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71Y1 - 기판장치 - Google Patents
기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971Y1 KR830000971Y1 KR2019820001093U KR820001093U KR830000971Y1 KR 830000971 Y1 KR830000971 Y1 KR 830000971Y1 KR 2019820001093 U KR2019820001093 U KR 2019820001093U KR 820001093 U KR820001093 U KR 820001093U KR 830000971 Y1 KR830000971 Y1 KR 8300009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runner
- bent
- synthetic resin
- straight li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9/00—Frameworks
- G04B29/02—Plates; Bridges; C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기판장치의 상면도.
제2도는 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쓰이는 기판의 일예의 상면도.
제4도는 그부분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상면도.
제6도는 그 부분 횡단면도.
제7도는 바람직한 성형용 금형의 부분 횡단면도.
제8(a)도-제8(e)도는 여러가지 절곡부의 실시형식을 예시하는 상면도.
제9(a)도-제9(d)도는 절곡부와 런너의 여러가지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도.
제10(a)도-제10(d)는 여러가지 단면형상의 절곡부의 부분약시 단면도.
제11(a)도-제11(g)도는 여러가지 런너와 절곡부의 상대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
본 고안은 시계, 계기, 통신기, 녹음기, 광학기기, 완구등의 기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의 기판에 복수의 합성수지제 기능부를 정밀하게 일체로 결합 구성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분야에 있어서는, 기판상에 다수의 축수, 지주등의 기능부를 가지는 기판장치로서, 금속제 기판에 천설한 구멍에 금속제 기능부가 리베팅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것, 또는 기판장치 전체가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 쓰이고 있다.
그런데, 전자는 조립공정의 복잡성, 또는 조립오차에 기인하는 정도불량, 또 후자에 있어서는 강성부족, 왜곡, 수축에 기인하는 정조불량등에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 기판부가 금속체, 기능능부가 합성수지제의 기판장치가 많이 쓰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판장치는 기판이 급속제이기 때문에 강성부족, 성형수축율의 편차에 기인하는 결함이 없고, 또 아웃서어트성형이라 불리우는 성형법에 의하여 한번의 성형조작으로 일체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비가 저렴하고, 또 조립 불량에 기인하는 기능저하가 적은등의 이점이 있다.
아웃서어트 성형이라함은 기능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마련한 금형내에 기능부의 결합을 위한 구멍을 천설한 금속제기판을 장착하고, 합성수지를 유입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기판장치를 일조작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성형법이며, 종래의 인서어트 성형과는 반대로 금속기판에 합성수지가 매립된 성형품을 얻는 성형법이기 때문에 "아웃서어트"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러한 아웃서어트성형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기판장치에 있어서는, 런너로 쓰이기 위하여 혹은 기능부간에 고정을 위하여 복수개의 기능부가 대상(帶狀)의 합성수지로 연결된 것이 쓰이는 일이많고, 또는 기대(基台)등의 목적으로 쓰이는 기능부로 장대한 합성수지괴가 채용되는 일도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장대하거나 대상의 합성수지체가 2개소 이상의 결합공에 있어서 기판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는 기판장치는 정도가 낮고, 고정도를 요구하는 기기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 이유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1도는 2개소에 있어서 금속제 기판(1)에 고정된 합성수지체(2,2')가 대상의 런너(3)로 연결된 기판장치의 상면도인바, 이장치는 합성수지의 성형수축에 의하여 대상부(3)에 인장력이 생기고, 제2도(측면도)와 같이 기판(1)이 같이 변형하고, 이 때문에 제품정도가 저하한 다는 결점이 있다.
이 사정은 장대한 기능부가 기판의 2개소 이상의 결합공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곡선상 런너(일본특허 공개공보 소화 51-87568호 참조), 양면 런너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은 정도향상의 목적에 어느정도 유효할뿐 역시 시계등의 정밀부품을 위해서는 불충분하다. 본 고안은 고정도의 기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결합 공간을 연결하는 직선상, 또는 이직선과 대략 병행하고 있는 부분의 기판에 있어서,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선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판 및 합성수지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3도 이하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는 런너상 수지체를 가지는 기판장치인데, 장대한 수지괴를 기판상에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기판장치에 쓰이는 기판의 일례를 나타낸 상면도인바, 결합공간에 선상의 절곡부(A)를 가진다. 이부분의 횡단면도를 제4도에 나타낸다. 즉 절곡부(A)는 단면반원형의 직선상의 홈으로 결합공 간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있다.
이와같은 단면의 절곡부는 예컨대 기판의 조임가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성될 수 있다.
제5도는 이 절곡부(A)를 포함하도록 런너(3)를 마련한 본 고안의 기판장치의 상면도이고, 제6도는 런너부(3)의 단면도이다. 즉 런너(3)는 그 화면이 절곡부(A)의 홈내에 충전되어 A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기판장치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단면을 가지는 금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성형된다. 즉 윗금형(5)은 런너(3)를 형성하는 凹부(5')를 가지며, 또 아래금형(6)은 기판(1)의 절곡부(A)를 수용하는凹부(6')를 가진다.
수지는 게이트 또는 다른 런너에 의하여 이부분(5' 및 A)에 유입한다.
이와같은 본고안의 기판장치는 기판에 절곡부를 가지기 때문에, 이 부분의 기판의 왜곡이 매우작고, 그정도가 매우 우수하다.
본 고안 장치의 특징인 절곡부(A)는 상기 제5도 이하에 나타낸 바와같이, 결합부(4, 4')간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설침됨과 동시에 런너부(3)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8도에 여러가지 예시하는 바와같이 결합부(4,4')간의 일부만에 설치된 형상[제8도(a), 제8(b)도], 약간 굽은형상[제8(e)도], 런너(3)밖에 설치한 형상[제8(c)도, 제8(d)도, 제8(e)도]도 유용하다. 그리고 제8(c)도는 곡선런너를 쓴 경우, 또 제8(d)도는 2본의 절곡부(A)를 설치한 경우이다.
절곡부(A)가 런너(3)밖에 있을 경우는, 성형에 있어 절곡부(A)에 상당하는 부분의 아래금형을 제7도와같이 凹부로 해둘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나의 합성수지 대상부(런너) 또는 장대부(기능부)(3)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절곡부(A,A')를 설치하는 것[제9(a)도], 반대로 하나의 절곡부(A)가 복수개의 대상부, 장대부(3, 3)에 대응하는 것[제9(b)도] 동시에 가능하다.
또 복수개의 대상부, 장재부(3,3',3",3"')에 대응하는 절곡부(A,A')가 상호 연결하는것[제9(c)도] 또는 교차하는 것 제9(d)도도 가능하다.
절곡형상도 제6도와 같은 단면 반원형의 홈형상 이외에 제10도에 예시한것처럼 여거라지 형상이 가능하다 즉 제6와 반대인 凸형의 반원형[제9 (a)도]], 결합공간의 기판을 직선상으로 절단하여 한쪽을 직각 상방으로 절곡한 형[제9(b)도], 위와 같이하여 윗쪽으로 절곡한 형[제9(c)도], 양쪽을 윗쪽으로 약간 절곡한형[제9(d)도] 등이다.
또, 이들이 런너와 대략같은 위치를 점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제11(a)도-제11(g)도에 몇가지 예로 나타낸것 같이 여러가지의 상대관계를 취할 수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경사부는 모두 절곡부(A)상에 고정된 런너를 표시한다.
Claims (1)
- 금속제의 평평한 기판과, 기판에 설치된 복수개의 결합공에 의하여 기판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판에 기판면으로부터 절곡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2 이상의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변형방지부분(A,A')을 설치하고, 각 변형방지부분(A,A')은 상기 결합공의 한쌍을 연결하는 직선상 또는 그 직선에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1093U KR830000971Y1 (ko) | 1978-05-23 | 1982-02-13 | 기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80001550 | 1978-05-23 | ||
KR2019820001093U KR830000971Y1 (ko) | 1978-05-23 | 1982-02-13 | 기판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80001550 Division | 1978-05-23 | 1978-05-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131U KR830000131U (ko) | 1983-03-25 |
KR830000971Y1 true KR830000971Y1 (ko) | 1983-06-18 |
Family
ID=7251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1093U KR830000971Y1 (ko) | 1978-05-23 | 1982-02-13 | 기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971Y1 (ko) |
-
1982
- 1982-02-13 KR KR2019820001093U patent/KR830000971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131U (ko) | 1983-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3048A (en) | Lead frame for semiconductor device | |
KR830000971Y1 (ko) | 기판장치 | |
JPH0319817A (ja) | ガラス一体ウィンドモールの製造方法 | |
JPS602917Y2 (ja) | 時計等の基板装置 | |
KR830001977Y1 (ko) | 기판 장치 | |
JPH1152187A (ja) | 光ファイバ実装部品 | |
JPH10103902A (ja) | ダイヤルゲージの本体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5949180B2 (ja) | アウトサ−ト成形法 | |
JPS5820339Y2 (ja) | テ−プレコ−ダナドノキバンソウチ | |
JPS6224491Y2 (ko) | ||
JPH062106Y2 (ja) | 計 器 用 樹 脂 ケ ー ス | |
KR840002870Y1 (ko) |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 |
JPS5928835Y2 (ja) | テ−プレコ−ダ等の基板装置 | |
JPH0516908A (ja) |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方法 | |
JPH0414948Y2 (ko) | ||
KR820000451Y1 (ko) |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 |
JPS6322611B2 (ko) | ||
JPS5922973Y2 (ja) | 金属基板上の成型部品 | |
JPS625306Y2 (ko) | ||
JPS642319Y2 (ko) | ||
JPS598354Y2 (ja) | 半導体装置 | |
JPH05238182A (ja) | Icカードの構造 | |
JPS6039532Y2 (ja) | スナツプフイツト用柱 | |
JPS6020948Y2 (ja) | 電子部品 | |
JPS60182037A (ja) | 磁気センサの製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