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427A -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 Google Patents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427A
KR20040062427A KR10-2003-7009427A KR20037009427A KR20040062427A KR 20040062427 A KR20040062427 A KR 20040062427A KR 20037009427 A KR20037009427 A KR 20037009427A KR 20040062427 A KR20040062427 A KR 2004006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s
dyeing
pigment
formula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223B1 (ko
Inventor
지버헬무트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6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5Aliphatic, ar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5/00Azomethine dyes
    • C09B55/005Disazomethine dyes
    • C09B55/007Disazomethine dyes containing only carbocyclic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2Synthetic fiber dyeing
    • Y10S8/922Polyeste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33Thermosol dyeing, thermofixation or dry heat fixation or develo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매질에서 반합성 또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을 염색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안료의 용도뿐만 아니라 이 염료로 염색되는 반합성 또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모든 치환기들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USE OF PIGMENTS AS DISPERSE DYESTUFFS}
"안료"란 단어는 라틴어 기원(피그멘텀(pigmentum))으로, 원래 착색 물질의 의미에서 색을 의미하였지만, 최근에 착색된 장식(예를 들어, 화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중세 말기에, 상기 단어는 또한 모든 종류의 식물 및 야채 추출물, 특히 착색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안료란 단어는 생물학 용어에서 이러한 의미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조직에 침착되거나 체액에 현탁될 때 세포 또는 세포막 내부에 매우 작은 낟알로서 존재하는 식물 또는 동물 유기체의 염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안료란 단어와 관련된 현대식 의미는 금세기에 발생하였다. 인정된 기준(DIN(Deutsche Industrie Normen; 독일 공업품 기준 규격) 55943 및 DIN 55945)에 따라, 안료란 단어는 적용 매질에 실제로 불용성인 소립자로 구성된 물질을 의미하며, 그의 착색, 보호 또는 금속 특성 때문에 사용되었다. 안료와 염료 둘다는 일반 용어 "착색 물질"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의 착색 특성을 위해 사용된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안료와 가용성 유기 염료를 구분하는 특징은 이들의 용해도가 용매 및 결합제에서 낮다는 것이다. 안료는 화학 조성, 및 광학 또는 공업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안료는 다음 2개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i) 무기 안료 및 (ii) 유기 안료.
안료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는 도료, 바니시, 플라스틱, 예술가의 물감, 종이 및 직물용 날염 잉크, 가죽 장식, 건축 재료(시멘트, 초벌칠, 콘크리트 벽돌 및 타일 - 대부분 산화철 및 산화크롬 안료를 기재로 한다), 인조 가죽, 바닥 차폐물, 고무, 종이, 화장품, 도자기 유약 및 에나멜이다.
도료 산업은 대체로 고품질의 안료만을 사용한다. 최적의 균일한 입자 크기는 광택, 은폐력, 착색 강도 담색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료 필름은 지나치게 두껍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최적의 분산 특성과 함께 양호한 착색 강도 및 은폐력을 갖는 안료가 요구된다.
백색 안료가 백색 착색 및 차폐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담색) 착색 및 흑색 안료를 감소하는데도 사용된다. 이는 최소의 고유 착색 색조를 가져야 한다.
특정 적용을 위한 안료를 선택할 경우, 몇 가지 점들이 통상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착색 특성(예를 들어, 색, 착색 강도, 담색력 및 차폐력)은 적용 효율성 및 경제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다음 특성도 중요하다:
(1)일반적인 화학 및 물리 특성: 화학 조성, 수분 및 염 함량, 수-용해성 및 산-용해성 물질의 함량, 입자 크기, 밀도 및 경도.
(2)안정도 특성: 광, 날씨, 열 및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 항-부식 특성 및 광택 유지 .
(3)결합제에서의 거동: 결합제 특성과의 상호작용, 분산성, 특정 결합제에서의 특정 특성, 상용성 및 고용화 효과.
분산 염료는 분산 콜로이드성 형태로 소수성 섬유 및 직물을 염색하고 날염하는데 적합한 낮은 수용성을 갖는 착색제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분산 염료로 염색하는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염료를 수성 매질에서 적용할 경우, 분자로 분산된 수용액이 섬유 표면에 흡수된 후 섬유 내부로 확산된다. 다음 매개변수는 염색 속도 및 어느 정도까지의 균염 특성을 결정한다:
(1) 염료의 분산된 결정질 상태로부터 분자로 분산된 상으로의 전이 동안의 용해 속도; 및
(2) 섬유 표면, 특히 섬유 내부에서의 용해 속도.
상기 공정 둘다의 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염료 분자의 기하 구조 및 극성에서의 차이는, 단일-성분 또는 혼합 염색 방법을 사용하든 지에 관계없이 마무리 또는 염료-특이적 특성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모든 염료의 흡착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테면, 동일하지 않은 분포의 입자 크기가 불충분한 분산 안정성의 결과를 가져올 때 비-균일 염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정의 성장 및 기재 표면에서의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산업적으로 적용된 분산 염료는 수많은 발색단 계통을 주로 함유한다. 모든 생성물의 약 60%는 아조 염료이고, 약 25%는 안트라퀴논 염료이며, 나머지는 퀴노프탈론, 메틴, 나프탈이미드, 나프토퀴논 및 니트로 염료들로 분포되어 있다.
놀랍게도, 특정 안료가 수성 매질에서 텍스타일(textile) 섬유를 염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분산 염료로서 특정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성 매질에서 수행되는 염색 공정에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안료 또는 안료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내지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NO2, -CN, -OH, -CH3, -NH2또는 NHCH3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R1내지 R12가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N을 나타내는안료 또는 안료 혼합물이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R1내지 R12가 서로 독립적으로 H, -Cl 또는 -CN을 나타내는 안료 또는 안료 혼합물이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씨.아이. 피그먼트 오렌지 70(C.I. Pigment Orange 70)(클라리언트(CLARIANT)의 상표인 폴리신트렌R브라운 3RL(PolysynthrenRBraun 3RL))으로서 알려진, R1내지 R12가 모두 H인 화학식 I의 안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의 안료는 반합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 특히 텍스타일 물질을 염색하고 날염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반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혼방으로 구성된 텍스타일 물질은 본 발명의 염료에 의해 염색되거나 날염될 수 있다.
적합한 반합성 텍스타일 물질은 주로 셀룰로스-2½-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및 고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뿐만 아니라 셀룰로스와 이들의 혼합물이다.
합성 소수성 텍스타일 물질은 주로 선형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및 글리콜, 특히 에틸렌 글리콜 또는 테레프탈산과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의 축합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α,α-디메틸-4,4'-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 및 포스겐으로 구성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염화폴리비닐 및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구성된다.
소수성 합성 물질은 시트상 또는 섬조상 구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얀(yarn) 또는 짜거나 뜨거나 루프로 된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안료는 마이크로 섬유 형태의 소수성 합성 물질을 염색하는데 적합하다.
사용하기 전에 편의상 화학식 I에 따른 안료를 염료 배합물로 전환한다. 이는 상기 염료를 0.1 내지 10μ의 평균 입자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수행된다. 분쇄는 분산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건조 안료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쇄된 후 진공 건조되거나 분무 건조된다. 날염 페이스트(paste) 및 염욕은 이렇게 수득된 배합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에 따른 안료는 공지된 염색 또는 날염 방법,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원 제 1445371 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텍스타일 물질에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물질은 통상적인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분산제의 존재 및 통상적인 팽윤제(담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65 내지 140℃의 온도 범위에서 염착(exhaust) 방법에 의해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염색된다.
셀룰로스-2½-아세테이트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의 온도에서 염색되고,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는 125℃ 이하의 온도에서 염색된다.
화학식 I에 따른 안료는 서머솔(thermosol) 방법에 의한 염색, 염착 및 연속 공정에 적합하며, 모던 이미지(modern imaging) 방법, 예를 들어 열-전이 날염 또는 잉크젯 날염 방법으로 날염하는데 적합하다.
염색은 염착 방법에 의해 수성 염액에서 수행되며, 염액 비율은, 예를 들어 1:4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50의 넓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염색 시간은 20 내지 9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분이다.
상기 염료 염액은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염색 보조제, 분산제, 습윤제 및 발포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염액은 무기산, 예를 들어 황산 또는 인산; 편의상 유기산, 예를 들어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 및/또는 염, 예를 들어 아세트산암모늄 또는 황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산은 주로 염액의 pH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의 범위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안료는 통상적으로 미세 분산물의 형태로 염액에 존재한다. 이러한 분산액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설폰산/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설폰화 크레졸 오일/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리그닌 설폰네이트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의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설폰산/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또는 리그닌 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분산제; 또는 산화에틸렌 또는 산화프로필렌으로부터 다중 첨가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산화폴리알킬렌계 비이온성 분산제가 있다. 적합한 추가의 분산제로는 미국 특허 제 4,895,981 호 또는 제 5,910,624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염색 또는 날염은 전반에 걸쳐 견뢰도가 양호하며, 특히 열-이염 견뢰도, 광 견뢰도, 열-고착 및 주름 견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습윤 견뢰도도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안료로 염색되거나 날염되는 반합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부와 %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온도는 섭씨 온도로 주어진다.
실시예 1
리그닌 설포네이트계 상업용 분산제(32.5부)를 포함하는의 안료(17.5부)를 분말로 분쇄하였다. 황산암모늄(40부)을 포함하는 70℃의 탈염수(2000부)에 염료 제제(1.2부)를 첨가하고, 85%의 포름산을 사용하여 염욕의 pH 값을 5로 설정하였다. 세척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100부)을 염욕에 넣고, 용기를 밀폐하고, 20분에 걸쳐 13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60분 동안 추가로 염색을 계속하였다. 냉각시킨 후,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을 염욕에서 제거하고, 헹구고, 비누칠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나트륨 하이드로설파이트와 반응시켜 세척하였다. 열-고착(180℃, 30분) 후, 전반에 걸쳐 견뢰도, 특히 광 및 승화 견뢰도, 특히 습윤 견뢰도가 매우 양호한 갈색을 띤 오렌지색 염색이 수득되었다.

Claims (5)

  1. 염색 공정이 수성 매질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합성 또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을 염색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염료의 용도: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내지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NO2, -CN, -OH, -CH3, -NH2또는 NHCH3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내지 R12가 서로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N인 안료의 용도.
  3. 제 1 항에 있어서,
    R1내지 R12가 서로 독립적으로 H, -Cl 또는 -CN인 안료의 용도.
  4. 제 1 항에 있어서,
    R1내지 R12가 모두 H인 안료의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를 사용하여 염색되는 반합성 또는 합성 소수성 섬유 물질.
KR1020037009427A 2001-01-15 2002-01-14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KR10083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00963.8A GB0100963D0 (en) 2001-01-15 2001-01-15 Improvements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GB0100963.8 2001-01-15
PCT/IB2002/000115 WO2002055786A1 (en) 2001-01-15 2002-01-14 Use of pigments as disperse dyestuff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27A true KR20040062427A (ko) 2004-07-07
KR100832223B1 KR100832223B1 (ko) 2008-05-23

Family

ID=990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427A KR100832223B1 (ko) 2001-01-15 2002-01-14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04982B2 (ko)
EP (1) EP1360367B1 (ko)
JP (1) JP4299000B2 (ko)
KR (1) KR100832223B1 (ko)
CN (1) CN1228501C (ko)
AT (1) ATE278834T1 (ko)
BR (1) BR0206403B1 (ko)
DE (1) DE60201505T2 (ko)
DK (1) DK1360367T3 (ko)
ES (1) ES2229140T3 (ko)
GB (1) GB0100963D0 (ko)
PT (1) PT1360367E (ko)
WO (1) WO2002055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12691D0 (en) * 2002-06-05 2002-07-10 Clariant Int Ltd Composition for dyeing polyester textile materials
ES2315655T3 (es) * 2003-04-22 2009-04-01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Mezclas de pigmento/colorante.
TWI352103B (en) 2003-12-10 2011-11-11 Clariant Finance Bvi Ltd Disperse dyes
KR100954853B1 (ko) * 2008-03-04 2010-04-28 박용직 환경호르몬 방지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026A (en) 1964-03-18 1968-08-27 Hoechst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ast orange dyeings on structures of aromatic polyesters, especially of polyethylene-terephthalates
DE1282214B (de) 1964-04-16 1968-11-0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stoffen der Phthaloperinonreihe
BE668287A (ko) * 1964-08-28
FR1445371A (fr) 1964-08-28 1966-07-08 Sandoz Sa Colorants de dispersion de la série mono-azoïque,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et leurs applications
CH915869A4 (ko) * 1969-06-16 1973-07-13
DE2009465A1 (en) 1970-02-28 1971-09-09 Badische Anilin & Soda Fabrik AG, 6700 Ludwigshafen Continuous dyeing of polyester textiles
BE795836A (fr) 1972-02-24 1973-08-23 Ciba Geigy Pigment bis-azomethinique et sa preparation
GB1413511A (en) * 1972-03-20 1975-11-12 Ciba Geigy Ag Metallised bisazomethine pigments
DE2515523C3 (de) 1975-04-09 1980-05-29 Hoechst Ag, 6000 Frankfurt Wasserunlösliche Disazomethin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arbmittel
GB1564231A (en) 1977-05-31 1980-04-02 Ciba Geigy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bisazomethine pigment
DE2801288C2 (de) * 1978-01-13 1985-06-20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wendung von wasserunlöslichen Diazomethinverbindungen zum Färben von thermoplastischen Polyestern in der Masse und in der Spinnfärb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estern
CH655508B (ko) 1981-08-26 1986-04-30
DE3413603A1 (de) 1984-04-11 1985-10-24 Sandoz-Patent-GmbH, 7850 Lörrach Metallkomplexfarbstoffe und ihre verwendung zum faerben von kunststoffmassen
ES2032594T3 (es) 1987-02-27 1993-02-16 Ciba-Geigy Ag Procedimiento para mejorar la estabilidad fotoquimica de los colorantes sobre materiales de fibra de poliester. (reserva del art. 167.2 cpe).
DE19548453A1 (de) * 1995-12-22 1997-06-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polycyclischer Verbindungen
DE19636380A1 (de) * 1996-09-09 1998-03-12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ispersionsfarbstoffmischungen
DE19962916A1 (de) * 1999-12-23 2001-07-05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Textiles, spinngefärbtes Faser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Tarnartik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9000B2 (ja) 2009-07-22
EP1360367A1 (en) 2003-11-12
BR0206403B1 (pt) 2012-09-18
JP2004518031A (ja) 2004-06-17
CN1486378A (zh) 2004-03-31
ATE278834T1 (de) 2004-10-15
EP1360367B1 (en) 2004-10-06
ES2229140T3 (es) 2005-04-16
CN1228501C (zh) 2005-11-23
WO2002055786A1 (en) 2002-07-18
PT1360367E (pt) 2004-12-31
KR100832223B1 (ko) 2008-05-23
DE60201505D1 (de) 2004-11-11
GB0100963D0 (en) 2001-02-28
BR0206403A (pt) 2004-02-10
US20040049864A1 (en) 2004-03-18
DK1360367T3 (da) 2005-01-17
US7004982B2 (en) 2006-02-28
DE60201505T2 (de)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793B1 (ko) 염료 혼합물
JPH0579265B2 (ko)
KR100800720B1 (ko) 수성 매질에서 분산 염색용 안료 염료의 용도
KR100832223B1 (ko) 분산 염료로서 안료의 용도
KR100800721B1 (ko) 수성 매질에서 분산 염색용 안료 염료의 용도
JPH0841364A (ja) 水不溶性赤色モノアゾ染料、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染色又は捺染する方法
US5495004A (en) Monoazo dispersed dye and mixtures containing them and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4620853A (en) Dyestuff mixtur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rocess for dyeing and printing hydrophobic fiber materials
JPS5912970A (ja) 水不溶性モノ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捺染又は染色法
JPH05271561A (ja) モノアゾ染料およびそれを含む混合物
KR20000063270A (ko) 모노아조 염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계직물의 염색 또는 날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