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870Y1 -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870Y1
KR840002870Y1 KR7805727U KR780005727U KR840002870Y1 KR 840002870 Y1 KR840002870 Y1 KR 840002870Y1 KR 7805727 U KR7805727 U KR 7805727U KR 780005727 U KR780005727 U KR 780005727U KR 840002870 Y1 KR840002870 Y1 KR 840002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substrate
plate
shap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5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와다나베
미노루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요꼬우찌 하찌로
포리 프라스틱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우찌 하찌로, 포리 프라스틱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요꼬우찌 하찌로
Priority to KR7805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870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의 상면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장치의 상면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B-B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C-C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상면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D-D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기판의 절결부 형상중 한 예를 도시한 상면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절결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수지판의 상면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절결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수지판의 상면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절결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수지판의 상면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절결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수지판의 상면투시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절결부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수지판의 상면투시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기판면의 凹凸부의 한 예를 도시하기 위한 합성 수지판의 상면 투시도.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재료성질을 가진 판이 견고하고 고정밀도로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재료 성질을 가진 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는 예를들면 전기분야에 있어서 금속샷시의 일부를 절연판으로 하거나 시계, 계기등에 있어서 기판의 일부를 마찰 특성이 뛰어난 재질로 하는 등과 같이, 여러 분야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부품(반드시 평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곡판, 두께차가 있는 판등도 있음)으로서는 종래 서로 다른 재료의 판을 마주붙인 것, 나사 등으로 고정결합한 것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정밀도로 불충분하였다. 한편, 최근이 되어서 금속등의 기판에 합성수지제의 기대(基臺), 지주등의 기능부품이 계지복합된 장치의 제작법으로서 아웃설트(Outsert)성형법이라 불리우는 방법이 주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적당한 계지공(係止孔)이 설치된 기판을 기능부품을 형성하는 공동(Cavity)을 가진 금형에 장착하고, 성형시에 복합일체화를 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동일 기판상에 복수개의 기능부품을 가진 장치도 일회의 성형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웃설트 성형법에 대하여는 플라스틱 26권 12호 52-53페이지 참조).
이 아웃설프 성형법은 합성수지판과 그 성형가공시에 경질로 되는 판과의 복합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통상적으로 판상부만으로 되는 부품은 드물고, 판에는 베어링과 같이 구멍이 있다든가, 여러가지 기능부품(functional part)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많다.
아웃설트 성형법에서는 이들 부분도 판의 복합시에 일체로 가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 특히 합성수지판의 복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된 기능부품을 따로따로 계지공에 고정하는 것이 금형대를 복잡하게 하는 경우, 부근의 기판부와 함께 동시에 아웃설트하는 것도 유리하다.
그러나, 통상의 아웃설트법에 의해 제작된 판상복합체는 정밀도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통상의 아웃설트법에 의해 제작된 복합기판의 한예를 도시한 제1도 및 2도에 있어서, 합성수지판(2)은 기판공(5,5',5",5'")에 의하여 경질기판(1)에 계지되어 있다. 또, 점선(4)의 내측에는 합성수지만으로 된 판이 있고 외측에는 샌드위치판으로 되어 있다. 구멍(3)은 합성수지판에 설치된 기능부의 성질을 갖는 구멍이다.
이와같은 경우, 성형 수축을 위하여 합성수지판의 중앙부근을 향하여 수축력이 생기지만, 기판공(5,5',5",5'")에 의해 외측이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수축 변형할 수 없다.
따라서, 기판(1)이 비교적 경질인 경우, 합성수지판에 수축응력에 의한 커다란 비틀림이 발생되어 사용중에 파괴의 원인이 된다.
또, 비교적 약한 판일 경우, 기판(1)의 복잡한 변형을 일으킨다.
더우기, 이러한 복합 기판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구멍(3)과 같은 합성 수지판상의 기능부와 경질기판(1)상의 다른 기능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가 요구되지만, 본 예와 같이 자유로이 수축변형이 되지 않는 경우, 실제의 수축중심이 일정하지 않고 합성수지판의 특징점과 경질 기판상의 특정점의 위치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한다.
제3도 및 4도는 자유수축을 가능하게 한 예이다. 본 예에서, 합성 수지판(6)은 기판에 설치된 한개의 절결부(점선 7)에 의해 계지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계지구멍에 기인한 파괴, 변형, 정밀도 저하는 해소되었다.
그러나, 제5도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최초 기판 절결부(7)에 접하여 충진한 합성수지는 성형 수축의 결과 점선(9)과 같이 굳어진다.
따라서, 양자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그 범위에서 경질판과 합성 수지판과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지 않게 되고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경질재 표면의 凹凸 또는 절결부형상에 의해서 합성수지판의 수축 중심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부품장치이며, 종래의 예에서와 같은 정밀도의 불량이 해소된 것이다.
제6도는 제1도 이하의 종래예와 같은 기능을 가진 본 고안의 예이다. 본 예에 있어서, 경질기판의 절결부는 정점(頂點)을 공유하는 끝이 넓은 형상부(11,11')를 가진 단일구멍(점선부)으로 부터 이루어진다.
따라서, 합성수지판은 자유롭게 수축 가능하도록 되고, 또 끝이 넓은 부분의 정점(10)이 수축중심으로서 경질기판에 대하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성형품의 비틀어짐도 없고 정밀도도 높다.
이 끝이 넓은 부분은 한개라도 좋고 또 접점을 공유하는 복수개로 하여도 좋다.
약간의 흔들림이 허용되는 경우, 제8도와 같이 주절결부의 일부에 교점을 공유하는 복수개의 가늘고 긴 부속절결부를 가진 경질기판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부속 절결부의 흔들림폭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정밀도는 높다.
제9도는 극히 인접하는 근접 점부근에 자유롭게 수축할수 있는 복수개의 계지공(13,13',13",13'")을 사용한 예이다. 접점부에 연속하는 일련의 구멍이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는 다른 재료가 서로 합해져 있는 기판이 필요한 경우 가장 적합하다.
또 다른 예로써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은 형상을 하여도 된다. 제10도의 예에서는 기저판은 중앙의 사각형 절결부에 인접하여 보조 계지공(1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11도에서는 적은 원형 절결부를 큰 절결부(15)쪽으로 돌출한 기저판 영역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3도에서는 3개의 凸부(17,17',17'")를 갖는 단일 절결부를 기저판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예는 어느 것이나 모두 정해진 수축중심쪽으로 자유롭게 수축가능하다.
수축중심이 점이 아니고 하나의 선위에 정해져 있어도 좋은 경우, 제13도와 같이 근접한 계지공이라도 좋다. 이 형상에서 수축중심을 점으로 정하기 위해서는 가느다란 띠형상부(18)에 제8도 또는 제12도와 같은 凹凸을 마련하면 된다.
수축 방향의 제어는 절결부 형상이외에 제14도와 같이 기판면상의 凹凸로 하여도 좋다. 또 면에 설치한 경사로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예시한 수축방향의 제어를 위한 연구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예시에서는 또 주로 직선으로 부터 되는 도면을 가지고 행하였으나, 본 고안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곡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특히 노치(notch)에 의한 파괴를 적게하는 의미에서 곡선을 주체로 하는 형상도 바람직하다.
장치형상은 설명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단순한 형상을 이용하였으나,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는 목적에 따라 복잡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특히 두께 변동등에 있어서도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질기판과 합성수지기판의 겹침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았고, 작은 계지공을 사용하여 전체면에 겹쳐진 형상, 반대로 전혀 겹쳐지지 않은 형상(이 경우, 예를들면 제6도와 같이 끝이 넓은 절결판을 사용하고 약간의 수축 비틀림을 남기는 설계가 유리하다). 부분적으로 겹쳐진 형상(상기 예에서는 상하방향의 힘에 약하기 때문에, 기능면에 장해가 되지 않는 곳에 겹쳐지는 부분이 설치되도록 한 경우에 유리한 형상이 되어도 좋다.
경질판은 금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한 합성수지등이라도 좋다. 또, 금속판과 운모판을 겹치고 그 위에 본 고안의 판을 복합하는 것등의 형태로 좋다.
절결부는 예시한 바와같이 구멍형상의 다른 기판 주변등에 깊게 절단한 홈형태라도 좋고, 또 절결부는 전체가 수지로 충진될 필요도 없다.

Claims (1)

  1. 절결부를 가진 경질재와 판상의 합성 수지체가 합성수지체의 성형시에 절결부에 충진되는 합성수지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일체로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복합부품 장치에 있어서, 경질재표면의 凹凸부 또는 절결부의 형상에 의해서 합성수지체의 수축중심이 특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체가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KR7805727U 1978-11-10 1978-11-10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KR840002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5727U KR840002870Y1 (ko) 1978-11-10 1978-11-10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5727U KR840002870Y1 (ko) 1978-11-10 1978-11-10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870Y1 true KR840002870Y1 (ko) 1984-12-29

Family

ID=1921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5727U KR840002870Y1 (ko) 1978-11-10 1978-11-10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172B1 (ko) 인서트전극몰드체의 제조방법
KR840002870Y1 (ko) 합성 수지판이 복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기판장치
KR890004594A (ko) 유연 보드 합체식 전자 부품 주형 수지 케이싱
JPS6427274A (en)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KR920015143A (ko) 광모듀울의 제조방법
US5980330A (en) Snap fit contact assembly
US6013133A (en) Electronic component holder
JPS5935380Y2 (ja) 合成樹脂板が複合されてなる基板装置
JPS6212569Y2 (ko)
GB1593031A (en) Plate assemblies having a synthetic plastics material bonded thereon
JP3924496B2 (ja) ノギス
JPH0511401B2 (ko)
JP2005019644A (ja) 温度センサ、その製造方法、及び温度センサ用型
JPS5856508B2 (ja) インサ−トシヤシユツセイケイホウ
JPH06112536A (ja) 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08745B2 (ja) 回転型電子部品のフラット面付き絶縁シャフト
JPH0298573A (ja) チップ型電子部品の保持治具およびその取り扱い方法
JPS6260245A (ja) 半導体装置
KR930703711A (ko) 자기저항소자,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자기센서
JPH076580Y2 (ja) スイツチウエハ
KR830001978Y1 (ko)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부재들을 갖춘 기판장치
KR830000971Y1 (ko) 기판장치
KR100190621B1 (ko) 바이어스형 자기저항소자 및 제조방법
JPH035949Y2 (ko)
JP2020107850A (ja) 基台付き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