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82Y1 - 소형 인덕턴스소자 - Google Patents

소형 인덕턴스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982Y1
KR810000982Y1 KR2019810004240U KR810004240U KR810000982Y1 KR 810000982 Y1 KR810000982 Y1 KR 810000982Y1 KR 2019810004240 U KR2019810004240 U KR 2019810004240U KR 810004240 U KR810004240 U KR 810004240U KR 810000982 Y1 KR810000982 Y1 KR 810000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winding
inductance element
magnetic core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우찌다
미쓰오 엔도우
후미가쓰 구로사와
Original Assignee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소노 후꾸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소노 후꾸지로우 filed Critical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4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인덕턴스소자
제1도는 종래의 소형 인덕턴스소자의 일례를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이 경우의 인출선과 리이드선과의 접속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소형 인덕턴스소자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6도는 그 제조공정을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7도는 동 측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9도는 이 경우의 인출선과 리이드선과의 접속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이 경우의 인출선과 리이드선과의 접속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광대역 증폭회로에 사용되는 피이킹코일 등의 소형 인덕턴스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 인덕턴스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북 모양의 자심(1)에는 권선(2)이 감겨 있으며, 그 북 모양의 자심(1)의 양단면에는 원추형상의 요부(凹部)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추형상의 요부(3)의 표면에는 온도금층(4)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있어서 권선(2)의 인출선(5)과 리이드선(6)이 납땜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들은 절연물(7)로 피복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이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이드선(6) 선단을 찌그려뜨려 형성된 퍼진 부분(8)에서 권선(2)으로부터의 인출선(5)을 붙잡은 상태로 납땜을 행할 필요가 있으나 때때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출선(5)이 요부(3)에서 벗겨져 버려, 붙잡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 이유로서는, 다음의 점을 들 수 있다.
(1) 요부(3)가 얕은 원추형상이기 때문에, 인출선(5)을 요부(3)에 연해서 절곡하려고 해도, 인출선(5)의 탄성 기타에 의해 충분히 절곡할 수 없고, 인출선(5)을 요부(3)내에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2) 요부(3)의 면적에 비해 퍼진 부분(8)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없고, 인출선(5)을 붙잡기 어렵다.
따라서, 도통 불량이 발생되기 쉽고, 또 인출선(5)의 위치를 수정하는 개선작업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퍼진부분(8)을 형성하지 않으면 선의 벗겨짐, 붙잡기가 부적당하게 되고, 품질, 능률면의 대폭적인 저하를 야기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제거하고, 권선으로부터의 인출선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자심 양측에 요부를 형성하므로서 품질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한 소형 인덕턴스소자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에 관한 소형 인덕턴스소자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5도는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 도면에 있어서, 권선(2)을 권회한 복 모양의 자심(1)의 양단면에는 단면이 대형의 요부(3A)가 형성된다.
즉, 요부(3A)은 테이퍼면(10)과 저부면(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표면에 은도금층(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은도금층(4)에 납땜 등의 접착제를 울림으로서 권선(2)의 인출선(5)과 리이드선(6)과를 접속한다.
또한 소자전체는 절연물(7)로 피복된다.
이 제1실시예에 의한 소형 인덕턴스소자의 제조는, 이하의 순서로 실행된다.
먼저,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5)을 요부(3A)에 연하여 절곡한다.
다음에 대략 u자인 크립형상으로 절곡되고 또한 선단을 찌그러뜨려서 퍼진부분(8)으로 한 리이드선(6)으로 상기 인출선(5)을 요부(3A)에 밀어붙이도록 복 모양의 자심(1)을 협지한다.
그 다음에, 이들 전체를 땜납통에 침지해서 인출선(5), 리이드선(6), 도금층(4)을 동시에 고착하고, 이들 전체를 절연물(7)로 피복한다.
이렇게 한 후, 리이드선(6)을 굴곡점(12)에서 절단하여 완성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하면, 테이퍼면(10)과 저부면(11)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형인 요부(3A)가 복모양의 자심(1) 양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선(5)의 절곡이 확실하게 행하여지고, 일단 절곡된 인출선(5)은 요부(3A)에 결합되어, 여기서 벗겨질 염려는 없어진다. 이 때문에, 확실하게 리이드선(6)의 퍼진부분(8)에서 인출선(5)을 압압하도록 할 수 있고, 도통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인출선(5)의 위치의 개선작업이 거의 불칠요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대폭적으로 향상하여, 특히 대량생산방식의 경우에 효과가 크다.
제8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 도면에 있어서, 권선(2)을 감은 북 모양의 자심(1)의 양단면에는, 테이퍼형상의 요부의 저부면에 다시 원추형상의 요부를 가진 요부(3B)가 형성된다.
즉, 요부(3B)는, 테이퍼면(20)과, 원주면(21)과, 저부면(22)으로 되어 있다.
기타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테이퍼면(20)과 원주면(21)과 저부면(22)으로 요부(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권선(2)으로부터의 인출선(5)을 요부(3B)에 연하여 절곡한면, 인출선(5)은 요부(3B)내에 확실하게 결합되고, 여기에서 벗겨질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출선(5)을 리이드선(6)의 퍼진 부분(8)에서 확실하게 밀어붙일수 있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선(6)의 선단에 퍼진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만곡부(30)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있어서 권선(2)으로부터의 인출선(5)을 제11도와 같이 붙잡도록 하고 있다.
기타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올릴 수가 있고, 또 납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출선(5)을 리이드선(6)의 선단의 만곡부(30)로 직접 붙잡지 않아도, 인출선(5)이 요부(3A)내에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납땜 작업에 의해 인출선(5) 및 리이드선(6)은 은도금층(4)에 확실하게 고착된다.
그 결과, 리이드선 선단에 퍼진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도통불량이 생기는 일 없이, 성능, 작업능률 다같이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퍼진부분(8)이 선단에 있는 리이드선(6) 대신에 만곡부(30)를 형성한 리이드선(6)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지장은 없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요부(3A),(3B) 표면에 은도금층(4)을 형성한 구조를 예로 해서 설명하였으나, 생산가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그 은도금층(4)을 생략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응이 가능하다.
또한, 리이드선(6)의 선단에 퍼진부분(8), 만곡부(30)를 형성하는 대신에, 고리모양의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지장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권선을 감은 자심의 양단면에 형성하는 요부의 형상을 권선으로부터의 인출선이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도통불량의 제거, 개선작업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품질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권선(2)을 감은 자심(1)의 양단면에 적어도 테이퍼면(10),(20)과 저부면(11),(22)으로 이루어진 요부(3A),(3B)를 형성하고, 이 요부(3A),(3B)에 상기 권선(2)으로부터의 인출선(5) 및 선단이 퍼진 부분(8)이나 만곡부(30)를 구성하고 있는 리이드선(6)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양자를 땜납 등의 접착수단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 인덕턴스소자.
KR2019810004240U 1977-06-22 1981-06-13 소형 인덕턴스소자 KR810000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240U KR810000982Y1 (ko) 1977-06-22 1981-06-13 소형 인덕턴스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1447 1977-06-22
KR2019810004240U KR810000982Y1 (ko) 1977-06-22 1981-06-13 소형 인덕턴스소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1447 Division 1977-06-22 1977-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982Y1 true KR810000982Y1 (ko) 1981-08-26

Family

ID=2662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240U KR810000982Y1 (ko) 1977-06-22 1981-06-13 소형 인덕턴스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9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10000982Y1 (ko) 소형 인덕턴스소자
JPH04216603A (ja) 巻線部品の製造方法
JPS637029B2 (ko)
JPS6037816Y2 (ja) 同軸線
JPH04368157A (ja) 表面実装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7993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2112489A (ja) 巻線ボビン構造体
JPH0438494Y2 (ko)
JPH08288427A (ja) 半導体装置
JPH0432815Y2 (ko)
JPH0227376Y2 (ko)
JPH05120970A (ja) コイル口出し線の固定方法
JPS6225857Y2 (ko)
JPS60164307A (ja) 端子導体付きコイルボビン
JPS62259413A (ja)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H0969598A (ja) 半導体装置
JPH07106160A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50240B2 (ja) 接続方法
JPH04162466A (ja)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
JPH0312840B2 (ko)
JPS62219907A (ja) チツプコイルの製造方法
JPH0794345A (ja) チップ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32157A (ja) 高周波コイル
JPH06105648B2 (ja) 同軸形ロ−タリ−トランス
JPH04251947A (ja) Tab−集積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