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42U - 훈증장치 - Google Patents

훈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42U
KR20180001242U KR2020160006155U KR20160006155U KR20180001242U KR 20180001242 U KR20180001242 U KR 20180001242U KR 2020160006155 U KR2020160006155 U KR 2020160006155U KR 20160006155 U KR20160006155 U KR 20160006155U KR 20180001242 U KR20180001242 U KR 201800012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ber
formed along
fitting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740Y1 (ko
Inventor
이동수
남승옥
이근순
이성구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2020160006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4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훈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부가 구비된 제1 용기부재와 상기 제1 용기부재의 결합부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가열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훈증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된 제2 용기부재 및 상기 제2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증기홀이 구비된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훈증을 발생시켜 차량, 밀폐공간 등에 대해 방향, 탈취, 살균 등을 할 수 있고,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훈증장치{FUMIG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훈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훈증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 밀폐 공간 등에 대해 방향, 탈취, 살균 등을 할 수 있고,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훈증장치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건물 실내, 차량 내부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살균, 살충, 해충기피, 탈취, 방향 등의 성분이 함유된 훈증형 조성물을 가열 증발시켜 살균, 탈취 등의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장치이다.
통상 건물 실내에서 사용되는 훈증장치는 주로 살충, 살균 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훈증형 조성물을 가열하여 살충, 살균 등의 성분이 함유된 조성물을 증발시켜, 건물 실내의 악성 세균, 벌레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훈증장치는 주로 탈취, 살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차량 내부를 탈취, 살균하기 위해 훈증장치를 차량 내부에 배치하고, 차량의 창문과 도어를 모두 닫고 훈증장치에 물을 부어놓는다.
이때 물과 산화칼슘간의 반응으로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발열이 훈증형 조성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게 된다.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은 차량 실내뿐만 아니라, 환기구를 통해 차량의 공기순환라인 전체의 탈취, 살균 등의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훈증장치는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훈증장치를 사용할 때,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훈증형 조성물에 직접 물을 부어 오사용하거나 또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잘 몰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오사용은 제조회사에 사용자 민원으로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훈증장치를 오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구적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국내특허 등록번호:20 - 048111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판하게 훈증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 밀폐공간 등에 대해 방향, 살균, 탈취 등을 할 수 있고, 오사용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훈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훈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부가 구비된 제1 용기부재와 상기 제1 용기부재의 결합부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가열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훈증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된 제2 용기부재 및 상기 제2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증기홀이 구비된 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고, 상기 증기홀이 배치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끼움부간의 경계선상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증기홀이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이어부와 상기 제1 레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이 형성된 훈증홀부 및 상기 훈증홀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제2 레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레이어부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레이어부는 외측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고 중앙측을 형성하는 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홀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경사부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이 형성된 훈증홀부 및 상기 훈증홀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용기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제1 용기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러그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용기부재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되, 일면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스포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용기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측에 배치되는 용기에 물을 부으면, 내측에 배치되는 용기 내부에서 물과 산화칼슘 등이 화학반응하여 발열이 일어나, 훈증형 조성물을 증발시키는 구조를 통해, 훈증형 조성물의 성분에 따라 방향, 탈취, 살균, 살충, 해충기피 등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훈증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시트를 잘못하여 제거하고 물을 붙는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시트가 부착되는 용기캡의 형상을 밀봉시트의 제거가 쉽지 않도록 고안함으로써, 사용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의 상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제2 용기부재의 하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캡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캡부재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캡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캡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훈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제2 용기부재의 하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인 훈증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용기부재(200), 제2 용기부재(300) 및 캡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용기부재(200)는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가 결합되는 결합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부재(200)의 제1 몸체(210)는 둥근 원통형의 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는 개방된 형태이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부재(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용기부재(200)의 일면에는 스포트부(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포트부(25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트부(250)는 제1 용기부재(20))의 내부에 사용자가 물(W)을 쉽게 부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고려된 것이다.
상기 결합부(230)는 지지블록(231) 및 고정돌기(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31)은 상기 제1 용기부재(2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는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블록(231)이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돌기(233)는 상기 지지블록(23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러그(323)와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블록(231)상에 총 4개의 고정돌기(233)가 배치되어 제2 용기부재(300)를 4측면에서 고정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 용기부재(300)는 상기 제1 용기부재(200)의 결합부(230)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가열형 조성물(H)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32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훈증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330)가 형성되며 제공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2 용기몸체(300)의 제2 몸체(310)가 상기 제1 공간부(320) 및 제2 공간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용기부재(300)는 원통형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스틸, 알루미늄, 동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발열반응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부(320)와 연결되는 유입구(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용기부재(200)의 내부에 부어진 물이 상기 제1 공간부(320)로 스며들도록 하는 연결통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용기부재(200)에 부어진 물은 상기 유입구(321)를 통해 상기 제1 공간부(320)로 유입되어 상기 제1 공간부(320)에 배치된 산화칼슘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발열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은 상기 제1 공간부(32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제2 공간부(330)로 전달되게 되며, 그 열에 의해 상기 제2 공간부(330) 내부에 배치되는 훈증형 조성물(S)이 증발하게 된다.
이 후 증발된 훈증형 조성물은 캡부재(400)에 형성된 증기홀(435)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게 된다. 이때 증기홀(435)은 밀봉시트(50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는 비사용시 제2 공간부(330)에 배치된 훈증형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밀봉시트(500)는 재질에 따라 일정한 열을 받으면, 밀봉시트(500)가 녹도록 되어 있고, 본 고안에서는 훈증형 조성물이 증기화될 때의 열에 의해 녹게 된다. 그 후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이 차량 내부, 밀폐공간 등으로 유출되면서, 방향, 탈취, 살균, 살충, 해충기피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용기부재(200)에 물을 넣지 않고 밀봉시트(500)를 제거하여 증기홀(435)로 물을 부어버리는 등의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캡부재(400)의 형상을 밀봉시트(500)가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400)는 끼움부(420), 받침부(410), 경사부(431) 및 바닥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420)는 상기 제2 공간부(33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공간부(330)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상기 끼움부(420)도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10)는 상기 끼움부(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받침부(410)가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상단에 안착되며, 캡부재(400)가 제2 공간부(33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431)는 상기 끼움부(4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433)는 상기 경사부(431)와 연결되며 캡부재(400)의 중앙측을 형성하고 상기 증기홀(435)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시트(500)는 상기 캡부재(400)의 상단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제1 용기부재(200)의 내부에 물을 부으면, 물은 상기 유입구(321)를 통해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제1 공간부(320)로 유입되고, 여기서 물과 산화칼슘의 발열반응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은 제2 공간부(330)로 전달되어 훈증형 조성물이 증발하게 되고, 증발열로 밀봉시트(500)의 일부, 정확하게는 증기홀(435)을 덮고 있는 밀봉시트(500) 부분(A)이 녹으면서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431)를 두고 경사부(431)의 중앙에 증기홀(435)을 배치하며, 밀봉시트(500)로 경사부(431)와 증기홀(435) 부분을 밀봉하면, 사용자는 밀봉시트(500)를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고, 밀봉시트(500)를 제거하고 물을 제2 공간부(330)로 부어 버리는 오사용은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캡부재(400)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고안에서 캡부재(400)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캡부재(400)의 다른 형상으로 증기홀(435)이 경사부(431)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증기홀(435)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증기홀(435)이 다수로 구성되어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이 보다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밀봉시트(500)의 녹는 부분(B)은 경사부(431)상에서 발생되게 된다.
다음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캡 부재의 또 다른 형상으로 상기 경사부(431)와 상기 끼움부(420)간의 경계선상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홀(4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433)에 배치된 증기홀(435)과 경사부(431)에 배치되는 사이드홀(437)을 통해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이 확산되므로 보다 빠른 분산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밀봉시트(500)의 녹는 부분은 중앙측 증기홀(435)과 사이드홀(437)에서 일어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캡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용기부재(200) 및 제2 용기부재(30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캡부재(400)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부재(400)는 끼움부(420), 받침부(410), 제1 레이어부(451), 훈증홀부(455) 및 제2 레이어부(4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420)는 상기 제2 공간부(33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410)는 상기 끼움부(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이어부(451)는 상기 끼움부(4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훈증홀부(455)는 상기 제1 레이어부(451)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457)이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부(453)는 상기 훈증홀부(455)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은 상기 훈증홀부(45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밀봉시트(500)는 훈증홀부(455)에 원주방향으로 부착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되므로, 오사용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역시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의 열기에 의해 밀봉시트(500)가 녹으면서 제2 공간부(330)를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도 8를 참고하면, 캡부재(400)의 다른 형상으로 상기 제2 레이어부(453)가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이 증기홀(457) 방향으로 경사면을 타고 흐르듯이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인 훈증장치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캡부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용기부재(200) 및 제2 용기부재(30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캡부재(400)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는 캡부재(400)는 끼움부(420), 받침부(410), 바닥부(471), 훈증홀부(473) 및 루프부(4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420)는 상기 제2 공간부(33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410)는 상기 끼움부(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바닥부(471)는 상기 끼움부(4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훈증홀부(473)는 상기 바닥부(471)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475)이 가공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증기홀(475)은 상기 훈증홀부(473)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부(477)는 상기 훈증홀부(473)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구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형상의 경우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은 수직하게 형성된 훈증홀부(47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데, 밀봉시트(500)는 수직하게 훈증홀부(473)에 원주방향을 따라 부착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역시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의 열기에 의해 밀봉시트(500)는 녹으면서 제2 공간부(330)를 개방하게 된다.
다음 도 10를 참고하면, 상기 캡부재(400)의 다른 형상은 끼움부(420), 받침부(410), 제1 경사부(461), 제2 경사부(463) 및 루프부(4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420)는 상기 제2 공간부(33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외주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410)는 상기 끼움부(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3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461)는 상기 끼움부(4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경사부(463)는 상기 제1 경사부(461)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캡부재(400)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이므로, 상기 제1 경사부(461) 및 상기 제2 경사부(463) 모두 원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루프부(465)는 상기 제2 경사부(463)와 연결되고 캡부재(400)의 중앙측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홀(467a, 467b)은 상기 제1 경사부(461) 또는 제2 경사부(4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를 참고하면 제1 경사부(461)와 제2 경사부(463) 모두에 증기홀(467a, 467b)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증기홀(467a, 467b)은 제1 경사부(461) 또는 제2 경사부(46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부(461)와 제2 경사부(463)의 경사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사부(461)는 캡부재(400)상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부(463)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은 제2 공간부(330)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복수의 증기홀(467a, 467b)을 통해 경사면을 타고 흐르듯이 본 고안이 배치되는 차량 내부, 밀폐 공간 등으로 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캡부재(400)에서 밀봉시트(500)를 사용자가 쉽게 제거할 수 없으므로 훈증형 조성물에 직접 물을 붓는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을 붓는 간단한 행위를 통해 본 고안이 배치되는 차량 내부, 밀폐 공간 등을 증기화된 훈증형 조성물로 간편하게 살균, 살충, 해충기피, 방향, 탈취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훈증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훈증장치 200:제1 용기부재
210:제1 몸체 230:결합부
231:지지블록 233:고정돌기
250:스포트부
300:제2 용기부재 310:제2 몸체
320:제1 공간부 321:유입구
323:러그 330:제2 공간부
400:캡부재 410:받침부
420:끼움부
[제1 실시예]
431:경사부 433:바닥부
435;증기홀 437:사이드홀
[제2 실시예]
441:경사부 443:바닥부
445:증기홀
451:제1 레이어부 453:제2 레이어부
455:훈증홀부 457:증기홀
[제3 실시예]
461:제1 경사부 463:제2 경사부
465:루프부 467a, 467b:증기홀
471:바닥부 473:훈증홀부
475:증기홀 477:루프부
500:밀봉시트

Claims (14)

  1. 결합부가 구비된 제1 용기부재;
    상기 제1 용기부재의 결합부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가열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훈증형 조성물이 배치되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된 제2 용기부재; 및
    상기 제2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증기홀이 구비된 캡부재;
    를 포함하는 훈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고, 상기 증기홀이 배치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끼움부간의 경계선상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증기홀이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이어부;
    상기 제1 레이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이 형성된 훈증홀부; 및
    상기 훈증홀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제2 레이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부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부는 외측에서 중앙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고 중앙측을 형성하는 루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홀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경사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져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끼움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기 증기홀이 형성된 훈증홀부; 및
    상기 훈증홀부와 연결되며 중앙측을 형성하는 루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용기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제1 용기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러그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재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되, 일면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스포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장치.

KR2020160006155U 2016-10-24 2016-10-24 훈증장치 KR200489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5U KR200489740Y1 (ko) 2016-10-24 2016-10-24 훈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5U KR200489740Y1 (ko) 2016-10-24 2016-10-24 훈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2U true KR20180001242U (ko) 2018-05-03
KR200489740Y1 KR200489740Y1 (ko) 2019-08-01

Family

ID=6216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55U KR200489740Y1 (ko) 2016-10-24 2016-10-24 훈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4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006Y1 (ko) * 1977-12-29 1981-09-08 오오쓰가 마사도미 훈 증 장 치
JPH029330A (ja) * 1987-10-30 1990-01-12 Sanko Kagaku Kogyo Kk 発煙装置
JP4811897B2 (ja) * 2001-09-03 2011-11-0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燻煙殺虫剤及びこれを用いた燻煙方法
KR101224043B1 (ko) * 2010-10-19 2013-01-24 대한민국 곤충 훈증 검사장치
KR200481113Y1 (ko) 2015-11-19 2016-08-16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006Y1 (ko) * 1977-12-29 1981-09-08 오오쓰가 마사도미 훈 증 장 치
JPH029330A (ja) * 1987-10-30 1990-01-12 Sanko Kagaku Kogyo Kk 発煙装置
JP4811897B2 (ja) * 2001-09-03 2011-11-09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燻煙殺虫剤及びこれを用いた燻煙方法
KR101224043B1 (ko) * 2010-10-19 2013-01-24 대한민국 곤충 훈증 검사장치
KR200481113Y1 (ko) 2015-11-19 2016-08-16 주식회사 세이프퓸 훈증 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40Y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1443A1 (en) Two-phase evaporator device
JPH05505165A (ja) 蒸気放出装置
US7771665B2 (en) Chemical delivery assembly
KR200489740Y1 (ko) 훈증장치
US10265431B2 (en)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JP2005287743A (ja) 漢方薬煎じ器
US20190022266A1 (en) Bottle essential oil diffuser with a breathing film incorporated cap
CA2958276C (en) Evaporation device for evaporating volatile substances
EP1847175B1 (en) Two-phase evaporator device
EP2803264B1 (en) Feeding trap for insects
JP2010253054A (ja) 芳香剤容器
JP5320148B2 (ja) 芳香剤容器の容器本体
JPH0443022Y2 (ko)
JP2000350547A (ja) 自己発熱装置
EP4247443A1 (en) Device for diffusing volatile substances
EP4081267A1 (en) Device for the diffusion of volatile substances
US11439722B2 (en) Device for evaporating volatile substances
JP2017063898A (ja) 薬剤揮散器
JP4818699B2 (ja) 薬剤揮散器
JP5141510B2 (ja) 加熱蒸散システム
JP2002264972A (ja) 加水発熱器用水容器
JP6041736B2 (ja) 薬剤放散器
US9925290B2 (en) System for delivering volatile substances
JPH0424938Y2 (ko)
JPS601729Y2 (ja) 芳香剤容器の吸上げ芯保持用の中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