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93B1 - 염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93B1
KR830002393B1 KR1019800002183A KR800002183A KR830002393B1 KR 830002393 B1 KR830002393 B1 KR 830002393B1 KR 1019800002183 A KR1019800002183 A KR 1019800002183A KR 800002183 A KR800002183 A KR 800002183A KR 830002393 B1 KR830002393 B1 KR 83000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arts
dyeing
dyes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855A (ko
Inventor
마사오 니시구리
미찌오 야마자끼
기요데루 고지마
쥰사부로 세이노
히로히또 겐모찌
Original Assignee
스미또 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히지가따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 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히지가따 다께시 filed Critical 스미또 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93B1/ko
Publication of KR83000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55A/ko
Priority to KR1019830003591A priority patent/KR840001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4Styryl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1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phthalocyanine dyes without vat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염료 조성물
본 발명은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2종 이상의 스티릴 화합물류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X1은 할로겐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고, X2,Y1및 Y2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며, R1과 R3는 각각 비치환 또는 치환 알킬기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3~C10알킬렌기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함유 알킬렌기 임).
일반으로 스티릴 염료는 내광성이 우수한 선명한 황녹색 염료이나, 승화 견뢰도가 부족하고, pH불감도 즉 염색시 pH의 변화에 따른 내분해성(耐分解性)이 떨어지는 결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 결점들 중에서 승화 견뢰도는 극성기를 도입시키거나 또는 염료 분자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서 어느정도 개선되었으나, pH불감도의 경우에는 실제의 염색 조작시 지금까지 어떠한 개선도 달성되지 않았고, 또 색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이들의 몰 흡수계수가 퀴노프탈론 염료처럼 높고 색도 선명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스티릴 염료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pH불감도(insensitivity)가 우수한 스티릴계 분산염료의 개발에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스티릴 염료는 전술한 결점들의 해소가 가능하며, 승화 견뢰도, 내광성 및 물과 기타 견뢰도가 우수한 황색의 분산염료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염료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향상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일반식(Ⅰ)로 표시되며, 서로 구조가 다른 2종 이상의 염료,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의 염료를 사용함으로서 우수한 것을 얻을 수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2종의 전술한 염료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염료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색 농도보다 거의 2배 정도의 색 농도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3종 또는 4종의 염료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염료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석 농도보다 각각 거의 3배 또는 4배 정도의 색농도를 얻을 수가 있는데 이것은 아주 획기적인 결과로서 실용상 효과가 아주 큰 것이다.
또,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Ⅰ)의 스티릴 화합물을 합성수지의 염색에 사용하면, 고(高)견뢰도를 갖는 황색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견들을 기초로 하여 달성한 것이다.
일반식(Ⅰ)에 있어서, X1,X2,Y1및 Y2로 표시되는 저급 알킬 및 저급 알콕시기는 각각 C1~C4알킬기(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기)와 C1~C4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를 의미하며 할로겐 원자로서는 염소 또는 브롬 원자가 바람직하다
R2로 표시되는 알킬렌기로서는 C5~C7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C5H10- 또는 -C6H12-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Ⅰ)의 염료에 대해서는 하기 제1표에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 1 표]
Figure kpo00002
본 발명에 따른 염료를 합성 및 반합성 섬유, 이를테면 초산 셀룰로오스 섬유, 특히 폴리 에스테르 섬유에 속하는 소수성 섬유에 사용하면, 염색 친화도, pH불감도(내분해성), 내승화성, 내광성 및 고(高)재현성 등이 우수한 선명한 황색으로 염색이나 날염시킬 수가 있다. 공지의 스티릴 염료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는 오늘날 염색 중요성이 증가 일로에 있는 세섬도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인공 가죽에 대한 염색 친화도의 우수성이 특히 발현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염료는 pH불감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pH치가 7을 초과하여 9이상에 달하면 쉽게 분해된다. 하기에 또 본발명에 따른 염료의 특성을 공지 기술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겠다. 공지의 스티릴 염료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고 번호 제11,432호 1961년, 일본국 특허공고번호 제2,799호 1966년 및 일본국 특허번호 제2,714호 1973년에 각각 서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는 일반으로 이들 염색보다 염색 친화도, pH불감도(내분해성), 내승화성, 내광성 및 내수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데, 대조 시험한 몇개의 결과를 하기에 서술하겠다.
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제11,432호 1961년의 염료(비교 실시예 1)
Figure kpo00003
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제2,799호 1966년의 염료(비교 실시예 2)
Figure kpo00004
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제2,714호 1973년의 염료(비교 실시예 3)
Figure kpo00005
[제 2 표]
Figure kpo00006
(참조) pH불감도(분해율)
분해율 (%)=
Figure kpo00007
염색조건 : 130℃×60분, 0.5% o.w.f. 욕비 1 : 30
섬 유 : 폴리에스테르 텍스처 직물
염료 조성(10부에 대한) : 농축 염료케이크 2부, 나프탈렌술폰산계 분산제 5부, 리그노술폰산계 분산제 3부
상기 제2표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염료 1,2 및 3은 비교 실시예 1,2 및 3의 염료보다도 스티릴계 염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점으로 생각되고 있는 pH불감도 (내분해성)가 우수하며, pH가 7미만의 경우에 한해서는 실질적인 문제점이 거의 없을 정도의 pH불감도가 개선된다는 것을 완연하게 알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증명하기 위하여 상기 제1표의 일반식(1),(2) 및 (3)의 염료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대한 흡착소모 염색조작 (130℃, 1시간, 욕비 1 : 30, 처리욕조 : 음이온 계면활성제 2g/ℓ함유)을 수행하였다. 하기 제3표는 일반식(1),(2) 및 (3)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염료(1)과 (2)를 1 : 1의 비율로 혼합 사용한 경우 및 염료 (1),(2)와 (3)을 1 : 1 : 1의 비율로 혼합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염료의 흡착 소모 백분율을 기재한 것이다.
하기 제3표의 결과로부터 염료를 혼합물형으로 혼합사용한 경우가 향상성에 있어서 보다 현저한 효과가 발현됨을 알수가 있다.
[제 3 표]
Figure kpo00008
*염료 농도(o.w.f.)
또, 본 발명에 따른 염료를 사용하면, 내광성, 내열성, 색이염(移染) 저항성 등의 여러가지 견뢰도에 있어서의 선명하고 농도가 짙은 우수한 황색을 필름, 판(板), 파이프 등의 합성수지 성형품에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릴 화합물은 일반으로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먼저 하기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Vilsmeier반응에 의해 포르밀화하여 하기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Ⅲ)를 얻은 다음에, 이 디알데히드(Ⅲ)를 암모니아, 디메틸아민, 피페리딘 피페리딘아세테이트, 나트륨 알코올라아트 또는 칼륨 알코올라아트 등의 염기성 촉매 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승온하에서 말론산니트릴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메탄올, 에탄올,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용매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09
(상기 식들 중에서, R1,R2,R3,X1,X2,Y1및 Y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본 발명의 염색 방법을 수행하는데에 있어서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염료를 수성매질 중에서 적당한 미세 입자와 함께 분쇄하여 분산액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일반식(Ⅰ)의 염료는 각각의 염료의 비율이 10내지 90%가 되도록 상법에 의해 함께 혼합할 수가 있다.
이 분산된 염료는 스프레이 등의 수단에 의해 건조시킨 후, 페이스트 또는 분말형으로 하여 사용한다. 소수성 염료를 수성 매질 중에서 침지시키고, 105℃이상, 바람직하게는 110내지 140℃의 온도의에서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염료 조성분과 함께 염색을 수행한다.
또, 의류를 염료 분산액으로 날염시킨 다음, 150내지 230℃에서 30내지 60초간 건열처리를행하는 소위 더어모솔 염색도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날염의 경우에는 염료 분산액을 적당한 페이스트와 함께 혼연시킨 다음 염색을 행하기 위한 증기 처리 또는 더어모솔 처리를 수행한 후, 의류상에 날염시킨다. 염색 매질로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융제 염색법도 가능하다.
합성 수지의 염색은, 이를테면 하기의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즉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필요량의 스티릴 화합물을 합성수지 중에 혼합 및 혼연시키고, 이들 혼합물을 임의의 성형방법, 이를테면 압축성형, 사출 성형, 칼렌더링, 압출성형 등에 의해 필름, 판, 파이프 등의 성형품으로 성형시킴으로서 합성수지 중에 견고한 황색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식(Ⅰ)의 화합물에 1종 이상의 공지의 착색제 및 첨가제류, 이를테면 프탈로시아닌 청색구리, 금속을 함유하지 않는 프탈로시아닌 청색, 프탈로시아닌 녹색구리, 퀴나크리돈적색 등의 유기 안료와 카아본 블랙, 레드옥사이드, 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등의 무기안료 ; 형광표백제 ; 금속 비누와 왁스등의 윤활제 ; 자의 흡수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 사용함으로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합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드계, 폴리카아본네이트계, 폴리아세틸계 등의 수지류 외에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공중합체(AS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수지)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하기에 실시예들을 열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겠으며, 이들 실시예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염료의 제조
N-에틸-m-톨루이딘 16.6부, 1,6-디브로모헥산 10부 및 소다회 6.5부를 12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여분의 N-에틸-m-톨루이딘을 수증기 증류에 의해 유거시킨 다음에 유층을 분리하여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3부를 얻었다.
Figure kpo00013
이 화합물 10부와 디메틸포름아미드 10부와로 조성되는 혼합물을 20℃이하의 옥시염화인 15부와 디메틸포름아미드 10부와로 조성되는 혼액중에 적가하고 85내지 9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 혼액을 빙수 중에 주입시키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시켜 중화하여 유층을 분리시킴으로서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 8부를 얻었다.
Figure kpo00014
다음에 상기 식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 4.6부와 말론산 니트릴 1.5부와를 메탈올 30부와 피페리딘 0.1부와로 조성되는 혼액중에서 1시간 가열 환류시키고, 이 반응 혼액을 냉각, 여과 및 수세를 행하여 제1표 중의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염료 4부를 얻었다.
Figure kpo00015
이것을 피리딘-에탈올에서 재결정화하여 융점이 186내지 188℃인 황색의 염료 결정을 얻었다.
Figure kpo00016
염색 :
구조식(1)의 염료 2부에 나프탈렌-β-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5부, 리그노슬폰산나트륨 3부 및 물 20부와를 혼합시키고, 보을밀에서 20시간 동안 분쇄하였다. 얻어지는 분산액을 스프레이 수단에 의해 건조를 행하여 염색 조성물을 얻었다. 이 염색 조성물 1부를 물 3000부와 함께 폴리에스테르 방적실 100부에 첨가시키고, 130℃의 온도 및 가압하에서 60분간 염색 조작을 수행하였다.
염색 조작후에 이실을 온수로 세척하고, 또 환원 세척한 다음, 건조를 행하여 색지수가 높은 견고한 황색의 염색제품을 얻었다.
[제조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디알데히드 대신에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17
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반응을 반복 행하여 제1표중 구조식(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8
(융점 178~180℃,
Figure kpo00019
)
이 염료로 염색조를 만들고, 이 염색조내에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염색을 수행하여 색농도가 높고, 선명하며 견고한 황색의 염색 제품을 얻었다.
[제조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디알데히드 대신에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20
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 행하여 제1표 중 구조식(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21
(융점 197~200℃,
Figure kpo00022
)
구조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부를 분산제, 적당량과 함께 물 3,000부 중에 분산시키고, 여기에 알긴산나트륨 3부를 첨가시켰다. 이 분산액중에 폴리에스테르/무명 (65~35)의 평상복을 침지시키고, 무게의 중량이 60%가 되도록 맹글로 압착시킨 다음 열풍로에 의해 중간 건조시킨후, 200℃에서 90초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더어모솔 염색을 종료한 후에 의복을 환원 세척 및 수세한 다음 건조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염색된 제품은 무명 쪽에는 조금 밖에 염색되지 않았으나, 폴리 에스테르 쪽에는 선명한 황색으로 염색되었으며, 여러가지의 견뢰도가 우수하였다.
[제조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디알데히드 대신에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23
으로 표시되는 디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 행하여 제1표 중 구조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24
(융점 145~150℃,
Figure kpo00025
)
구조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 2부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염색 조성물 107부를 제조 하였다.
이 염색 조성물 0.5부를 0-페닐페놀 4부, 초산 2부 및 폴리에스테르 방적실 20부와 함께 물 1000부에 첨가시키고, 100℃에서 90분간 염색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색 제품을 온수로 세척하고 환원 세척 및 건조를 행하여 여러가지의 견뇌도가 우수하고 선명한 황색의 염색 제품을 얻었다.
[제조예 5내지 13]
실시예 1내지 4에서 사용한 염료들 대신에 제4표에 기재한 염료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내지 4에 기술한 방법을 반복 행하여 폴리 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또는 날염을 행하였다. 그결과 컬러새도우가 제4표중 우측란에 기재한 색상을 갖는 견고한 염색제품을 얻었다.
[제 4 표]
Figure kpo00026
[실시예 1]
제1표에 기재한 구조식(1)의 염료 1부와 구조식(2)의 염료와를 나프탈렌-β-술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5부, 리그노슬폰산 나트륨 3부 및 물 20부와 함께 혼합하여 염색 조성물 10부를 제조하고, 얻어지는 혼합물을 보올밀 내에서 20시간 분쇄를 행하여 얻어지는 분산액을 스프레이 건조시켰다. 이 염색 조성물 1부를 폴리에스테르 방적실 100부와 함께 물 3000부 중에 첨가시키고, 130℃의 온도와 가압하에서 60분간 염색 조작을 수행하였다. 염색을 행한 후, 이 방적실을 온수로 세척하고, 환원 세척 및 건조를 행하여 색지수가 높고 견고한 황색의 염색제품을 얻었다.
염료(1) 또는 염료(2)만을 2부 사용하여 실의 염색을 행하여 얻어지는 염색 제품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 얻은 염색 직물은 색농도가 훨씬 강했다.
[실시예 2]
염료(2) 대신에 제1표의 염료(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염색 조작을 행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제1표에 기재한 염료(1),(2) 및 (3)의 각각 1부씩으로 조성되는 혼합 염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및 처리 조작을 행하여 선명하고 견고한 황색의 염색 제품을 얻었다.
염료(1),(2) 또는 (3)만을 단독으로 3부 사용하여 의류의 염색을 행하여 얻어지는 염색된 의류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염색된 의류는 색농도가 훨씬 강했다.
[실시예 4]
제1표 중에 기재한 염료(1),(2) 및 (3)의 각각 3부를 적당량의 분산제와 함께 물 3000부 중에 분산시키고, 여기에 알긴산나트륨 3부를 첨가시켰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이 분산액 중에 침지시키고 중량이 60%가 되도록 맹글로 압착시켜 열풍로에 의해 중간 건조시킨 다음 200℃에서 90초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더어모솔 염색을 종료시킨 후에 이 직물을 환원 세척하고, 수세한 다음 건조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색 제품은 여러가지의 견뢰도가 우수하였다.
염료(1),(2) 또는 (3)만을 10부씩 별도로 사용하여 염색시킨 직물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 얻은 염색제품은 색 농도가 훨씬 우수하였다.
[실시예 5]
제1표에 기재한 염료(4),(5) 및 (6)을 각각 1부씩 혼합시켜 얻어지는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행한 결과, 선명하고 견고한 황색의 염색 직물을 얻었다.
염료(4),(5) 또는 (6)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염색시킨 직물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 얻은 염색 직물은 색농도가 훨씬 우수하였다.
[실시예 6]
제1표의 염료(1),(7) 및 (8)의 각각 1부를 나프탈렌-β-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5부, 리그노술폰산 나트륨 2부 및 물 20부와 함께 보올밀 내에서 20시간동안 분쇄시켜 얻어지는 분산액에 물을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염료 함량을 20%로 조정하였다.
이 페이스트로부터 하기의 배합 비율을 갖는 날염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염료 페이스트 50
미온탕(微溫湯) 340
m-니트로벤젠술폰산나트륨 10
로우커스트 콩검(검함량 15%) 600
총 1,000
이 날염 페이스트를 폴리에스테르 직물 상에 날염시키고, 건조시킨 다음에 130℃에서 30분간 스티임시켰다. 세척 및 건조를 행하여 피일링이 우수하고, 선명한 황색의 날염 직물을 얻었다.
염료(1),(7) 또는 (8)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날염시킨 날염 직물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 얻은 날염 직물은 색농도가 훨씬 우수하였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2종 이상의 스티릴 화합물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조성물.
    Figure kpo00027
    (식중, X1은 할로겐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고, X2,Y1및 Y2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며, R1과 R3는 각각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3~C10알킬렌기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알킬렌기임).
KR1019800002183A 1980-06-02 1980-06-02 염료 조성물 KR83000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83A KR830002393B1 (ko) 1980-06-02 1980-06-02 염료 조성물
KR1019830003591A KR840001841B1 (ko) 1980-06-02 1983-07-30 스티릴화합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83A KR830002393B1 (ko) 1980-06-02 1980-06-02 염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855A KR830002855A (ko) 1983-05-30
KR830002393B1 true KR830002393B1 (ko) 1983-10-25

Family

ID=192166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83A KR830002393B1 (ko) 1980-06-02 1980-06-02 염료 조성물
KR1019830003591A KR840001841B1 (ko) 1980-06-02 1983-07-30 스티릴화합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591A KR840001841B1 (ko) 1980-06-02 1983-07-30 스티릴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23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855A (ko) 1983-05-30
KR840001841B1 (ko) 198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654B1 (ko) 분산 염료 혼합물
US4845235A (en) Pyrroline derivative
KR930002548B1 (ko) 아조분산 염료를 사용한 합성섬유의 염색방법
US5201922A (en) Disperse dye mixture and dyeing method employing it: orange and yellow azo disperse dye mixture for polyester fibers
GB2099009A (en) Navy dye mixtures
US4331584A (en) Styryl compounds and coloring synthetic resins therewith
KR830002393B1 (ko) 염료 조성물
US4488992A (en) Monoazo dyestuffs derived from benzothiazole
JP3929401B2 (ja) 製造された天然ポリマー材料及び合成疎水性繊維材料の染色又は捺染
JPH024625B2 (ko)
DE19618586A1 (de) Monoazo-Dispersionsfarbstoffe
US6994736B2 (en) Use of pigment dyes for dispersion dyeing from aqueous media
US4386934A (en) Navy dye mixtures
EP0484962A2 (en) Heterocyclic disperse dy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for dyeing or printing of hydrophobic fibers
JP4290982B2 (ja) 水性媒体から分散染色するための顔料染料の使用
US4076706A (en) Disperse dyes from 2-cyano-4,6-dinitroaniline and selected 2(2'-alkoxy-5'-acylamidoanilino)alkanes
US4234481A (en) Yellow pyrazolone ester dyes for heat transfer printing
JPH0649835B2 (ja) ピロ−ル系化合物,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染色又は着色法
JPS5912970A (ja) 水不溶性モノ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捺染又は染色法
KR20040062427A (ko)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CN105111104A (zh) 一种分散染料单体化合物、分散染料制剂及其应用
CN104744964B (zh) 一种分散蓝染料单体化合物及分散染料
JPH0314876A (ja) 複素環式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疎水性繊維材料を染色または捺染する方法
JPS60221464A (ja) モノ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染色法
JPS61268760A (ja) スチリル系化合物並びにそれを用いる染色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