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08B1 -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08B1
KR860000108B1 KR1019830002922A KR830002922A KR860000108B1 KR 860000108 B1 KR860000108 B1 KR 860000108B1 KR 1019830002922 A KR1019830002922 A KR 1019830002922A KR 830002922 A KR830002922 A KR 830002922A KR 860000108 B1 KR860000108 B1 KR 86000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ting
yarn
needle
canvas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184A (ko
Inventor
로젠베르그 스테판
Original Assignee
마다그 마쉬넨-운트 아파라테바우 디이티콘 아게
로젠베르그 스테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다그 마쉬넨-운트 아파라테바우 디이티콘 아게, 로젠베르그 스테판 filed Critical 마다그 마쉬넨-운트 아파라테바우 디이티콘 아게
Publication of KR84000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3/00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 D04G3/04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in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상부가 개방된 놋팅장치와 패턴 판독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상부가 개방된 놋팅장치와 놋팅베드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V-V에 따른 수직단면도.
제6도는 니이들의 단부의 정면도.
제7도는 코움의 정면도.
제8도는 코움의 평면도.
제9도는 양모 방벽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놋팅 헤드의 사시도.
제12도는 제2도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 XIII-XIII에 따른 종단면도.
제14도는 제1도의 좌측에서 본 놋팅장치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도의 우측에서 본 놋팅장치의 정면도.
제16도는 칼러 선택기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16a도는 포착 스트립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17도는 칼러 선택기의 평면도.
제18도는 사 카셋트의 정면도.
제19도는 사 카셋트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6도의 선 XX-XX에 따른 단면도.
제21도는 패턴 판독기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선 XXII-XXII에 따른 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선 XXIII-XXIII에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패턴 판독기의 종단면도.
제25도는 패턴 판독기의 각개 기어들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
제26-35도는 놋팅장치의 각개 공구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36도는 상기 동작들의 과정을 곡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놋팅베드 2 : 놋팅장치
3 : 패턴 판독기 8 : 캔버스 호울더
9 : 랙크 레일 5 : 사 카셋트
20 : 실린더 21 : 노브
23 : 패턴 26 : 센터링 핀
39, 41, 44, 47 : 캠판 40 : 양모인발기
45 : 니이들 48 : 구동레버
55 : 놋팅헤드 60 : 전향기 핀
78, 79 : 스내어링(snaring)아암 80, 81 : 포올
87, 88, 89, 90 : 캠 92 : 그립퍼 아암
108, 109 : 절단 나이프 114, 115 : 니이들의 구멍
200 : 캔버스
본 발명은 러그(rug)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매듭러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놋팅(knotting) 장치가 캔버스(canvas) 호울더에 부착된 캔버스위에서 구동기구에 의해 이송되고 공급수단이 매듭실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행되는 타입으로 되어 있고,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구동기구 및 공급수단을 가진 타입으로 되어 있다.
실로 러그를 반자동적으로 제조하는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한 장치는 수동구동에 의해 캔버스위에서 이동되며, 각개 사편(●片)이 중간에서 접힌 다음, 캔버스의 2개의 실들 사이에 삽입되어 루우프를 형성하고, 그 사편의 양단부가 캔버스 위에서 직립하게 된다. 모든 사편들이 삽입된 후, 캔버스의 하측면에 아교가 피복된다. 이러한 종래 장치의 한가지 단점은, 각개 사편이 캔버스에 매듭을 짓는 것이 아니고 그에 아교로 부착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아교로 부착된 러그는 촉감이 좋지않고 습기의 영향하에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수동식 놋팅장치가 독일특허 제1,121,267호에 기술되어 있고, 그 장치에서 적당한 길이로 사전에 절단된 사편들이 캔버스에 개별적으로 매듭을 짓는다. 이런 장치의 결점은 작업속도가 손으로만 매듭짓기를 행하는 경우보다 대략 2배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이 아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캔버스에 매듭을 짓고 매듭짓기 속도가 종래의 놋팅 장치보다 상당히 높은 매듭 러그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전 별도로 적당한 크기로 사를 절단할 필요없이 각종 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매듭 러그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앞에서 언급한 타입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캠판들이 매듭짓기 작업을 수행하기위한 각종 공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매듭실이 제1사 이송수단에 의해 매듭짓기 지역으로 인출된 다음, 제2사 이송수단에 의해 니이들의 지역으로 이송된다. 이때 그 니이들이 캔버스를 관통하여 압압되어 사편이 절단되며, 그 사편의 양단부들이 제3사 이송수단에 의해 니이들 구멍에 끼워진 다음 그 니이들이 뒤로 당겨져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한 타입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매듭짓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기구에 회전가능한 캠판, 공급수단으로부터 매듭짓기 지역으로 사를 이송하기 위한 제1상 이송수단, 그 사를 니이들의 지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사 이송수단, 니이들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사를 이송하기 위한 제3사 이송수단 및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놋팅장치(2)가 놋팅 베드(Knotting bed)(1)상에 장착되어 도시되어 있다. 패턴 판독기(3)이 놋팅장치(2)에 장착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의 좌측 측벽(4)와 우측 측벽(5)는 전방에서는 전방벽(6)에 의해 그리고 후방에서는 안내봉(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캔버스 호울더(8)이 캔버스(200)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벽(6)에 접하여 있다. 랙크레일(9)가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측벽(4)와 (5) 사이에 보유되어 있다. 워엄기어(제1도에 도시안됨)가 놋팅베드(1) 위에서 놋팅장치(2)를 이동시키기 위해 랙크 레일(9)에 맞물려 있다. 전방벽(6)과 캔버스 호울더(8) 사이의 공간은 매듭짓기 홈(10)으로 작용한다. 각종 색갈의 사, 예를들어 사(94)를 안내하기 위해 사 호울더(11)이 좌측측벽(4)에 설치되어 있다.
놋팅장치(2)는 안내봉(7)에 의해 안내되는 캐리어 슬라이드(12)에 의해 베드(1)상에서 측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장치(2)의 하우징(13)의 좌측(제1도에서 볼때)에, 사 카셋트(15), 사를 선택하기 위한 셋팅 노브(16) 및 칼러 인덱스(17)을 포함하는 칼러 선택기(14)가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아암(62)를 포함하는 구동크랭크(18)이 베드(1)을 가로질러 장치(2)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그 크랭크(18)대신 전기모우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2)의 정부상의 패턴판독기(3)은 하우징(19), 실린더(20), 그 실린더를 손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21), 패턴(23)을 삽입 또는 철회시 사용하기 위한 릴리이즈 레버 버튼(22), 및 패턴(23)으로부터의 판독을 위한 확대경(24)을 구비한 칼러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제2도는 놋팅베드(1)을 더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캔버스 호울더(8)은 제2도에서 볼때 그의 전방단부에 놋팅장치(2)의 센터링핀(26)의 삽입을 위한 그립핑치(gripping teeth)(25)를 가지고 있고, 그 그립핑치(25)의 뒤에 소위 그립핑 코움(comb)(27)이 설치되어 있다. 그 코움은 캔버스 호울더(8)을 지나 돌출하도록 캔버스를 보유하기 위한 러그(lug)(28)을 구비하고 잇다. 캔버스 호울더(8)과 랙크레일(9) 사이에는 측벽(4) 및 (5)에 취부된 지지체(29)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피봇트(30) 및 (3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할 수 있는 랙크레일(9)는, 일열의 매듭짓기 작업후 캔버스가 새로이 셋트될때 들어올려져야 한다.
장치(2)를 이송하기 위해 그 장치에 설치된 톱니바퀴(33)이 제2도에서 볼때 후방에서 랙크레일(9)의 치(32)와 맞물려 있다. 베드(1)은 매우 넓은 러그를 제조할 수 있도록 신장될 수도 있다.
놋팅장치(2)의 하우징(13)은 좌측 측벽(34), 우측측벽(35)(제4도), 전방벽(36) 및 후방벽(37)로 이루어져 있다. 그 하우징(13)내에 다수의 캠판들, 즉 양모인발기(drawer)(40)을 조절하기 위한 캠판(39), 2개의 스내어링 아암(snaring arm)(78) 및 (79)(제4도)를 조절하기 위한 캠판(41), 니이들(45) 및 2개의 크로스 아암(46)을 조절하기 위한 캠판(440, 및 절단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캠판(47)이 공통의 샤프트(38)상에 장착되어 있다.
양모인발기를 위한 구동레버(48)은 탬판(39)에 의해 작동되며 저어널(49)상에 장착되어 있고, 스내어링 아암(78, 79)는 구동레버(50)에 의해 조절된다. 니이들 및 크로스 아암을 조널하기 의한 캠판(44)에 의해, 니이들(45)을 위한 구동레버(51) 및 크로스아암(46)을 위한 구동레버(52)가 작동된다. 절단작업과 그립핑아암의 재개방을 위한 구동레버들은 제3도에 도시된 샤프트(54) 및 (54a)상에 장착되어 있다.
니이들(34) 및 크로스아암(46)은 상·하 이동가능한 놋팅헤드(55)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 놋팅헤드(55)는 안내레일(56)내에서 안내된다. 양모방벽(barrier)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판(59)가 제3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보울트(57) 및 (58)에 의해 놋팅헤드(55)에 연결되어 있다. 전향기(deflector) 핀(60)은 슬라이드판(59)에 의해 조절되는 구동레버(61)에 의해 이동된다.
구동크랭크(18)은 크랭크아암(62)를 통해 기어열(63-65)에 연결되어 있다. 그 기어열은 각종 캠판들을 구동시키며 기어(65)는 샤프트(38)상에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38)의 타단에는 워엄기어(제2도에 도시안됨)을 구동시키기 위한 또 다른 기어열(66-6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매듭짓기후 1단계씩 패턴(23)(제1도)에 따라 실린더(20)을 인덱스 하는 패턴판독기(3)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레버(69)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아암(77)에 대해서는 제3도와 관련하여 후술된 것이다.
매듭짓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구들을 작동시키는 각종 구동레버들이 제3도에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놋팅장치의 하우징의 기판(70)상에 놋팅 푸트(foot)(71)에 설치되어 잇다. 랙크레일(9)상에서의 놋팅장치의 저마찰운동을 위한 로울(72)가 놋팅푸트(71)에 취부되어 있다. 양포인발기의 구동레베(48)이 중간레버(73)을 통해 그립퍼 메인 아암(74)(제4도)에 연결되어 있다. 그 아암(74)는 베어링 볼트(75)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포올(pawl)(76)에 의해 개방된다. 스내어링 아암(78) 및 (79)를 위한 구동레버(50)의 선회아암(77)에 연결되어 있다. 아암(78, 79)의 전방부분들은 각각 그의 상부에 포올(80, 81)을 가지고 잇다. 조절 슬라이드(82) 및 (83)에 의해 상기 포울들이 놋팅 헤드(55)쪽으로의 아암(77)의 운동시 간단히 개방된다. 포올(80, 81)은 스프링(84) 및 (85)에 의해 그들의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전방벽(36)에 부착된 전방조절 슬라이드(86)은 스내어링 아암(78) 및 (79)가 서로의 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제3도는 니이들을 위한 구동레버(52), 크로스 아암을 위한 레버(51), 절단작동과 그립퍼 아암의 재개방을 위한 레버(53), 및 양모연발기를 위한 구동레버에 부착된 캠(87, 87a, 88, 80)을 나타낸다. 그 캠들은 캠판의 상응하는 홈내에서 안내된다. 제3도는 또한, 구동 톱니바퀴(33)을 작동시키기 위한 워엄기어(91)을 나타낸다.
그립퍼 메인 아암(74) 및 이동가능한 그립퍼 아암(92)는 제4도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압축스프링(93)은 아암(74)를 그들의 정규위치로 압압한다. 아암(92)가 사 카셋트(15)쪽으로 이동할때, 포올(76)은 스프링(93)의 압력에 대항하여 베어링 보올트(94)를 중심으로 아암(92)를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양모방벽은 카셋트(15)내에 사용된 사(94)를 인발 텅(tong)(95)내로 놓기 위해 준비된다. 양모인발기의 그립핑 아암들이 베어링 보울트(75)를 중심으로 계속 회전운동할때, 이동 가능한 그립퍼 아암(92)는 포올(76) 위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스프링(93)의 압력에 의해 그립퍼 메인 아암(74)에 압압된다. 그리하여 양모 사조가 인발텅(95)내에 확고히 배치된다. 그립핑 아암들을 재개방시키기 위한 레버(96)은 절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레버(53)에 의해 작동된다. 그립핑아암(74) 및 (92)의 이러한 두번째 개방은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의 그의 후진운동후 일어난다. 레버 아암(96)의 단부 부분(87)은 홈(98)내로 이동되고 레버(96)이 피봇트 핀(9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4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스내어링아암(78) 및 (79)는 스프링(100)에 의해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스내어링 아암(78) 및 (79)들 각각의 후방 단부에는 그들의 적극 협동을 위한 치를 가진 세그멘트(101) 및 (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놋팅헤드(65)내에서 안내되는 니이들 헤드(103)은 크로스 아암들을 안내하기 위한 2개의 측방홈(104) 및 (105)를 가지고 있다. 포올(76)은 그를 정지부재(107)에 압압하는 스프링(106)을 구비하고 있다.
제5도는 구동레버(53)에 의해 작동되는 절단나이프(108)을 나타낸다. 나이프(108)과 그와 쌍을 이루는 나이프(109)사이에서 사가 절단된다. 그 절단나이프(108)은 피봇트핀(110)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그 나이프(108)상의 캠(111)에 의해 앵글레버(112)가 작동된다. 그 레버(112)는 그립핑 아암들을 재개방시키기 위한 레버(96)의 슬로트(98)에 맞물려 있다.
제6도는 니이들 단부(113)의 정면도이다. 그 단부에는 필렛트(fillet)(116)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수직구멍(114) 및 (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114, 115)는 그들의 하단부(112, 118)에서 약간 테이퍼(taper)져 있다. 필렛트(116)에 의해 매듭짓기 작업중 니이들을 통과하는 2개의 사들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캔버스를 보유하기 위한 러그(28)을 가진 코움(27)이 정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양모방벽을 정면도 및 단면도로 나타낸다. 구동레버(61)은 핀(119)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레버(120)은 핀(121)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레버의 상부의 캠(122)은 슬라이드 판(59)의 홈(123)에 맞물려 있다. 장착판(124)에 취부된 놋팅헤드(55)가 수직으로 이동할때, 스페이서보울트(57, 58)에 의해 장착판(124)에 역시 취부된 슬라이드판(59)가 수직으로 이동된다. 다음, 구동레버(61)이 피봇트핀(119)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 결과 요동레버(120)이 피봇트핀(121)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요동레버에 부착된 캠(125)는 구동레버(61)의 슬로트(126)에 맞물려 있다. 요동레버(120)의 타단에는 저향기핀(60)이 부착되어 있다. 놋링헤드의 수직운동시, 2개의 스페이서 보울트(57, 58)이 전방벽(36)에 형성된 수직슬로트(127)내에서 안내된다.
놋팅헤드(55)는 제11도에 따라 놋팅헤드 가이드(56)내에서 안내된다. 놋팅헤드의 수직축에 배치된 안내지주(128)은 크로스아암(46)을 위한 슬라이더(129)의 수직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구동레버(51)에 결합되기 위한 베어링(130)이 슬라이더(12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놋팅헤드(55) 자체는 슬라이더를 위한 안내리브(132, 133)을 가진 요우크(131) 및 안내블록(134)로 형성되어 있다. 그 블록(134)에 슬로트(135) 및(13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로틀르 통해 크로스 아암들이 통과하여 있다. 2개의 안내핀(137, 138) 및 (139, 140)이 2개의 슬로트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안내핀들은 크로스 아암들의 운동을 조절한다.
수직축에서 안내블록(134)의 저부에 인접히 니이들 넥크(neck)(1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넥크에 니이들(45)가 삽입된다. 크로스아암들은 홈(104, 105)에서 니이들 넥크(141)을 따라 안내된다. 크로스아암(46)의 단부부분(142) 및 (143)은 구부러져 있다. 센터링핀(26)이 보유블록(144)에 의해 요우크(131)에 부착되어 있다.
놋팅헤드가 제12도 및 제13도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핀(137)과 (138) 사이 그리고 핀(139)와 (140) 사이에서의 크로스아암(46)의 안내작용이 상기 도면으로부터 더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크로스 아암들은 텅(145) 및 (146)에 의해 슬라이더(129)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놋팅헤드는 그의 개시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14도는 제1도의 좌측에서 본 놋팅장치의 정면도이다. 구동크랭크(18)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66)은 아이들러 기어(67)을 통해 기어(68)을 구동시키다. 그 기어(68)은 워엄기어(91)과 동일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다. 사 카셋트(15)는 각종 색갈의 실을 삽입하기 위한 6개의 개구부(147)을 가지고 있다. 그 카셋트는 저부(148)과 커버(149)로 이루어져 있다. 셋팅노브(16)에 의해 사 카셋트(15)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요구되는 색갈의 실이 매듭짓기 지역으로 들어가게 한다. 제15도는 제1도의 우측에서 본 놋팅장치의 정면도이다. 기어(63)은 크랭크아암(62)를 통해 크랭크(18)에 의해 회전하도록 셋트된다. 캠판들이 취부된 샤프트(38)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65)는 아이들러 기어(64)를 통해 구동된다.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에, 칼러선택기(14)가 정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카셋트(15)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카셋트(15)상의 커플링(150)은 카셋트의 저부를 안내레일(151)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스냅(snap) 체결구의 2개의 부분(152) 및 (153)에 의해 커버(149)가 각종 사의 삽임후 저부(148)에 고정될 수 있다. 사 카셋트의 저부의 안내 스터드(154) 및 (155)는 칼러 선택기(14)의 저부의 개구부(156) 및 (157)내에 삽입되어 있고, 카셋트는 커플링(150)이 결합편(158)내에 맞물릴때까지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안내 스터드들은 안내홈(159)내에서 안내된다. 권취 섹터(sector)(160)이 칼라선택기의 셋팅노브(16)과 함께 회전하도록 그 노브에 부착되어 있다. 그 권취섹터(160)은 포착 스트립(161)에 의해 사 카셋트를 위한 결합편(158)에 연결되어 있다. 포착 스트립의 일부가 제16a도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정지로울러(162)는 스프링(163)에 의해 포착스트립(161)에 압압되어, 셋팅노브(16)이 회전될때 그 로울러가 요구되는 색갈의 사를 매듭짓기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해 스트립의 6가지 다른 위치들에 맞물린다. 노브(16)에 연결된 다이얼(164)와 그 다이얼 아래에 배치된 칼러 인덱스(17)에 의해, 요구되는 색갈의 실이 선택될 수 있다.
제19도는 사 카셋트의 평면도로서, 커버(149)에 설치된 플라스틱 스프링(165)를 나타낸다. 카셋트가 폐쇄된때, 그 스프링은 사의 각개 사조를 압압하여 카셋트내에서 그들이 전·후로 미끄러져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한편, 그 스프링에 의해 발휘되는 마찰력은, 사조가 양모인발기에 의해 사 카셋트의 저부 및 커버의 놋치(147)를 통해 인발될 수 있는 정도로 크다.
제20도는 안내레일 및 사카셋트의 단면도로서 안내 스터드(154, 155)를 위한 안내홈(159)의 단면을 나타낸다.
제21도는 2개의 폴러그장치(166, 167)에 의해 놋링장치(2)에 장착될 수 잇는 패턴판독기(3)을 나타낸다. 스핀들(68)에 지탱된 실린더가 패턴(23)과 함께, 매회 매듭 형성후, 다음번 패턴이 확대경(169)를 가진 칼러 인디케이터(24) 아래에 올때까지 놋팅장치의 구동레버(69)에 의해 회전된다. 패턴(23)의 시이트들이 끝이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렇게 연결된 무단시이트의 1회전이 1매듭열에 해당한다. 일열의 매듭짓기후 칼러 인디케이터는 수동으로 1단만큼 이동된다. 여러개의 시이트들에 의해 긴 러그가 제조될 수 있다.
제2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러 인디케이터(24)는 안내핀(170)에 의해 안내홈(171)내에 보유된다. 2개의 디스크(172)와 (173) 사이에 보유된 스프링(174)는 안내레일(175)상에서의 칼러 인디케이터의 왕복동시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릴리이즈-레버 버튼(22)에 의해, 고정스프링(176)을 통하여, 패턴안내를 위한 로울(177) 및 (178)이 실린더(20)에 압박되고 또 개방될 수 있다. 로울(177, 178)은 버튼(22)에 의해 이동될 수 잇는 지지체(179)에 의해 보유되어 있다.
제23도는 제22도의 선XXIII-XX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4도는 패턴장치의 종단면도로서 패턴 판독기의 실린더(20)을 위한 구동부를 나타낸다. 패턴 판독기를 위해 놋팅장치에 설치된 구동레버(69)는 제2도에서 볼때 우측으로 기울어진 다음, 캠판들의 매 회전시 캠판들중 하나에 설치된 돌출부에 의해 다시 복귀된다. 그 구동레버(69)는 제24도에 도시된 레버(180)에 대하여 작용한다. 그 레버(180)은 봉(181)을 통하여 노브(21)을 스프링(182)의 힘에 대항하여 제24도에서 볼때 우측으로 압압한다. 노브(21)의 외주상의 치(183)은 놋치를 가진 인덱스 휘일(185)의 내측치(184)에 맞물려 있고, 노브(21)의 전방치(186)은 구동기 휘일(187)의 내주상의 치(188)에 맞물려 있다. 정지부재, 즉 고정볼(ball)(191)이 휘일(185)의 외측연부(189)에 형성된 치(190)에 맞물려 있다. 그 휘일(185)는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노브(21)에 의해 손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 그리하여 구동기 휘일(187)이 회전된다. 구동기 휘일(187)에 연결된 피니온(192)는 실린더를 위한 구동기 휘일(184)의 외측치(193)과 맞물려있다. 스프링(182)와 동심의 내측스프링(195)는 구동기 휘일(187)을 인덱스휘일(185)에 대하여 압압한다.
레버(180)이 작동된때, 즉 노브(21)이 우측으로 이동된후 다시 좌측으로 이동된때 구동기 휘일(187)이 회전하여 실린더가 그 위에 배치된 패턴과 함께 회전한다. 레버(180)의 직선운동을 구동기 휘일(187)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하여 제25도에 도시된 3개의 기어 휘일들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레버(180)이 우측으로 이동할때 노브의 외측치(183)이 구동기 휘일의 내측치(188)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나 노브의 외측치(183)은 인데스 휘일(185)의 내측치(184)와 맞물려 있는다. 휘일(187)의 전방치(197)들중 중간치(196)은 그의 경사면에서 휘일(185)의 전방치(199)들중 치(198)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는데, 이는 스프링(195)가 구동기 휘일을 인데스 휘일에 대하여 압압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동기 휘일의 첫번째 회전운동이 일어난다. 레버(180)이 제24도에서 볼때 좌측으로 이동할때 노브(21)의 전방치(186)은 구동기 휘일치의 경사면이 노브의 치(186)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동기휘일의 내측치(188)과 협동하고, 따라서 그 구동기 휘일이 두번째 회전운동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기휘일(187)이 인덱스 휘일(185), 구동기 휘일(187)은 함께 회전하도록 그들의 치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26도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놋팅장치의 각개 봉구들의 동작과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26도는 양모인발기(40)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26도의 좌측으로의 운동시, 인발텅(95)는 개방되어, 요구하는 사(94)를 잡는다. 양모인발기(40)의 제3위치에서 2개의 그립핑 아암(74, 92)가 서로의 쪽으로 이동하여 인발 텅들을 페쇄한다. 캔버스(200)은 사 카셋트(15)와 양모인발기(40) 아래에 위치된다. 이 놋팅작업에서는 이중사(double-threaded) 캔버스가 사용된다.
제27도에서 양모인발기(40)이 사 카셋트로부터 사를 필요한 길이만큼 인발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카셋트 단부에서 사(94)는 절단나이프(108)과 (109) 사이에 위치되며 이 위치에서 양모방벽의 전향기핀(60)은 구동레버(61)에 의해 작동되어 캔버스의 이전에 만들어진 매듭(201)을 옆으로 압압한다.
제28도의 위치에서, 사(94)는 아직도 양모인발기에 의해 신장되어 있고, 이전에 만들어진 매듭(201)은 핀(60)에 의해 옆으로 압압되어 있는다. 놋팅헤드(55)는 니이들(45)과 캔버스(200)을 침투하도록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29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2개의 스내어링 아암(78) 및 (79)가 선회아암(77)에 의해 사(94)쪽 전방으로 이동되고 2개의 포올(80, 81)은 개방되어 사(94)를 잡는다.
제30도의 스내어링아암(78, 79)의 평면도에 포올(80, 81)을 개방시키는 측방조절 슬라이드(82) 및 (83)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제31도의 위치에서 스내어링아암(78, 79)는 다시 폐쇄되고, 나이프(108)에 의해 절단된 사(94)를 니이들의 넥크(141) 주위에 배치한다.
제32도는 니이들의 넥크(141)을 따라 사(94)를 하방으로 압압하기 위해 2개의 크로스 아암(46)이 그의 단부 부분(142, 143)으로 사(94)를 잡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음, 니이들 넥크(141)은 캔버스 위에 얹혀 있는다.
제33도에 위치에서, 니이들 넥크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크로스 아암(46)이 그들의 전방단부(142, 143)으로 캔버스(200)위에 사(94)를 배치하고, 니이들 구멍(114, 115)를 통하여 대각선으로 사의 양단부들을 통과시킨다.
제34도의 위치에서 2개의 크로스아암(46)이 그의 구동레버에 의해 철회되었고, 절단된 사(94)는 니이들 및 캔버스에 대하여 제33도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다.
제35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니이들(45)는 그의 구동레버에 의해 캔버스(200) 위로 당겨지고, 절단된 사(94)는 캔버스(200)에 매듭, 즉 소위 터키시 매듭(Turkish knot)을 형성한다.
놋팅장치의 각개 공구들의 동작과정을 제36도에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곡선들을 각개 동작들이 나타낸다. 즉 곡선(202)는 공급구동부의 동작을, 곡선(203)은 양모인발기의 동작을, 점선곡선(204)는 양모인발기의 이동가능한 그립퍼 아암들의 동작을, 곡선(205)는 스내어링아암들의 동작을, 점선곡선(206)은 스내어링아암의 포올들의 동작을, 곡선(207)은 나이프의 동작은, 곡선(208)은 양모방벽의 동작을, 곡선(209)는 니이들의 동작을, 곡선(290)은 크로스아암의 동작을, 곡선(211)은 패턴판독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다. 그들 곡선으로부터 스내어링 아암의 동작은 양모인발기의 동작이 이미 종료된때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절단동작은 스내어링아암의 포올들이 재폐쇄된때 시작한다. 절단동작이 완료된후 양모인발기의 그립퍼들이 개방되어 스내어링 아암들이 니이들의 넥크주위에 사를 배칭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그래프로부터 더 명백한 바와같이, 놋팅베드 위에서의 놋팅장치의 운동은 놋팅작업의 개시시에 일어나고 패턴 판독기를 위한 구동부의 작동은 놋팅작업의 종료무렵에 일어난다.
페턴 판독기 대신, 각 색갈들을 일련의 숫자로 나타내거나 또는 스텝핑 모우터를 통해 자동적으로 색갈 선택을 행하는 전자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0cm당 13개 매듭을 갖는 정류 캔버스 및 10cm당 18개의 매듭을 갖는 미세한 캔버스와 같은 각종 캔버스가 상기 놋팅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캔버스 호울더에 고정된 캔버스 위에서 구동기구에 의해 이동되고, 매듭실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매듭짓기 작업을 수행하는 각종 공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캠판들이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셋트된 놋팅장치에 의해 매듭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매듭실이 제1사 이송수단에 의해 매듭짓기 지역으로 인출되고, 제2사 이송수단에 의해 니이들 지역으로 이송된 다음, 그 니이들이 캔버스를 관통하여 압압되고, 그 매듭실이 절단되고, 그 절단된 실의 양단부가 제3의 사 이송수단에 의해 니이들 구멍에 끼워진 다음, 니이들을 빼내어 매듭을 형성하는 매듭 러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이 스내어링아암의 형태로 된 제2사 이송수단에 의해 니이들의 넥크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기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전에 만들어진 매듭이 보유수단에 의해, 매듭짓기 작업중 매듭짓지 위치로부터 먼쪽으로 압압되는 상기 방법.
  4. 상기 항들중 한항에 있어서, 캔버스에 대하여 놋팅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센터링 핀이 니이들과 동시에 캔버스 호울더를 통하여 압압되는 상기 방법.
  5. 상기 항들중 한항에 있어서, 구동기구에 의해 조절되는 구동레버가 매듭짓기에 사용될 실의 색갈을 결정하기 위해 패턴판독기에 제공된 패턴을 전진시키는 상기 방법.
  6. 상기 항들중 한항에 있어서, 패턴에 따라 매듭짓기에 사용될 실의 색갈이 공급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방법.
  7. 상기 항들중 한항에 있어서, 실의 색갈선택을 위한 공급수단의 작동이 데이타 캐리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상기 방법.
  8. 캔버스 호울더 위에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매듭실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가진 매듭 러그 제조장치에 있어서, 매듭짓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기구에 회전가능한 캠판, 공급수단으로부터 매듭짓기 지역으로 실을 이송하기 위한 제1사 이송수단, 그 실을 니이들의 지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사 이송수단, 그 실을 니이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3사 이송수단, 및 절단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러그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사 이송수단이 2개의 이동가능한 그립퍼 아암을 구비한 인발 텅 형태로 되어 있는 상기 장치.
  10. 제8 또는 9항에 있어서, 제2사이송수단이 서로의 쪽으로 회동가능하고 실을 잡기 위한 포올을 구비한 2개의 스내어링 아암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
  11. 제8-10항중 한항에 있어서, 제3사이송수단이 니이들에 평행히 배치된 2개의 크로스아암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
  12. 제8-11항중 한항에 있어서, 보유수단이 이전에 만들어진 매듭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상기 장치.
  13. 제8-12항중 한항에 있어서, 니이들에 평행히 배치되고 그와 함께 이동가능한 센터링 핀이 캔버스 호울더상에 놋팅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상기 장치.
  14. 제8-13항중 한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이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사 카셋트 형태로 되어있는 상기 장치.
  15. 제8-14항중 한항에 따른 놋팅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패턴 판독기로서, 매듭짓기에 사용될 실의 색갈을 결정하기 위해 패턴을 안내하기 위한 실린더, 그 실린더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인디케이터 수단으로 이루어진 놋팅장치용 패턴 판독기.
  16. 제8-14항중 한항에 따른 놋팅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캔버스 호울더로서, 놋팅장치를 안내하기 위한 상방으로 선회가능한 랙크 레일, 센터링 핀의 삽입을 위한 보유치 및 캔버스를 위한 보유 러그(lug)로 이루어진 놋팅장치용 캔버스 호울더.
KR1019830002922A 1982-06-28 1983-06-28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KR860000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954/82 1982-06-28
CH395482 1982-06-28
CH3954 198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184A KR840005184A (ko) 1984-11-05
KR860000108B1 true KR860000108B1 (ko) 1986-02-19

Family

ID=426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22A KR860000108B1 (ko) 1982-06-28 1983-06-28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33163A (ko)
EP (1) EP0098245B1 (ko)
JP (1) JPS5915564A (ko)
KR (1) KR860000108B1 (ko)
AT (1) ATE22711T1 (ko)
AU (1) AU564243B2 (ko)
BR (1) BR8303433A (ko)
CA (1) CA1213786A (ko)
DE (1) DE3366719D1 (ko)
IN (1) IN159554B (ko)
ZA (1) ZA834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8278A5 (fr) * 1986-05-16 1988-12-15 Smyrnamatic S A Appareil a nouer des points de smyrne dits noeuds de ghiordes sur un canevas.
BE1003829A6 (fr) * 1989-05-12 1992-06-23 Esser Sprl Ets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tapis a points noues.
BE1003818A5 (fr) * 1989-05-12 1992-06-23 Esser Pierre Francois Ernest M Systeme de distribution et de nouage de brins de fils pour la production de tapis noues avec des noeuds ghiordes sur chaines simples ou doubles.
GB2234532B (en) * 1989-06-16 1993-06-23 Marrgain Limited Method manufacturing a pile fabric
MD2040G2 (ro) * 2001-12-20 2003-05-31 Валерий БАЧЕВИЧ Procedeu de înnodare la fabricarea covoarelor şi dispozitiv pentru realizarea lui
DE102004029198B4 (de) * 2004-06-16 2006-11-09 Khosrow Dawood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Knüpfen von Knoten bei der Herstellung von Teppichen
US6923026B1 (en) 2004-11-23 2005-08-02 Daisy M. Clarke Method for hand-crafting a rug
JP4609859B2 (ja) * 2006-07-12 2011-0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管継手付き波付き管及び管継手付き波付き管ユニット
RU2613856C2 (ru) * 2015-04-21 2017-03-21 Юсуф Абдурахманович Осм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ковровое двойное узловязально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CN114855355B (zh) * 2022-04-28 2023-03-3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三维编织机的径向纱植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242A (en) * 1922-07-26 1923-10-18 William Felton Apparatus for making yarn rugs and such like
CH132580A (de) * 1928-05-07 1929-04-30 Boyer Fernand Knüpfvorrichtung für Teppichknüpfmaschinen.
GB324976A (en) * 1928-11-08 1930-02-10 Percy William Heap Dak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rugs, mats or the like
DE1121267B (de) * 1956-10-11 1962-01-04 Hubert Jeandupeux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knuepften Teppichen
DE1535770A1 (de) * 1964-07-16 1970-07-30 Alfa Laval Bergedorfer Eisen Fuellmaschine zum Fuellen von Noppentraegerelementen mit Noppenfaeden,welche in einer Teppich-Knuepfmaschine eingeknuepft werden
DE1660028B1 (de) * 1965-09-10 1971-04-22 Pangafin S A Holding Florfadeneinheit fuer die Teppichherstellung
GB1276508A (en) * 1968-10-21 1972-06-01 Leonard George Dean A rug making machine
US4423894A (en) * 1981-05-06 1984-01-03 Gerda Kaufmann Carpet-knot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617183A (en) 1984-01-05
IN159554B (ko) 1987-05-23
ATE22711T1 (de) 1986-10-15
CA1213786A (en) 1986-11-12
DE3366719D1 (en) 1986-11-13
US4533163A (en) 1985-08-06
JPH0323664B2 (ko) 1991-03-29
EP0098245B1 (de) 1986-10-08
BR8303433A (pt) 1984-02-07
AU564243B2 (en) 1987-08-06
ZA834534B (en) 1984-03-28
KR840005184A (ko) 1984-11-05
JPS5915564A (ja) 1984-01-26
EP0098245A1 (de) 198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130A (en) Multi-needle double lock chain stitch tack, jump and thread trimming quilting method and apparatus
KR860000108B1 (ko) 매듭 러그(Kontted rug) 제조방법 및 장치
GB1567242A (en) Sewing machine
US4627368A (en) Embroidering station with schiffli-shuttles
EP2330242B1 (de) Mehrkopf- Stickmaschine und Unterfadeneinheit für Mehrkopf- Stickmaschine
AU714105B2 (en) Securing-piece attaching apparatus
US3448707A (en) Device for measuring,sewing and cutting endless bands
KR20120054543A (ko) 장식물 제공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5664511A (en) Thread cutter and drive unit for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CA1079127A (en) Cutter mechanism for tufting machine or the like
DE3401601C2 (ko)
JP3579801B2 (ja) 環縫いミシン
US2828702A (en) Machine for rooting hair
DE3639525C2 (ko)
US5249536A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0771596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US5477793A (en) Cutting and nipping apparatus for the front yarn for embroidery machines
GB11352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rpets or the like
JPS6189365A (ja) ミシンに於ける自動糸通装置
US3554413A (en) Bow-forming machine
JPS5852312Y2 (ja) 編機の給糸交換装置
DE2801065C3 (de) Nähmaschine
JPS6040619Y2 (ja) 編機の選針機構作動装置
DE1685142A1 (de) Einrichtung zum Anbringen eines Dekorationsmaterials an einem Stoff
JP3680151B2 (ja) 環縫いミシンの糸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