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14B1 - 위사공급준비방법 - Google Patents
위사공급준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1414B1 KR860001414B1 KR1019830005689A KR830005689A KR860001414B1 KR 860001414 B1 KR860001414 B1 KR 860001414B1 KR 1019830005689 A KR1019830005689 A KR 1019830005689A KR 830005689 A KR830005689 A KR 830005689A KR 860001414 B1 KR860001414 B1 KR 860001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drum
- side drum
- loom
- crank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실시예에 관힌 애어제트직기의 구동계의 개요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의 작동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주모우터 12 : 크랭크축
14. 15 : 클러치부재 25 : 바디
28 : 위사측장드럼 49 : 주공기분사노즐
51. 52 : 검출기 61 : 흡인노즐
62 : 왕복운동부재 63 : 유도판
본 발명은 위사치이즈부터 풀려나온 위사를 위사측장드럼에 저류(貯留)시켜서 젯트노즐에 의하여 위입시키는 드럼풀식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의 공급준비를 거의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위사측장드럼을 드럼이 회전하여 위사를 그 주면에 감아서 저류시키는 타입이거나 또는 드럼은 정지시키고 그 둘레를 위사권취관이 회전하여 위사를 감아서 저류하는 타입중 어느것이라도 좋다.
드럼풀식위사저류장치는 직기본체의 크랭크축과 완전히 동기적(同期的)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역회전을 행할 수는 없다.
크랭크축과의 동기적 회전을 이룰 수 없으면 소정의 길이의 위사를 소정의 타임명으로 위입할 수가 없으며 위입미스를 일으킨다.
또 드럼등을 역회전시키면 감겨진 위사가 흐트러져서 위입이 되지 않는다.
직기는 운전중에 사절이나 기타의 원인에 따라서 운전을 정지할 때도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정지원인을 제거시킨 후에 기대(機臺)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드럼풀식 위사저류장치는 상술한 원인에 따라서 직기본체의 크랭크축과 완전히 동기적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역회전을 행할 수가 없다.
종래에는 직기가 운전중에 사절이나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운전을 정지한 경우에는 모두 사람의 손에 의하여 위사를 드럼주면에 감아서 재기동시켰다.
그러나 이 심걸기 작업은 단순히 보여지나 작업자의 숙련에 좌우되는 바가 크며 감기준비에 시간이 걸려 긴 시간동안 기대를 정지시키거나 감은 위사의 길이가 부족하여 재기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을 때도 있었다.
본 발명은 직기에 있어서 드럼식위사풀장치에 위사를 감고, 1핏치위입에 필요한 위사를 거의 자동적으로 저류시킬수가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와 직기의 크랭크축과의 연결을 단절시키고, 1이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를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구동가능하게 하고, 이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을 실걸기 적정위치가 되게하고, 이 적정위치에 있는 위사측장드럼에 위사의 끝(단부)를 걸고 이어서 전기한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을 소정의 회전을 시켜서 소정량의 위사를 위사측장드럼위에 저류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공급중비방법에 의하여 그 목적을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의 개량평면도로서, 직기의 크랭크축 12는 주모우터 11로부터 벨트 13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 크랭크축 12는 클럿치부재 14. 15 및 치차열(列) 27을 개재하여 위사측장드럼 2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호 29. 30은 크랭크축 12의 회전에 동기적으로 위사측장드럼의 주면으로부터 출몰하여 위사치이즈 32로부터 텐시 31을 경유하여 풀린 위사의위사측장드럼 28위에 권취와 젯트노즐 49에의 인출을 제어하는 편이다. 클러치부재 14는 크랭크축 12에 연결한 구동축 19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부재 15는 피동축 20에 대하여 "스프라인" 결합을 하고 있다.
또 슬리브 16은 피동축 20에 상대회전 및 축 방향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부재 15는 슬리브 1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나 상대회전가능하다.
또한 클러치부재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 19와 피동축 20의 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계합돌기와 요부(凹部)르 형성하고 있으므로 돌기 및 요부의 위상이 합치면 비로소 클러치부재 14. 15는 계합된다.
부호는 34는 치차이며, 슬리브는 16을 그 사이에 낀 상태에서 클러치부재 1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피동축에 "스프라인" 결합하고 있다.
18은 압축스프링으로서 피동축 20에 고착된 보스 17과 슬리브 16의 좌단부에 설치한 치차 34의 사이에 설치 되어 치차 34와 클러치부재 15를 평상시 오른쪽 방향 즉 클러치부재 14측에 부세(付勢)시킨다.
치차 34는 보조모우터 36의 출력축에 착설한 치차 35에 계합가능하다.
레버 21을 핀 2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그 선단을 슬리브에 결합시키고 있다.
레버 21의 타단은 핀 24에 의하여 에어실린더 23의 피스턴롯드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밸브 34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 23의 피스턴롯드를 신장시키면 압축스프링 1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러치부재 14. 15는 이탈되고 치차 34. 35는 계합하여 보조모우터의 회전이 위사측장드럼, 28에 전달된다.
한편, 에어실린더 23의 피스턴롯드를 후퇴시키면 압축스프링 1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러치부재 14. 15는 계합되고 치차 34. 35는 이탈되어 주모우터 11의 회전이 위사측장드럼 28에 전달된다.
피동축 20에는 위상검출용의 원판 40이 착설되어 있다.
이 원판에는 슬리트 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투광기와 수광기 37. 38에 의하여 검출 가능하다.
또한 투광기와, 수광기 대신에 근접스위치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39는 투광기와 수광기의 제어박스이고 26은 클러치부재 14. 15의 계합을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이다.
부호 33은 그립퍼로서 직기의 크랭크축에 동기적으로 개폐된다.
72는 보조그립퍼로서 전자솔레노이드 71에 의하여 그립퍼 33과 독립하여 개폐된다.
49는 주공기분사노즐로서 크랭크축의 운동에 동기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위사를 경사 사이의 개구속으로 위입시킨다.
73은 위사가 주공기분사노즐에 공급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필러이다.
51. 52는 위사의 위입을 검출하는 필터이며 25는 위입된 위사를 비이팅하는 바디이다.
또한 주공기분사노즐 49와 이사(耳)와의 사이에 이젝터타입의 읍인노즐 61이 설치되고 애어실린더 또는 전자솔레노이드등의 적절한 왕복운동부재 62가 흡인노즐 61이 연결되어 있고 왕복운동부재 62가 흡인노즐 61에 연결되어 있어 왕복운동부재 62의 작동에 의하여 흡인노즐 61의 선단에 착설된 안내판 63이 주공기분사노즐 49로부터 사출되는 위사의 통로외의 위치 및 위사통로상의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64는 주공기분사노즐 49의 선단부근에 착설된 위사절단용 캇터, 65는 흡인노즐 61속으로의 공기류(流)분출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본발명의 이상정지시의 위사공급중비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운전시에 주모우터 11로부터 크랭크축 12를 구동시켜서 종광틀을 개구운동시켜 상하경사 사이에 형성된 저구에 위사를 위입시킨다.
즉, 제1도 있어서 치이즈 32로부터 텐서 31을 경유하여 풀어진 위사는 크랭크부재 14. 15를 경유하여 크랭크축 1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위사측장드럼 28에 의하여 측장된 후 그립퍼 33을 경유하여 주공기 분사노즐 49에 이른다.
그립퍼 33 및 주공기분사노즐 49를 크랭크축 12의 회전에 동기적으로 작동제어하여 주공기분사노즐 49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전기한 위사측장드럼 28 위에 저류된 위사를 상하경사 사이에 형성된 저구에 위입된다.
주공기분사노즐 49와 반대쪽의 이사근방에 설치된 검출기 51. 52는 경사 21의 거의 개구시(크랭크각도 250-300도)에 위입상태를 첵크하여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저구에 위입된 위사가 주공기분사노즐 49의 반대쪽의 이사까지 도달되지 아니한 위입미스가 생기면 검출기 51. 52가 위입미스신호를 말한다.
이 위입미스신호등의 주모우터 정지신호(제2도 t1)에 의하여 기대를 구동시키는 모우터 11의 운전이 정지되어 관성운전에 들어간다.
또한 우입미스신호가 발신되면 왕복운동부재 62의 피스턴이 전진하여 흡입노즐 62 선단에 착설된 유도판 63을 위사의 경우에 교차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우입미스후에 주공기분사노즐 49로부터 사출되는 위사는 유도판 63에 안내되어 흡인노즐 61에 이르러 이 흡인노즐 61에 흡입된다.
또한 위사절단용 컷터의 절단기능을 일시적으로 불작동이 되게하여 위입미스한 위사가 젯트노즐로부터 이어진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위입미스신호발신후의 위입은 저지되고 위사가 저구로부터 흡인노즐 61을 경유하여 주공기분사노즐 49에 이어진 상태가 된다.
관성운전하고 있던 기대는 약 1사이클 움직인 후 경사가 거의 폐구한 상태(크랭크 각도 약300도)에서 정지하여 기대정지신호가 발신된다. (제2도의 t2)
기대가 정지되면 애어실린더 23이 작동하여 (제2도의 t3) 클러치부재 14. 15의 계합이 분리되고 한편 치차 34. 35가 고합되어 피동축 20은 보조모우터 36에 의하여 구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기대의 점검을 행하여 이상원인을 제거하고 기대의 운전을 재개한다.
먼저 위사치이즈 32로부터 흡인노즐 61까지 위사가 이어져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제2도의 t3-t4)
정상적으로 이어져 있으면 압단추스위치(도시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애어실린더 23을 복귀시켜 클러치부재 14. 15를 계합시켜 기대운전을 재개한다.
이 경우의 조작에 대하여서는 예를들면 본출원인의 출원에 의한 일본 특원소 57-77436 등에 소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위입미스의 원인의 하나로서 위사치이즈 32로부터 주공기분사노즐 49까지의 사이에서 위삭 절단되는 주공기분사노즐 49에 위사가 공급되지 않는 일을 들수있다.
이 경우에는 위사치이즈 32로부터 흡입노즐 62까지 위사가 정상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먼저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압단추스위치를 조작(제2도의 t4) 함으로써 보조모우터 36을 기동시켜서 보조모우터 36, 투수광기 37. 38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 28을 회전시키면서 원판 40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 28이 적절위치에 달하면(제2도의 t5) 보조모우터 36을 정지시킨다. (제2도의 t6)
위사치이즈 32로부터 위사를 인출시켜서 위사측장드럼 28의 주면에 1회정도 감고(제2도의 t6-t7)핀 30에 걸어서 주공기분사노즐 49를 통과시켜 위사의 선단을 흡인노즐 61에 흡인시킨다.
흡인노즐 61에 흡인시키는 대신에 예를들면 직기의 템플에 걸어도 좋다.
압단추조작(제2도의 t7)에 의하여 보조모우터 36을 재차 기동시키면 치차 35로부터 치차 34를 경유하여 위사측장드럼 28이 회동되고 그 주면에 위사가 감겨진다.
투수광기 37. 38에 의하여 원판 40의 슬리트 또는 개구를 검출하면(제2도의 t8)(이 사이에 위사측장드럼 28의 주면에 약 3바퀴반의 위사가 감겨진다), 애어실린더 23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결과 압축스프링 18의 작용에 의하여 클러치부재 15와 함께 치차 34가 클러치부재 14쪽으로 부세된다.
그러나 이시점에서는 아직 클러치부재 14. 15의 위상이 합치되지 않아 치차 34. 35가 교합되어 있으므로 보조모우터 36에 의하여 피동축 20은 여전히 회전된다.
클러치부재 14. 15의 위상이 합치되면 압축스프링 18의 탄발력에 의하여 클러치부재 14. 15가 계합하여 동기적으로 치차 34가 치차 35로부터 분리되고 보조모우터 36의 회전인 피동축 20에 전달되지 않는다.
클러치부재 14의 움직임을 리미트스위치 26에 의하여 검출하고(제2도의 t9)보조모우터 36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모우터 11을 기동시키서 직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면 위사측장드럼 28은 클러치부재 14. 15를 경유하여 주모우터 11에 의하여 구동된다.
Claims (3)
-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와 직기의 크랭크축과의 연결을 단절시키고 이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를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구동가능하게 하며 이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을 실걸기 적정위치가 되게 하고 이 적정위치에 잇는 위사측장드럼에 의사끌을 걸고 이어서 전기한 보조모우터에 의하여 위사측장드럼을 소정의 회전을 시켜서 소정량의 위사를 위사측장드럼위에 저류(貯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공급준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측장드럼의 적정위치결정과 소정회전을 보조모우터와 위사측장드럼사이에 설치한 회전검출기에 의하여 행하는 위사공급준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와 직기의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클러치부재를 설치하고 이 클러치부재의 계합부는 회전축선으로부터 편심시켜두며 전기한 위사측장드럼의 구동계와 직기의 크랭크축이 위상에서만 계합되도록 하는 위사공급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27153 | 1982-12-27 | ||
JP57227153A JPS59125943A (ja) | 1982-12-27 | 1982-12-27 | 緯糸供給準備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7112A KR840007112A (ko) | 1984-12-05 |
KR860001414B1 true KR860001414B1 (ko) | 1986-09-23 |
Family
ID=1685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5689A KR860001414B1 (ko) | 1982-12-27 | 1983-12-01 | 위사공급준비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59125943A (ko) |
KR (1) | KR8600014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7644A (ja) * | 1985-03-05 | 1986-09-16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の位相合わせ方法 |
JPS61276279A (ja) * | 1985-05-30 | 1986-12-06 | Nippon Denso Co Ltd | 圧電磁器組成物 |
-
1982
- 1982-12-27 JP JP57227153A patent/JPS59125943A/ja active Granted
-
1983
- 1983-12-01 KR KR1019830005689A patent/KR8600014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7112A (ko) | 1984-12-05 |
JPS59125943A (ja) | 1984-07-20 |
JPH0335417B2 (ko) | 1991-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2101B1 (ko) |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860001411B1 (ko) | 무저직기에 있어서 위사결점직입방지장치 | |
KR860001414B1 (ko) | 위사공급준비방법 | |
EP0149252B1 (en) | Loom | |
EP0111324A1 (en) | A method for preparing weft supply to be picked upon start of operation of a weaving loom, and an apparatus for effecting the same | |
JPS6262167B2 (ko) | ||
EP0150763A2 (en) | Loom | |
JPH0329904B2 (ko) | ||
JPS633983B2 (ko) | ||
JP2503546Y2 (ja) | 織機における緯糸切断回避装置 | |
JPH0680223B2 (ja) | 織機における緯糸供給準備方法 | |
JPS62141158A (ja) |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 |
JPS61167049A (ja) |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起動方法 | |
JPH0351345Y2 (ko) | ||
KR860001417B1 (ko) | 젯트직기의 정지시의 위사처리방법 | |
JP2623683B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準備装置 | |
JPS63264950A (ja) | 無杼織機における起動準備装置 | |
JP2542182B2 (ja) | 織機の緯入れ糸の除去装置 | |
JPH0627400B2 (ja) | 織機における緯糸供給準備装置 | |
JPH0726280B2 (ja) | ジエツトル−ムの緯糸処理装置における流体噴射制御方法 | |
JPH0781227B2 (ja) |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除去方法 | |
JPS61207645A (ja) |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の位相合わせ方法 | |
JPS63249741A (ja) |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除去方法 | |
JPH0361783B2 (ko) | ||
JPH0561372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121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