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51Y1 -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 Google Patents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451Y1
KR820000451Y1 KR2019810008557U KR810008557U KR820000451Y1 KR 820000451 Y1 KR820000451 Y1 KR 820000451Y1 KR 2019810008557 U KR2019810008557 U KR 2019810008557U KR 810008557 U KR810008557 U KR 810008557U KR 820000451 Y1 KR820000451 Y1 KR 820000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unctional
substrate
met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오 야기
Original Assignee
폴리프라스틱 가부시끼가이샤
취체역사장 요꼬우지 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프라스틱 가부시끼가이샤, 취체역사장 요꼬우지 하찌로오 filed Critical 폴리프라스틱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8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제 1도 및 제 2도는 종래의 아우트서어트 방식에 의한 기능성 형상소자를 나타내는 도.
제 3도 (a),(b),(c)는 본 고안의 기능성 형상소자의 1예를 설명하는 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기판을 나타내는 도.
본 고안은 여러가지의 기능이나 조작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고, 더우기 소위 아우트서어트(out sert) 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 가능한 기능성 형상소자에 관한 것이다.
금속기판 또는 베이스와 그 위에 세워진 원통, 원주, 각주, 후크상 또는 기타 다른 모양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는 소자는 베어링, 샤프트, 지주 등의 기계요소로서 유용하며, 시계, 녹음기 등의 기능 또는 조작소자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 들은 판금, 코우킹(calking), 스크루우잉(screwing), 용접등의 복잡한 금속가공 공겅을 거쳐서 제작되어 왔다.
따라서 제작비가 높고, 불량율이 높은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았다. 최근, 여러가지의 특성이 우수하고, 또 밸런스가 잡혀있기 때문에 금속 대신에 여러가지의 기능소자로서 사용되는 폴리아세탈수지 등 소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응용기술의 진보에 의해 이러한 형상의 소자를 기판부만 금속으로 제작하고, 돌기부(기능부)를 수지로 제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기판에 설치된 구멍 위에 수지제 돌기를 성형 부여하기 위한 아우트서어트 성형법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통상, 시계등에 있어서는 이들의 형상소자가 다수 조합되어 사용되지만, 상기 아우트서어트 성형법에서는 이들의 소자를 조합한 부품이 1회의 성형조작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아우트서어트 성형법에 따라 제조된 형상소자의 예이다.
즉 (a)는 그 사시도, (b)는 단면도며, (1)은 기판 또는 베이스, (2)는 수지제돌기, (3)은 기판에 설치된 절결공이다. 이러한 형상의 소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트서어트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수지의 강도가 금속에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그 용도가 한정되고, 특히 돌기의 가로로부터 힘이 강한 경우, 혹은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주의하여야 한다.
기계요소로서 이들의 소자가 사용될 때, 이와 같은 힘이 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며, 또 보다 가혹한 조건에 견디는 소자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요구에 따라서, 제 2도와 갈이 소자, 즉 원주상부분의 둘레에 저지구(detent)를 설치한 형상의 것도 고안되어 있지만 여잔히 강도가 충분치 않고 또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특수한 형상때문에 용도가 한정된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제작이 용이하며, 더욱 가혹한 조건하에서 여러가지의 기계요소로서 사용되는데 적합한 가능성 형상소자를 개발하여 본 고안에 이르렀다.
즉, 본 고안의 기능성 소자는 금속제 기판과 일체를 이룬 금속제 심(芯)을 내장하여, 또 기판에 접한 수지제 기능돌기에 의해 구성된다.
제 3도에 본 고안의 기능성 소자의 형상 및 구조의 1예를 나타낸다.
제 3(a)도는 본 소자의 사시도이며, 제3(b)도의 단면도이다.
이 소자는 제3(c)도와 같이, 금속판(1)에 부착된 채로 금속판(1)의 일부로부터 스트립을 절단하고 금속판(1)으로부터 심(5)을 형성하도록 금속판(1)에서 절취호울(5')을 남기는 동시에 스트립을 바깥쪽으로 절곡한 다음, 이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 심(5)을 사용함에 의해 통상의 아우트서어트 성형의 방법에 따라 수지제 기능돌기(2),(2')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제작된다. (제3(a) 및 (b) 참조) 이러한 형상의 기판을 통상의 아우트서어트용 기판을 제작할 때와 거의 마찬가지의 공정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 형상의 소자는 기계요소로서 예컨데 샤프트로서 사용되는 외에, 다른 부분과의 연결용 돌기, 스프링등의 저지구등 여러가지의 용도에 이용된다.
또 내부구조로서 금속기판과 일체의 금속심을 갖기 때문에 가혹한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 심(5)은 가능한한 중심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심(5)은 돌기의 정상가지 넘을 수도 있으며, 혹은 돌기의 절반까지 미칠 수도 있다.
기판에서 심을 절취한 후는 통상 제3(a)도같이 수지(2')가 충전되지만, 필요하면 스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텅빈채로 남기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복수개의 심을 내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것에 사용하는 기판의 예를 제 4도에 나타낸다. 또 이 심부(芯部)가 짧은 경우, 절취잔공에 수지제 돌기부의 경내에 포함되며,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또 돌기가 기판의 양면이 있는 경우, 심을 양면에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심의 곡절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한 비틀음 등의 변형이 있는 것도 바람직한 예이다.
본 고안의 기능 성돌기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기계요소로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이 포함된다.
예컨대, 원통상, 여러가지 외부 단면을 갖춘 관(管)상, 여러가지 내부 단면을 갖춘 관상, 나사상, 후크상, 각주상, 등일 수도 있다.
어느 것도 수지제 돌기부(2)가 기관과 일체인 1 또는 복수개의 금속심을 내장하고 있는 것은 공통이다.
또 대칭성이 요구되는 소자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심을 서로 대칭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금속기판(1), 금속기판(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금속제심(core)(5), 및 합성수지로부터 만들어져서 기판(1)과 직접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를 구비하며 금속제심(5)이 돌기(2)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형상소자
KR2019810008557U 1977-04-01 1981-12-16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KR820000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557U KR820000451Y1 (ko) 1977-04-01 1981-12-16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798 1977-04-01
KR2019810008557U KR820000451Y1 (ko) 1977-04-01 1981-12-16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0798 Division 1977-04-01 1977-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451Y1 true KR820000451Y1 (ko) 1982-03-29

Family

ID=2662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557U KR820000451Y1 (ko) 1977-04-01 1981-12-16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4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5803T2 (de) Mikromechanischer halbleiter-beschleunigungssensor
DE102017103195B4 (de) Mikroelektromechanisches Mikrofon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Mikroelektromechanisches Mikrofon
DE1648764A1 (de) Druckwandler
DE19701055A1 (de) Halbleiter-Drucksensor
EP0455070B1 (de) Kapazitiver Sensor mit Frequenzausgang
DE19537577A1 (de) Symmetrisches Prüfmassen-Beschleunigungsmeßgerät mit Eigendiagnosefähigkeit und sein Herstellungsverfahren
KR960029775A (ko) 반도체 압력센서
EP0710843B1 (de) Kapazitiver Beschleunigungssensor
KR820000451Y1 (ko) 기능성 형상소자(機能性形狀素子)
DE102008041942A1 (de) Sensoranordnun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anordnung
DE10342479A1 (de) Drehmomentdetektionsvorrichtung für Wellengetriebe
EP0317664B1 (de) Messzelle, insbesondere für Relativ- und Differenzdruckmessungen
DE102017212422A1 (de) Druck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0783107B1 (de) Herstellverfahren für ein mikromechanisches Bauteil mit einer beweglichen Struktur
DE102016209241A1 (de) Mikromechanisches Bauteil für eine Drucksensorvorrichtung
JP3341406B2 (ja) 位置決め固定装置
ATE15161T1 (de) Umspritztes metallteil und sein herstellungsverfahren.
JPS6224491Y2 (ko)
EP0493512B1 (de) Vorrichtung zur messung mechanischer kräfte und kraftwirkungen
JPH0577253B2 (ko)
DE102014213941A1 (de) Absolutdrucksensor mit verbessertem Deckel-Verbindungsrand
KR830001977Y1 (ko) 기판 장치
KR20000043552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패턴
DE102017206709A1 (de) Drucksensorvorrichtung mit hoher Empfindlichkeit
HUT62115A (en) Sensor containing semicondu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