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585B1 -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 Google Patents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85B1
KR850000585B1 KR1019840002768A KR840002768A KR850000585B1 KR 850000585 B1 KR850000585 B1 KR 850000585B1 KR 1019840002768 A KR1019840002768 A KR 1019840002768A KR 840002768 A KR840002768 A KR 840002768A KR 850000585 B1 KR850000585 B1 KR 85000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lane
incision
rolls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733A (ko
Inventor
허어버어트 로오리 고오돈
죠세프 세이모어 레오도오
다쓰미 사카우에 랜덜
버어논 마아로우 죤
Original Assignee
코민코 리미티드
피이 코레이톤 스츄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민코 리미티드, 피이 코레이톤 스츄어트 filed Critical 코민코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84000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85B1/ko
Publication of KR85000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4Expanding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B21D1/00 - B21D28/00, e.g. for making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4Expanding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B21D1/00 - B21D28/00, e.g. for making expanded metal
    • B21D31/046Expanding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B21D1/00 - B21D28/00, e.g. for making expanded metal making use of rotating cu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5Expanded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18Expanded metal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제1도는 본 장치 평면도.
제2도는 본 장치 측정면도.
제3도는 3개의 롤 군(群)이 사용된 절개, 예비성형 어셈블리변형에 대한 측정면도.
제4도는 3개의 롤 군이 사용된 다른 절개, 예비성형 어셈블리변형에 대한 측정면도.
제5도는 스트립이 롤 쌍위를 지나는 또다른 절개, 예비 성형 어셈블리 변형에 대한 측정면도.
제6도는 절단, 예비성형 어셈블리를 통과한 스트립의 평면도.
제7도는 신장된 절개부분이 비대칭형으로 되어있는 변형을 나타내는 절개, 예비성형된 스트립부분의 확대된 측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8-8로 잘라본 절개, 예비성형된 스트립의 단면도.
제9도는 스트립 굴곡 절단부와 관계된 공구판 일부를 나타내는 스트립 부분품의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옆으로 인접한 절개부분으로 부터 절개부분 오프세트를 나타내는 절개, 예비성형 어셈블리를 나가는 스트립의 투시도.
제11도는 절개, 예비성형 스트립을 완성하기 위한 원판의 진입을 나타내는 제3도의 선 11-11로 자른 단면도.
제12도는 제3도의 선 11-11로 자른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 따라 오프세트 절단부분을 갖고 절개에서 예비성형까지 완성을 나타내는 스트립 부분의 평면도.
제14도는 평평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스트립의 측 정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일부에 나타낸 바와같은 스트립의 투시도.
제16도는 축 팽창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상세한 유도체인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바테리 그리드를 만들기 위해 절단되기 전의 완전히 절개, 팽창된 시이트를 그린 평면도.
본 발명의 장치는 팽창된 메쉬시이트를 고속으로 생산하는 것에 관한 것, 예를들면 그리드, 특히 사용이 다된 바테리 전극에 사용되는 그리드 생산을 위해 팽창되지 않고 절취선이 없는 경경부들내에 포함이 되어 있는 금속스트립의 한부분을 팽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쉬얼계를 성형하는 축팽장을 하기 위해 회전식 절개에 의한 전통적인 스트립 준비장치, 즉 미국특허 제1472769의 제8도, 제9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엇갈리게 배열된 세로로 정돈된 슬리트(slit)들은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홈들에 의해 끊긴 원형의 절단날을 갖는 일정한 간격의 원판들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반대위치로 향하고 있는 한쌍의 로울 사이에 스트립을 물리게 함으로써 절단될 수 있다. 물의회전에서, 한롤의 원판들에 있는 홈들은 인접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들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결합을 갖는 마디가 되는 스트립이 간격이 있는 미절개 부분을 남기도록 다른 롤의 원판들에 있는 동일한 홈들과 함께 정돈된다. 이런 절개작동에 있어서, 한 롤의 원판들이 한 방향으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들을 스트립밖으로 나타나게 압축하는 동안 다른 롤의 원판들은 사이에 끼인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들이 반대방향으로 스트립면 밖으로 번갈아 나타나게 압축한 다. 이 작동에서 인접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 들을 연결하는 결합부가 약간 휘고 뻗으며, 메쉬망을 제공하기 위해 측팽창이 이루어지는 동 안 결합위에 부가력이 가해진다.
만약 메쉬당이 팽창안된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들내에 있게되는 것이며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에 대한 예비성형이나 신장은 경계부에 관련된 절개구역이 팽창하는 동안에 수축된 것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불규칙적인 잔주름이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내에 형성되거나 이러한 경계부는 메쉬부분의 길이정도로 되도록 일정 한 수축을 제공하기 위해 주름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납이나 납 합금 같은 낮은 인장강도를 갖는 스트립재료의 연속적인 단계에서 있게되는 절개, 예비성형, 측 팽창에 있어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들 사이의 결합부는 계속 사용하는 동안에 쉽게 파속되는 취약부가 될수도 있다.
미국특허 1,472,769호는 비팽창 세로 스트립들사이의 팽창된 금손영역을 제공하거나 스트립의 절개부를 수축시킴이 없이 립(rib)을 제공한다. 스트립은 전기한 바와같이 절개되고, 그런후에 원래의 판상태로 평평하게 된다. 평평하게된 스트립은 스트립면으로부터 교대로 일련의 결합부 즉, 옆에 인접한 부분품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압축하기위해 상호작용하는 주름진 롤들사이로 움직인다. 이것은 스트랜드가 신장되어 측면으로 기울어지도록한다. 측 스트립들의 분리는 매쉬들을 벌리로 그 다음에 평평하게 된다. 메쉬의 완전한 측팽창이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길이까지 단일 작동에 의해 스트랜드를 신장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연속적인 주름, 팽창 작동의 사용은 금속의 탄성을 억제한다. 팽창된 메쉬들에 대한 최종적인 다듬질은 평면상에 주름진 결합부와 경사진 스트랜드를 놓는다.
미국특허 1,212,863호에서, 스트립의 절개부에 있는 부분품의 신장작업은 스트립면으로부터 각각의 부분품의 교대로 된 마디를 이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다이(dies)는 스트립이 앞으로 나갈때 절개와 신장작업을 둘다 제공한다. 다이가 연속적으로 작동하므로, 스트립은 어셈블리를 통해서 단속적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미국특허 1,205,299의 제3도는 균일하고 규칙적으로 교대되는 노치와 그립돌기로 만들어진 비교적 얇은 주위단부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원판으로 구성된 성형로울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롤들은, 세로단면이 본 발명의 절개, 예비성형 롤들과 비슷하지만 상기한 다이 압축에 있어 단속적으로 절개, 예비성형된 스트립을 보다 균일하게 팽창하는데 사용된다.
회전식 절단과 뒤이은 측팽창에 의해 미리 절개된 스트랜드의 신장은 지나친 신장때문에 스트랜드의 파속을 일으키거나 마디에서의 응력집중으로 마디에서 스트랜드의 파손을 일으킨다.
예를들어 미국특허 1,482,600호에서 처럼, 상반되는 기술들에 의해 스트립으로 부터 메쉬를 형성해냄에 있어서, 인접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 사이에 있는 결합부의 신장작업은 왕복 절단기를 이용 매쉬의 연속적인 절개와 벌림이 있게되는 동안 일어나며 여기서 와이어 부품들은 스트립에서 잘려 왕복절단기에 의해 스트립면 밖으로 신장된다. 왕복절단기에 의한 변형과 뒤이은 구부림 작업이 팽창된 시이트면에 일어나는 동안 있게되는 마디의 뒤틀림 현상으로 말미암아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을 연결하는 마디 결합부위에 응력이 가해진다.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들을 갖는 생산품은 상반되는 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지만 이는 스트립재료의 칫수 변화에 민감하여 역으로 최종칫수에 영향을 줄수있으며 생산속도에 있어서 제한된다.
본 발명 장치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절단, 예비성형 작동은 스트립면으로부터의 변형에 의해 신장된 절개부분과 스트립면내에 남아 있는 미절개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세로로 신장된 부분품들을 제공한다. 미절개 부분들은 스트립의 세로로 신장되는 단부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립의 일부를 옆으로 가로질러 신장되는 연속 밴드들을 한꺼번에 제한한다. 이들 밴드들은 인접한 부분품들을 연결하는 모든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결합들은 절개부분들이 대체로 스트립면에 수직 으로 신장되는 메쉬들을 제공하기 위해 스트립면 밖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절개와 동시에 일어나는 스트립면 밖으로 와이어 부분이 신장되는 것은 잇따른 스트립 측팽창에서 발생할런지도 모르는 단부수축을 보충한다. 2차절개 단계에서, 절개는 스트립절개부 측팽창을 하도록 교대로 된 밴드를 통해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신장된다. 절개가 완전히 이루어지기에 앞에 절개부분이 신장하는 동안에 모든 결합을 포합 하는 밴드의 파지 때문에 선택적으로 요구된 절개부분들의 동시 신장은 그것들이 형성될때 메쉬의 팽창동안에 계속해서 스트랜드의 절단이나 파손이 마디 결합부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메쉬시이트는 스트립재료의 치수나 구성에 관계없는 최종칫수를 실제로 나타내도록 연속 이동하는 스트립으로부터 빠르게 생상될 수 있다.
종래의 회전식, 상반되는 장치들 에서 나타난 단점들을 계속해서 극복한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나 그 이상의 세로로 팽창된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을 제공하기 위해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내에 포함된 적어도 스트립의 한부분을 동시에 절개하고 예비성형하는 단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부분품은 스트립면밖으로 변형된 신장된 절개부분과 스트립면내에 남아있는 미절개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신장된 절개부분은 측면에 인접한 부분들과 경계부로 부터 떨어져서 측면에 인접한 부분품내에 있는 절개부분들이 스트립면의 반대편측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스트립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한 스트립면에 남아있는 미절개부분은 상기한 하나나 그 이상의 스트랜드 모양의 부분품들의 폭이 적어도 스트립의 절개부를 가로지르도록 옆으로 팽창된 연속 밴드들을 제한한다. 이때 절개부를 엇갈린 관계로 신장시키기 위해 교대로된 밴드에서 스트립을 절개하고, 스트립의 반대 세로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매쉬가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트립의 예비성형된 절개부를 신장시켜 이 신장된 부분이 밴드의 미절개부분이 인접한 부분품 사이에 결합믈 제공하는 마디에 의해 결합된 평평한 매쉬들의 얼개를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트립(10)은 가이드롤(12)을 지나 다수의 간격이 있는 원판(22), (24), (26)을 제각기 갖고 있는 세개의 롤(16), (18), (20)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절개, 예비성형어샘블리(14)로 수직 삽입된다. 그 원판(22), (24), (26)들은 주위에 절단부를 갖는다. 이동하는 스트립은 일, 이차롤(16), (18)과 이, 삼차롤(18), (20)사이로 연속적으로 물리게 된다. 제3도, 제6도 및 제10도에서 볼때, 롤(16), (18)은 팽창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축단부(30)내에 위로 향한 단부(28)를 제공하고, 계속적으로 원판(22)의 블록형 공구면(36)이 밴드(32)사이의 스트립(10)의 절개부분(42)에 원판(24)의 공구면(38)과 같이 맞물려 스트립면 밖으로 절개부분(42)을 신장하는 동안 스트립의 중앙부(34)와 측부(30)아시에서 팽창하는 밴드(32)를 잡기위해 로울(16), (18)을 빠르게 진입되는 스트립(10)에 작용한다.
공구면(36), (38)은 각각의 그들 롤 위에서 평평한 부분(44), (46)과 계속해서 엇갈리며 롤이 회전함에 따라 주위면이 상호작용하도록 주위에 평평하게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롤이 회전하는 동안 일차롤(16)의 원판(22)에 있는 볼록형 공구면들(36)은 곡면(36)들이 스트립면을 통해 절개부(48)사이에 있는 절개부분(42)을 신장시키기 위해 2차 롤(18)의 인접한 원판(24)들 사이에 있는 제1도의 공간(50)으로 들어감에 따라 세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이차롤(18)의 인접한 원판(24)들의 볼록형 공구면(38)에 의해 맞물린다. 그런후에 두롤들의 원판에 있는 평평한 부분(44), (46)은 다함께 옆으로 팽창된 밴드(32)를 형성하는 미절개부분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다른 것으로 부터 주위에 정돈되어 놓인다. 같은 방법으로 이차롤(18)의 원판(24)에 있는 볼록형 공구면(38)은 반대방향에 있는 스트립면을 통해 절개부분(54)을 신징시키기 위해 스트립면의 반대에 있는 인접한 일차로울 원판(22)사이의 공간으로 밀려들어간다. 각각의 원판(22)들과 일치하여 스트립면내에 남아있는 미절개부분(52)(제7도)에 의해 간격이 떨어진 스트립면 밖으로 변형된 절개부분(42)(제7도)을 포함하는 부분품(58)(제7도)이 스트립내에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분품은 각각의 원판(24)과 동일선상에 같은 부분품과 교차되고 반대방향으로 스트립면 밖으로 변형된 절개부분(54)을 갖고 있다. 모든 부분품의 미절개부분들은 함께 제각기 원판(22), (24)의 평평한 부분(44), (46)을 가로질러 신장되는 연속 밴드(32)를 의미한다. 스트립이 롤(16), (18)의 맞물림 구역을 지나갈 때 한세트의 스트리퍼바(stripper bar)(60)가 일차롤(16)로부터 예비성형된 스트립의 분리를 확실하게 한다.
제7도 및 제10도에서, 예비성형된 스트립(62)은 각각이 측면으로 신장된스트립 부분품(58)들로 구성된 측단부(30), 중앙의 미절개부분(34)그리고 중간정도 절개되어 예비성형된 부분내에 위로 향한 단부(28)를 갖고 있다. 스트립부분품(58)은 미절개부분(52)들과 교대로 되어있는 신장된 절개부분(42) 또는 (54)를 갖고 있다. 교대로되어 있는 부분품(58)의 절개부분(42)은 옆에 인접하고 있는 부분품(58)의 절개부분이 스트립면의 한쪽 편으로부터 신장되는 동안 스트립의 다른 한쪽편으로 부터 신장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변형실시예에서 절개부분(42), (54)은 비대칭형이고 제3도에 있는 모양과 같은 공구면(36), (38)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조는 제8도에 측단면도도 나타내져 있다.
제9도의 본 발명에 대한 보다 단순화한 변형에 있어서 제7도에서 본 스트립 부분품(58)은 대칭형으로 신장된 절개부분(68)을 갖고 제3도에서 본 원판(22), (24)과 같은 굴곡이 있는 공구면(70)에 의해 형성된다. 이 형은 제10도에 투시도로 나타내져 있다.
제10도는 스트립폭을 가로지른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이 절단되고 예비성형될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다. 절개, 예비성형 작동에서 옆으로 뻗어있는 밴드(32), 절개부분(42), (54)을 제공함에 있어서, 절단력은 3도에서 본 평평한 부분(44), (46)이 밴드(32)를 유지하기 위해 주위에 배열되는 때를 최소로 하고 제3도에서 본 공구면(36), (38)이 스트립을 밀고 들어가는 때를 최대로 하는 두값 사이에서 교대로 된다. 스트립의 절단과 비절단 사이에서 변하는 이 순환은 롤 회전 장치내에 진동을 일으킨다.
그 진동은 스티립이 어셈블리를 통해 보다 빨리 이동함에 따라 증가된다. 스트립부분(64), (66)의 절개에 있어서 부분(64)에 물려있는 공구면을 부분(66)에 물려있는 공구면과 함께 판밖 으로 밀어 내도록 한다는 것은 매우 잇점이 있다. 그런후에, 옆으로 배열된 한세트의 공구면은 매쉬구역(64)으로 침투함에 따라 옆으로 배열된 다른 한세트의 공구면은 매쉬구역(66)내에서 절개부분을 형성을 마치고, 밴드(32)결합을 시작한다. 절단력은 회전하는 동안 보다 균일하게 본포되어 보다 부드러운 작동을 가져온다. 만약 스트립의 두부분 이상이 절개되고 예비성형된다면, 진입점의 주변분포는 여전히 보다 부드러운 작동을 제공할것이다.
제3도, 제12도에서 보듯 롤(16)에서 벗어날때 예비성형된 스트립(62)은 제3도에서 본듯 1/4회전과 같은 적정거리로 이차로울(8)에서 효과적인 절단부(72)로 구성된 원판부품(74)을 갖고 있는 간격이 있는 원판이 있는 3차로울(20)과 2차로울과 제3도, 제11도, 제12도에 나타난 리세스(75)들의 결합 영역으로 들어가는데 이들 리세스들은 반대편에서 로울이 회전할 때 일, 이차로울의 결합에 의해 제6도 및 제10도에서 본 인접한 부품(58) 사이에서 형성된 절개부의 각선내에 있는 교대로 된 밴드를 절개없이 통과시키기 위해 교대로된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원주위로 확장되는 제3도에서 본 2차 로울(18)의 원판내에 있는 절단부(79)와 리세스(77)로 구성되어 있는 원판부품과 같은 같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원주위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감은 리세스(75) 또는 (77)는 두이, 삼차롤의 원판 반대면에서 교대로 된 위치에서 일어난다. 원판주위의 절단단부(72)는 제6도의 절개부(48)가 엇갈린 관계로 교대로 된 밴드를 통해 뻗어가도록 스트립을 통해 밀고 들어가서 2단계 절단을 완성하고 다이아몬드형 매쉬가 형성되도록 스트립 단부의 축이탈이 된다.
제11도는 제3도에서 본 3개 롤의 인접한 원판(22), (24)와 (26)사이에 위치한 비교적 직경이 작은 스페이서 원판(78)을 나타낸다. 스트립이 2,3차롤(18), (20)의 결합영역을 벗어날때 스트리퍼 바(80)에 한세트는 예비성형되고 완전하게 절개된 스트립을 3차롤 밖으로 유도하고, 인접한 축(84)(제3도)위에 지지되어 회전하지 못하는 스트리퍼 바 한 세트는 신장된 절개부분(42)를 2차롤 밖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2차롤의 인접한 원판사이의 공간으로 빠져 나온다. 스트립이 어셈블리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스트립은 결코 2차롤을 따나지 않기 때문에 절단, 예비성형 공구면과 함께 스트립이 잘 따라간다. 그래서 제6도에 있는 절개부(48)는 제13도에 있는 엇갈린 형 절개부를 인접한 부분품 사이의 중간 결합들은 자르거나 약하게 하지 않도록 만들기 위해 교대로 뻗혀진다. 부분적으로 팽창되고 완전하게 절단, 예비성형된 스트립은 제각기 제15도에 나타낸다.
전기한 바 있는 변형에 있어서 스트립은 1,2차롤 사이의 맞물림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1/4회전을 통해 2차롤을 따라가고 2,3차롤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1차롤 위에 똑바로 위치한 가이드롤(12)은 절단, 예비성형 어셈블리로 스트립을 직접 수평이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다른 하나의 변형에서, 2차롤(18)은 일차롤(16)의 위에 놓여진다. 일, 이차롤(16), (18)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은, 이, 삼차롤(16), (18)사이에서 맞물리기 위해 1/4회전을 통해 2차롤을 따라가고 그런후에 수평으로 배출하도록 1/4회전을 통해 3차롤을 따라간다. 스트리퍼바(89)한 세트는 1차롤로 부터 예비성형된 스트립의 분리를 확실하게 하나, 스트립의 통과가 두끝에 설치된 스트리퍼바를 방해하기 때문에 스트리퍼 판 한세트(90), (92)는 예비 성형되고 완전히 절단된 스트립을 2차롤(18)과 3차롤(20)밖으로 제각기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대칭적으로 휜 공구면(70)은 제4도에 나타낸다.
제3도에 나타낸 변형에 따라 위로 향한 단부의 형성은 일, 이차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위로 향한 단부는 스트립이 2차롤을 따르도록 방향이 바뀔때 한번만 구부러진다. 위로 향한 단부는 단부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대향하고 있는 마지막 롤쌍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4도에 있는 변형에서 위로 향한 단부는 2,3차 롤이 맞물리는 동안 에 두번 구부러진다. 대향하는 형성롤과 같이 교대로된 분리공작이 위로 향한 단부를 만들기 위해 양변형의 로울군 보다 먼저 제공될 수 있다.
제5도에서, 절개와 예비성형은 또한 이동되는 스트립(10)이 구부러짐이 없이 어셈블리를 통해 지나도록 하기 위해 여러쌍의 롤이 일렬로 배열된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쌍을 이룬 롤(96)들은 스트립면내에 남아있는 미절개부분을 포함하는 밴드(100)에 대해 절개부분(98)의 절개와 예비성형을 한다. 쌍을 이룬 롤(102)들은 다이아몬드형 매쉬가 되도록 옆으로 벌려지도록 하는 절개를 완결하도록 작동한다. 전형적인 스트리퍼바(104)들은 스트립이 이러한 쌍들을 이루고 있는 롤을 따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트립측단부(106)위에 있는 위로 향한 단부의 형성은 다른 두쌍들 보다 앞서 설치 되어도 좋은 3차롤 쌍(108)을 사용해서 행하여 질 수 있다.,
이 직선배열은 맞물린 절개부분의 벗김이 쉽다는 잇점을 갖고 있다. 공구면과 함께 이동되는 스트립의 적합한 레지스트리(registry)와 표면속도 조절은 외부구동장치의 동시성과, 조정에 의존하고 이들은 3개의 상호작동하는 롤군에 의해 얻어지는 레지스티리와 속도 조절보다 얻기가 어렵다. 이동되는 공구면을 갖고 있는 공구면의 맞물림은 근본적으로 모든 변형에 있어서 같다.
전기한 기술에서 스트립폭의 두부분은 그 속에서 절단이 두단계로 수행되는 절단, 예비성형 작동에 의해서 옆으로 팽창을 하도록 준비된다. 매쉬는 제각기 하나의 측단부에 의해 튀어나온 시이트의 두부분과 미절개된 시이트의 중앙부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바꾸지 않고, 미절개된 스트립부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스트립부들중에 하나 혹은 여러부분이 측 팽창을 위해 준비될 수도 있다. 여러 스트립부의 팽창에 있어서, 측단부가 아닌 미절개부분은 미들 미절개부분으로 또는 미절개부분을 통해서 밀고 들어가는 간격을 갖는 필들이 장치된 한쌍의 사이런트체인(Silent chain)(116)(제16도)의 분산에 의한 장치와 같은 알려진 장치로 유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절단부내에 있는 부분품의 수는 한계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 제1단계에서 절단, 예비성형되고 잇따라 이차단계어서 절단이 완결되는 방법은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들사이에 있는 부분품을 오직 하나만 포함하는 아주 좁은 절개구역에 적용될 수 있 다.
제13도에서 다이아몬드형 매쉬의 열림은 예비성형괴고 완전히 절개된 스트립의 측단부(30)를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제1도의 분산통로(114)내에 이동되는 제16도의 한쌍의 싸이런트 체인(116)과 같은 유도장치에 의한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약 절개와 예비성형 작동이 중앙의미절개부분(34)과 각각의 측단부(30)사이에 두 매쉬 구역을 제공한다면, 측단부(30)가 분산됨에 따라 양측으로의 이동에 대해서 중안의 미절개 부분(34)을 억제하는 것이 편리하다.
제16도 및 제17도에서 보듯, 이것은 싸이런트체인(116)들 사이에 맞물리는 압력을 주므로써 행하여질 수도 있다. 이러한 억제작용으로, 스트립의 절개, 예비성형된 부분(64), (66)(제10도)은 같아지지 않는다. 여러가지 맞물림 장치가 측단부에 적용될수도 있다. 적절하게, 스트립의 측단부(30)를 따라 형성된 위를 향한 좁은 단부(28)는 제17도에서보듯, 여러 링크싸이런트체인들내에서 리세스(118) 들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리세스는 두개의 상부체인(122)각각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링크(120)열에 인접한 링크들의 부분들을 잘라내에 편리하게 만들수도 있다. 스트립의 두께를 조절하기에 충분한 일반적으로 2개 혹은 3개의 링크들은 측면으로 뻗어있는 연결핀을 노출시키지 않는 깊이로 절단된다. 스트립의 한쪽 옆에 있는 위로 향한 단부(28)가 이음매 없는 위쪽체인(122)의 리세스(118)로 들어갈때 아래 쪽 체인(214)은 위쪽체인 아래어 똑바로 스트립의 아래 쪽면으로 압력을 주는 결합을 가져오고, 두 체인은 분산기간동안 같은 통로를 따라간다.
제17도에 있는 위쪽체인(122)인 체인들중에 하나는 예를들어 다수의 코일스프링(128)같은 것에 의해 탄력있는 체인쪽으로 가려는 성질를 갖는 판(126)에 걸려 있다. 스트립의 측단부는 분산유도장치에 의해 보지(保持)되는 드로프(trough)를 갖는 보충로울쌍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홈이 될 수 있고 또는 유도장치의 안쪽단부에 부착된 핀이 스트립의 측부로 또는 측부를 통해서 밀려들어갈 수 있다.
다이아몬드형 매쉬를 벌리도록 하는 스트립측부가 분산하는 동안 특히 결합의 인장강도가 부분품의 볼록형 부분을 펴는데 필 요한 인장력(引張力)보다 적은 납이나 납 합금 같은 물질로 다단계로 스트립면을 향해 신장된와이어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보조를 제공하는 것이 이롭다. 예를들면, 1mm두께 스트립을 예비성형함에 있어서, 공칭두께, 즉 스트립의 반대측들위에 있는 신장된 와이어부분의 꼭대기사이 간격은 6mm까지 증가될수도 있다. 예컨대 5,3,2mm간격을 갖는 제14도에 있는 롤(130), (132), (134)같은 하나 이상의 롤 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측팽창하는 스트립의 통과는 조절된 방법으로 완전히 절단, 팽창된 시이트(136)(제13도, 제18도)면으로 와이어부분을 충분히 가져올 것이다. 팽창은 매쉬스트랜드들 사이에 있는 결합위에 적은량의 옆으로 향한 힘을 초람하고 그래서 결합의 파손에 대해 효과적인 조절을 한다.
팽창을 위한 스트립을 준비하는 종래 기술법에 있어서, 스트립의 매쉬부분의 수축을 보정하는데 필요한 신장에 앞서, 측팽창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인 엇갈린 절개방식을 완전하게 또는 서로 관계가 있는 단계들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신장하는 동안에 각기 4개의 부착된 절개부분을 갖는 마디들은 스트립 밖으로 밀려난다. 측팽창에서 회전력등은 이들 마디 위에 작용한다. 팽창된 시이트면으로 마디들을 가져오도록 팽창과 뒤이어 일어나는 다듬질 동안에 마디에서 굽힘(bending)이 발생한다. 본 출원 장치에서 예비성형은 마디들을 스트립면 밖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트립면으로 마디들이 되돌아가도록 충격을 줄 수 있는 힘이 제거된다. 스트립을 가로질러 뻗어가는 밴드의 견고한 유지와 신장된 부분으로부터 마디의 배제는 절단과 예비성형되는 동안에 스트립의 이런부분들에 대한 보다 나은 억제를 제공한다.
완전히 절단된 스트립이 하나의 마디와 두 인접한 절단부분의 길이와 계산된 필요한 신장을 더한 길이를 갖는 볼록형 공구면으로 된 원판들을 갖는 롤에 의해 예비 성형되는 시험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 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우리들은 절단의 앞뒤끝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경향을 관측했고, 그래서 절취선이 없는 경계부에 관계된 스트립의 절개부분의 수축을 지적했다. 분명히 공구표면에 맞물린 스트립부분품들의 부분이 부분적으로 늘어갔고 신장됨이 없이 부분적으로 주름이 잡혔거나 형태를 이루었다. 절개부분이 오직 볼록형공구면에 의해서만 맞물려지는 본 장치에 있어서는 미리 측정한 신장은 대체로 완전하게 성취되었다. 본 특허출원 장치는 그렇기 때문에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어셈블리를 통해 이동할 때 고속회전식 절개와 그 예비성형, 그리고 측팽창을 제공한다.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테리 그리드는 본발명에서 기술한 바 있는 변형에 의해 준비된 팽창되는 시이트(136)로 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측면으로 향한 그리드(138)와 그것들의 탭(tab)(140)들은 탭(140)들 사이에 있는 스크랩 재(scrap material)(142)의 제거와 인접한 그리드로부터 양 탭 끝을 분리하기 위한 스트립의 절개와 적당한 그리드 길이들로 스트립을 절단함으로써 시이트(136)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위로 향한 단부(28)는 다듬질을 해서 평평하게 될수도 있고 또는 제거될 수도 있다.
편리하도록 엇갈린 절개줄을 갖는 스트립으로부터 와이어를 예비성형하는 롤에 있어서, 대칭형태가 아닌 와이어 신장부분을 갖는 원판의 사용은 아무런 이점도 나타낸지 못한다. 예를들면 강스트립으로부터 금속 래드(lath)를 생산함에 있어, 와이어는 그들 사용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는 국소적인 약화없이 신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는다. 대칭형 공구면 위에서의 납이나 납합금 와이어 부분들의 성형에 있어서, 우리들은 스트립이 절개, 예비성형어셈블리를 진행될때 신장된 와이어부분의 뒷부분 가까이에 약화구역이 나타난다는 것을 관측했다. 1979년 8월 1일 출원한 카나다 특허출원 No. 333,003에 상세히 설명했던 것처럼 우리들은 만약 볼록형 공구면이 공구면의 앞뒤끝사이에 있는 중앙선 앞에 그들의 정점이 있도록 비대칭 형태로 된다면 절개부분은 보다 균일하게 찍혀진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측정했다. 이 비대칭적인 형성은 제7도에 아주 명백하게 나타낸다.
미절개부분에 의해 간격을 두고 있는 스트립의 둘이상 부분이 절개되고 예비성형되며 팽창하는데 있어서 제10도의 부분(64), (66)과 같이 분리선내에 동일한 매쉬형태를 만들 필요는 없다. 예를들면, 포지티프그리드 매쉬(positive gnd mesh)들은 한선에서 형성되고 네가티브 그리드 메쉬(mogative gnd mesh)들은 다른 선에서 형성되어도 좋다.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는 사이런트체인에 의한 매쉬선들사이에 있는 미절개 스트립부의 맞물림은 다른 크기의 다이아몬드형을 벌리는데 필요한 비균등한 힘들에 의해 발생될런지도 모르는 측 이동을 못하도록 스트립을 억제한다.
본 발명 장치는 많은 중요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스트립재료의 동시 절개와 스트랜드 부품의 변형은 그들이 형서될때 지나친 신장이나 각 신장작업단계에 따른 회전절개와 같은 연속작업중 간혹 접하게되는 마디에서의 응력집중에 기인하는 스트랜드의 파괴를 대체로 피한다. 상호 성형작업은 매쉬 팽창과 함께 동시에 절개와 신장을 할 수 있게 하나 최종 생산품의 두께는 스트립재료 두께와 구성에 예민하고 그것에 따른다. 최종 매쉬두께로 변형시키는 것은 근소 공차의 바테리 그리드 생산에는 허용되지 않고 상반되는 방법들을 사용했을때 스트립두께의 변형결과로 일어난다. 근소한 공차(tolerance)를 갖는 모든 그리드 두께는 본발명 공정을 사용해서 고도의 생산율로 생산될 수 있다.
본 공정은 지지탭 근처에서 암페어 용량을 증가시키려는 점점 가늘어진 스트립과 같이 변형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진 측스트립을 형성하도록 한다.

Claims (1)

  1. 축방향으로 인접한 부분품의 절개부분이 스트립(10)평면의 대향측으로 부터 신 장되고 미절개부분이 스트립의 최소한 한부분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된 밴드를 형성하고 스트립의 평면상에 유지되도록, 스트립의 평면 밖쪽으로 굽혀진 절개부분 및 스트립의 평면상에 유지된 미절개부분 및 측방향 인접부분으로 부터 절개되고 스트립의 평면으로부터 볼록면으로 충분히 굽혀진 상기 변형 절개부분으로 구성된 다수의 스트랜드형 부분품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게 상기 스트립의 상기 한부분을 동시에 절개 및 예비 성형하기 위하여 대향로울의 주위표면의 충분한 평면(44)에 의하여 측방향연속 미절개 밴드(32)를 형성하고 상기 로울주위 표면의 볼록형 공구면(36,38)에 의하여 절개부분(54,42)을 예비 성형하기 위하여 대향로울의 주위표면이 그 사이를 지나 서로 스트립상에 작용하도록 충분한 평면(44,46)과 상기 평면과 교대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볼록형 공구면(36,38)을 각각 갖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공구판(22,24)을 각각 갖는 대향로울의 제1쌍(16,18), 서로 엇갈려서 밴드(32)와 교대로 스트립을 절개하기 위한 주위평면의 대향측에 교대로 배치된 절단날과 반경방향 오목부분을 각각 갖는 대향로울의 제2쌍, (18,20), 및 굽혀진 부분이 충분히 곧바르게 되고 밴드의 절개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디에 의하여 연결된 거미줄 모양의 매쉬를 형성하도록 스트립의 대향한 길이방향의 단을 팽창시켜서 스트립의 예비성형부와 절개부분이 팽창되어 매쉬를 형성하는 수단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KR1019840002768A 1978-10-31 1984-05-21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KR85000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768A KR850000585B1 (ko) 1978-10-31 1984-05-21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15,190A CA1114241A (en) 1978-10-31 1978-10-31 Forming expanded mesh sheet from deformable strip
KR7903801A KR840001715B1 (ko) 1978-10-31 1979-10-31 변형 가능한 납이나 납합금 스트립으로부터 팽창된 매쉬 시이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19840002768A KR850000585B1 (ko) 1978-10-31 1984-05-21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768A Division KR830000263B1 (ko) 1979-08-14 1979-08-14 시이트 필름 반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85B1 true KR850000585B1 (ko) 1985-04-30
KR850002733A KR850002733A (ko) 1985-05-15

Family

ID=41128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801A KR840001715B1 (ko) 1978-10-31 1979-10-31 변형 가능한 납이나 납합금 스트립으로부터 팽창된 매쉬 시이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19840002768A KR850000585B1 (ko) 1978-10-31 1984-05-21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801A KR840001715B1 (ko) 1978-10-31 1979-10-31 변형 가능한 납이나 납합금 스트립으로부터 팽창된 매쉬 시이트를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4291443A (ko)
JP (1) JPS6029573B2 (ko)
KR (2) KR840001715B1 (ko)
AR (1) AR219835A1 (ko)
AU (1) AU532407B2 (ko)
BE (1) BE879720A (ko)
BR (1) BR7907094A (ko)
CA (1) CA1114241A (ko)
DE (1) DE2943765A1 (ko)
DK (1) DK160972C (ko)
ES (1) ES485539A1 (ko)
FR (1) FR2440232A1 (ko)
GB (1) GB2034610B (ko)
IT (1) IT1124854B (ko)
NL (1) NL186742C (ko)
SE (1) SE4365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06703A (en) * 1979-08-01 1981-08-11 John V. Marlow Asymmetrical shaping of slit segments of meshes formed in deformable strip
US4477016A (en) * 1982-03-25 1984-10-16 Federal Paper Board Company, Inc. Cellular display structure
NZ204244A (en) * 1982-05-19 1986-03-14 Rondo Building Services Ltd Producing expanded metal mesh by passing metal strip through cutting rollers
JPS61283425A (ja) * 1985-06-07 1986-12-13 Katashige Nakada 部分網目状エクスパンド
DE3814448A1 (de) * 1988-04-28 1989-11-09 Spaeth Michael Max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reckmaterial
JP2568285B2 (ja) * 1989-12-28 1996-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展伸メッシュシート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展伸メッシュシートの製造装置
US5239735A (en) * 1989-12-28 1993-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US5093971A (en) * 1990-05-22 1992-03-10 Exi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xpanded mesh battery grid and grid formed therefrom
JPH0716741B2 (ja) * 1990-11-02 1995-03-01 日本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フィンの製造装置
US5375446A (en) * 1993-11-01 1994-12-27 Exide Corporation Rotary expanded grid cutter and related process
US5669754A (en) * 1996-04-22 1997-09-23 Advanced Dynamics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plates
DE19720229C2 (de) 1997-05-14 1999-07-01 Spaeth Michael Dr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Streckmetall aus einer Folie
US5896635A (en) * 1997-05-27 1999-04-27 Cominco Ltd. Apparatus for forming expanded mesh
US5948566A (en) * 1997-09-04 1999-09-07 Gnb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lead-acid grids and cells and batteries using such grids
JP3474405B2 (ja) * 1997-09-25 2003-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鉛蓄電池用極板の製造装置
US6202271B1 (en) * 1998-03-13 2001-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and battery using this expanded mesh sheet
US6122820A (en) * 1998-07-01 2000-09-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plate stacker including a wire flattener module
US6274274B1 (en) * 1999-07-09 2001-08-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ification of the shape/surface finish of battery grid wires to improve paste adhesion
IT1320358B1 (it) * 2000-05-23 2003-11-26 Ind Accumulatori S P A Soc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piastre peraccumulatori.
US6953641B2 (en) * 2001-01-05 2005-10-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grid
US6886439B2 (en) * 2001-02-02 2005-05-03 Teck Cominco Metals Ltd. Paper elimination in the production of battery plates
CA2338168A1 (en) * 2001-02-26 2002-08-26 Kenneth Henning Runo Gustavsson Continuous extruded lead alloy strip for battery electrodes
US20030082455A1 (en) * 2001-06-22 2003-05-0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Grid for a battery plat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battery using the same
US20030096170A1 (en) * 2001-11-21 2003-05-2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Storage battery
US20030121131A1 (en) * 2001-12-03 2003-07-0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a grid for a battery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691386B2 (en) * 2002-03-14 2004-02-17 Teck Cominco Metals Ltd. One-step rotary forming of uniform expanded mesh
WO2004039514A1 (en) * 2002-10-29 2004-05-13 Sovema S.P.A. Machine for forming a metal strip, in particular for the manufacture of grids for electric accumulator, and method of forming said grids
DE102004028205B4 (de) * 2004-06-09 2006-10-26 Vb Autobatterie Gmbh Einrichtung zum Stapeln und Transportieren von Platten
CA2487459A1 (en) * 2004-11-09 2006-05-09 Venmar Ventilation Inc. Heat exchanger core with expanded metal spacer component
US20060216595A1 (en) * 2005-03-22 2006-09-28 Holliday Rex W Battery assembly having improved lug profile
EP2287948B1 (en) 2005-05-23 2016-01-06 Johnson Controls Techonology Company Battery grid
US8578577B2 (en) * 2005-09-20 2013-11-12 Helix International, Inc. Machine to produce expanded metal spirally lock-seamed tubing from solid coil stock
RU2429094C2 (ru) * 2005-09-20 2011-09-20 Хеликс Интернэшнл Инк. Машин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труб со спиральным замковым швом из цельного рулонного проката
EP1994589B1 (en) * 2006-02-22 2010-05-12 Teck Metal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battery grids
DE102006010795A1 (de) * 2006-03-08 2007-09-13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weiten von Metallelementen
US7976976B2 (en) 2007-02-07 2011-07-12 Rosecreek Technologies Inc. Composite current collector
RU2477549C2 (ru) 2007-03-02 2013-03-10 Джонсон Кэнтрэулз Текнолэджи Кампэн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й решетки аккумулятора
US8741487B1 (en) * 2008-08-28 2014-06-03 Greatbatch Lt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ith stress-relieving mesh structure
US20110127282A1 (en) * 2009-05-26 2011-06-02 Lisa Carvajal Disposable Splatter Screens
CN102884661B (zh) 2010-03-03 2015-11-25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蓄电池板栅及其制造方法
US9748578B2 (en) 2010-04-14 2017-08-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and battery plate assembly
CN105428661B (zh) 2010-04-14 2018-06-12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蓄电池以及蓄电池极板组件
US9761883B2 (en) 2011-11-03 2017-09-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grid with varied corrosion resistance
JP5822071B2 (ja) * 2011-11-10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板状多孔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102790221A (zh) * 2012-07-09 2012-11-21 世技机械江苏有限公司 一种铅酸电池拉网式板栅的生产设备及生产方法
GB2506218B (en) * 2013-03-28 2016-09-07 Rolls Royce Plc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article including partially severing tows
US9339862B2 (en) * 2013-08-07 2016-05-17 Sovema S.P.A. Machine for deforming the wires of grids for making electric accumulators
DE102013111109A1 (de) 2013-10-08 2015-04-09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Gitteranordnung für eine plattenförmige Batterieelektrode eines elektrochemischen Akkumulators sowie Akkumulator
DE102013111667A1 (de) 2013-10-23 2015-04-23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Gitteranordnung für eine plattenförmige Batterieelektrode und Akkumulator
RU2556262C2 (ru) * 2013-11-29 2015-07-10 Анатолий Михайлович Серебренников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сечно-вытяжной сетки из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DE102017126315A1 (de) * 2017-11-09 2019-05-09 GRAMMER Interior Components GmbH Streckmetall mit Maschen unterschiedlicher Maschenfor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97C (de) * W. W. BOSTWICK in New-York, V.St. A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aufgeschlitzten Metallplatten für Bauzwecke
US1195222A (en) * 1916-08-22 Ments
US1195221A (en) * 1916-08-22 Method
DE58840C (de) * W. W. BOSTWICK Nr. 38 Park Row in New-York, Staat New-York, V. St. A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aufgeschlitzten Metallplatten für Bauzwecke
US1212863A (en) * 1913-06-14 1917-01-16 Gen Fireproofing Co Process for making expanded-metal structures.
US1818246A (en) * 1929-04-13 1931-08-11 William W Galbreath Machine for expanding met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436546B (sv) 1985-01-07
AU5224079A (en) 1980-05-08
JPS6029573B2 (ja) 1985-07-11
BR7907094A (pt) 1980-08-26
KR830000987A (ko) 1983-04-29
DK160972B (da) 1991-05-13
KR850002733A (ko) 1985-05-15
SE7908950L (sv) 1980-05-01
DE2943765A1 (de) 1980-05-14
US4315356A (en) 1982-02-16
FR2440232A1 (fr) 1980-05-30
IT1124854B (it) 1986-05-14
DK160972C (da) 1991-11-04
DK459079A (da) 1980-05-01
US4291443A (en) 1981-09-29
AR219835A1 (es) 1980-09-15
NL186742B (nl) 1990-09-17
JPS5561332A (en) 1980-05-09
IT7926939A0 (it) 1979-10-30
AU532407B2 (en) 1983-09-29
GB2034610B (en) 1982-11-03
DE2943765C2 (ko) 1988-04-21
CA1114241A (en) 1981-12-15
KR840001715B1 (ko) 1984-10-17
NL7907956A (nl) 1980-05-02
FR2440232B1 (ko) 1983-12-30
ES485539A1 (es) 1980-04-16
BE879720A (fr) 1980-02-15
GB2034610A (en) 1980-06-11
NL186742C (nl) 199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585B1 (ko) 납이나 납합금의 금속 스트립 팽창장치
US4012932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herringbone-pleated structures
CA1333045C (en) Device for manufacturing expanded material
EP04352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thod
JPS5935694B2 (ja) 変形可能な条片に伸長加工部片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US6944942B2 (en) Apparatus for one-step rotary forming of uniform expanded mesh
US523973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JPS5931186B2 (ja) 膨張金属鉛−酸蓄電池グリツドの製造の方法と装置
US4881307A (en) Expansion of sheet materials
US2104249A (en) Manufacture of expanded metal
US3813743A (en) Method of expanding metal
JP2000301210A (ja) 形材製造用スリッタ
US2215658A (en) Method of making expanded metal products
JPS622882B2 (ko)
CA2227473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use in forming stator slot wedges
CN111315504B (zh) 将金属带材料扩幅和编排成网状席垫结构的方法和装置
US1981869A (en) Method of making a corrugated fastener
JPS622883B2 (ko)
SU948491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еталей из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EA041846B1 (ru) Способ расширения и форматирования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до сетчатой структуры м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H05169159A (ja) ガーニッシュ類、及びガーニッシュ類の製造方法
EP1444060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chining an object
US1145341A (en) Process for making ribbed expanded-metal structures.
CN1972769A (zh) 用于生产扩展的金属型材的方法及由此方法生产的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