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1661A -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661A
KR20240111661A KR1020230003765A KR20230003765A KR20240111661A KR 20240111661 A KR20240111661 A KR 20240111661A KR 1020230003765 A KR1020230003765 A KR 1020230003765A KR 20230003765 A KR20230003765 A KR 20230003765A KR 20240111661 A KR20240111661 A KR 2024011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box
fixing
housing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9751B1 (ko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현진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진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9751B1/ko
Publication of KR2024011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9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전후 이동에 사용되는 기어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견고하고, 제조의 효율성이 매우 높으며, 외부충격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성능인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기존에 4개 또는 2개의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거나, 볼트 또는 스크류와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조립하던 종래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고정캡을 삽입하여 양측의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Gearbox for electrically powered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 시트의 전후 이동에 사용되는 기어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견고하고, 제조의 효율성이 매우 높으며, 외부충격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성능인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기존에 4개 또는 2개의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거나, 볼트 또는 스크류와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조립하던 종래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고정캡을 삽입하여 양측의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동조작 방식으로 자동차 시트의 위치와 자세를 설정하였으나,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자동차의 성능 또는 구조가 개선되면서, 자동차 시트도 기존의 수동조작 방식에서 전동방식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자동차 시트의 위치와 자세를 전동방식으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등장하여 자동차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어 왔다. 반면, 자동차용 전동시트의 구동수단인 모터와 기어박스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요소 등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외부충격이 가해져서 기어박스 등이 파손될 경우에는, 자동차 시트의 위치 이동은 물론 시트의 자세를 수정할 수 없어서,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자동차용 전동시트에 사용되는 기어박스를 조립하기 위하여 2개 또는 4개의 스크류가 사용되었다. 이들 스크류는 기어박스의 하우징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암나사 구멍에 삽입되어 두 개의 하우징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나타나 있는 기어박스의 조립을 위한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국내 등록특허 제10-1257234호(등록일; 2013.04.17.)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에는 웜휠(120)과 웜샤프트(130)와 2개의 부분하우징(110a, 110b) 등이 금속고정틀(16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기어박스(100)에 있어서, 2개의 부분하우징(110a, 110b)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2개의 볼트(88)와 고정클립(140)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부분하우징(110a, 110b)은 서로 맞닿는 방향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2개의 부분하우징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4)에 고정클립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부분하우징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708126호(등록일; 2017.02.13.)와 국내 등록특허 제10-1863711호(등록일; 2018.05.28.)는 모두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이 기술들의 경우에도 상기 선행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2개의 하우징(2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270)를 체결구멍(252)에 끼워서 조립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우징의 저면부에 위치한 돌출부(239)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클립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술의 도면 2, 3에는, 2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하우징(230)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2018496호(등록일; 2019.08.30.)는 ‘차량용 슬라이딩 기어박스’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하우징(100)과,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3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하부레일에 고정된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기어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되며 상기 작동기어부(200)와 상기 구동기어부(300)의 나머지 부분이 내설되도록 형성된 커버(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기어박스 양측에 구비되는 하우징(100)의 몸통부(110)에는 각 모서리 마다 커버(500)와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500)의 몸통부(510)에도 각 모서리에는 하우징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5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위와 같이 하우징(100) 및 커버(50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체결구를 사용하여 기어박스의 외형을 이루는 두 수단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선행기술은 4개의 스크류 볼트나 4개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하우징(100)과 커버(500)를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 살펴본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종래기술들은 기어박스의 하우징의 양측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2개 또는 4개의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돌출부를 구비시킨 후, 그 돌출부를 클립을 사용하여 하우징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57234호(등록일; 2013.04.17.) 국내 등록특허 제10-1708126호(등록일; 2017.02.13.) 국내 등록특허 제10-1863711호(등록일; 2018.05.28.) 국내 등록특허 제10-2018496호(등록일; 2019.08.30.)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수의 볼트나 스크류 또는 클립을 사용하여 양측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장기간 수많은 횟수에 걸쳐 전동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동 시트가 전, 후진하도록 동작하는 웜기어와 웜휠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 시트 하부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어 동작하게 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시트의 전, 후진 시에는 물론, 차량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탑승자의 체중과 자동차 시트의 무게에 대하여 가해지는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통로가 되는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가벼운 외부 충격의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큰 충격이 외부로부터 전해질 경우에는 앞에서 살펴본 충격이 기어박스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어박스가 그 충격을 견뎌낼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기어박스 자체가 파손되거나 동작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자동차 사고 발생시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가 파손되어 시트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어려움을 겪게 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기어박스가 그 충격을 견뎌내지 못하고 파손되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본 선행기술들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나 스크류 또는 고정클립 등의 수단을 사용할 경우, 이 수단들이 견뎌낼 수 있는 내 충격력의 한계로 인해, 기어박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2개나 4개의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고정클립을 더 사용하여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기어박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하우징에 스크류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 또는 관통공을 구비시켜야 하고, 그 후에는 볼트나 스크류 또는 고정클립을 별도로 삽입하여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켜야 한다.
따라서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고정클립을 더 사용하여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어박스의 제조를 위해 많은 횟수의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제조를 위한 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기어박스의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서 2개 또는 4개의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결합시키던 구성 대신, 양측 하우징의 전후 단부에 고정캡을 삽입하여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2개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킴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후 측면에 캡을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후, 그 오목부에 고정캡을 삽입하여 전후 양측에서 하우징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실제로는 그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인데,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결합시키려면 양측의 하우징에 볼트나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 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편인 기어박스의 경우에는 볼트나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의 여유가 크지 않으며, 그로 인해 하우징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 또는 스크류의 직경, 길이 등의 크기에 제한이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제약에 따라 크기 등에 있어서 한계가 있는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결합할 경우, 강한 외부충격이 자동차에 가해지면 기어박스가 손상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기어박스 하우징의 전, 후측 단부에 고정캡을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서 양측 하우징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캡의 외부에는 탄성밴드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고정캡을 삽입하여 2개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며, 볼트나 스크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를 자동차의 전동 시트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기어박스를 제조할 경우에는 양측 하우징에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 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기어박스를 제조함으로써 기어박스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조 공정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어박스를 제조할 경우에는 별도로 볼트나 스크류 등을 준비한 다음, 이들을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나사구멍에 삽입하고 조여주어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할 경우, 고정캡을 하우징1, 2의 양측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2개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기어박스의 제조 공정과 제조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 역시 상당 부분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기어박스가 스크류봉 및 구동축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a), (b)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가 스크류봉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2(c)는 도2(b)에서 스크류봉과 기어박스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 기어박스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캡과 탄성밴드의 형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캡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a)는 본 발명 기어박스의 고정캡과 탄성밴드가 하우징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6(b)는 본 발명 하우징의 상부면과 하부측 오목부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가 기어박스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동 시트의 구동에 사용되는 기어박스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기어박스에 구비되는 2개의 하우징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충격에 잘 견딜 수 있어서 파손 문제가 개선되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조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4개 또는 2개의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거나, 또는 거기에 고정클립을 더 사용하여 하우징을 결합시키던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박스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것이며, 양측 하우징이 접촉하는 부분 중 앞쪽과 뒤쪽의 단부에 각각 고정캡을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양측 하우징(하우징1, 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어박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기어박스를 간단하게 형성하면서도 하우징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가 자동차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는 스크류봉(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크류봉(21)은 양끝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3)에 의해 차체에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봉(21)의 양끝 고정브라켓(23) 측면에는 각각 스토퍼(22)가 하나씩 구비되어 있어서, 기어박스(100)가 고정브라켓(23)에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스크류봉(21)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양끝이 고정브라켓(23)에 각각 고정된다. 즉, 스크류봉(21)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브라켓(23)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웜휠(140)이 회전하면, 기어박스(100)가 스크류봉(21)의 나사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인 기어박스(100)는 스크류봉(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1과 같이, 자동차 전동 시트에는 각각 2개의 스크류봉(21)이 설치되어 있고, 각 스크류봉(21)은 기어박스(100)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2개의 스크류봉(21)은 구동축(1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11)에는 기어박스(100)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0)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모터(1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구동축(11)을 통해 양측의 기어박스(100)로 전달되게 되고, 기어박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웜샤프트와 웜휠의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기어박스를 전, 후진시키는 힘으로 변환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박스(100)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100)에는 기어박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수용되는 기어박스 브라켓(170)이 구비되어 있다. 자동차의 전동시트(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체결공(172)를 통해 기어박스와 결합되게 된다. 기어박스(100)의 상부에 전동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어박스(1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자동차의 시트는 기어박스(100)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 기어박스(100)의 외부 구성에 관한 도면이며, 도2(a)는 기어박스가 스크류봉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2(b)는 도2(a)의 기어박스(1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c)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가 기어박스 브라켓(170)과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c)에 있어서, 기어박스(100)의 좌우에는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가 구비되어 있고, 그 전후(앞뒤) 단부에는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 기어박스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는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와, 웜샤프트(130)와, 웜휠(140)과, 2개의 고정캡(150)과, 2개의 탄성밴드(160)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박스 브라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앞, 앞쪽 또는 전측은 도2(a), (c)에 F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칭하는 것이며, 뒤, 뒤쪽 또는 후측은 같은 도면에 R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 중에 기어박스가 전진한다는 것은 F의 방향으로 기어박스가 이동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후진한다는 것은 R의 방향으로 기어박스가 이동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110)은 기어박스(100)의 좌측에 구비되고, 하우징2(120)는 기어박스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음을 전제로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기어박스(100)의 내부 중심에는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을 기어박스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에너지로 변화시키기 위한 웜샤프트(130)와 웜휠(140)이 구비되어 있다. 웜샤프트(130)와 웜휠(140)은 웜샤프트(130)의 웜기어와 웜휠(140)의 헬리컬기어를 통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11)의 회전에 따라 웜샤프트(130)의 웜기어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웜휠(140)의 헬리컬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웜휠의 헬리컬기어와 양측 하우징(110, 120)의 사이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부시(141)가 구비되어 있다.
웜휠(140)의 내부에는 스크류봉(21)의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봉(21)과 웜휠(140)이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웜휠이 회전하게 되면, 기어박스(100)가 스크류봉의 나사산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기어박스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 기어박스와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웜샤프트(130)와 웜휠(140)의 좌우에는 웜샤프트(130)와 웜휠(14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및 스크류봉(21)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10) 및 하우징2(120)가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은 기어박스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캡(150)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기술에 관한 것이며, 고정캡(150)을 사용하여 하우징1, 2의 앞쪽과 뒤쪽 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그 핵심구성으로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의 내부에 웜샤프트와 웜휠 등의 수단을 삽입한 후, 하우징1, 2를 접촉시킨 다음, 하우징1, 2의 앞쪽과 뒤쪽 단부에 각각 고정캡(150)을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를 결합시키게 된다. 고정캡(150)을 끼워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킨 후에는 고정캡의 외측에 탄성밴드(160)를 결합시킨 다음, 그 전체를 도2(b)와 같이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수용부(173)에 끼워서 기어박스(100)를 조립하게 된다.
전체 구성요소가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수용부(173)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 기어박스(100)에는 스크류봉(21)이 삽입되게 되고, 스크류봉은 고정브라켓(23)을 통해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게 된다. 도1과 도2(a)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가 위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10) 및 하우징2(120)의 내부에는 스크류봉(21)을 삽입하도록 구성된 스크류봉 관통부(114, 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4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캡(150)에는 스크류봉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캡(150)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밴드(160)에도 스크류봉(21)이 관통되는 스크류봉 관통공(161)이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 중에서 기어박스 브라켓(170)을 제외한 수단들을 모두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는 도2(c)와 같은 형태로 조립되게 되고, 조립된 기어박스를 기어박스 브라켓(170)에 삽입한 후 스크류봉(21)과 결합시키면 도2의 (a) 또는 (b)와 같은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의 앞뒤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하우징1, 2(110, 120)의 앞쪽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캡(150)과 그 외측에 결합되는 탄성밴드(160)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4(b)는 하우징1, 2의 뒤쪽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캡(150)과, 그 외측에 결합되는 탄성밴드(160)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개의 고정캡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2개의 탄성밴드 역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4(a)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는 도2(c)의 앞쪽(F)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도4(b)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는 도2(c)의 뒤쪽(R)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캡과 탄성밴드의 앞뒤 양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4의 (a), (b)와 같이 앞뒤 양쪽의 고정캡과 탄성밴드의 형상을 각각 도시하였으나, 2개의 고정캡(150)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고, 2개의 탄성밴드(160) 역시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쪽의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를 중심으로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에는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의 앞뒤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5에는 고정캡(150)의 앞뒤 형상에 관한 사시도와 정면도 및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5에는 본 발명에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캡(150)의 형상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5(a)는 고정캡(150)의 앞,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5(b)는 고정캡(150)의 앞, 뒤에서 바라본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고정캡(15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2 또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캡(150)은 기어박스의 앞쪽 및 뒤쪽 하우징 1, 2의 단부에 각각 1개씩 삽입되게 되며, 이들 고정캡은 서로 동일한 형상 또는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고정캡(150)은 스크류봉 관통공(151)과, 테두리부(152)와, 돌기삽입홈1(153)과, 돌기삽입홈2(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캡(150)은 철판을 이용한 프레스 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하우징을 서로 접촉시킨 후, 이들 하우징의 앞쪽 및 뒤쪽 단부에 고정캡(150)을 강제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2개의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캡(150)에 형성되는 스크류봉 관통공(151)은 도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봉(21)을 기어박스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멍이며 고정캡(150) 하부의 중앙에 구비된다.
테두리부(152)는 고정캡(150)의 상하좌우에 연결 형성되는 테두리 부분이며, 고정캡(150) 중에서 하우징1과 2의 단부측에 삽입되어 하우징1과 2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테두리부(152)는 도3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테두리가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테두리부(152)는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상하 측이 기어박스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테두리부(152)의 상하 길이는 이하 설명되는 하우징1, 2의 앞쪽상부면으로부터 앞쪽 저면오목부 표면까지의 길이가 되고, 그 좌우길이는 하우징2의 앞쪽 우측오목부(128)의 표면으로부터 하우징1의 앞쪽 좌측오목부 표면까지의 길이가 된다.
하우징1과 2의 앞쪽(F)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캡(150)을 하우징 1, 2의 앞쪽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테두리부(152)의 상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앞쪽상부면에 접하게 되고, 하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앞쪽 저면오목부의 표면에 접하면서 강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하우징1과 2의 뒤쪽(R)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캡(150)을 하우징 1, 2의 뒤쪽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테두리부(152)의 상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뒤쪽상부면에 접하게 되고, 그 하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뒤쪽 저면오목부 표면에 접하면서 강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테두리부(152)는 하우징1, 2의 위아래를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테두리부(152)는 하우징1과 2를 좌우방향으로도 강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의 하우징2(1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120)의 우측면 앞쪽(F)에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앞쪽 우측오목부(128)가 구비되어 있고, 그 우측면의 뒤쪽(R)에도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뒤쪽 우측오목부(129)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2의 앞쪽 우측오목부(128)와 뒤쪽 우측오목부(129)는 하우징2(120)의 우측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외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하우징1(110)의 좌측면은 하우징2(120)의 우측면과 동일 또는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하우징2(120)의 앞쪽 우측오목부(128) 및 뒤쪽 우측오목부(129)와 동일 또는 대칭 형상인 앞쪽 좌측오목부 및 뒤쪽 좌측오목부가 하우징1(110)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하우징1의 앞쪽(F)에는 앞쪽 좌측오목부가 형성되고, 하우징2의 앞쪽(F)에는 앞쪽 우측오목부가 형성되게 되며, 하우징1의 뒤쪽(R)에는 뒤쪽 좌측오목부가 형성되고, 하우징2의 뒤쪽(R)에는 뒤쪽 우측오목부가 형성되게 된다.
참고로 하우징1(110)의 외측면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하우징2(120)의 외측면(도3에서 하우징2의 전면에 보이는 외부면)과는 반대 위치 또는 면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하우징1(110)의 앞쪽상부면(112), 뒤쪽상부면(113), 앞쪽 저면오목부(116) 및 뒤쪽 저면오목부(117)와, 하우징2(120)의 앞쪽 우측오목부(128)와 뒤쪽 우측오목부(129)를 사용하여 하우징1, 2(110, 120)와 테두리부(152)가 결합되는 관계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하우징1과 하우징2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대칭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우징1과 하우징2는 그 접촉면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152)가 하우징1, 2에 삽입될 경우, 테두리부(152)는 하우징1, 2에 대하여 동일한 형태로 삽입되게 되고, 테두리부(152)를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한 결과 발생하는 결합력도 하우징1, 2에 대하여 동일하게 된다.
하우징2의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단차를 이루도록 앞쪽 우측오목부(128)와 뒤쪽 우측오목부(129)를 형성함에 있어서, 위의 단차가 형성되는 깊이는 고정캡(150) 테두리부(15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가 되어야 한다. 또한, 하우징1에 형성되는 앞쪽 좌측오목부와 뒤쪽 좌측오목부의 경우에도, 하우징1의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위와 동일한 깊이의 단차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단차가 형성되어야 고정캡(150)의 테두리부(152)가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수용부(173)에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테두리부(152)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의 두께도 앞에서 살펴본 좌측 및 우측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테두리부(152)가 하우징1, 2의 상하 및 좌우측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면, 하우징1, 2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돌기삽입홈1(153)은 고정캡(15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고정캡의 하부 중앙에는 스크류봉 관통공(151)이 구비되어 있으며, 돌기삽입홈1(153)은 스크류봉 관통공(151)의 상부에 형성되되, 스크류봉 관통공(151)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돌기삽입홈1(153)은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1(16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캡(150)의 돌기삽입홈1(153)에 삽입되는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1(163)은 탄성밴드(160)를 고정캡(15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돌기삽입홈2(154)는 고정캡(150)의 테두리부(152) 상부 중앙에 별도로 형성되는 공간이며,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2(16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돌기삽입홈2(154)에 삽입되는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2(164)는 탄성밴드(160)를 고정캡(150)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다.
한편, 도4와 같이 탄성밴드(16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고정돌기는 그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캡(150)에 형성되는 돌기삽입홈1, 2(153, 154)는 각각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서로에게 탄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타측 고정돌기가 상하로 요동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돌기1(163)과 고정돌기2(164)가 각각 돌기삽입홈1(153)과 돌기삽입홈2(154)에 삽입되면 도2(c) 및 도7과 같이 탄성밴드(160)가 고정캡(150)에 결합되게 된다.
도4에는 탄성밴드(16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4(b)에는 그 내부의 형상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밴드(160)는 스크류봉 관통공(161)과, 테두리부(162)와, 고정돌기1(163)과, 고정돌기2(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밴드(160)의 스크류봉 관통공(161)은 도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밴드(160) 하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며, 기어박스와 결합되는 스크류봉(21)이 위하여 통과하도록 구성된 구멍이다.
탄성밴드(160)의 테두리부(162)는 탄성밴드(160)의 상하좌우에 형성되는 테두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고정캡(150)의 테두리부(152)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가 결합되면, 탄성밴드(160)의 테두리부(162)와 고정캡(150)의 테두리부(152)는 도2(c) 및 도7과 같이 밀접하게 결합되게 된다.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1(163)은 스크류봉 관통공(161)의 상부에 형성되고, 스크류봉 관통공(161)의 위에서 내측방향 즉 고정캡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돌기1(163)은 이하 설명되는 고정캡(150)의 돌기삽입홈1(153)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고정돌기1(163)이 삽입되면,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밴드(160)의 고정돌기2(164)는 탄성밴드(160) 테두리부(162)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고정돌기2(164)는 고정캡(150)의 돌기삽입홈2(154)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역시 서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기어박스(100)에서 기어박스 브라켓(17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a)는 하우징1(110)과 하우징2(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보이는 형상에 관한 것이고, 그 내측에 웜샤프트(130)와 웜휠(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캡(150)과 탄성밴드(160)가 분리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6(b)는 하우징1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확대한 도면이며, 이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1(110)의 상부에는 상부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하부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돌출부(111)의 좌측에는 앞쪽상부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뒤쪽상부면(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돌출부(115)의 좌측에는 앞쪽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뒤쪽오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좌측 또는 우측은 도6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어박스에 있어서의 실제 위치는 상기 좌측은 앞쪽을 우측은 뒤쪽에 해당되게 된다.)
상부돌출부(111)는 하우징1의 내부에 웜샤프트(130)가 구비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이고, 하부돌출부(115)는 하우징1의 내부에 웜휠(140)을 위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부돌출부(115)가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요입홈(17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하우징1의 하부돌출부(115)의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앞쪽 및 뒤쪽오목부(116, 117)는 고정캡(150)의 하측 테두리가 하우징의 앞쪽 및 뒤쪽 단부에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캡(150)을 하우징 전후 측의 단부에 삽입한 후에는 그 외부에 탄성밴드(160)를 결합시키고, 그 결합된 전체를 기어박스 브라켓의 수용부(173)에 삽입시켜서 기어박스를 조립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어박스 앞뒤 양측의 하우징 단부에 고정캡(150)을 각각 삽입시켜서 하우징1과 2를 결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고정캡(150) 중 하나는 도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쪽상부면(112)과 앞쪽 저면오목부(116) 측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뒤쪽상부면(113)과 뒤쪽 저면오목부(117) 측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고정캡(150)이 기어박스(100)의 앞쪽 단부 및 뒤쪽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면, 본 발명의 기어박스는 도2 및 도7과 같은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 기어박스의 하우징1, 2가 고정캡(150)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7(a)는 기어박스(100)가 기어박스 브라켓(17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7(b)는 기어박스 브라켓(170)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7과 같이 앞쪽상부면(112)과 앞쪽 저면오목부(116) 쪽에 고정캡(150) 중 하나를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고, 뒤쪽상부면(113)과 뒤쪽 저면오목부(117) 쪽에 다른 하나를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기어박스의 좌우에 구비되는 하우징1과 2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며, 고정캡(150)의 외부에 탄성밴드(160)를 결합시킨 다음, 그 전체를 기어박스 브라켓(170)에 삽입하여 기어박스를 제조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를 자동차의 전동 시트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기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는 종래의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결합하는 기술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2개 또는 4개의 볼트나 스크류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있어서, 하우징의 결합력을 발생하는 부분은, 그 결합에 사용된 볼트나 스크류의 재질 및 단면적에 따라 정해지고, 결합부분의 형상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볼트나 스크류는 그 재질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동일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할 경우, 2개 또는 4개의 볼트나 스크류의 단면적에 비례하는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1, 2의 양측단부에 고정캡(150)을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삽입할 경우 고정캡이 하우징의 상부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앞쪽 및 뒤쪽상부면과 그 하부의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저면오목부에 각각 삽입되어 2개의 하우징을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캡(150)에 탄성밴드(16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기어박스 조립체를 기어박스 브라켓(170)의 수용부(173)에 삽입하여 제조함으로써, 고정캡(15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기어박스가 안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사용되는 고정캡은 주조, 냉간단조 또는 소결 등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나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1, 2를 결합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해 그 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기어박스를 제조할 경우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양측의 하우징에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나 나사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종래기술에 비해 기어박스의 제조 공정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볼트나 스크류를 별도로 준비한 후 이들을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나사구멍에 삽입하고 조여주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기어박스의 제조 공정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할 경우, 위와 같이 제조 공정이 크게 단축됨으로써,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의 제조시간이 크게 단축되게 되고, 그 결과, 제조비용 역시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 설명된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특별한 기술적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구동모터 11 : 구동축
21 : 스크류봉 22 : 스토퍼
23 : 고정브라켓
100 : 기어박스
110 : 하우징1 111 : 상부돌출부
112 : 앞쪽 상부면 113 : 뒤쪽 상부면
114 : 스크류봉 관통부
115 : 하부돌출부
116 : 앞쪽 저면오목부 117 : 뒤쪽 저면오목부
120 : 하우징2
124 : 스크류봉 관통부
128 : 앞쪽 우측오목부 129 : 뒤쪽 우측오목부
130 : 웜샤프트
140 : 웜휠 141 : 부시
150 : 고정캡
151 : 스크류봉 관통공 152 : 테두리부
153 : 돌기삽입홈1 154 : 돌기삽입홈2
160 : 탄성밴드
161 : 스크류봉 관통공 162 : 테두리부
163 : 고정돌기1 164 : 고정돌기2
170 : 기어박스 브라켓
171 : 스크류봉 관통공 172 : 시트체결공
173 : 수용부 174 : 요입홈

Claims (5)

  1. 하우징1과, 하우징2와, 웜샤프트와, 웜휠과, 2개의 고정캡과, 2개의 탄성밴드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기어박스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2의 상부의 앞쪽에는 앞쪽상부면이 형성되고 뒤쪽에는 뒤쪽상부면이 형성되며, 그 하부의 앞쪽에는 앞쪽 저면오목부가 형성되고 뒤쪽에는 뒤쪽 저면오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2개의 고정캡은 각각 스크류봉 관통공과, 테두리부와, 돌기삽입홈1과, 돌기삽입홈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개의 탄성밴드는 스크류봉 관통공과, 테두리부와, 고정돌기1과, 고정돌기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하우징1 및 하우징2의 앞쪽 및 뒤쪽 단부에 하나씩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2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되, 앞쪽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캡은 상기 앞쪽상부면과 상기 앞쪽 저면오목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2의 앞쪽을 결합시키고, 뒤쪽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캡은 상기 뒤쪽상부면과 상기 뒤쪽 저면오목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2의 뒤쪽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2의 앞쪽 및 뒤쪽 저면오목부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하우징2의 앞쪽 우측오목부 및 뒤쪽 우측오목부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하우징1의 앞쪽 좌측오목부 및 뒤쪽 좌측오목부에 형성되는 단차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밴드의 테두리부는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테두리가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동시에 기어박스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테두리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1, 2에 형상되어 있는 상기 단차들의 깊이와 같거나 그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 중 하나를 상기 하우징 1, 2의 앞쪽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상기 고정캡 중 하나의 상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앞쪽상부면에 접하고, 하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앞쪽 저면오목부의 표면에 접하며, 좌측 테두리는 하우징1의 앞쪽 좌측오목부에 접하고, 우측 테두리는 하우징2의 앞쪽 우측오목부에 접하면서 강하게 끼워지게 되고,
    상기 고정캡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하우징1, 2의 뒤쪽 단부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상기 고정캡 중 다른 하나의 상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뒤쪽상부면에 접하고, 하측 테두리는 하우징1, 2의 뒤쪽 저면오목부의 표면에 접하며, 좌측 테두리는 하우징1의 뒤쪽 좌측오목부에 접하고, 우측 테두리는 하우징2의 뒤쪽 우측오목부에 접하면서 강하게 끼워지게 되어, 하우징1, 2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2의 앞쪽 및 뒤쪽 단부에 하나씩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상기 2개의 고정캡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캡의 외측에서 고정캡과 결합되는 상기 2개의 탄성밴드도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중심부에는 돌기삽입홈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캡 테두리부의 상부 중앙에는 돌기삽입홈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삽입홈1은 상기 고정캡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스크류봉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고정돌기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삽입홈2는 상기 탄성밴드의 고정돌기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삽입홈1에 상기 고정돌기1이 삽입되고 상기 돌기삽입홈2에 상기 고정돌기2가 결합되면, 상기 고정캡과 상기 탄성밴드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KR1020230003765A 2023-01-10 2023-01-10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KR10270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765A KR102709751B1 (ko) 2023-01-10 2023-01-10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765A KR102709751B1 (ko) 2023-01-10 2023-01-10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1661A true KR20240111661A (ko) 2024-07-17
KR102709751B1 KR102709751B1 (ko) 2024-09-25

Family

ID=9217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765A KR102709751B1 (ko) 2023-01-10 2023-01-10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975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34B1 (ko) 2011-03-22 2013-04-2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101470180B1 (ko) *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KR20160114180A (ko) * 2014-01-31 2016-10-04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조정 기구를 위한 기구 하우징
KR101708126B1 (ko) 2015-09-25 2017-02-1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1863711B1 (ko) 2016-06-29 2018-06-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2018496B1 (ko) 2018-01-05 2019-09-0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슬라이딩 기어박스
KR20190108652A (ko) * 2018-03-12 2019-09-24 피셔 앤 컴퍼니, 인크. 차량 시트를 위한 개방형 구조 파워 길이 조절기 결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4924B1 (ko) * 2019-12-30 2021-08-03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102291274B1 (ko) * 2021-05-11 2021-08-20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20220149138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34B1 (ko) 2011-03-22 2013-04-2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101470180B1 (ko) *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KR20160114180A (ko) * 2014-01-31 2016-10-04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조정 기구를 위한 기구 하우징
KR101708126B1 (ko) 2015-09-25 2017-02-1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1863711B1 (ko) 2016-06-29 2018-06-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2018496B1 (ko) 2018-01-05 2019-09-0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슬라이딩 기어박스
KR20190108652A (ko) * 2018-03-12 2019-09-24 피셔 앤 컴퍼니, 인크. 차량 시트를 위한 개방형 구조 파워 길이 조절기 결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4924B1 (ko) * 2019-12-30 2021-08-03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20220149138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파워시트레일 기어박스
KR102291274B1 (ko) * 2021-05-11 2021-08-20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9751B1 (ko) 202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063B2 (en) Gearbox housing assembly
EP1674329B1 (en) Vehicle power seat slide device
WO2012053319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支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01272929B (zh) 具有托架管的传动-驱动单元及其制造方法
EP3845411B1 (en) Novel electric slide rail
JPH0769147A (ja) バンパステー構造
EP2509830B1 (de) Fahrzeuglenkrad
KR101600191B1 (ko) 차량용 시트 레일
CN104260622B (zh) 一种汽车顶盖焊接结构
JP2013540071A (ja) 車両シート特に自動車シート
KR20240111661A (ko)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KR20140045158A (ko)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14051163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56138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JP4080949B2 (ja) 車体のフレーム構造
JP3844964B2 (ja) ミラー
CN106184379A (zh) 防撞吸能结构及具有其的车辆
US11299070B2 (en) Electric seat slide device
JP2002187575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20240111660A (ko) 자동차 전동 시트용 기어박스
CN220053922U (zh) 一种车辆转向装置以及包含该车辆转向装置的车辆
JP5521767B2 (ja) ドアトリム
JPH0542685Y2 (ko)
CN219115387U (zh) 蓄电池安装支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