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175A -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175A
KR20240070175A KR1020220151683A KR20220151683A KR20240070175A KR 20240070175 A KR20240070175 A KR 20240070175A KR 1020220151683 A KR1020220151683 A KR 1020220151683A KR 20220151683 A KR20220151683 A KR 20220151683A KR 20240070175 A KR20240070175 A KR 2024007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copolymer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재
Original Assignee
정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재 filed Critical 정성재
Priority to KR102022015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175A/ko
Publication of KR2024007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1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 50 내지 80중량%,특정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 5 내지 40중량%,특정 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c) 1 내지 10중량% 및탈크(d) 10 내지 30중량%를 포함[여기서, 성분(a)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 유량이 100 내지 1,000g/10분이고 Cf값(교차 분율 비율)이 0.5 이하이다)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수지 조성물은 유동성이 우수하고, 성형된 제품에 우수한 강성, 고온 강성 및 이들의 잘 균형잡힌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히, 유동성, 강성, 고온 강성 및 내충격성이잘 균형잡혀 조합되어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을 성형하는 데 적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부터 성형된 제품은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자동차 적용과 가전제품, 잡화, 필름 등과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용 수지조성물은 강성과 고온 강성 뿐만 아니라, 성형된 제품의 내충격성과 성형에 있어서의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이로부터 성형된 제품이 내충격성에 있어서부족하기 때문에, 용도 범위가 제한되어 왔다.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형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여기서, 프로필렌과에틸렌은 블록 공중합된다)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여기서,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레핀 공중합체 고무와 함께 혼입된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강성이 낮다. 필요에 따라, 이들 수지에 탈크 등의 무기 충전재를 혼입시켜 낮은 강성을 보충하는 경우, 이들은 주로 자동차 범퍼를 포함하는 자동차 외부 트림 부품용 성형 재료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박스, 수지 필라(resin pillar) 및 트림과 같은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용 성형 재료로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무기 충전재를 혼입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생성된조성물의 유동성이 낮아지고, 또한 생성물의 중량이 증가하면서, 생성된 성형품의 비중이 증가한다.
올레핀 중합체(예: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와 올레핀 공중합체(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내충격성과 내응력백화성(stress-whitening resistance)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수소화된 디엔 공중합체가 혼입되어 있는 각종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59-37294호에는, 수소화된 1,2-폴리부타디엔이 탄소수 2 내지 2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 특히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속에 혼입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62-45883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4-342752호에는, 1,2-블록 및 1,4-블록으로 이루어진 폴리부타디엔의 수소화된 디블록 공중합체가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폴리프로필렌 속에 혼입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132606호에는, 폴리부타디엔/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 생성물이 결정성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속에 혼입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168743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168744호에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화 생성물이 폴리올레핀 속에 혼입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수지 조성물은 내응력백화성과 내충격성이 둘 다 향상되어 있지만, 강성과 고온 강성이 상당히 낮다. 따라서,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실제 사용은 연질 재료의 분야로 한정된다.
위에서 기술한 수지 조성물(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속에 혼입되어있다)에서 감소된 강성과 고온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187707호에 기재되어 있는 고도의 입체규칙성 폴리프로필렌으로 대체함으로써, 성형된 제품의강성과 고온 강성이 비중의 증가 없이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성형된 제품은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으로예상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은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고무와 수소화된 폴리부타디엔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혼입시킴으로써 향상된다. 그러나, 이들 고무 성분을 다량으로 혼입시키면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뿐만 아니라, 성형된 제품의 강성과 고온 강성이 저하되는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뿐만 아니라, 성형된 제품의 강성과 고온 강성을저하시키지 않고 성형된 제품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9-37294호
본 발명은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과 성형된 제품의 강성, 고온 강성 및 내충격성이 잘 균형잡혀 조합되어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을 성형하는 데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히, 유동성, 강성, 고온 강성 및 내충격성이잘 균형잡혀 조합되어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을 성형하는 데 적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 50 내지 80중량%,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 5 내지 40중량%,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c) 1 내지 10중량% 및탈크(d)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은 용융 유량이10 내지 300g/10분이고 폴리프로필렌 성분 60 내지 95중량%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고,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용융 유량이 100 내지 1,000g/10분이고 Cf값이 0.5 이하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은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80중량%이고;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는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고 에틸렌 함량이 25 내지 90중량%이며 소각(小角) X-선 산란법으로 측정한 장주기가 6 내지 14nm인 폴리에틸렌 결정을 함유하며; 수소화 디엔 블록 공중합체(c)는 A-B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여기서, A 분획은 1,4-폴리부타디엔 블록이고, B 분획은 1,2-폴리부타디엔 블록, 폴리이소프렌 블록 또는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블록이다)이고, 불포화 결합의 85% 이상이 수소화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양의 탈크를 특정한 고인성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특정한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및 특정한 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 속으로혼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을 나타내며, 또한 이로부터 성형된제품은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보다 고온 강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 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크기가 크고 벽이 얇으며 중량이 가볍고 비용이 저렴한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0019]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 50 내지 80중량%,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b) 고무 5 내지 40중량%,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c) 1 내지 10중량% 및 탈크(d)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용융 유량이 25g/10분 이상이며, 목적하는 첨가제(e)를 추가로 포함한다.
위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은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에 요구되는 실온에서의 굴곡 모듈러스2,400MPa 이상, 열변형온도 73
Figure pat00001
하중) 이상 및 실온에서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 300J/m 이상 등의각종 특성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은 아래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 (a)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 공중합체 조성물(a)은 당해 수지 조성물의 주성분이고 폴리프로필렌 성분 60 내지 95중량%와 에틸렌/프로 필렌 공중합체 성분 40 내지 5중량%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ASTM D 1238에 따라 2.16kg의 하중하에 230
Figure pat00002
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pp)이 100내지 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g/10분이고 분자량 분포가 좁은 고도의 입체규칙성 프로필렌단독중합체이다[여기서, o-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의 분별에 있어서 112
Figure pat00003
에서의 용출 온도를 기본으로 하는 교차 분별 비율(Cf값)은 0.5 이하이다]. 폴리프로필렌의 분별은 문헌[참조: J.B.P.Soares et al., "POLYMER", Vol. 36, No. 8, pp 1639-1654(1995)]에 보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수행한다. 교차 분별 비율(Cf값)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다. 보다 특히, 스테인레스 튜브(길이: 15cm,내부 직경: 0.46cm)가 유리 비드(각각 직경: 0.1mm)로 충전된 분별 칼럼을 준비한다. 140
Figure pat00004
에서 o-디클로로벤젠에 용해된 폴리프로필렌 용액(농도: 2mg/mL) 0.5mL를 140
Figure pat00005
로 유지시킨 분별 칼럼 속으로 도입시킨다. 분별 칼럼의 온도를 1
Figure pat00006
분의 속도로 140
Figure pat00007
에서 0
Figure pat00008
로 냉각시켜 유리 비드의 표면으로 폴리프로필렌을 침전시킨다. 분별 컬럼을 0
Figure pat00009
에서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0
Figure pat00010
의 o-디클로로벤젠을 1mL/분의 속도로 2분 동안 분별 컬럼 속으로 도입시키면, o-디클로로벤젠에 가용성인 중합체 분획이 용리되고, 용리된 중합체의 양과 분자량을 측정한다. 0 내지 50
Figure pat00011
의 범위에서 10
Figure pat00012
간격으로, 50 내지 90
Figure pat00013
의 범위에서 5
Figure pat00014
간격으로, 90 내지 140
Figure pat00015
의 범위에서 3
Figure pat00016
간격으로 용리 온도를 점차로 증가시켜 이러한 조작을 반복한다.
이어서, 각각의 온도에서 용리된 중합체의 양, 중량 분획 및 각각의 분획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측정 결과로부터, 112
Figure pat00017
미만의 용리 온도에서 용리된 중합체 분획의 적분 값(Cfi)과 112
Figure pat00018
이상의 용리 온도에서용리된 중합체 분획의 적분 값(Cfh)을 수득하고, 당해 교차 분별 비율(Cf)을 Cfh에 대한Cfi의 비율(Cfi/Cfh)로 서 표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Cf값은 쇼와 덴코 캄파니 리미티드(Showa Denko Co. Ltd.)에서 제조한 컬럼(SHODEX AD-806 M/S)을 사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측정 조건하에 미쓰비시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Mitsubishi Chemical Co. Ltd.)에서 제조한 교차 분별 장치(CFC T-150A)로 측정한다.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용융 유량(MFRpp)은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과 성형된 제품의 인성에 영향을 미친다.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용융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 유동 특성이 낮아져서 성형적성(成形適性)이 불량해진다.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용융 유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성형된 제품의 인성이낮아진다.
Cf값은 입체규칙성과 분자량 분포의 지표이다. 낮은 Cf값은 높은 입체규칙성과 좁은 분자량 분포를 제공하여 성형된 제품의 인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공중합체 성분(a)은, 위에서 언급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특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2단계중합 방법으로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는 데, 중합 단계(I)에서, 프로필렌을 단독중합시켜 위에서 언급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생성시키고, 중합 단계(II)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중합 단계(I)에서 생성된 폴리프로필렌의 존재하에 공중합시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생성시킨다.
프로필렌의 단독중합과 플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은 연속 공정으로 또는 배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화수소 용매(예: n-헥산, n-헵탄, n-옥탄, 벤젠, 톨루엔) 속에서 수행하는 슬러리 중합, 액화 프로필렌 속에서 수행하는 벌크 중합 및 기상중합(氣相重合)을 사용할 수 있다. 슬러리 중합이중합 단계(I)에서 사용되는 경우, 중합은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Figure pat00019
의 온도와 0 내지 5MPa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기상 중합의 경우, 중합은 20 내지 150
Figure pat00020
의 온도와 0.2 내지 5MPa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중합 단계(II)에서, 중합은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Figure pat00021
의 온도와 0 내지 5MPa의압력에서 수행된다.
프로필렌의 단독중합과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에 있어서, 수소는 분자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있다. 중합 단계(I)에서, 수소 농도를 높은 수준으로 조절하여 MFRpp이 높은 중합체를 생성시킨다. 중합단계(II)에서, 수소 농도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또는 수소가 없는 상태로 조절하여 MFRpp이 낮은 중합체를생성시킨다.
(b)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0041]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는 에틸렌을 25 내지 90중량% 함유하고 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올레핀이 공중합되어, 성형된 제품에 탄성, 특히 신도를 부여하는 공중합체 고무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성분(a) 내지 성분(d)의 예비 측정된 양을 리본 블렌더, 텀블링 혼합기, 헨쉘 혼합기(상표명) 및 슈퍼믹서 등을 사용하여 성분(e)의첨가제로서의 안정화제 및 착색제와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150 내지 300바람직하게는 180 내지250
Figure pat00024
의 용융 온도에서 롤 밀(roll mill), 밴버리 혼합기, 라보플라스토밀, 단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등으로 용융 혼련시킨 다음, 펠릿화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 사출 프레스 성형, 압출, 진공 형성 [0063] 및 프레스 형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 기술로 각종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성형 기술 중에서, 사출 성형과 사출 프레스 성형이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은 용융 유량이 25g/10분 이상으로 조절된수지 조성물로부터 목적하는 형태로 성형된 제품이다. 이들 성형된 제품은 실온에서의 굴곡 모듈러스(ASTM D 790에 따름) 2400MPa이상, 열변형온도(1820kPa 하중, ASTM D 648에 따름) 73
Figure pat00025
이상 및 실온에서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ASTM D
256에 따름) 300J/m 이상 등의,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성능을 충족시킨다.
4) 수지 조성물의 성형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실시예 1 내지 8에서 수득한 각각의 조성물의 펠릿을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MFR에 대해 측정한다. 이들 펠릿으로부터, 소정의 치수를 갖는 시험편을 210
Figure pat00026
의 성형온도와 40
Figure pat00027
의 성형온도에서 사출 성형시켜 성형시킨 다음, 평가 시험을 한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5) 평가 시험
(a) 굴곡 모듈러스(3점 굴곡 모듈러스)길이가 130mm이고 폭이 13mm이며 두께가 6.4mm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 790에 따라 23
Figure pat00028
의 조건하에굴곡 모듈러스를 측정하여 강성을 평가한다.
(b) 열변형온도(
Figure pat00029
길이가 130mm이고 폭이 13mm이며 두께가 6.4mm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 648에 따라 1820KPa의 하중조건하에 열변형온도를 측정하여 고온 강성을 평가한다.
(c) 인장 시험(MPa, %)[0178] 길이가 246mm이고 폭이 19mm이며 두께가 3.2mm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 638에 따라 23
Figure pat00030
의 조건하에파단 인장 신도와 항복점에서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d) 아이조드 충격 강도(J/m)
길이가 63.5mm이고 폭이 12.7mm이며 두께가 6.4mm인 시험편에 금을 긋고 ASTM D 256에 따라 23
Figure pat00031
의 조건하에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한다.
6) 평가 결과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 내지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동성이우수하고,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은 강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이들 특성은, 수지 조성물의경우, 25g/10분 이상의 MFR과, 성형된 제품의 경우, 2400MPa 이상의 실온에서의 굴곡 모듈러스, 73
Figure pat00032
이상의 열변형온도 및 300J/m 이상의 실온에서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포함하는데, 자동차 내부 트림 부품에요구되는 기본적인 특성을 만족시킨다.
대조적으로, 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은 강성과내충격성 사이의 균형이 불량하고, 특히 내충격성이 불량하며, 파단 인장 신도가 낮다. 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10중량% 이상 함유하는 비교실시예 4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실시예 5의 수지 조성물은 향상된 내충격성을 나타내지만, 현저하게 낮은 강성과 고온 강성을 나타낸다.
탈크를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비교실시예 6의 수지 조성물은 탈크를 다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감소된 유동성과 감소된 파단 인장 신도를 나타낸다.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1) 대신 통상적인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2)가 혼입되어 있는 비교실시예 7의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과 파단 인장 신도에 있어서 상당히 낮은 인성을 나타낸다.
장주기가 14nm 이상인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를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8의 수지 조성물은 상당히낮은 내충격성과 파단 인장 신도를 나타낸다.

Claims (3)

  1.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 50 내지 80중량%,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 5 내지 40중량%,수소화된 디엔 블록 공중합체(c) 1 내지 10중량% 및탈크(d)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조성물(a)은 용융 유량이10 내지 300g/10분이고 폴리프로필렌 성분 60 내지 95중량%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고,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용융 유량이 100 내지 1,000g/10분이고 Cf값이 0.5 이하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은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80중량%이고;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는에틸렌과 탄소수 4 이상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고 에틸렌 함량이 25 내지 90중량%이며 소각(小角) X-선 산란법으로 측정한 장주기가 6 내지 14nm인 폴리에틸렌 결정을 함유하며; 수소화 디엔 블록 공중합체(c)는 A-B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여기서, A 분획은 1,4-폴리부타디엔 블록이고, B 분획은 1,2-폴리부타디엔 블록, 폴리이소프렌 블록 또는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블록이다)이고, 불포화 결합의 85% 이상이 수소화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가, 소각 X-선 산란법으로 측정한 장주기가 8 내지 12nm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성분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고무, 에틸렌/1-부텐/1-헥센 공중합체 고무 등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수지 조성물.
KR1020220151683A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240070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83A KR20240070175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83A KR20240070175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175A true KR20240070175A (ko) 2024-05-21

Family

ID=9132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683A KR20240070175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1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294A (ja) 1982-08-27 1984-02-29 Hitachi Ltd 液体金属用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294A (ja) 1982-08-27 1984-02-29 Hitachi Ltd 液体金属用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6398B2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for interior automotive trim parts
AU76896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object thereof
US7446147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6147152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and interior automotive trim parts
US6239218B1 (e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and composition of the same
EP1477525B1 (en) Polyolefin composition
EP1428854A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JP38736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JP200709205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US659340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article thereof
EP1428853A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JP200312885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20240070175A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US6087429A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O1999011708A1 (fr) Compositions de resine de polyolefine
JP3238575B2 (ja) 自動車内装用樹脂組成物
JPH05247277A (ja) 耐衝撃性ポリオレフィン成形用組成物
JP3313485B2 (ja) 無機充填剤含有樹脂組成物
JP3729517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333825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8208908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3196547B2 (ja) ポリプロピレン複合組成物
JPH09124736A (ja) ポリプロピレン共重合体およびその組成物
JPH0987478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3690013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用改質剤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