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28B1 -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28B1
KR800001428B1 KR7401212A KR740001212A KR800001428B1 KR 800001428 B1 KR800001428 B1 KR 800001428B1 KR 7401212 A KR7401212 A KR 7401212A KR 740001212 A KR740001212 A KR 740001212A KR 800001428 B1 KR800001428 B1 KR 80000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comp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후지와라
게이이찌 나이또우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4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연성(難練性)수지 조성물
본원 발명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도막(塗膜)재료로 적용하는데 가작 적합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조성물로서는 알키드/멜라민수지, 에폭시/멜라민수지, 2액형(液型)에폭시수지등이 쓰여지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가 용매로 희석되든지 또는 그대로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로 도포되고, 그렇게 한 연후에 가열강화 된다. 그러나, 용매로 희석되어 쓰여질 경우에는 용매의 제거 및 가열강화에 상당한 온도와 시간을 요하므로 생산성이 좋지 못하였다. 또 용매가 쓰여지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보존성이 나쁘며 기판의 조성물로서는 부적당하였다. 더구나 난연화된 조성물은 아직 일반적으로는 쓰여지고 있지 않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을 시정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된 할로겐비스페놀 에폭시아크릴 수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된 중합체와 증점제(增粘劑)와, 증감제(增感劑)를 각각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단 시간으로 경화시킬 수가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더구나 난연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에폭시 아크릴 수지로서는 리폭시 S-500(昭和高分子社製, 리폭시 S-510(동사제)가 쓰여져도 좋다.
또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된 증합체로서는, 트아크론 SA310(東亞페인트사제)등의 아크릴고무, 데스모휀 800(바이엘사제)등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닛소오. PB-BF-100(日本 소다사제) 또는 아지카레진 EP-2002(丸日電化社製)등의 에폭시화 부타디엔계고무 등이 쓰여져도 좋다. 이 경우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산 또는 아민의 존재하에 에폭시화부타디엔계고무를 비닐 단량체의 산으로 에스테르화하면 되고, 또 수산기를 지닌 아크릴고무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에는 반응성에 차이가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톨루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 비닐단량체인 알코올을 미리 반응시킨 것을 반응시켜 우레탄화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리폭시 S-510과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 변성된 중합체와의 혼합비는, 4:6∼6:4가 바람직하지만 1: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증점제로서는, 규산 알루미, 아스베스트, 산화규소, 셀룰로우스파우더, 유기겔화제 등이 쓰여져도 좋다. 이 경우, 증점제는 통상의 장치 예컨대 니이다, 페이트밀 등에 의해서 분산, 혼합된다.
또 증감제로서는, 벤조인, 벤조페논, 안트라키논 또는 이들의 유도체가 쓰여져도 좋다.
또한 분원 발명에 있어서는 에폭시 아크릴수지에 포함되는 할로겐, 예컨대 취소에 의하여 난연화를 충분히 꾀할 수가 있지만 필요하다면 난연화조제(助劑)로서 3산화 안티몬이 쓰여져도 좋다.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예컨대 프린트 배선기판의 표면피복용재료로서 쓰여질 경우에는, 증점제에 의해 적당히 연화시킨 조성물을 실크스크린으로 기판에 도포하고 그런 연후에 수은램프에 의한 자외선조사에 의하여 광중합반응을 일으키게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증감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자외선조사에 의해서 광중합시켜 용이하게 기판표면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또 내열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소망스러운 내연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프린트 배선기판 이외의 부재의 표면도막재료로서도 쓰여질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고무(트아크론 SA 310)의 20%의 스티렌용액 100g과, 2-4톨루이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Figure kpo00001
당량을 40℃, 3시간으로 반응시킨 것 3g을 욕온(浴溫) 50∼60℃, 7시간으로 반응시켜서 말단 비닐변성의 아크릴고무를 얻었다.
그리고 이 아크릴고무 20부와, 리폭시 S-510 20부를 니이다로 혼합하는 동시에 #200의 산화규소 (日本 에토지일사제) 5부와, 3산화 안티몬 2부와, 벤조인 에틸에에테르(PS-8 和光純藥社製) 0.4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다. 이어서 세개의 로울을 갖는 페인트밀에 의해서 인쇄적성이 좋아질때까지 혼합분산시켜 인쇄잉크를 얻었다.
이 인쇄용잉크를 30∼50μ의 동장적층판(銅張積層板)의 동박측에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이어서 자외선램프 H-400-P(도오시바 광화학용 수온램프)를 사용하여 15cm의 거리에서 3분간 자외선조사하고, 이것에 의해 잉크를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했다. 이 도막의 특성은 후기표-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데스모펜 800)의 70%의 스티렌 용액 100g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2-4톨루이렌디 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물 35g을 반응시켜 말단비닐변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얻었다.
그리고 이 폴리에스테르 포리올 20부와, 리폭시 S-510 20부와, 올루벤(白石工業社製) 5부와, 3산화 안티몬 2부와, 벤도인에틸에에테르 1, 5부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혼합 및 분산시켜 인쇄용 잉크를 조정하고, 이어서 동장적층판에 스크린인쇄하며, 다음에 자외선램프 H-400-P를 사용하여 15cm의 거리에서 3분간, 자외선을 조사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막(塗膜)을 형성했다. 이 도막의 특성은 후기표-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3]
에폭시화폴리부타디엔고무(닛소오 PB-BF-1,000)의 70%의 스티렌용액 100g에, 메타아크릴산 21g과, 하이드로키는 0.1g과, 슬퍼닐산 0.5부를 가해서 액온을 90℃로 유지하고, 6∼7시간 교반 반응시켜 말단 비닐변성의 폴리부타디엔고무를 얻었다.
그리고 이 고무 20부와, 리폭시 S-510 20부와, 오루벤 2부와, 3산화 안티몬 8부와, 벤조인 에틸에에테르 1.5부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혼합 및 분산시켜서 인쇄용잉크를 조정하고, 이어서 동장적층판에 스크린인쇄하며, 이어서 자외선 램프 H-400-9를 사용하여 20cm의 거리에서 2분간, 자외선을 조사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막을 형성했다. 이 도막의 특성은 후기표-1에 나타나 있는데 유연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4]
아데카레진 EP-2002의 20%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용액 100g에, 하이드로키는 0.1g과, P-톨루엔슬폰산 0.5부와, 메타아크릴산 3부를 가해서 액온 90℃로 유지하고, 6시간 균일하게 교반 반응시켜 말단 비닐변성의 폴리 부타디엔계 고무를 얻었다.
그리고 이 고무 20부와, 리폭시 S-510 20부와, JPA-514 0.2부와, 에로질 #200 2.0부와, 3산화 안티몬 6.0부와, 벤조인에틸에에테르 1.5부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혼합 및 분산시켜서 인쇄용잉크를 조정하고, 이어서 동장적층판에 스크린인쇄하며, 이어서 자외선램프 H-400-P를 사용하여 15cm의 거리에서 5분간, 자외선을 조사하고, 이것에 의하여 도막을 형성했다. 이 도막의 특성은 하기표-1에 나타나 있는데 유연성은 매우 양호하였다.
[도표-1]
Figure kpo00002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된 할로겐화 비스페놀 에폭시 아크릴수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로 말단변성된 중합체와, 증점제와 증감제를 각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수지조성물.
KR7401212A 1974-01-19 1974-01-19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KR80000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212A KR800001428B1 (ko) 1974-01-19 1974-01-19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212A KR800001428B1 (ko) 1974-01-19 1974-01-19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28B1 true KR800001428B1 (ko) 1980-12-05

Family

ID=191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212A KR800001428B1 (ko) 1974-01-19 1974-01-19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4B1 (ko) * 2006-07-24 2007-08-20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비중 및 고굴절율을 가지는 마블칩용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4B1 (ko) * 2006-07-24 2007-08-20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비중 및 고굴절율을 가지는 마블칩용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3358B1 (en) Polymer compositions curable by actinic radiation
US5246816A (en) Cationic electrodeposition negative type resist composition
EP0099856A2 (de) Photopolymerisierbares Beschichtungsmittel, photopolymerisierbares 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DE3916035A1 (de) Mit aktiven energiestrahlen haertbare ungesaettigte harzmasse
JPH0297513A (ja) 不飽和基含有ポリカルボン酸樹脂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ソルダーレジスト樹脂組成物
CN111978914A (zh) 一种uv-led与湿气双重固化三防胶及其制备方法
KR800001428B1 (ko) 난연성(難燃性)수지 조성물
WO1996008525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resine photosensible et composition liquide de resine photosensible
JPH03250012A (ja) ソルダー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3155320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6253664A (ja) ソルダーレジスト用難燃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DE69333313T2 (de) Lötstopp-Tintenzusammensetzung
JPH0943846A (ja) フォト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
JP2001064356A (ja) 感光性樹脂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JP2704661B2 (ja) 不飽和基含有ポリカルボン酸樹脂、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ソルダーレジス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硬化物
JPH09114096A (ja) 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
JPH0223351A (ja) フォトソルダーレジスト組成物
CN112940560A (zh) 感光阻焊油墨组合物、其用途以及含有其的线路板
JP2003002958A (ja) アルカリ水溶液可溶性ポリエステル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硬化物
JPH0777800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0131836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回路基板用ソルダーフォトレジストインキ組成物
JP7202283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S6043896A (ja)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板
JP2003149807A (ja) フレキシブル性を有する難燃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2681546B2 (ja) カチオン電着型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