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52B1 -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 Google Patents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52B1
KR860000952B1 KR1019840003034A KR840003034A KR860000952B1 KR 860000952 B1 KR860000952 B1 KR 860000952B1 KR 1019840003034 A KR1019840003034 A KR 1019840003034A KR 840003034 A KR840003034 A KR 840003034A KR 860000952 B1 KR860000952 B1 KR 86000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sk
knitting
dia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343A (ko
Inventor
빈콜리 아르만도
Original Assignee
산토니 앤드 씨.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빈콜리 아르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니 앤드 씨.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빈콜리 아르만도 filed Critical 산토니 앤드 씨.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84000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the fabric construction, e.g. from plain to rib-loop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제1도는 편침다이알의 일측 반부분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제2도의 Ⅰ-Ⅰ선 수직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Ⅲ방향에서 다이알의 일부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14 : 방사상 요구
15 : 분리벽 17 : 편침
18 : 가요성부재 20 : 궁형단부
21 : 주연환상밴드 22 : 방사상 공(孔)
23 : 환상요입부 24 : 환상밴드
25,26 : 환상스텝
본 발명은 리브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에 관한 것이다.
리브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환편기에는 수직편침 또는 실린더편침 뿐만 아니라 실린더에 중첩되고 이와함께 회전하는 다이알에 형성된 방사상 수평슬로트 또는 요구에 배치된 제2세트의 편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세트의 편침은 수평편침 또는 다이알편침이라 불리워진다.
실린더편침은 편직물의 평편열을 형성하도록 요구되는 반면에 다이알편침은 퍼얼편침열을 형성한다.
리브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이러한 환편기에 있어서, 가장 정교하고 한계적인 단계의 하나는 루우프를 다이알 편침으로부터 실린더니들로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러한 루우프의 이송을 위하여 한쌍의 다이알편침과 실린더편침이 교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침사이의 교차가 용이하도록 여러가지 특수한 혼합형 다이알편침이 제안된 바 있다. 공지된 하나의 혼합형 편침은 다이알편침등체의 측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판스프링형태의 가요성부재로 구성되며, 다이알편침등체에는 루우프 이송중에 상대적인 실린더편침의 통과를 위한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고정부분으로부터 편침측부의 상기 요입부의 약간 외측으로 비켜나 연장되어 편침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통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요입부 위치에서 요입부자체에 대향된 만곡부의 형태를 형성한다.
최근에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다른 형태의 혼합형 다이알편침은 구동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동체의 일측부에 요입부가 형성된 실질적인 편침뿐만 아니라 이 실질적인 편침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결합되어 있지는 않은 독립된 색형태의 가요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잭은 요입부와 함께 통공(eye)을 형성하도록 상기 요입부에 대향된 궁형단부로 구성되고 실질적인 편침의 구동돌기에 해당하는 그 자신의 구동돌기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두 혼합형 다이알편침은 리브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환편기에 있어서 루우프이송의 신뢰도와 정밀성이 실제로 개선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통공의 존재로 이미 다이알편침에 걸려있는 루우프가 보다 더 개방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이알편침과 실린더 편침사이의 어떠한 상호 정렬 부정확성이 상승된 실린더편침의 헤드가 삽입되고 이러한 부정확성이 어느정도 허용될 수 있는 통공의 폭에 의하여 흡수되어 언제나 완벽한 루우프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루우프가 실린더편침에 의하여 보다 신뢰 가능하게 취하여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편침과 협동하는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에 의하여 일부가 구성되는 상기 통공의 존재는 다른 결점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편침다이알의 해당 솔로트 또는 요구에서 가요성부재와 다이알편침의 방사상 운동중에 가요성부재는 그 궁형단부에서 연속되는 벤딩 스트레스(bending stress)를 받게된다. 편침이 다이알의 중심부를 향하여 복귀할 때에 가요성부재는 편침에 대하여 강제로 압압되고 그 궁형단부가 편침에 대하여 전개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가요성부재는 부러지고 말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형 다이알편침이 피로스트레스를 받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여 이러한 형태의 편침이 갖는 잇점이 완전하게 이용될 수 있는 편편다이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목적은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hub)를 갖는 디스크로 구성되고, 이 디스크에는 기부에서 폐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동일한 간격의 방사상요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구는 디스크의 주연에서 장애없이 개방되어 있고 궁형단부를 갖는 가요성부재가 결합된 혼합형 편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는 편침다이알에 있어서, 이 편침다이알이 상기 디스크에 형성된 각 요구가 그 주연개방부로부터 시작하여 혼합형 편침의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가 장애없이 삽입되기 위한 확장된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다이알에 의하여 성취된다.
혼합형 편침을 위한 각 안내요구의 확장부분은 상기 편침의 전체적인 방사상 이동중에 상대적인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가 삽입될 수 있어야 하며, 이에따라 상기 가요성부재는 일정한 폭을 갖는 안내요구의 경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그 궁형단부의 압축과 이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가하여지는 스트레스로 받지 않게되어 가요성부재가 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유리한 것은 안내요구의 초입부분이 요구를 지나는 축방향 중앙편면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확장되어 있는 점이며, 이러한 확장부분은 편침에 연합된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와 같은 동일측부상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별히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편침다이알은 혼합형 편침을 위한 방사상 안내요구가 형성된 디스크로 구성되고 이 디스크의 기부는 디스크의 하측부에 고정된 환상부재에 의하여 폐쇄된 하향개방 환상요입부로 구성된다. 편침다이알의 이러한 실시형태는 각 요구의 확장부분 구성이 용이하며 이 확장부분은 상기 하측의 환상요입부로 개방되도록 디스크의 주연밴드에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상대적인 요구에서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가 이동되도록 요구된 전체 길이에 걸쳐 정밀하게 요구를 확장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나머지 주연의 환상밴드에서만 요구를 확장하고 안내요구의 폐쇄된 기부의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부재를 갖는 디스크의 기부를 폐쇄되도록 디스크의 기부로부터 환상밴드를 제거하도록 결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침다이알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1공정으로 디스크주연으로부터 시작되는 제한된 길이의 방사상공을 천설하는 것이 좋으며, 이후 환상요입부가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디스크의 기부에 형성되고 이 환상요입부는 이미 형성된 방사상공이 상기 요입부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부가적인 환상부재에 의하여 하측이 폐쇄될 디스크에 형성된 하측환상요입부는 이 요입부에 해당하는 환상밴드에서 여러 방사상 요구사이의 분리벽이 기부가 상기 부가적인 부재로 회복될 때에 요구의 기부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깊이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조립된 디스크에서, 장애없는 환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안내요구를 위한 방사상 주연확장공이 내측으로 개방되며, 이들 확장공은 혼합형 편침의 전체적인 방사상 이동중에 그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가 압축없이 삽입될 수 있으나 혼합편침이 치우침없이 완벽하게 안내될 수 있는 길이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편침다이알은 허브(11)가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10)와, 제1도에서 그 하나만을 보인 스크류(13)에 의하여 디스크(10)에 고정될 수 있는 하측부가부재(12)로 구성된다.
특히 디스크(10)의 상측부에는 방사상 요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분리벽(15)이 남아있다. 이 요구(14)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기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분리벽(15)은 디스크(10)의 주연에서 최대치로부터 시작하여 중심을 향하여 점점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요구(14)는 디스크의 주연에서 장애없이 개방되어 있고 요구사이에서 이 디스크의 주연에 상승된 돌치(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구(14)에는 실질적인 편침(17)과, 이에 나란히 배설된 가요성부재(18)로 구성된 혼합형 편침이 삽입되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요성부재는 실질적인 편침에 독립되어 있다. 편침(17)과 가요성부재(18)의 상측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디스크(10)(도시하지 않은 회전수직축에 대하여 허브(11)로 고정된다)의 회전중에 편침과 가요성부재가 한쌍으로 함께 방사상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캠(도시하지 않았음)에 대하여 작용하는 구동돌기가 구성되어 있다.
각 편침에 나란히 배치된 가요성부재는 편침에 고정될 수도 있다. 각 편침(17)에는 그 동체의 일측부에 요입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요성부재(18)는 이 요입부에 대향된 궁형단부(20)로 구성되어 요입부와 함께 통공을 형성한다.
디스크(10)의 각 요구(14)에서 혼합형편침(17-18)의 왕복운동중에 가요성부재(18)의 궁형단부(20)가 압축 및 이완되어 가요성부재가 조기에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궁형단부의 운동중에 궁형단부에 의하여 점유되는 요구부분이 적당히 확장된다.
각 요구(14)의 이러한 확장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각 요구(14)의 기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디스크(10)의 주연환상밴드(21)에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궁형단부(20)가 혼합편침(17-18)로부터 돌출된 요구(14)를 통과하는 축방향 중앙편면의 측부를 향하여 그 축선이 옮겨진 방사상공(22)이 형성된다. 이 공(22)은 각 요구(14)와 같이 디스크(10)의 주연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압축없이 요구(14)에 삽입되는 혼합편침(17-18)의 가요성편침(18)의 궁형단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하측부에서, 디스크(10)에는 중심을 향하여 주연화상밴드(21)가 뒤따르는 환상요입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사상 요구(14)의 기부는 이 환상요입부(23)에 의하여 중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사상공(22)은 상기 환상요입부(23)를 항하여 내측으로 개방됨으로서 디스크(10)의 중심을 향하여 요구(14)를 위한 방사상의 확장된 공(22)으로 연장되어 있다. 확장요입부(23)의 깊이는 편침(17)과 나란히 배치된 가요성부재(18)의 높이와 같으므로 가요성부재(18)에 형성된 궁형단부(20)가 방사상 공(22)에서와같이 압축을 받지 않고 환상요입부(23)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환상요입부(23)가 요구(14)의 기부뿐만 아니라 분리벽(15)의 하측부분도 역시 제거되었기 대문이다.
요구(14)의 중단된 기부를 회복되게 하고 혼합편침(17-18)을 위한 지지의 불연속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환상밴드(24)가 디스크(10)의 환상요입부(23)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디스크(10)의 하측부에 부가부재(12)가 고정된다. 부가부재(12)에 형성된 환상밴드(24)의 상측면은 요구(14)의 지지기부와 완전히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되며(제1도 참조), 이러한 동일평면성은 부가부재(12)의 환상턱(25)이 디스크(10)의 하측에 형성된 환상스텝(26)에 대하여 안착됨으로서 확고히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는 디스의 주연으로부터 시작되고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가 압축됨이 없이 편침과 함께 전체적인 방사상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확장공을 정밀하게 형성하는데 관련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구체화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확장된 공(22)은 그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최대로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 제1공정에서 디스크 주연으로부터 시작하여 제한된 길이의 방사상공을 천설하고 이어서 디스크에 방사상요구와 하측 환상요입부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어떠한 어려움없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하측부 가부재를 고정함으로써 각 요구에서 혼합편침을 위한 지지연속성을 회복하여 다이알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이알이 조립될 때에 디스크의 하측환상요입부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부가부재의 환상밴드의 상부면과, 요구사이에서 분리벽의 하측변부에 의하여 구성된 평면사이에는 장애없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요구를 위한 이 주연의 방사상 확장공은 이 내부공간으로 개방되어 있어 혼합편침이 요구내에서 완전하게 안내되어 방사상으로 운동하는 중에 가요성부재의 궁형단부는 전혀 압축되지 아니하며 결과적으로 부러지게 하기도 하는 연속된 응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를 갖는 디스크로 구성되고, 이 디스크에는 기부에서 폐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동일한 간격의 방사상요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구는 디스크의 주연에서 장애없이 개방되어 있고 궁형단부를 갖는 가요성부재가 결합된 혼합형 편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배설된 편침다이알에 있어서, 디스크에 형성된 각 요구가 요성부재의 궁형단부를 장애없이 삽입허용하도록 그 주연개방부로부터 시작하여 확장된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각 안내요구의 초입부의 확장부분이 이 요구를 지나는 축방향 중앙평면에 대하여 비대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의 편침다이알.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각 요구의 확장된 부분이 디스크의 주연확상밴드에 천설된 방사상공으로 구성되고, 이 방사상공은 디스크에 형성된 하향 개방형의 환상요입부내로 개방되고 디스크의 하측으로 고정된 환상부재로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의 편침다이알.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재의 상측면이 안내요구의 폐쇄된 기부의 연속성을 회복하고, 디스크의 하측 요입부에 일치하는 환상밴드에서 상기 상부면은 편침과 연합된 가요성부재의 높이와 적어도 동일한 거리만큼 안내요구사이에서 분리벽의 하측변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의 편침다이알.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디스크의 하측부에 부가부재에 형성된 환상스텝이 상치되는 환상접속스텝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의 편침다이알.
KR1019840003034A 1983-05-31 1984-05-31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KR860000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2001B/83 1983-05-31
IT2200113/83 1983-05-31
IT8322001U IT8322001V0 (it) 1983-05-31 1983-05-31 Piatto degli aghi perfezionato per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per calzetteria atta a produrre maglia a cos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343A KR840009343A (ko) 1984-12-26
KR860000952B1 true KR860000952B1 (ko) 1986-07-23

Family

ID=1119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034A KR860000952B1 (ko) 1983-05-31 1984-05-31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07504A (ko)
EP (1) EP0130631B1 (ko)
JP (1) JPS6034654A (ko)
KR (1) KR860000952B1 (ko)
AT (1) ATE28671T1 (ko)
CS (1) CS268662B2 (ko)
DE (1) DE3465117D1 (ko)
IT (1) IT8322001V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5187B (it) * 1985-07-04 1987-11-04 Mecmor Spa Dispositivo per il passaggio del punto da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diritta ad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rovescia e viceversa,in una macchina per maglieria e simili
KR101028763B1 (ko) * 2009-04-15 2011-04-14 금용기계 주식회사 다이알 선단부에 요홈이 형성된 환편기
CN104109936B (zh) * 2014-05-06 2019-03-19 晋江宏基机械有限公司 双面大提花机上针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820006A (en) * 1898-09-21 1898-10-29 George Frederick Sturgess Improvements in Knitting Machines.
US1418345A (en) * 1921-03-01 1922-06-06 Earl M Witherell Knitting-machine needle
US2040319A (en) * 1935-01-31 1936-05-12 Lombardi Knitting Machine Co I Knitting apparatus
GB478969A (en) * 1936-07-27 1938-01-27 M B C Vendo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knitted fabric and articles and loop transferring instruments employed therein
US2401083A (en) * 1944-02-23 1946-05-28 Koppel Charles Cylinder and dial knitting machine
GB586337A (en) * 1944-10-18 1947-03-14 Bentley Eng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icked instrument beds for knitting machines
US2588451A (en) * 1949-08-30 1952-03-11 Rudolph E Zeruneith Transfer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US2626515A (en) * 1950-04-14 1953-01-27 Hemphill Co Knitting needle and transfer bit
US3545233A (en) * 1967-06-19 1970-12-08 Victor J Lombardi Cylinder and dial construction for knitting machines
JPS51147650A (en) * 1975-06-06 1976-12-18 Youichi Inamoto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knitting needle in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34654A (ja) 1985-02-22
EP0130631B1 (en) 1987-07-29
IT8322001V0 (it) 1983-05-31
DE3465117D1 (en) 1987-09-03
CS406084A2 (en) 1989-08-14
ATE28671T1 (de) 1987-08-15
CS268662B2 (en) 1990-04-11
KR840009343A (ko) 1984-12-26
EP0130631A1 (en) 1985-01-09
US4607504A (en) 198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52B1 (ko) 리브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한 싱글실린더 환편기용 편침다이알
US10240267B2 (en) Needle cylinder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US5609044A (en) Durable knitting machine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77401A (en) Knitting machine cylinder having a hardened top insert 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587873A1 (en) Seal device
US4574596A (en) Stitch-forming machine
US2673541A (en) Rotary shuttle for sewing machines
JP2003183955A (ja) 靴下の爪先きを閉鎖するためのプレート
JP2758372B2 (ja) 繊維機械用の舌針
US3430464A (en) Tubular hosiery tensioning device
CN105143538B (zh) 单柱针织机和用于所述单柱针织机的针柱
US2385056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1037049A (ja) シングルシリンダ靴下製造丸編機
US3388443A (en) Mounting of needles in the needle boards of web punching or needling machines
JP4149012B2 (ja) 単一シリンダ型丸編み機またはストッキング編み機用フック
US1149884A (en) Needle-controlling mechanism.
US1899278A (en) Needle bed
US3232258A (en) Rotating sewing machine hook
US4321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the latch of the needles in double-cylinder knitting machines
US3343510A (en) High speed rotary hook
USRE14369E (en) Albert m
US2575365A (en) Transfer needle
JP2960370B2 (ja) 垂直全回転かま
JP2789471B2 (ja) 円形編機のニードルシリンダー溝の底部にセレクターを係止する装置
RU2003744C1 (ru) Челнок швейн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