자)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캐리지(7)가 제1도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F)→(E) 및 (B)→(A)의 과정에서, 부분치(43a)가 치차 (35b)와 맞물려 차동기어(43)가 (차)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캐리지(7)가 (B)와 (E)의 중간 위치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평활부(35c)가 각 돌기(43d),(43e) 및 (43f)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춰져 차동기어(43)가 작은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하 종이 이송 동작을 설명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은 차동기어(43)의 회전은 연결 구동축(42)을 거쳐 구동치차(53)에 전달된다. 따라서, 캐리지(7)가 제1도의 중앙 위치로부터 우측단(F)에 도달하는 동안에, 구동치차(53)는 (자)방향으로(Qa)인 각도(제7(a)도 참조)만큼 회동한다. 또한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캐리지(7)가 (E)→(F)간을 이동할때에 부분치(43a)와 치차(35b)가 맞물리게 되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구동치차(53)가 고속으로 회동한다. 구동치차(53)가 (Qa)만큼 회전하면, 먼저 그 과정의 초기에는 종동치차(52)측의 돌기 (52a)의 凹곡면형상의 선단(52b)이 구동치차(53)측의 각 부분치차(54),(55)의 무치부(55b) 및 (54b)와 접촉된 상태이므로(제7(a)도 참조), 구동치차(53)의 회전은 종동치차(52)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52a)의 선단(52b)의 凹부가 무치부(54b) 및 (55b)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이 凹凸곡면 끼리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종동치차 (52)가 단독으로 회전하는 일은 없고 종동치차(52)가 헛도는 일도 없다. 구동치차 (53)가 (자)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한쪽의 부분치차(54)의 치부(54a)가 종동치차(52)와 맞물린다.
또한, 부분치차(54)의 치부(54a)와 무치부(54b)와의 경계에는 대피홈(54c)(제6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치차(53)가 회전할때, 돌기(52a)의 선단 각부(角部)가 이 대피홈(54c)에 들어가서 치부(54a)와 종동치차(52)와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두 치(齒)가 맞물리면(제7(B)도의 상태), 구동치차 (53)의 (θc)의 회전각도 범위내에서 종동치차(52)가 (바)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구동치차(53)의 (θc)부분이 종동치차(52)와 맞물려 있을 때에는, 캐리지 (7)가 제1도의 (F)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구동치차(53)의 회전이 (θa)의 한계 위치에도달한다. 그 다음 캐리지(7)가 제1도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치차 (53)는 (차)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초기 즉, 캐리지(7)가 (F)→(E)를 이동하는 범위에서 (θc의 각도내에서)부분치(54a)와 맞물리고 있는 종동치차(52)는 (마)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다음에는 돌기(52a)의 선단(52b)이 무치부(54b) 및 (55b)에 접동하여, 종동치차(52)는 정지한다.
즉, 캐리지(7)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E→(F)과정에서 종동 치차 (52)는 (바)방향으로 회동하고, (F)→(E)과정(Yb인 과정)에서 종동치차(52)가 (마)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종동치차(52)가 (바)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클러치(51)에 의하여 그 회전력은 종이 이송 로울러(Ra)에 전달되지 않고, (마)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그 회전력은 종이 이송 로울러(Ra)에 전달되어, 종이 이송 로울러(Ra)가 회전하여 기록 용지(P)가 제2도의 상측 방향으로 송출된다.
마찬가지로, 캐리지(7)가 제1도의 중앙으로부터(A)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동력 전달기구(9)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구동축(42)에 의해 구동치차(53)는 제7(A)도의 (θb)의 각 도내에서 회전한다. 또한, 캐리지(7)가 (B)→(A)간에 있을 때에는, 상기 차동기어(43)의 부분치(43a)가 치차(35b)와 맞물리므로 차동기어(43)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치차(53)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치차(53)의 회전각도(θb)의 초기에는, 돌기(52a)가 무치부(54b)(55b)에 접촉되나, 그 후기에는 (θd의 범위내에서) 부분치(55a)가 종동치차(52)에 맞물린다. 즉, 캐리지(7)가 (B) →(A)에 도달할 때에 종동치차(52)는 (마)방향으로 회동하고, 캐리지(7)가 (A)로부터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종동치차(52)는 (바)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클러치(51)의 작동으로 종동치차(52)가 (마)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캐리지 (7)가 (B)→(A) (Ya 과정)에 이르는 동안]에 종이 이송축(18)이 구동되고, 종이 이송로울러(Ra)에 의하여 기록용지 (P)가 제2도의 상측 방향으로 송출된다.
즉, 본 프린터에서는, 제1도에서 캐리지(7)가 (Ya),(Yb)의 범위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할때 종이이송이 행하여 지게된다. 이때 캐리지(7)는 캐리지 안내판(6)의 양측의 대피부(6b)또는 (6c)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열헤드(H)는 기록용지(P)에 가압되고 있지 않다.
또한, 기록용지(P)의 이송량은 종이 이송 로울러(Ra)의 회전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종이 이송 로울러(Ra)와 일체로 형성된 종동치차(5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종이 이송량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기구(9)에 의하여 차동기어(43)와 연결구동축(42)이 구동되는 회전각도는 일정하여, 제7(A)도에서의 (θa)와 (θb)의 각도는 고정적이된다. 따라서, 제7(a)도에서의 치부(54a)와 (55a)의 회전각도 (θc) 와 (θd)를 변경 시킴으로써, 이 치부(54a)와 (55a)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동치차(52)의 (마)방향으로의 회전 각도가 변하고, 종이 이송 로울러(Ra)의 회전각도가 변하여 종이 이송량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 또는 조정작업 단계에서, 연결 구동축(42)에 대한 부분치차(54) 및 (55)의 설치 각도를 변화시켜 고정함으로써, (θc) 와 (θd)를 변경할 수가 있어, 종이 이송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말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캐리지의 이동범위의 양단부의 범위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구동축에 두개의 별개의 부분치를 설치하고, 이 부분치에 의하여, 종이 이송 로울러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치차를 구동하도록 하고, 이 부분치의 구동축에 대한 설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종이 이송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린터의 조립 오차에 의한 종이 이송량의 불균형 조정 및 종이 이송량이 상이한 여러가지 종류의 프린터의 제작등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텐에 기록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종이 이송로울러에 연동하는 종동치차 및 이 종동치차의 한쪽 방향의 회전을 종이 이송 로울러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와, 인자 헤드가 플라텐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범위의 양단부에 이동했을 때 소정각도 만큼 왕복 회동하는 구동축을 갖으며, 이 구동축에는 인자 헤드가 왕복범위의 일단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종동치차에 맞물리는 부분치와, 인자헤드가 왕복범위의 타단에 도달했을때 종동치차에 맞물리는 또하나의 부분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두개의 부분치는 각각 별개로 형성시켜 구동축에 설치한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KR2019840008143U 1983-10-03 1984-08-20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KR8600014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53659U JPS6060250U (ja) 1983-10-03 1983-10-03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58-153659 1983-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39U KR850009539U (ko) 1985-12-05
KR860001440Y1 true KR860001440Y1 (ko) 1986-07-12

Family

ID=1556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143U KR860001440Y1 (ko) 1983-10-03 1984-08-20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80917A (ko)
JP (1) JPS6060250U (ko)
KR (1) KR860001440Y1 (ko)
DE (1) DE3436291A1 (ko)
GB (1) GB21475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7999C1 (de) * 1986-03-11 1987-10-08 Mannesmann Ag Farbbandeinrichtung fuer Drucker,insbesondere fuer Matrixdrucker
JPH081101Y2 (ja) * 1986-10-09 1996-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
US4961658A (en) * 1987-06-15 1990-10-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 roller release due to carriage movement in a printing apparatus
US5486613A (en) * 1993-07-15 1996-01-23 Great Lakes Chemical Italia S.R.L. Vulcanization accelerators
US7377508B2 (en) * 2003-05-12 2008-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Pick mechanism and algorith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27184B2 (en) 2003-12-05 2006-10-2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device for clearing media jams from an image forming device
US7451975B2 (en) * 2004-03-18 2008-11-18 Lexmark International, Inc. Input tray and drive mechanism using a single moto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7182192B2 (en) * 2004-11-08 2007-02-27 Lexmark International, Inc. Clutch mechanism and method for moving media with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54145B2 (en) * 2005-09-13 2008-11-18 Lexmark International, Inc Packaging detection and removal for an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7256A (en) * 1951-02-14 1954-01-26 Teletype Corp Line feed mechanism
US4030588A (en) * 1972-06-19 1977-06-21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US4050569A (en) * 1976-06-04 1977-09-27 Ncr Corporation Record media advancing mechanism
JPS5393912A (en) * 1977-01-26 1978-08-17 Suwa Seikosha Kk Paper feeder
JPS55142684A (en) * 1979-04-26 1980-11-07 Oki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terminal mechanism
US4345708A (en) * 1980-05-27 1982-08-24 P.H.D. Of Puerto Rico, Inc. Document feed mechanism
JPH022604Y2 (ko) * 1981-01-21 1990-01-22
JPS57188388A (en) * 1981-05-15 1982-11-19 Alps Electric Co Ltd Printing machine
JPS5826120U (ja) * 1981-08-14 1983-02-19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枠への呼出ボタンの取付構造
DE3228569C2 (de) * 1982-07-30 1986-03-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Druckvorrichtung
JPS59139350U (ja) * 1983-03-08 1984-09-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36291A1 (de) 1985-04-18
DE3436291C2 (ko) 1988-02-18
GB2147571A (en) 1985-05-15
GB8424916D0 (en) 1984-11-07
US4580917A (en) 1986-04-08
JPS6060250U (ja) 1985-04-26
JPH0131495Y2 (ko) 1989-09-27
KR850009539U (ko) 1985-12-05
GB2147571B (en) 1987-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40Y1 (ko) 프린터의 종이 이송장치
JPH0327798Y2 (ko)
JPH01196374A (ja) 記録装置
US4591882A (en) Printer electromagnetic clutch drive
JPH0120133Y2 (ko)
JPS6222374Y2 (ko)
JPH0625332Y2 (ja) 印字装置
JPH0734687Y2 (ja) プリンタ装置のキャリッジ駆動機構
JP2566319B2 (ja) タイミングベルト駆動機構
JPH0734686Y2 (ja) 歯付ベルト
JP3299406B2 (ja) タイミングベルト連動駆動機構
JPH0515640Y2 (ko)
JPH0234049Y2 (ko)
JP3534836B2 (ja) シリアル記録装置
JPH0217885Y2 (ko)
KR890003081Y1 (ko) 써멀 프린터 헤드(thermal printer head)압접장치
JP2526739B2 (ja) 駆動装置
JPH03376Y2 (ko)
GB2265573A (en) Backlash compensation in gear-driven paper feeds for selective printers.
KR890000089Y1 (ko) 열감응 프린터
WO1998045124A1 (fr) Structure de fixation d'un element d'entrainement de chariot sur une courroie d'entrainement de chariot d'imprimante
JP3677115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リボン送り装置
JP3284473B2 (ja) プリンタ
JPH059186Y2 (ko)
JPH0312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