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101Y1 -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101Y1
KR850002101Y1 KR2019820005164U KR820005164U KR850002101Y1 KR 850002101 Y1 KR850002101 Y1 KR 850002101Y1 KR 2019820005164 U KR2019820005164 U KR 2019820005164U KR 820005164 U KR820005164 U KR 820005164U KR 850002101 Y1 KR850002101 Y1 KR 850002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elevator
voltage
commerci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495U (ko
Inventor
마사미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0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458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 rectifier with controll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AC powered elevator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본원 고안은 교류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운행부(運行部)를 구동하는 전동기에 유도전동기를 사용하며, 이것에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전동기의 속도 제어를 하는 것이 있다. 이것을 제1도에 나타낸다.
도면중 R,S,T는 3상 교류전원, (1)은 교류전원 R,S,T에 접속된 다이리스터(1a)~(1f)에 의해서 3상전파정류회로가 구성된 정류장치, (2)는 정류장치(1)의 직류출력을 평활하게 하는 콘덴서, (3)는 정류장치(1)의 직류측에 접속되며 다이리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며 또한 그 전압 및 주파수를 가변케 하는 주지의 인버어터, (3)는 인버어터(5)에 의해 구동되는 3상유도전동기, (5)는 전동기(4)에 결합된 브레이크차, (6)은 브레이크차(5)의 외주에 대향해서 설치되며, 브레이크차(5)에 스프링(도시생략)의 힘으로 제어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슈우(6)를 상기 스프링힘에 항거하여 브레이크차(5)에서 떼어놓는 브레이크코일, (8)은 전동기(4)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기(卷上機)의 구동로우프차, (9)는 로우프차(8)에 감긴 주와이어, (10)은 주와이어(9)에 결합된 운행부, (11)은 주와이어에 결합된 균형추, (12a)~(12c)는 전원 R,S,T와 정류장치(1)사이에 삽입되며 운행부(10)가 주행할때 폐성하고 정지 할때 개방하는 전자접촉기접점, (13a)~(13c)는 인버어터(3)와 전동기(4)사이에 삽입되어 접점(12a)~(12c)이 폐성한 후에 폐성하고 접점(12a)~(12c)이 개방한 후에 개방하는 전자접속기점이다. 즉, 운행부(10)에 정지중은 브레이크슈우(6)는 상기 스프링의 힘으로 브레이크차(5)를 압압하고 있다. 운행부(10)에 기동지령이 나가면, 전자접 촉기접점(12a)~(12c)는 폐성하며, 정류기(1)는 직류출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콘덴서(2)는 충전되며, 그 전압이 소정치에 달하면, 인버어터(3)의 각 아암의 제어소자(도시생략)는 순차 운전방향에 따라서 도통해가며, 운전방향에 대응하는 상순(相順)의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출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전지접촉기접점(13a)~(13c)은 폐성하며, 상기 출력이 전동기(4)에 공급된다. 동시에브레이크코일(7)은 부세되므로, 브레이크슈우(6)은 브레이크차(5)에서 떨어진다. 이것으로, 전동기(4)는 입력의 상순에의 해서 정해지는 방향으로 기동하며, 운행부(10)는 주행개시한다. 그리고, 인버어터(3)에 의해서 주파수가 조정됨으로써, 전동기(4)의 속도 즉 운행부(10)의 주행속도는 제어된다. 운행부(10)가 정지예정층에 접근하면 감속을 개시하며, 정지예정측직전에서 접점(12a)~(12c)이 개방되면 전동기(4)에 대한 전원은 끊긴다. 동시에 브레이크코일(7)은 소세되며, 브레이크슈우(6)은 상기 스프링의 힘으로 브레이크차(5)에 압압되어, 브레이크차(5)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한편, 접점(12a)~(12c)의 개방에 의해, 인버어터(3)의 특정아암의 제어소자만이 도통되며, 콘덴서(2)의 전하는 전등기(4)에 흘러, 전등기(4)에는 직류제동토오크가 중첩해서 작용한다. 이것으로 운행부(10)는 정지예정층에 정지한다.
그러나, 접점(12a)~(12c)가 폐성하며, 다이리스터(1a)~(1f)가 도통하면, 콘덴서(2)를 충전하는 상승이 빠른 커다란 충전전류가 흐르므로, 다이리스터(1a)~(1f)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처럼 기동. 정지를 빈번하게 반복하는 것에 있어서는 콘덴서(2)의 수명을 짧게 하는 원인으로도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류기(1)의 직류측에 리액탠스 등을 삽입하여, 다이리스터(1a)~(1f) 및 콘덴서(2)를 보호할 수도 있지만, 장치가 고가의 것으로 된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결함을 개량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기동시에 콘덴서에 대한 충전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제2도에 의해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중(15)는 전원 R,S,T와 정류장치(1)의 출력측과의 사이에 접속되며, 다이오우드(15a)~(15f)에 의해서 3상 전파정류회로가 구성된 정류장치, (16)은 정류장치(15)의 출력측에 삽입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임피이던스이다. 기타는 제1도와 같다.
콘덴서(2)는 정류장치(15)와 임피이던스(16)에 의해, 운행부(10)의 정지중에도 충전되고 있다. 따라서, 기동시 에접점(12a)~(12c)가 폐성해도 정류장치(1)에 의한 저임피이던스직류전류에 의한 콘덴서(2)의 급속충전은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동시의 콘덴서(2)의 충전전류에 의한 다이리스터(1a)~(1f) 및 콘덴서(2)에 미치는 악영향은 방지된다.
제3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중, (1)은 제1도의 정류장치(1)의 다이리스터(1a)~(1f)가 다이오우드(11a)~(11f)로 치환된 정류장치, (16a)~(16c)는 접점(12a)~(12c)의 양단에 접속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임피이던스이다. 기타는 제1도와 같다.
이 실시예는 가변전압가변주파수 발생장치의 일형태이며, 정류장치(1)는 다이오우드(11a)~(11f)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적용한 예이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처럼 정지시 즉 접점(12a)~(12c) 개방시는 교류측의 임피이던스(16a)~(16c)를 통해서, 콘덴서(2)는 상시 충전되고 있다. 따라서, 기동시에 접점(12a)~(12f)이 폐성해도 콘덴서(2)에는 더 이상 돌입하는 충전전류는 흐르지 않으며, 다이오우드(11a)~(11f)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아 손상을 입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원 고안에서는 상용교류전원을 정류기에 의해서 정류하고, 이것을 콘덴서에 의해 평활하고, 인버어터로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이 교류전력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부를 구동할 경우, 운행부의 정지시, 상용교류전원에 접속된 임피이던스를 통해서, 상기 콘덴서를 충전하도록 했으므로, 운행부의 기동시에 콘덴서에 대한 커다란 충전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류장치를 구성하는 정류소자 및 상기 콘덴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용교류전원과, 이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기(1)와, 이정류기(1)의 출력전압을 평활(平滑)하는 콘덴서(2)와, 이콘덴서 (2)에 의해 평활된 출력전압을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어터(3)와, 이 인버어터(3)로 변환된 교류전력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부를 구동하는 교류전등기(4)와, 상기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며, 이 정류전압에 의해 최소한 상기 운행부의 정지시에 상기 콘덴서를 충전하는 충전수단을 구비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충전수단이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장치와, 이 정류장치의 출력전압을 임피이던스를 통해서 콘덴서(2)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1기재의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충전수단이 상용교류전원전압을 임피이던스를 통해서 정류기(1)에 공급하며, 이 정류기(1)의 출력전압을 콘덴서(2)에 공급하는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1기재의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2019820005164U 1981-08-04 1982-07-01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210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2113A JPS5822271A (ja) 1981-08-04 1981-08-04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56-122113(U) 1981-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495U KR840000495U (ko) 1984-02-24
KR850002101Y1 true KR850002101Y1 (ko) 1985-09-25

Family

ID=1482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164U KR850002101Y1 (ko) 1981-08-04 1982-07-01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71855A (ko)
JP (1) JPS5822271A (ko)
KR (1) KR850002101Y1 (ko)
CA (1) CA1197330A (ko)
GB (1) GB2103437B (ko)
MX (1) MX151640A (ko)
SG (1) SG953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4395A (ja) * 1982-03-09 1983-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58183578A (ja) * 1982-04-20 1983-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59153776A (ja) * 1983-02-18 1984-09-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043094A (ja) * 1983-08-17 1985-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の故障時運転装置
JPS60234489A (ja) * 1984-05-02 1985-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US4622629A (en) * 1984-10-12 1986-11-11 Sundstrand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DE3541275A1 (de) * 1985-11-22 1987-05-27 Heidelberger Druckmasch Ag Steuerschaltung fuer einen elektrischen druckmaschinenantriebsmotor oder dergleichen
JP2579751B2 (ja) * 1986-04-03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NL9101453A (nl) * 1990-09-10 1992-04-01 Barmag Barmer Maschf Frequentie-omvormer.
JPH04355673A (ja) * 1991-05-31 1992-12-09 Toshiba Corp 冷凍機の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US5502630A (en) * 1994-07-19 1996-03-26 Transistor Devices, Inc. Power factor corrected rectification
US6178101B1 (en) 1997-08-15 2001-01-23 Unitron, Inc. Power supply regulation
FR2772526B1 (fr) * 1997-12-17 2000-02-11 Schneider Electric Sa Convertisseur alternatif-continu triphase
KR100425727B1 (ko) * 2001-08-2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씨 모터의 기동 제어 장치
JP4911877B2 (ja) 2002-01-09 2012-04-04 クローダ,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第四級化合物の混合物
SE530008C2 (sv) * 2006-06-01 2008-02-05 Digisign Ab Kopplingsanordning för hissmotor med frekvensomriktare
JP2010180003A (ja) * 2009-02-04 2010-08-19 Saitama Univ エレベータ電源装置
US9425705B2 (en) * 2012-08-13 2016-08-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ypassing cascaded H-bridge (CHB) power cells and power sub cell for multilevel inverter
FI20145271L (fi) * 2014-03-25 2015-09-26 Kone Corp Välipiirillinen taajuusmuuttaja ja menetelmä ylläpitotilassa olevan taajuusmuuttajan välipiirin tehonkulutuksen pienentämiseksi, ja hissi
US11342878B1 (en) 2021-04-09 2022-05-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egenerative medium voltage drive (Cascaded H Bridge) with reduced number of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129B2 (ko) * 1972-10-26 1977-03-07
JPS5320416B2 (ko) * 1973-09-12 1978-06-27
CH589966A5 (ko) * 1974-12-03 1977-07-29 Siemens Ag
JPS528129U (ko) * 1975-07-04 1977-01-20
JPS537050A (en) * 1976-07-06 197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JPS5320416U (ko) * 1976-07-30 1978-02-21
CA1110695A (en) * 1977-07-25 1981-10-13 Martin H.F. Garnham Rectifiers having compensating transformer unit
JPS5840918B2 (ja) * 1979-08-15 1983-09-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の運転制御装置
DE3029358A1 (de) * 1980-08-01 1982-03-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inrichtung zur ueberbrueckung von kurzzeitigen netzausfaellen bei spannungszwischenkreis-umrichtern
US4366532A (en) * 1981-05-11 1982-1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AC/DC or DC/AC Converter system with improved AC-line harmonic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495U (ko) 1984-02-24
CA1197330A (en) 1985-11-26
MX151640A (es) 1985-01-23
GB2103437B (en) 1985-07-24
US4471855A (en) 1984-09-18
SG95387G (en) 1988-05-06
GB2103437A (en) 1983-02-16
JPS6337026B2 (ko) 1988-07-22
JPS5822271A (ja) 198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2101Y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1640B1 (ko) 교류에레베이터의 제어장치
US4478315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n AC power elevator
KR860000665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비상시운전장치(非常時運轉裝置)
JPS6320116B2 (ko)
KR900002784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4127803A (en) Charging circuit for an auxiliary battery on a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
KR850002698Y1 (ko) 교류엘리베이터의제어장치
KR850001641B1 (ko) 교류 에레베이터의 제어장치
KR840003576A (ko) 교류 에레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2102Y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1133583A (ja) 電動機の制動装置
JPS58183048U (ja) 充電発電機制御装置
JP3580097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97679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347075B2 (ko)
JPH021475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236511B2 (ko)
KR860000338B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S61254085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3310386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2126089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850002699Y1 (ko) 교류 에레베이터의 속도 제어장치
JPS58157682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43596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