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006Y1 - 훈 증 장 치 - Google Patents

훈 증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06Y1
KR810001006Y1 KR7707475U KR770007475U KR810001006Y1 KR 810001006 Y1 KR810001006 Y1 KR 810001006Y1 KR 7707475 U KR7707475 U KR 7707475U KR 770007475 U KR770007475 U KR 770007475U KR 810001006 Y1 KR810001006 Y1 KR 810001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agent
sealing film
fum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7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노부 가시하라
후꾸야스 오꾸다
마사나가 야마구찌
아끼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오오쓰가 마사도미
아스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쓰가 마사도미, 아스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쓰가 마사도미
Priority to KR7707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6Foa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0Combustible or heat-genera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훈 증 장 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중앙 종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의 일예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밀폐용기의 저면도,
제5도는 다시 다른 실시의 일예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
제6도는 봉막(封膜)의 보강상황을 나타낸 종단면도.
본 고안은 방 기타 한정공간내에 있어서의 위생해충, 예컨데 모기, 파리, 바퀴벌레 등의 구제나 살균처리, 더욱이 또 한정공간내에 부향하는 등의 용도에 적용되는 훈증장치, 특히 이들의 처리를 단시간에 집중해서 행하는 형식의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싱해충의 구제를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행하는 방법으로써, 약제와 연소제를 함유하고, 연소제의 연소열 및 발연에 의해 약제를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증산시키는, 소위 훈연에 의한 구제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는다. 즉 다량의 약제를 순시(瞬時)에 증산시키기 위해서는, 독성이 강한 연기를 발생하는 연소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연소제의 발열에 의한 자극취나 인체등에 대한 위험 및 이 연소제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위험 등을 수반하며, 사용상의 안전성 및 간편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연소열에 의해 약제가 분해하고, 유효휘산율의 저하, 나아가서는 약효의 저하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결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모조리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뤄진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은, 상부의 개구된 용기내에 수용된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를 간접 가열해서 훈증시키는 형식의 장치로써, 상기한 용기의 개구부는 열응융성 봉막에 의해 닫쳐져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개방용기내에 수용된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는 개방용기의 외부에서 하기한 것과 같은 알맞는 가열수만을 적용해서 간접 가열된다. 이 가열에 의해 발포제의 분해온도까지 달하면, 발포제가 발포함과 동시에 이 발포에 촉진되도록 해서 약제의 증산이 일어나며, 약제는 단시간중에 집중적으로 증산된다.
한편, 상기한 가열에 의해 개방용기의 개구부의 봉막은, 용기로부터의 열전도 더욱이는 개방용기내에 생성한 전기한 훈증가스의 보유열 등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제거되며, 개방용기의 개구부는, 간접가열개시후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자연히 개방된다. 그리하여 상기한 증산한 약제는 이 개방된 개구에서 대기중에 방산되며, 이 방산된 약제를 방등의 한정공간내에 충만시키는 것에 에해, 소정의 처리를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간접 가열에 의한 증산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약제의 증산에 연소나 발연을 수반치 않고, 사용상의 안전성 및 간편성에 뛰어나고 있음과 함께 약제의 열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열분해에 기인한 유효휘산율의 저하 등의 문제도 해소되며, 약제의 효과를 높은 효율로 발휘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용기의 개구부는 봉막에 의해 닫쳐져 있으므로, 상기한 약제의 안정 확실한 수용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약제를 사용자로부터 완전히 격리할 수 있고, 약제가 인체에 접촉되는 위험성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봉막은 열용융성으로써, 사용시에는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의 간접가열시의 열에 의해 자연히 용융제거됨으로, 이를 일일히 개봉하는 등의 수고는 전혀 불필요하며, 사용상의 편리성에 뛰어나고 있다. 더욱이 간접가열조건 기타 봉막의 용융온도 등을 알맞게 선택하는 것에 의해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의 간접가열 개시후, 상기한 봉막의 용융제거, 즉 용기의 개구부가 개방되기까지의 동안에, 적당한 시간차를 갖게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 시간차를 이용해서, 약제의 방산이 개시되기 까지에, 사용장소로부터 퇴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훈증기체에 접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훈증용 약제로서는, 종래부터 해충구제, 살균, 부향(賦香)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약제로서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1. 살충약제
(1) 3-아릴-2-메틸시클로펜타-2-엔-4-온-1-일 크리
(2) 산테마아트(일반명:아레슬린, 이하 아레슬린이라 함).
(3) N-(3,4,5,6-테트라히드로푸탈이미드)-메틸크리산테마아트(일반명:푸탈슬린, 이하 푸탈슬린이라 함).
(4) 5-벤질-3-푸릴메틸크리산테마아트(일반명:레스메트린, 이하 레스메트린이라 함).
(5) 5-푸로파르길-3-푸릴메틸크리산테마아트(일반명:푸라메트린).
(6) 2-메틸-5-푸로파르길-3-푸릴메틸크리산테마아트(일반명:푸로파르슬린).
(7) 3-페녹시벤질 α-시스/트랜스-크리스산테마아트(일반명:페노트린)
(8) 3-페녹시벤질 2,2-디메틸-3-(β,β-디클로로(비닐 시크로푸로판카르복시레이트(일반명:페르메트린) 및 이들의 입체 및 광학이성체.
(9) 아레스린의 광학이성체이다. (상품명:피나민폴테, 스미또모까가구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제)
(10) 아레스린의 입체, 광학이성체(상품명:엑스린:스미또모까가꾸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제)
(11) 아레스린의 입체, 광학이성체(상품명:바이오가레스린:루셀, 유크라프사제)
(12) 레스메트린의광학성체(상품명:크리스론폴테:스미또모까가구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제) 등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13) 0,0-디메틸 0-(2,2-디클로로) 비닐포스페이트(DDVP)
(14) 0,0-디메틸 0-(3-메틸-4-니트로페닐)티오노포스페이트(이하 스미티온:스미또모까가구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제) 등의 유기인계 살충제.
(15) 1-나프틸-N-메틸카아바메이트
(16) 0-이소푸로폭시페닐-N-메틸카아바메이트 등의 카아바메이트계 살충제.
2. 살균제
(1) 살찔산
(2) 제4급 암모늄(염화벤잘코늄)
(3) 파라크로로-메타-키시레놀(PCMX)
(4) 2-(4-티아조니트릴)-벤즈이미다졸(TBZ)
3. 방미제(防微劑)
(1) α-브로모-신남알데히드
(2) N-디메틸-N-페닐-N′-(푸우오로디크로로메틸티오)-슬파미드
4. 농원예용 살균제
(1) 테트라크로로이소푸타로니트릴
(2) 2,4-디클로로-6-(0-클로로아닐린)-1,3,5-트리아진
(3) ethyl P,P1-디클로로벤질산에틸
5. 식물생장 조정제
(1) 4-크로로 페녹시초산
(2) 지베렐린
(3) N-(디메틸아미노)석신아마이드
(4) α-나프틸 아세트아마이드
6. 제초제
(1) 2,4-D-소오다염
(2) 3,4-디크로르푸로피온아닐르드
상기한 훈증용 약제에는 통상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효력증강제, 휘산율 향상제, 소취제, 향료 등의 각종 첨가물을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한 훈증용 양제에 첨가되는 발포제로서는, 열분해해서 주로 질소가스를 발생하는 각종의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로는 300℃ 이하의 발포온도를 갖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아조디카르븐아미드(발포온도 200~210℃), 벤젠슬포닐히드라지드(발포온도 100~160℃)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한 약제에 대한 발포제의 첨가량을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약제 100중량%에 대해 150~2000중량%, 바람직하게로는 100~500중량%가 첨가된다.
상기한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는 상부의 개구된 용기내에 수용되며, 이 용기의 개구부는 열용융성의 봉막에 의해 닫쳐진다.
상기한 봉막은 통상 200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이며, 또 250℃ 이하의 온도로서 용융된다. 이와 같은 봉막의 구성소재로써 다음의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일필름:폴리에틸렌(저밀도, 고밀도)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카아보네이트, 나일론, 폴리푸로피렌, 비닐론, 염화비니리덴 등의 합성수지 필름, 보통셀로판, 방습셀로판, 아세테이트필름.
다층(多層)필름:보통셀로판+폴리에틸렌, 방습셀리판+폴리에틸렌, 사란코오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나일론+폴리에틸렌, 사란코오트나일론+폴리푸로피렌, 폴리푸로피렌+폴리푸로피렌, 폴리푸로피렌+셀로판+폴리에틸렌
상기한 봉막의 강도를 증강하는 목적으로 이 봉막상에 보강용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피막에는 통기구멍의 다수가 형성된다. 이 피막구성 소재로서는, 철, 알루미늄 혹은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금속의 필름 또는 시이트, 각종의 합성수지필름 또는 시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내에 수용된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를, 간접 가열하고 발포제를 발포시키는 열원으로서는 상기한 발포제를 발포시킬 수 있는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열원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가수 반응에 의해 발열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철등 물을 첨가하는 것만으로서 발열반응하는 물질을 예시할 수 있다.
b) 불을 이용한 열원
알코홀램프, 초, 가스버어너, 탄화, 등유, 휴대용 고형연료, 겔화한 알코홀, 겔화한 등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c)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적 열원
예를 들면 니코롬선 등의 전열선, 시이트상히이터, 반도체를 이용한 히이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d) 산화반응에 의해 발열하는 금속 혹은 금속화합물과 조제(助劑)등과의 조합
예를 들면 철분과 산화제(염소산 암모늄 등)과를 혼합하는 방식, 금속과 이 금속에서 이온화 경향이 적은 금속산화물 또는 산화제와를 혼합하는 방식, 철과 황산칼륨, 황하철, 금속염화물, 황산철 등의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물 및 산소와 접촉시키는 방식,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과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금속인 화로겐화물과의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키는 방식, 금속과 중황산염과의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키는 방식, 알루미늄과 알칼리금속초산염과의 혼합물에 물을 가하는 방식 등을 예시할 수 있다.
e) 금속황화물의 산화반응을 이용하는 것
예를 들면 황화소오다와 탄화철과의 혼합물을 산소와 접촉시키는 등의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한 열원중, (a)에 의한 방식의 것은 물의 공급에 의해 발열시킬 수가 있으므로, (b)의 열원이 경우와 같이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산화칼슘은 150~250℃의 높은 온도를 발열하며, 또한 발열시에 유해물을 생성치 않으므로 이런 종류의 열원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또 (b)의 열원인 경우는, 열원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훈증용 약제를 새롭게 보급하는 것에 의해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원은,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의 수용된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열원의 열량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열원을 밀폐용기에 수용하고, 이 밀폐용기에 전기한 용기를 그 저벽 및 측벽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을 격벽으로 해서 연설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 본 고안을 도시한 본 고안 실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제1~2도 및 제3~4도는 열원으로써 가수반응에 의해 발열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의 본 고안 실시의 일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화합물(1)은 밀폐용기(2)내에 수용되며, 이 밀폐용기(2)는 상단의 개구된 개방용기(3)내의 발포제 함유 훈증약제(4)를 간접 가열하기 위하여, 이 개방용기(3)에 조합된다.
제1~2도 및 제3~4도에는 밀폐용기(2)와 개방용기(3)를, 밀폐용기(2)를 외측(外側)으로 해서 동심상으로 조합해서 된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예의 것에서는 개방용기(3)의 측벽(3a) 및 저벽(3b)이, 가열전열면으로서 작용한다.
상기한 밀폐용기(2)에는 그 내부의 화합물(1)에 급수하기 위한 수단이 베풀어진다. 급수수단으로써, 제1~2도에는 밀폐용기(2)의 윗뚜껑(2a)에 통수구멍(5)을 마련해서 된 경우가, 또 제3~4도에는 저벽(2a)에 통수구멍(5)을 마련해서 된 경우가 나타나며, 전자의 경우는 밀폐용기(2)의 윗뚜껑(2a)위의 물받이(6)에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또 후자의 경우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용기(2)의 하부를 물용기(7)의 수중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각각 용기(2)내에 급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물을 침투시키는 성질을 갖는 층, 예컨데 여지(濾紙)로서 된 물 침투성층(8)을 개입시켜 화합물(1)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아울러, 상기한 물침투성층(8)의 마련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다시, 이런 경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밀폐용기내의 가스를 방출시켜서 이 밀폐용기내의 압력을 조절해서 보다 안정된 흡수상태를 얻기 위하여 이 밀폐용기의 측벽 및 상벽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가스 방출공(11)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가스방출공의 마련하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예컨데 밀폐용기의 윗뚜껑과 개방용기를 극간을 갖게 해서 감아조임(卷締)하든지, 밀폐용기 동부(胴部)의 감아조임 부분 상부를 다소 짧게 해두는 것에 의해 이 밀폐용기 동부의 감아조임할 무렵, 불완전 감아조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제5도는 열원으로서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판을 사용한 경우의 본 고안 실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전열판(9)은 밀폐용기(2)내에 있어서 개방용기(3)의 저벽하방(3b)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용기(3)의 상단 개구는, 열용융성, 예컨데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된 봉막(10)에 의해 봉해져 있다.
이 봉막(10)의 상면에 보강의 목적인 알루미늄박 등의 피막(11)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이 피막(11)에는 다수의 통기구멍(12)의 형성된다(제6도 참조).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밀폐용기(2)내의 열원의 발열에 의해, 개방용기(3)내의 발포제 함유 훈증약제(4)를 간접 가열하면, 상기한 약제(4)는 하등 착화연소를 일으킴이 없이 가열되며, 이 약제(4)중의 발포제는 열분해 반응한다. 그리하여 이 열분해에 의해 생성한 발포가스에 의해 상기한 약제(4)는 강제증산됨과 함께 그 증산이 촉진되며, 단시간에 급격히 또한 유효하게 증산된다.
한편, 개방용기(3)의 상단을 봉하고 있는 봉막(10)은 상기한 열원의 발열에 의해, 용기(2)(3)로 부터의 열전도 더욱이는 상기한 증산가스의 보유열에 의해, 가열되어서 용융하여 개방용기(3)의 상단개구를 개방한다. 그리하여 전기한 증산가스는 개방용기(3)의 상단 개구가 개방되든 안되건 이 개구에서 외부로 방산된다. 이 방산된 증산가스를, 방 기타의 한정공간에 충만시키는 것에 의해, 약제의 약효에 응한 소정의 처리를 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부의 개구된 용기내에 수용된 발포제 함유 훈증용 약제를 간접 가열해서 훈증시키는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3)의 개구부는 열용융성 봉막(10)에 의해 닫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KR7707475U 1977-12-29 1977-12-29 훈 증 장 치 KR810001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7475U KR810001006Y1 (ko) 1977-12-29 1977-12-29 훈 증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7475U KR810001006Y1 (ko) 1977-12-29 1977-12-29 훈 증 장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06Y1 true KR810001006Y1 (ko) 1981-09-08

Family

ID=1920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7475U KR810001006Y1 (ko) 1977-12-29 1977-12-29 훈 증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42U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42U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8124A (en) Fumig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163038A (en) Fumig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171340A (en) Fumigating apparatus and method
KR810001006Y1 (ko) 훈 증 장 치
JP4452955B2 (ja) 燻煙殺虫剤および燻煙方法
GB1595402A (en) Fumigating method and apparatus
JPH10298016A (ja) 燻蒸剤組成物及び燻蒸方法
US3698974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pparatus for emitting of insecticidal vapors
JPS5917177Y2 (ja) 有害生物駆除材
JP2003070404A (ja) 燻煙殺虫剤及びこれを用いた燻煙方法
JPS5926851Y2 (ja) 有害生物駆除材
HU18294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migating rooms, closed spaces with the aim of destroying parasites and funguses and scenting
JPS5925185Y2 (ja) 燻蒸装置
JPS5926852Y2 (ja) 有害生物駆除材
KR810001005Y1 (ko) 훈 증 장 치
JPS593728Y2 (ja) 燻蒸装置
JPS585499Y2 (ja) 燻蒸装置
JP2000351702A (ja) 燻煙殺虫剤組成物
JPS593727Y2 (ja) 燻蒸装置
JP2010124723A (ja) 加熱蒸散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蒸散方法
JPH0125572Y2 (ko)
JPS6135744A (ja) 燻蒸材
JP4885371B2 (ja) 燻煙殺虫剤の燻煙方法
JPS6326722B2 (ko)
JPS5836292Y2 (ja) 燻蒸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