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89Y1 - 열감응 프린터 - Google Patents

열감응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89Y1
KR890000089Y1 KR2019840011148U KR840001148U KR890000089Y1 KR 890000089 Y1 KR890000089 Y1 KR 890000089Y1 KR 2019840011148 U KR2019840011148 U KR 2019840011148U KR 840001148 U KR840001148 U KR 840001148U KR 890000089 Y1 KR890000089 Y1 KR 890000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gear
cam
plate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기꾸찌
무라 다다시 나까
야마 다까 히또 마루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89Y1/ko

Links

Landscapes

  • Common Mechanism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감응 프린터
도면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a)도는 요부의 사시도.
제2(b)도는 캐리지 부분의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플라텐과 캐리지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캠과 캠 조작수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와이어와 캐리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확대도.
제6(a)도는 캠 조작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텐 4 : 열감응헤드
5 : 캐리지 8 : 캐리지 가이드판
19 : 모터 20 : 모터기어
32 : 구동기어 33 : 아이들기어
34 : 접합기어 36 : 랙크체
38 : 캠 41,42 : 베벨기어
44 : 피니언 45 : 랙크
본 고안은 열감응 프린터에 고안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기록지와 열감응 헤드와의 사이에 열용융재료를 가지는 인쇄테이프를 배치하고, 열감응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발열요소를 열감응헤드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열시켜, 인쇄테이프의 열용융성 재료를 용융시켜서 기록지상에 전사시키도록 한 열감응 프린터가 제안되어 왔다. 이 열감응 프린터는 다른 형식의 프린터에 비해 인쇄할 때에 소음이 생기지 않는 이점이 평가되고 있으나, 상기 열감응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의 복귀시에 열감응 헤드와 플라텐을 분리시키기 위해 전자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지 복귀시에 소음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서 캐리지 복귀시에 소음이 생기지 않게한 열감응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열감응헤드와, 이 열감응 헤드를 탑재하고, 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지와, 이캐리지를 인자행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지 이송수단과 상기 열감응 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지가 장착된 플라텐과, 상기 캐리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상기 열감응 헤드와 플라텐의 접촉과 이탈 작동을 행하도록 회동가능한 캐리지 가이드판과, 이 캐리지 가이드판을 회동시키는 캠과, 이 캠을 작동시키기 위한 캠조작수단과, 상기 캐리지 이송수단과 캠조작 수단을 구동시키는 단일 모우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이 제1도에서 1은 도시하지 않은 기록지가 감겨지는 플라텐, 2는 이 플라텐(1)의 전면위치 즉 인쇄위치에 장착되는 플라텐고무, 3은 플라텐(1)에 감기는 기록지를 안내하는 종이가이드이다. 4는 플라텐고무(2)에 대향하도록배치되며 복수의 발열요소를 가지는 열감응 헤드, 5는 이 열감응 헤드(4)가 장착되는 캐리지, 6은 기록지에 전사되는 열용융성 재료를 가지는 인쇄테이프, 7은 이 인쇄테이프(6)가 수납되는 테이프 카세트이며, 이 테이프 카세트(7)는 캐리지(5)에 착탈자유로히 수납된다. 8은 캐리지(5)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지 가이드판이며, 제2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9)를 중심으로 회동이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캐리지(5)에 고정설치된 캐리지 가이드축(10)을 안내하는 홈(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캐리지 가이드판(8), 캐리지 가이드축(10) 및 홈(11)은 캐리지(5)를 플라텐(1)의 전면을 따라서 안내하는 캐리지 가이드기구를 구성한다. 또 12는 캐리지 가이드판(8)상의 캐리지 즉 열감응 헤드(4)를 플라텐고무(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압접스프링이다.
또 제1도에 나타낸 13은 단부의 각각이 캐리지(5)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와이어, 14 및 15는 캐리지 가이드판(8)쪽으로 배치되어 와이어(13)가 감기는 풀리, 16은 와이어 (13)가 감기고 예를 들면 양쪽측부에 기어를 가지는 구동풀리이다. 상술한 와이어(13), 풀리(14), (15) 및 구동풀리(16)를 가지고 캐리지(5)를 플라텐(1)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수단을 구성한다.
또 17은 기록지가 맞닿는 종이 이송로울러, 18은 종이 이송 로울러(17)가 지지되는 종이 이송축이며, 이들의 종이 이송로울러(17) 및 종이 이송축(18)은 기록지를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송하는 기록지 이송수단을 구성한다.
또, 제1도에 나타낸 19는 스탭핑모터, 20은 모터(19)의 출력축에 설치된 모터기어, 21은 모터기어(20)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상기 구동풀리(16)의 한쪽측면에 기어에 걸어 맞추는 아이들 기어이다. 22는 구동풀리(16)의 다른쪽 측면의 기어에 걸어 맞추는 제1의 간헐기어, 23은 제1의 간헐기어(22)와 걸어 맞추는 제2의 간헐기어, 24는 제2의 간헐기어(23)와 걸어 맞추는 종이이송기어, 25는 가동 접촉편 부착대, 26은 종이 이송기어(24)와 걸어 맞추는 래칫드, 27은 래칫드(26)와 착탈 가능한 래칫드이다.
28은 래칫드(27)를 래칫드(26)와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는 래칫드 스프링(28)이고, 29는 래칫드 스프링(28)의 일단을 규제하는 와셔이다. 30은 래칫드(27)를 래칫드(26)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래칫드(27)에 형성한 기어에 걸어맞춤 가능한 기어를 둘레에 가지는 매뉴얼노브이며, 31은 매누얼노브(30)를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레버이다.
상술한 모터기어(20), 아이들기어(21), 구동풀리(16), 제1의 간헐기어(22), 제2의 간헐기어(23) 및 종이 이송기어(24)는 상술한 캐리지 이동수단과 기록종이 이송수단을 연동가능한 기어부 즉 캐리지(5)를 왕복시킴과 동시에 캐리지(5)의 일왕복에 따라서 기록지의 일정량을 제1도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하는 기어부를 구성한다.
또 상술한 래칫드(26)(27) 및 매뉴얼 노브(30)는 기록지를 수동으로 역이송 즉 제1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수동종이 이송기구를 구성한다.
또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19)의 모터기어(20)로 부터 뻗어나가게한 축에 구동기어(32)를 설치하고, 이 구동기어(32)에는 아이들기어(33)를 거쳐서 접합기어(34)와 걸어맞춘다. 이 접합기어(34)는 상기 구동기어(32)와 걸어맞추는 고정기어(34a)와, 스프링(35)에 의해 고정기어(34a)에 연접하는 당접기어(34b)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랙크체(36)와 맞물리게 된다. 이 랙크체(36)는는 2열의 톱니부로 형성되고, 한쪽의 톱니부는 상기 고정기어(34a)와 맞물리는 양단을 결치(缺齒)로 한 결치부(36a)로 되어 있고 다른쪽의 톱니부는 상기 당접기어(36b)와 맞물리는 전치부(全齒部)(36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32), 접합기어(34), 랙크체(36)등에 의해 조작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랙크체(36)로 부터는 T형의 돌기체(37)가 돌설되고, 이 돌기체(37)는 제3도에 나타낸 낮은 부위(38a) 및 높은 부위(38b)와 이 낮은 부위(38a) 및 높은 부위(38b) 사이의 경사부(38c)로서 이루어진 캠(38)내의 공간부(38d)를 왕복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캠(38)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 가이드판(8)의 지지부(9)로 부터 뻗어 나온 받이부(39)의 축부분(40)과 당접한다.
따라서, 제3(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캠(38)의 낮은 부위(38a)에 받이부(39)가 위치할 때는 플라텐(1)과 열감응 헤드(4)가 접촉하고, 또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8)의 높은 부위(38b)에 받이부(39)가 위치할 때에는 압접스프링(12)에 저항하여 플라텐(1)과 열감응 헤드(4)가 이탈되고 이 상태로서 상술한 와이어(13)에 의해 캐리지(5)의 이동, 즉 복귀 작용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 캠 조작수단의 구동기어(32)는 항상 모터(19)에 의해 구동되는 상태이지만, 한편 캠(38) 혹은 랙크체(36)는 스톱퍼(41)에 의해 스트로크가 일정한 범위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랙크체(36)는 결치부(36a)와 전치부(36b)의 2열 구성으로 하고, 접합기어(34)의 고정기어(34a)를 결치부(36a)와 맞물리게 하여, 캠(38)의 임의 위치에 받이부(39)가 위치 하였을 때 즉 접합기어(34)가 랙크체(36)의 어느한쪽 단부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모터(19)의구동력이 직접 랙크체(36) 혹은 캠(38)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기어(34a)를 랙크체(36)와 맞물리지 않게 하고, 또 당접기어(34b)를 공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모터(19)의 정역회전에 의한 갑작스런 변화에 의한 각부재에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랙크체(36)의 돌기체(37)를 캠(38)내의 공간부(38d)에 위치시켜 랙크체(36)와 캠(38)에 헐거움을 가지게 한다. 동일하게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5)와 와이어(13)와의 걸어맞춤 관계에 있어서, 와이어(13)에 설치한 확대지름부(13a)와 캐리지(5)에 설치된 프레임(5a)의 사이에 이동의 유동성을 가지게 하는 틈새(D)를 형성하도록 하여 완전히 플라텐(1)과 열감응 헤드(4)가 임의의 상태로 이동한 후가 아니면 캐리지(5)의 이동을 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캠 조작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제6(a)도 및 제6(b)도에 나타낸다.
즉, 모터(19)에 베벨기어(41)를 설치하고, 이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42)에 지지축(43)을 고정설치하고, 이 지지축(43)과 걸어 맞춘 축(46)에 피니언(44)을 고정설치하여 이 피니언(44)을 고정설치된 랙크(45)에 맞물린다. 그리고 피니언(44)의 축(46)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하여 캠(38)에 연결시킨다. 또, 지지축(43)과 축(46)의 걸어맞춤 부분은 축(4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해 비원형 형태의 단면을 없애고, 지지축(43)내에 축(46)을 헐겁게 끼우는 공간부(47)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모터(19)의 회전은 베벨기어(41)(42)에 의해 지지축(43)에 전달되고, 지지축(43)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44)의 축(46)이 회동시키고 랙크(45)가 고정되어 있어 피니언(44)의 이동에 따라서 캠(38)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캐리지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캠 조작수단과 캠수단을 작동하여 열감응 헤드와 플라텐의 접촉과 이탈 작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여, 종래의 열감응 헤드에 비해 소음이 작은 열감응 프린터를 제공할 수가 있게된다.

Claims (1)

  1. 열감응 헤드와, 이 열감응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와, 이 캐리지를 인자진행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지 이송수단과, 상기 열감응 헤드에 의하여 기록되는 기록지가 장착되는 플라텐을 가진 열감응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이동가능하고, 또 열감응 헤드와 플라텐의 접촉 및 이탈 동작을 행하는 회동가능한 캐리지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이 캐리지 가이드판을 회동하는 캠이 작동되게 하는 캠조작수단이 상기 캐리지 이송수단과 더불어 단일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응 프린터.
KR2019840011148U 1984-03-29 1984-11-06 열감응 프린터 KR8900000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414984U JPS60157257U (ja) 1984-03-29 1984-03-29 サ−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089Y1 true KR890000089Y1 (ko) 1989-03-06

Family

ID=3055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148U KR890000089Y1 (ko) 1984-03-29 1984-11-06 열감응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57257U (ko)
KR (1) KR890000089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9986A (en) * 1979-06-01 1980-12-12 Hitachi Ltd Printing device
JPS58151282A (ja) * 1982-03-03 1983-09-08 Fujitsu Ltd 印字ヘツドの揺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57257U (ja) 1985-10-19
JPH0234048Y2 (ko) 1990-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692A (en) Head and ribbon driving mechanism for thermal printer
KR900002738Y1 (ko) 열감응 프린터
KR860008881A (ko) 열 전사형 프린터
US4609299A (en) Printing apparatus
US4908632A (en) Thermal printing apparatus
US4654673A (en) Thermal printer with graduated cam actuation
KR890000089Y1 (ko) 열감응 프린터
JPH0789159A (ja) 印字テープ作成装置におけるテープ切断装置
KR0166459B1 (ko) 열전사식 프린터
US4651165A (en) Recorder
EP0126203B1 (en) Heat transfer ribbon feeding device for a printer
KR890003355Y1 (ko) 열감응 프린터
US4657417A (en) Thermal printer
US5135315A (en) Transfer printer with ribbon transmission drive gear
US4955738A (en) Printer with disengageable ribbon feed
JPS6222374Y2 (ko)
JP2566319B2 (ja) タイミングベルト駆動機構
US4789873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JPH0232447Y2 (ko)
JPS6332634B2 (ko)
JP3534836B2 (ja) シリアル記録装置
JP2685604B2 (ja) 熱転写プリンタの駆動制御方法
JP3415941B2 (ja)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JPH0425347Y2 (ko)
JPH0712017Y2 (ja) 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クリボン巻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