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56B1 -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56B1
KR860000156B1 KR8200837A KR820000837A KR860000156B1 KR 860000156 B1 KR860000156 B1 KR 860000156B1 KR 8200837 A KR8200837 A KR 8200837A KR 820000837 A KR820000837 A KR 820000837A KR 860000156 B1 KR860000156 B1 KR 86000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osition sensor
evaluation circuit
analog
pressure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553A (ko
Inventor
뮐러 발터
페터 스투더 우르스
블로벨 하랄드
Original Assignee
클라이드 윌리암 웰렌
더 클레이톤 파운데이션 포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이드 윌리암 웰렌, 더 클레이톤 파운데이션 포 리서치 filed Critical 클라이드 윌리암 웰렌
Publication of KR83000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2Instruments using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amplifiers 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filters, e.g.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61Mouth control in general, i.e. breath, mouth, teeth, tongue or lip-controlled input devices or sensors detecting, e.g. lip position, lip vibration, air pressure, air velocity, air flow or air jet ang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211Spint harmonica, i.e. mimicking mouth operated wind instruments with multiple tuned free reeds, a.k.a. harmonica, blues harp, mouth organ, pitch pipe, ChengGo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4Harmonic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전기 회로 계통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취주(吹奏)본체를 간단하게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취주본체에 랒추어진 취입구(mouth piece)를 간단하게 도시하고 정압 변환기에 이 흡입구를 접속시키는 것을 도시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 회로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 장치에 의해 전자 음악기구로 만들어질 수 있는 음향을 분류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취주본체 16 : 평가회로
23 : 확성기 시스템 24 : 합성기
25 : 취입구 26 : 취주구
28 : 압련측정기 29, 68 및 71 : 기준전압원
30 : 취입구이동통로 31 : 탭 또는 러그
32 : 위치감지기 34 : 계단전압발생기
36 : 스위치 37 : 보조전압원
40 : 전위차계 41 :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44 : 해독기 47 : 차동증폭기
48 : 기준 또는 셋트값-전압원 52 : 극성검출기
57 : 중간기억소자 63 : 정극기
67 : 임계값 검출기 72 : 제어전압발생기
76 : 합산증폭기 81 : 혼합기
93 : 하우징 98 : 인쇄회로기판
101, 102 : 배출채널
본 발명은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악기의 새로운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이 작동 장치는 하모니카와 비슷하게 구성되고 이와 비슷하게 연주할 수 있는 취주(吹奏)본체를 포함하는데, 이 본체내에는 작동자의 취주 기극에 감응하는 소자들이 그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이 소자들은 그들의 감응 기능으로 합성기를 제어한다.
이 일반적인 형태의 작동 장치는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1972년 4월 8일자로 허여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 772, 103호에 전자 하모니카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하모니카와 마찬가지로 이 종래 기술의 작동 장치의 취주본체는 서로 유출 채널을 하정는 일력의 취주구를 갖추고 있다. 이 유출 채널들에 작동상 관력된 것은 피스톤 또는 벨로우(bellow) 형태로 되어 있고, 부압력, 즉 흡입과 과대 압련, 즉 취주시에 기계적 운동에 감응되는 소자이다. 이들 각 소자들은 관력된 소자들이 감응할 때 박판이 상승되고 이와 대등하게 모든 박판들 이상으로 연장된 접촉 레일을 상승시키며 이것의 휴지위치에서 모든 박판들을 접촉시키도록 탄성 박판 또는 소형판과 상호 작동한다. 박판이 상승되면, 상승된 박판과 접촉 레일 사이에만 전기 접촉이 있게 된다. 각각의 박판은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들 중의 2개의 연속적으로 배열된 저항기들 사이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직렬-접속 저항기들은 그 자체가 취주본체속에 결합된 발진기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회로소자로 형성한다. 박판이 취주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직렬회로의 저항값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기 발진주파수가 발진기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종래 기술의 작동 장치는 수신기를 형성하는 광저항기를 포함하고 있는 광장벽을 갖추고 있다. 상술한 접촉 레일이 상승되는 정도에 따라서, 이 광장벽은 더 크거나 또는 더 작게 중단된다. 광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경시킴으로써, 발진기에 의해 발생한 전기 발진의 진폭이 상응하게 변경된다. 본 분야장치의 이 상태로 발생한 전기 발진은 예를들어 배음(倍音)을 그 위에 중첩시키거나 주파수 분할 및 증폭에 이것들을 사용함으로써 변환되거나 변형되고, 그 후에 수정된 전기발진은 전기-음향 변환기로 분배된다. 이 전기-음향 변환기는 수신된 주기적인 전기 신호를 적당한 음향으로 변환시킨다.
이 종래기술의 작동장치는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고 부분적으로 단점이 상당히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몇가지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취주구에서, 비롯된 각각의 유출 채널들은 과대압력, 즉 취주 또는 부압력(즉 흡입에 감응하여 기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소자와 함께 작동가능하게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모든 소자들이 이것의 값에 관력해서 설정된 과대압력 또는 부압력과 동일한 정도로 작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전기-음향 변환기로부터 들을 수 있는 고음의 정도 또는 음향강도는 과대압력 또는 부압련이 일정치로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취주구들 사이에서 변하게 된다. 또한 과대압력 및 부압력에 감응되어 기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소자들은 흡입 또는 취주기극에 완전히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취주기극는 무엇보다도 순수하고 깨끗한 건조공기이어야 된다. 그러므로 이 소자들의 가동성에 기인되어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장치를 잠깐만 사용하여도 상당히 손상되므로 특히 장치의 전기 부품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직렬회로의 저항기의 저항값은 온도에 따라변하므로 발진기에 의해 발생한 전기 발진의 주파수와 이것과 함께 변환기에 의해 발생한 음률의 고저는 각 장치의 주변온도 및 장치의 온도의 함수로 비교적 소폭으로 변동한다.
공지된 작동장치에는 매우 작은힘 즉 약간의 취주 또는 흡입압력의 영향을 받는 상태하에서도 최소한 이론적으로 작용하거나 운동하는 다수의 가동소자가 있으므로 종래기술의 장치는 연주하는 동안 취주본체에 작용하는 충격 및 진동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하는 동안 취주본체에 갑작스런 운동이나 가속을 주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된다.
기타 공지의 구조에 대한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 143, 027호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고 제2, 338, 51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결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결점들을 개선한 새로운 구조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졸래기술의 구조에 비해서, 음악가나 연주자들이 연주시에 매우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량된 구조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격이나 온도변화에 크게 작용하지 않도록 새롭게 개량된 구조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의 또 한가지의 목적은 기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품이나 소자들을 최소한도로 필요하도록 새롭게 개량된 구조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의 작동장치에는 취주본체에 단일의 취주 및 흡입구를 갖춘 착탈 가능한 취입구(mouth piec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주 및 흡입구는 차례로 정압변환기 또는 전송기에 결합된다. 취입구의 이동통로를 따라 일열의 위치설정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감지기는 각 취입구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부품 또는 소자와 함께 작동한다. 정압 변환기와 위치설정 감지기는 모두 그의 감응에 따라서 합성기용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평가회로에 결합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분야에 숙력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및 개념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간단명료하게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어 제1도에 도시한 장치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같이 하모니카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고 이와 유사하게 연주할 수 있는 취주본체(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취주본체(11)는 도선(12, 13, 14 및 15)에 의하여 평가회로(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평가회로(16)의 출력도선(17, 18 및 19)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확성기 시스템(23)을 갖추고 있는 합성기(24)의 제어전압입력(20, 21 및 22)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20)에 나타나는 제어전압은 음률의 고저 조절용이고, 입력(21)에 나타나는 제어전압은 음색의 결정용이며, 입력(22)에 나타난 제어전압은 생성된 음향의 음량 또는 강도의 결정용이라고 가정한다.
취주본체(11)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취주구(26)가 설치되어 있는 취입구(2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취입구(25)는 유연성 도관 또는 도선(27)에 의해 압력측정기(28)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들어 2V의 기준전압원(29)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이 도선(15)에 접속되어 있는 압력 측정기(28)는 과대압력이 도관(27)에 부여되는 경우에 기준전압의 일측을 벗어나고 부압력의 경우에 기준전압의 타측을 벗어나게 되는 전압신호를 일정하지 않은 기준출력에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편차의 크기는 각각 과대압력 또는 부압력의 크기에 해당한다. 기극가 도관 또는 도선(27)에 나타나지 않으면, 압력측정기(28)의 출력신호는 기준전압원(29)에 나오는 기준전압에 해당된다. 이제 취입구(25)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취입구(25)는 제1도에 점선(3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취주본체(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취입구(25)에는 탭(tab) 또는 러그(3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러그는 상기 취입구(25)를 이동시키는동안 예를들어 취입구 이동통로(30)를 따라서 배열된 (15 또는 16) 위치감지기(32)중의 최소한 한 개 이상과 접속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위치감지기(32)는 포오크 커플러(fork coupler)로 구성된다. 즉 각위치감지기(32)는 광방출 다이오드(LEC)와 같은 광원과 광 트랜지스터와 같은 광 감지소자로 구성된 광 장벽인데 이 광 장벽은 탭 또는 러그(31) 또는 이와대등한 구조물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위와 대등한 것으로 위치감지기(32)로서 근접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위치감지기(32)는 그 자체의 분리도선(33)에 의하여 계단 전압발생기(34)에 접속된다. 도선(12)에 접속된 이것의 출련(35)에서 이 계단전압발생기(34)는 동일하게 감응 되도록 설치된 각 위치감지기(32)용의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압 신호는 관력된 위치감지기(32)에 대하여 특성을 나타낸다. 계단전압발생기(34) 내에는 선택 또는 게이트 회로가 집적될 수 있으므로 2개의 인접 배열된 위치감지기(32)가 동시에 감응하는 경우에 2개의 위치감지기(32)중의 한 감지기에 대하여 특성을 나타내는 단 한 개의 전압 신호만이 출력(35)에서 나타난다.
하모니카의 취주채널과 비슷하게 각 위치감지기 (32)는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같이, 상호 관력된 2개의 옥타아브(octave) 음색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출력(35)에는 취입구(25)의 순간위치의 특성을 나타내고 이 위치에 대응하는 2가지 음색의 음률의 고저에 대하여 특성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가 나타난다.
취주본체(11)에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전압원(37)이 도선(13)에 접속될 수 있다. 보조전압원(37)에 의하여 발생한 보조전압은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반음(semitone)이 발생되도록 작용한다.
끝으로 이 취주본체(11)에는 전위차계(40)의 탭(39)에 접속되어 있고 도선(14)에 접속된 이 전위차계 탭(39)을 전이시키도록 작용하는 수동 슬라이드 또는 이동 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도선(14)에는 다른 전압신호 특히, 이때 가변보조변압이 분배되어, 결국 합성기에 의해 발생된 음색 또는 음향이 전동기 도는 글리산도(glissando)에 생기게 된다.
평가회로(16) 내에는 입력(42)이 도선(12)에 접속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1)가 갖추어져 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1)는 취주본체(11) 내에 위치감지기(32)가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의 출력(43)을 갖고 있으므로 각각의 출력(43)은 위치감지기(32)의 작동과 관계가 있다. 입력(42)에 나타나는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1)는 이 출력(43)중의 한 출력에서 디지탈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출력(43)들은 동시에 해독기(44)의 입력을 형성하는 데 이 작동형태는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취주본체(11)내에 설치된 압력측정기(28)와 결합시킨 도선(15)은 차동증폭기(47)의 한 입력(45)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의 다른 입력(46)은 예를들어 기준전압원(29)과 동일한 전압을 분배하는 기준 또는 셋트값-전압원(38)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차동증폭기(47)의 출력(49)에는 차동신호가 나타나는 데 이것의 극성은 압력측정기(28)가 부압력을 검출하는지 아니면 과대압력을 검출하는지에 따라서 변한다. 압력측정기(28)가 부압력을 검출하지 않고 과대압력도 검출하지 않으면, 출력(49)에 아무런 신호도 안 나타나게 되어 취입구(25)에 흡입기류나 취주기류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시한다.
차동증폭기(47)의 출력(49)은 도선(50)에 의해서 비교기 또는 극성검출기(52)의 입력(5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출력(49)으로부터 나오는 차동신호의 정현파의 함수인 2개의 디지탈 신호중의 한 신호를 이것의 출력(53)에서 보낸다. 비교기 또는 극성검출기(52)의 출력(53)은 도선(54)에 의해 해독기(44)의 최종입력(55)에 접속되어 있다.
해독기(44)는 입력(55)에서 나타나는 신호(흡입 또는 취주)의 함수인 2개의 숫자 데이타중의 한 데이타를 각 입력(42)에 설정하거나 상호 관련되게 하였다. 4개의 연속적인 옥타아브의 전음색의 서수(序數)에 따른 예컨데 1-32의 숫자데이타는 해독기(44)의 출력측(56')에서 2-진디지탈 형태로 나타난다. 이 해독기 출력측(56')은 전력 20-25에 해당하는 6개의 도선 또는 도체(56)를 포함한다. 결국 취주본체(11)에서의 취입구(25)의 위치와 취주 또는 흡입기류의 존재 즉 "연주된" 음향은 최종적으로 명확한 숫자데이타로 전환된다. 이 숫자데이타 또는 정보는 도선(56)을 통하여 제어입력(58)을 갖춘 중간 기억소자(57)에 도달한다. 중간 기억소자(57)는 도선(56)상에 나타나는 숫자데이타가 입력(58)에 제어신호가 나타나는 경우에 동일하게 6개의 도선 또는 도체(60)를 포함하는 출력측(59)으로 변화없이 이송되는 것을 감지할 때 게이트 회로 도는 플립-플롭회로로 작용한다.
입력(58)에서의 제어신호는 다음과 같은 소자들에 의해 발생된다. 정부 또는 비-차동신호를 이송하는 차동증폭기(47)의 출력(49)은 도선 또는 도체(61)에 의해서 능동 4-방식정류기(63)의 입력(6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기(63)의 출력(64)에는 단극(Unipolar) 아날로그 신호가 나타나는데 이 신호의 레벨은 출력(49)에 의해 분배된 차동신호의 절대값의 함수이다. 정류기(63)의 출력(64)은 도선 또는 도체(65)에 의해서 기준전압원(68)에 접속된 임계값 검출기(67)의 입력(66)에 접속된다. 이 임계값검출기(67)는 이때 출력(64)으로부터 도달하는 신호가 기준전압원(68)에 의해 발생한 전압 또는 전위에 따른 설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출력(69)에 디지탈신호를 보낸다. 다시 말하자면 압력측정기(28)가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일정한 강도를 갖고 있는 기류의 전압을 검출할 때 출력(69)에 신호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임계값 검출기(67)는 취입구(25)내에 예를들어 공기 드래프트(airdraft)에 의해 발생되고 압력측정기(28)에 의해 검출된 우발적인 불필요한 기류에 의해 더욱 처리된 신호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검출기 출력(69)은 도선 또는 도체(70)에 의해서 중간기억소자(57)의 제어입력(58)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기억소자(57)의 출력도선(60)은 동시에 안정된 기준전압원(71)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전압발생기(72)의 입력을 형성한다. 이 제어전압발생기(72)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식으로 작용하고 이 제어전압발생기(72)의 출력(73)에 나타나는 일정한 직류전압은 도선(60)에 의해서 전달된 각각의 숫자데이타에 할당시킨다.
예를들어 2개의 연속적인 숫자 데이타에 할당된 2개의 제어전압사이의 차이는 일정한다. 그러나 출력(73)에 나타나는 전압 또는 전위는 입력단자(20)에서 합성기(24)에 의해 요구된 제어전압의 범위로 조절하거나 서로 연관되게 하여야 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어전압발생기(72)의 출력(73)은 도선(74)에 의해 합산증폭기(76)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고 이 증폭기의 다른 입력(77)은 도선 또는 도체(78)에 의해서 도선(13), 즉 푸시-버튼스위치(36)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가 눌려지면 보조전압원(37)에 의해 분배된 전압은 합산증폭기(76)로 인가되어 그 전압이 증폭기에 의해 발생기의 출력(73)에 전달 가산된다. 보조전압원(37)의 전압의 진폭은 음색단계의 절반이 되도록 선택된다. 합산증폭기(76)의 출력(79)은 도선 또는 도체(80)에 의하여 혼합기(81)의 제1 입력(82)에 접속되어 있다. 이 혼합기(81)의 제2 입력(83)은 도선 또는 도체(88)와 도선(14)에 의하여 전위차계(40)의 탭(3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른 가변보조전압을 수신한다. 혼합기(81)의 제3 입력(84)은 도선 또는도체(89)에 의해서 정류기(63)의 출력(64)에 접속되어 있다.
혼합기(81)는 각각의 출력도선(17, 18 및 19)에 접속된 3개의 출력(85, 86 및 87)을 갖고 있다. 혼합기(81)에 설치된 조정 소자(90, 91 및 92)를 세탕함에 따라 출력(85, 86 및 87)은 입력(82, 83 및 84)에 여러 등급으로 결합되게 되어있다. 그러므로 출력(85)은 예를들어 입력(82)에서 나타나는 전압을 필수적으로 수신된다. 그러나 이 전압은 입력(83 및 84)에서 나타나는 신호들에 의하여 부수적인 영향을 받을수도 있다. 출력(87)은 입력(84)에서 나타나는 신호를 필수적으로 수신하는데 이 신호는 입력(82 및 83)에서 나타나는 신호들에 의해서 부수적으로 영향을 발을수도 있다.
하모니카의 형태로 취주본체(11)를 연주함으로써, 합성기(24)를 제어하고 동자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제어전압들이 발생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취주본체(11)의 실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취주본체(11)는 한 측면을 향하여 반드시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 하우징(93)을 갖추고 있고 저면(94), 후부벽(95), 2개의 측방향 단부벽(96) 및 상부벽 또는 판(97)을 포함한다. 기판 또는 저면(94)에는 인쇄회로기판(98)이 고착되어 있는데 이 기판에는 집적회로로 제조된 계단전압 발생기(34)의 열내에 장착된 위치감지기(32)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93)의 개방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취입구(25)는 상부판 또는 벽(97)의 전면연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부벽 또는 판(97)과 저면(94) 사이에 장착된 간막이 또는 분리벽(99)에 의하여 안내된다. 압력측정기(28)는 하우징(93)내에 고착되어 있고, 취입구(25)에 장착된 취주구(26)로부터 나온 접속부 또는 스터드(stud)(100)에 유연성호스 또는 도선(2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들어 스로틀(throttle) 나사(103) 또는 대등한 유출스로틀 소자에 의해서 관통능력 또는 유출을 변경시키는 2개의 또는 대등한 단 한개의 배출채널(101 및 102)가 취주구(26)로부터 접속부 또는 스터드(100) 앞에 연장되어 있다. 공기가 작동자의 입으로부터 취주구(26) 속으로 불려 넣어 지거나, 반대로 취주구(26)로부터 빨려나오게 되면 기류는 조절된 배출채널(101 및 102)를 통해서만 유동되고 압력측정기(28)는 취주 또는 흡입에 의해서 발생되는 정압만을 기록한다. 따라서 이 정압은 대기압보다 크거나 작게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러그 또는 탭(31)이 취입구(25)에 고착되어 있고 위치감지기(32)와 상호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생학적인 이유로 취입구(25)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우징(93)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호스도관 또는 도선(27)은 접속부 또는 스터드(1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수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합성기(24)로서 발생시킬 수 있는 음색 또는 음향의 분류표이다. 사각형으로 둘러쌓인 각 직립 주상체(柱狀體)는 위치감지기(32)중의 한 가지에 해당된다. 각 주상체는 4개의 도선을 갖고 있다. 상부의 2개의 도선에서는 스위치(36)가 동작하지 않아도 만들어질 수 있는 음향 또는 음률의 고저가 지시되고 도면의 우측에 참조문자 P+로 표시된 도선에서는 취주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향이 지시되며 참조문자 P-로 표시된 도선에서는 흡입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음향이 지시된다. 원래는 저부의 2개의 도선과 동일하게 유지되는데 이 저부 도선은 스위치(36)를 작동시킨다. 즉 이 도선은 보전보조전압원(37, 제1도)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술한 작동장치에 의하여 더 큰 하모니카와 마찬가지로, 참조숫자 Ⅰ 내지 Ⅳ로 표시된 4개의 옥타아브에서 연주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람이 하모니카를 조금이라도 연주할 수 있어도 상술한 작동장치에 의한 전자 기구를 쉽게 연주할 수가 있고 키이보드 기구보다 배우기가 더 쉽다. 끝으로 연주자가 취주 및 흡입기술을 지휘할 정도로 개인적으로 연주를 할 수가 있으므로 전자적으로 발생되는 음악의 합성 "탄주(彈奏) 감(touch) 또는 음질(quality)"을 방지해 준다.
이후 취주본체(11)와 평가회로(16)내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회로 소자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압력측정기(28) ; 압력변환기 140PC, D형, 제조회사 : 마이크로 스위치 코포레이션
위치감지기(32) : 무접점 광-전기스위치 OPB 804형, 제조회사 : 옵트론 인코포레이티드
정류기(63) : 능동정밀절대치 정류기, 재랄드지, 그래피가 "작동 증폭기의 응용"이란 제목으로 맥그로우-힐 북크 코포레이션에서 출간한 간행물 120 및 121페이지에 기술되어 있음.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41) : IC-구동기, LM 319형, 제조회사 : 내셔날 새미콘닥터 캄파니
해독기(44) : 바이폴라프로그램어블(Programmable) 논리회로, 82S 100형, 제조회사 : 시그내틱스
차동증폭기(47) 및 합산증폭기(76) : 연산증폭기, LM 324형, 제조회사 : 내셔날 새미콘닥터 캄파니
극성검출기(52) 및 임계값검출기(67) : 전압비교기, LM 3302형, 제조회사 : 내셔날 새미콘닥터 캄파니
제어전압발생기(72)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DAC 0808형, 제조회사 : 내셔날 새미콘닥터 캄파니
전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상태로서 취주본체(11)와 평가회(16)로 사이의 결합 및 접속은 유전기적으로 도선(12)내지 (15)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합은, 텔레비젼 셋트 등의 원격제어장치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외선 방사선, 초음파 또는 에너지에 의해서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무선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느 취주본체(11)와 평가회로(16)에 적당한 신호 변환기와 송수신기단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된다. 취주본체(11)내에 집적회로 무우드 또는 구조를 평가회로(16)의 최소한 일부분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Claims (9)

  1. 하모니카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연주할 수 있는 취주본체, 상기취주본체내에 배열되고 인간의 취주기류 또는 흡입기류에 감응하며 이러한 기류가 생기는 위치에 감응하고, 이 감응기능으로서 합성기를 제어하는 감응장치, 상기 취주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일정한 이동통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취입구, 단일 취주 및 흡입구를 구비한 상기 취입구, 정압변환기를 구비한 응답장치, 상기 정압변환기와 교신하는 취주 및 흡입구, 상기 취입구의이 동통로를 따라서 행(行)내에 설치된 위치감지기가 장치된 상기 응답장치, 상기 취입구와 함께 교체시킬 수 있는 부품, 상기 부품과 함께 기능을 나타내는 위치감지기, 평가회로, 상기 평가회로에 접속된 상기 정압변환기 및 위치감지기, 및 상기 정압변환기 및 위치감지기의 응답기능으로서 상기 합성기에 대한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상기 평가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기는 광장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은 탭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장벽은 상기 탭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고, 상기 탭을 취입구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변환기는 취주본체 내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추입구에 상기 정압변환기를 연결하는 유연성 도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입구 내에 장착된 상기 취주 및 흡입구로부터 주변공간까지 이어지는 1개 이상의 배출채널과 제한된 유출능력을 가진 상기 1개 이상의 배출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개 이상의 배출채널의 유출능력을 조절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계단 전압발생기, 이계단전압발생기에 결합되는 상기 위치감지기의 각 위치감지기의 응답에 따라서 각 위치감지기의 전압 특성을 전달하는 상기 계단 전압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7.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취입구가 취주본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합기에 결환된 상기 계단전 압발생기, 다수의 위치감지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출력을 갖고 있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및 상기 계단 전압발생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의 기능에 따라 한 출력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에는 해독기와 차동증폭기, 상기 해독기에 접속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 및 상기 차동증폭기에 의해서 상기 정압변환기에 결합된 상기 해독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KR8200837A 1981-02-25 1982-02-25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KR860000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260 1981-02-25
CH1260/81-0 1981-02-25
CH1260/81A CH657468A5 (de) 1981-02-25 1981-02-25 Bedienungsgeraet an einem mit wenigstens einem synthesizer versehenen elektronischen musik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553A KR830009553A (ko) 1983-12-22
KR860000156B1 true KR860000156B1 (ko) 1986-02-27

Family

ID=420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837A KR860000156B1 (ko) 1981-02-25 1982-02-25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385541A (ko)
JP (1) JPS57157294A (ko)
KR (1) KR860000156B1 (ko)
AT (1) AT386905B (ko)
AU (1) AU528216B2 (ko)
BR (1) BR8200888A (ko)
CA (1) CA1168906A (ko)
CH (1) CH657468A5 (ko)
DD (1) DD201949A5 (ko)
DE (1) DE3201828C2 (ko)
DK (1) DK149910C (ko)
ES (1) ES8303779A1 (ko)
FR (1) FR2500670B1 (ko)
GB (1) GB2094053B (ko)
HK (1) HK79289A (ko)
IT (1) IT1149748B (ko)
MX (1) MX151125A (ko)
SU (1) SU1356973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108A (ko) 2018-05-13 2019-11-21 홍종원 블로잉 전자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175A (en) * 1982-12-21 1986-10-28 Casio Computer Co., Ltd.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566363A (en) * 1983-03-02 1986-01-2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H660554A5 (de) * 1983-04-12 1987-05-15 Clayton Found Res Einrichtung zum ansteuern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apparates.
US4527456A (en) * 1983-07-05 1985-07-09 Perkins William R Musical instrument
JPH0633514Y2 (ja) * 1986-09-12 1994-08-31 忠孫 樫本 サクソフオ−ン演奏装置
US4840634A (en) * 1987-06-10 1989-06-20 Clayton Foundation For Research Calib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machines
DE3911836A1 (de) * 1988-03-31 1989-12-07 Arwed Ziegler Elektronische mundharmonika (emh)
US5149904A (en) * 1989-02-07 1992-09-22 Casio Computer Co., Ltd. Pitch data output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movable members for varying instrument pitch
US4984499A (en) * 1989-03-06 1991-01-15 Ron Schille Electronic harmonica for controlling sound synthesizers
US5170003A (en) * 1989-06-22 1992-12-08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simulating a wind instrument
US5245130A (en) * 1991-02-15 1993-09-14 Yamaha Corporation Polyphonic breath 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231671A (en) * 1991-06-21 1993-07-27 Ivl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ocal harmonies
US5428708A (en) * 1991-06-21 1995-06-27 Ivl Technologies Ltd. Musical entertainment system
GB2269263B (en) * 1992-07-29 1996-02-07 Leslie Vallance Electronic wind instrument
US5603065A (en) * 1994-02-28 1997-02-11 Baneth; Robin C. Hands-free input device for operating a computer having mouthpiece with plurality of cells and a transducer for converting sound into electrical control signals
US6046395A (en) * 1995-01-18 2000-04-04 Ivl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timbre and/or pitch of audio signals
US5567901A (en) * 1995-01-18 1996-10-22 Ivl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timbre and/or pitch of audio signals
US6336092B1 (en) 1997-04-28 2002-01-01 Ivl Technologies Ltd Targeted vocal transformation
KR100651127B1 (ko) * 2006-01-24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음도를 이용한 동작 대상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및 방법
JP2011505025A (ja) * 2007-11-28 2011-02-17 マイ ミュージック マシ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midi風制御システム
JP6435644B2 (ja) * 2014-05-29 2018-1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楽器、発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616191A4 (en) * 2017-04-26 2021-01-06 Schille, Ron Lewis PROGRAMMABLE ELECTRONIC HARMONICA WITH BIFURED AIR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5408A (en) * 1956-05-28 1960-07-19 Edward H Terlinde Harmonica and microphone pick-up therefor
US3143027A (en) * 1961-12-15 1964-08-04 George P Smith Musical control device
US3322875A (en) * 1964-10-09 1967-05-30 John B Roll Harmonica electronic amplification
FR1540350A (fr) * 1967-03-31 1968-09-27 Nouvel instrument de musique dit harmonica électronique
JPS5121566B2 (ko) * 1972-05-11 1976-07-03
JPS53108323U (ko) * 1977-02-07 1978-08-30
JPS5414720A (en) * 1977-07-05 1979-02-03 Suzuyo Tanigaki Electronic instrument input device for selecting scale at lip 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108A (ko) 2018-05-13 2019-11-21 홍종원 블로잉 전자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94053A (en) 1982-09-08
MX151125A (es) 1984-10-03
AT386905B (de) 1988-11-10
JPS645319B2 (ko) 1989-01-30
DE3201828C2 (de) 1984-07-05
SU1356973A3 (ru) 1987-11-30
DD201949A5 (de) 1983-08-17
CA1168906A (en) 1984-06-12
IT1149748B (it) 1986-12-10
FR2500670A1 (fr) 1982-08-27
JPS57157294A (en) 1982-09-28
DE3201828A1 (de) 1982-10-14
IT8219597A0 (it) 1982-02-11
US4385541A (en) 1983-05-31
FR2500670B1 (fr) 1985-12-06
GB2094053B (en) 1984-05-02
HK79289A (en) 1989-10-13
ATA72682A (de) 1988-03-15
CH657468A5 (de) 1986-08-29
DK79382A (da) 1982-08-26
AU8051182A (en) 1982-09-02
DK149910C (da) 1987-06-15
ES509254A0 (es) 1983-02-01
KR830009553A (ko) 1983-12-22
AU528216B2 (en) 1983-04-21
BR8200888A (pt) 1982-12-28
DK149910B (da) 1986-10-20
ES8303779A1 (es) 198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156B1 (ko) 한 개 이상의 합성기를 가진 전자 악기의 작동 장치
US6815602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with impact position-dependent variable resistive switch
US5245130A (en) Polyphonic breath 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08564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527456A (en) Musical instrument
US4984499A (en) Electronic harmonica for controlling sound synthesizers
US5864083A (en) Musical effect controller and system for an electric guitar
US4342244A (en) Musical apparatus
US4699038A (en) Touch sensitive electronic musical or sound generating instrument
US4245539A (en) Musical platform
US4196650A (en) Combined electronic-pneumatic musical instrument
US10796676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armonica having bifurcated air channels
GB2138619A (en) Electronic harmonica
JPH08305362A (ja) 電子管楽器
US3318991A (en) Pressure responsive volume control for electrical instruments
US3375320A (en) Accordion keyboard controlled accompanimental tone generator
JPH083710B2 (ja) 電子楽器の入力装置
JPS6224311Y2 (ko)
JPS5855427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鍵盤装置
CA2011568A1 (en) Electronic harmonica for controlling sound synthesizers
JPH03126093A (ja) 電子楽器
SE452517B (sv) Munspel
JPH1055179A (ja) 電子管楽器
IE452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sequence by a human being
JP3694988B2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