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651A -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 - Google Patents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651A
KR20240068651A KR1020247009473A KR20247009473A KR20240068651A KR 20240068651 A KR20240068651 A KR 20240068651A KR 1020247009473 A KR1020247009473 A KR 1020247009473A KR 20247009473 A KR20247009473 A KR 20247009473A KR 20240068651 A KR20240068651 A KR 2024006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pellent
monomer
polymer
group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고미야마
마유 하나다
마사노리 가토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6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1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Abstract

(과제) 불소를 포함하지 않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우수한 발수성을 부여 가능한,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발수제용 중합체는, 식 (1) 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와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단량체 (a) 와 상기 단량체 (b) 의 질량비 ((a)/(b)) 가 100/0 ∼ 30/70 이다. (R1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0 또는 1 을 나타내고, Y 는 식 (2), 식 (3), 식 (4) 및 식 (5) 의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Description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
본 발명은,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피처리물이 우수한 발수성을 부여 가능한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함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가, 섬유, 피혁, 종이 등에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함불소 화합물의 환경에 대한 부하가 염려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함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우수한 발수성이 부여 가능한 비불소계의 표면 처리제가 요구되게 되었다.
비불소계의 표면 처리제로는, 장사슬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에는, 우레탄 구조와 장사슬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비불소계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천과 나일론천에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와 폴리디메틸실록산 구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비불소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료 조성물에 의해, 도막에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267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74831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비불소계 중합체는 우레탄 구조이기 때문에, 천연 섬유나 천연 피혁 등의 친수성의 기재에 대한 조막성이 부족하여, 충분한 발수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2 의 비불소계 중합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구조의 결정성이 낮기 때문에, 강우시와 같이 연속적으로 물이 살포되는 상황에서는, 물이 침투하기 쉬워, 실용성을 만족시키는 발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함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우수한 발수성을 부여 가능한,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1] ∼ [4] 에 관련된 것이다.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상기 단량체 (a) 에서 유래하는 상기 구성 단위와 상기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로서, 상기 단량체 (a) 와 상기 단량체 (b) 의 질량비 ((a)/(b)) 가 100/0 ∼ 3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용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0 또는 1 을 나타내고,
Y 는, 하기 식 (2), 식 (3), 식 (4) 및 식 (5) 의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구조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2] 상기 비닐 단량체 (b)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의 발수제용 중합체.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6),
R3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Z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2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n 은, Z 가 산소 원자인 경우는 1 을 나타내고, Z 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2 를 나타낸다.)
[3] [1] 또는 [2]의 발수제용 중합체와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 조성물.
[4] [1] 또는 [2] 의 발수제용 중합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 처리물.
본 발명에 의하면, 함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피처리물에 대하여 우수한 발수성을 부여 가능한,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 발수제 처리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수제용 중합체>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는, 대상물에 밀착되어, 막상이 되어 존재함으로써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중합체는, 식 (1) 로 나타내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비불소계의 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1 종의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불소계」란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단량체 (a)]
단량체 (a) 는, 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이다.
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지만, 중합 반응이 진행되기 쉬운 점에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식 (1) 중, R2 는,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측사슬의 결정화가 야기되고, 피처리물의 표면에서 알킬기가 정렬된 조밀한 막을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발수성을 발현할 수 있다.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로는, 탄소수 12 ∼ 24 의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지만, 발수성이 우수한 점과 공업적인 제조의 용이함에서, R2 의 탄소수는 12 ∼ 22 가 바람직하고, 18 ∼ 22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2 는 직사슬형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1) 중, A 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0 또는 1 을 나타낸다. A 의 탄소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4 이하가 바람직하다.
식 (1) 중, Y 는 식 (2), 식 (3), 식 (4) 및 식 (5) 의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의 구조이다.
단량체 (a) 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처리물에 대한 중합체의 조막성을 높일 수 있어, 우수한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발수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Y 로는 식 (2) 또는 식 (3) 의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단량체 (a) 는, 분자량이 355 ∼ 800 의 범위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량체 (a)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와 고리형 카보네이트기의 양방을 갖는 화합물과,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는, 발수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와,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적어도 1 종의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단량체 (b)]
비닐 단량체 (b) 는,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기 함유 단량체이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이나, (메트)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제외한 할로겐화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적어도 1 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단량체 (b) 로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화합물로는, 비닐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화합물이고, 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6) 중, R3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며, Z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이며, R4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22 의 탄화수소기이며, n 은, Z 가 산소 원자인 경우는 1 이며, Z 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2 이다.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비닐 단량체 (b) 로서 사용하는 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R4 가 치환기를 갖는 탄화수소기인 화합물과, R4 가 치환기를 갖지 않는 탄화수소기인 화합물을 각각 1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4 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R4 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22 의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 고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22 의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알킬기를 갖는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ert-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도코실,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지만, 발수성과 단량체 (a) 와 공중합하기 쉬운 점에서,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tert-부틸,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이다.
R4 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 고리형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3 ∼ 22 의 단고리형 또는 다고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1-아다만틸 등을 들 수 있지만, 발수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R4 에 있어서의 탄화수소기가 치환기를 갖는 경우, 그 치환기로는, 수산기, 에테르기, 에폭시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우레탄기, 우레아기, 비닐기, 아미노기, 오늄염기, 복소 고리형기, 아릴기, 오르가노실록시기, 폴리디메틸실록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치환기 중에서도, R4 는 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갖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갖는 탄화수소기 함유 단량체의 분자량으로는, 1,000 ∼ 3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기가 치환기를 갖는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모노(메트)아크릴산글리세롤, (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메트)아크릴산2-이소시아나토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염화트리메틸암모늄에틸,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페닐, 「플락셀 FM 시리즈」((주) 다이셀 제조,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의 ε-카프로락톤 부가체, 상품명), (메트)아크릴산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사일러플레인 FM-0721 (JNC (주) 제조,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매크로모노머 (분자량 5,000), 상품명)」, 「사일러플레인 FM-0725 (JNC (주) 제조,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매크로모노머 (분자량 10,000), 상품명)」, 「사일러플레인 FM-7721 (JNC (주) 제조,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2 관능 매크로모노머 (분자량 5,000), 상품명)」,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단량체 (b) 로서 사용하는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단량체 (b) 로서 사용하는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제외한 할로겐화비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요오드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단량체 (b) 로서 사용하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발수제용 중합체의 조성 비율>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에 있어서,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와,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의 질량비 (a)/(b) 는 100/0 ∼ 30/70 의 범위이다. 발수성, 혹은 각종 용매에 대한 용해성 관점에서 90/10 ∼ 30/70 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20 ∼ 50/50 이다. 당해 범위의 30/70 보다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가 작은 경우에는, 발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발수제용 중합체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체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 (a) 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혼합물을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과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는,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ert-헥실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시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2염산염, 과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단량체의 조합이나,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의한 중합 방법에서는, 중합 개시제 존재하, 각종 단량체를 임의의 용매에 용해시켜, 질소 치환 후, 가열 교반함으로써 중합할 수 있다.
유화 중합에 의한 중합 방법에서는, 중합 개시제 및 계면 활성제의 존재하, 각종 단량체를 물,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 유화시켜, 질소 치환 후, 가열 교반함으로써 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에 있어서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의 배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랜덤, 블록, 그래프트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중량 평균 분자량>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 2,000,000 의 범위로 하는 중합체인, 발수성이 양호한 점에서, 10,000 ∼ 1,900,00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 1,800,000 의 범위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 내이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피막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발수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발수제용 중합체는, 분자량을 조정할 목적으로서, 중합시에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는, 라우릴메르캅탄, ter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단량체의 조합이나,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발수제 조성물>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중합체와 액상 매체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발수제 조성물로 함으로써, 피처리물에 대하여 발수제용 중합체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상 매체로는, 중합체가 용해, 또는 분산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물,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n-헥산, 이소헥산, n-헵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이소파라핀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상 매체 중에서도, 피처리물의 질감이나 열화를 막을 수 있는 점에서,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n-헥산, 이소헥산, n-헵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지만, 특히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액상 매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발수제용 중합체와 액상 매체의 합계량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 중합체의 함유량을 0.1 ∼ 1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부로 한다.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 특히 표면 처리 조성물은, 중합체 및 액상 매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와 액상 매체의 합계량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 첨가제의 함유량은, 1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첨가제로는 상기 중합체 이외의 발수성을 부여 가능한 중합체, 가교제, 항균 방취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유연제, 주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직물, 의료 등을 처리하는 경우, 세탁에 의한 발수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경우에는,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메틸올멜라민, 이소시아네이트기, 블록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어도 1 종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를 피처리물에 부착시켜 가열 처리함으로써, 세탁 후에도 발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발수제 처리물>
본 발명의 중합체는, 피처리물에 대하여 발수성을 부여하여 발수제 처리물로 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피처리물로는, 예를 들어 면, 마, 견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합성 섬유, 천연 피혁, 합성 피혁, 모피, 종이, 나무, 이들의 혼합 섬유 및 이들에 의한 직물, 의료, 구두, 그 밖에 유리 섬유, 유리, 벽돌, 시멘트, 금속,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합성 섬유, 천연 섬유, 천연 피혁에 대하여 특히 높은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처리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코트, 바 코트, 딥 코트 등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을 피처리물에 도포시킨 후, 적당히 실온, 열처리 등으로 액상 매체를 휘발시켜,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시의 온도 조건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피처리물의 열에 의한 열화를 고려하여, 20 ℃ ∼ 200 ℃, 바람직하게는 5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 ∼ 15, 18 ∼ 25 에 관련된 발수제용 중합체의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또는 (a') 를, HUMA-2 ∼ 8, UMA 로서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우선,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500 mL 의 4 구 플라스크에 시클로헥산 230 g 을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다음에 표 1 에 기재된 「HUMA-1」(단량체 (a)) 30.5 g 과 시클로헥산 29 g 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용액과 tert-헥실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0.5 g 과 시클로헥산 10 g 으로 이루어지는 중합 개시제 용액을 각각 조제하였다. 반응 용기 내를 55 ℃ 까지 승온시키고, 단량체 용액 및 중합 개시제 용액을 동시에 각각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55 ℃ 에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70 ℃ 로 승온시키고, 추가로 2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얻었다.
표 2 에는 실시예 1 의 각 성분의 배합을 나타낸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중합체 중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와 그 밖에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의 질량비 ((a)/(b)) 는 100/0 이었다.
(실시예 2 ∼ 15, 18 ∼ 25)
실시예 2 ∼ 15, 18 ∼ 25 에서는, 단량체를 표 2 ∼ 4 에 기재된 종류 및 양으로 변경하였다. 각 단량체 (a) 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의 발수제용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6 ∼ 17 에 관련된 발수제용 중합체의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6)
우선,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500 mL 의 4 구 플라스크에, 표 1 에 기재된 「HUMA-2」(단량체 (a)) 52.5 g, 메타크릴산스테아릴 7.5 g, FM0725 (JNC (주) 제조,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매크로모노머) 15 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24 g, 물 193 g 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2 g, 폴리옥시에틸렌이소데실에테르 2 g,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 g 으로 이루어지는 유화제 혼합물을 주입하여, 60 ℃ 에서 혼합 교반 후, 초음파 조사에 의해 유화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질소 분위기하, 라우릴메르캅탄 0.1 g 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2염산염 0.3 g 을 분산액에 첨가하여, 60 ℃ 에서 6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계 분산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7 에서는, 라우릴메르캅탄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의 발수제용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4)
비교예 1 ∼ 4 에서는, 단량체를 표 5 에 기재된 종류 및 양으로 변경하였다. 단, 각 단량체 (a) 의 배합은 표 1 에 나타낸다. 이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비교예의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25,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GPC 시스템으로서 TOSOH HLC-8320GPC 를 이용하고, 칼럼으로서 TOSOH TSKgel Super Multipore HZ-M 을 2 개와, TOSOH TSKgel Super H-RC 를 1 개 연속 장착하여, 칼럼 온도를 40 ℃ 로 하고, 기준 물질을 폴리스티렌으로 하고, 전개 용제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하고, 전개 용제는, 1 ml/분의 유속으로 흐르게 하고, 샘플 농도 0.1 질량% 의 샘플 용액 0.1 ml 를 주입하고, EcoSEC-Work Station GPC 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 제작)
평가 기재로서, 폴리에스테르천, 면포 및 소가죽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각 실시예 1 ∼ 15, 18 ∼ 25 및 각 비교예 1 ∼ 4 에 관련된 중합체를, 액상 매체로서 시클로헥산으로 희석하여 농도 2.0 질량% 의 용액 (발수제 조성물) 을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태피터천 및 면포에 대해서는, 각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도포하고, 150 ℃ 에서 3 분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시험편 (발수제 처리물) 을 제작하였다. 소가죽에 대해서는,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각 용액을 분무함으로써 도포하고, 그 후, 실온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시험편 (발수제 처리물) 을 제작하였다.
상기의 각 실시예 16 ∼ 17 에 관련된 중합체를, 액상 매체로서 물로 희석하여 농도 2.0 질량% 의 분산액 (발수제 조성물) 을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태피터천 및 면포에 대해서는, 각 분산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도포하고, 150 ℃ 에서 3 분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시험편 (발수제 처리물) 을 제작하였다. 소가죽에 대해서는,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각 분산액을 분무함으로써 도포하고, 그 후, 실온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시험편 (발수제 처리물) 을 제작하였다.
(발수성 시험)
각 시험편의 발수성은, JIS L 1092 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시험기에는 스프레이·테스터 AW-5 (인텍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을 시험기에 장착하여, 250 mL 의 물을 살포하였다. 살포 후의 시험편의 습윤 상태를 표 6 에 나타내는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수치가 높을수록, 발수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발수성의 목표값은, 폴리에스테르천은 4 이상, 친수성이 높아 발수성의 부여가 곤란한 면포 및 소가죽은 3 이상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
표 2 ∼ 4 는 실시예 1 ∼ 25 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표 5 는 비교예 1 ∼ 4 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7
단, 표 1 의 비교 단량체 (a') 에서 사용한 식 (7), 식 (8) 의 치환기는 이하와 같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8
[화학식 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표 2 ∼ 표 5 에 나타내는 약어는 이하와 같다.
SMA : 메타크릴산스테아릴
nBMA : 메타크릴산n-부틸
tBMA : 메타크릴산tert-부틸
CHMA :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IBOMA :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FM0721 : JNC 제조 사일러플레인 FM0721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매크로모노머 분자량 5,000)
FM0725 : JNC 제조 사일러플레인 FM0721 (폴리디메틸실록산기 함유 매크로모노머 분자량 10,000)
BzMA : 메타크릴산벤질
PME400 : 메타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9)
HEMA :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GMA : 메타크릴산글리시딜
MOI : 메타크릴산2-이소시아나토에틸
N-MAM :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DAAM :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Figure pct00014
표 2 ∼ 4 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25 는, 다양한 기재에 대하여, 우수한 발수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표 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 4 에서는, 발수성이 불충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 에서는, 중합체의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가 과소하기 때문에, 발수성이 열등하였다.
비교예 2 ∼ 4 에서는, 중합체가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수성이 열등하였다.

Claims (4)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단량체 (a)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 또는 상기 단량체 (a) 에서 유래하는 상기 구성 단위와 상기 단량체 (a) 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 (b)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로서, 상기 단량체 (a) 와 상기 단량체 (b) 의 질량비 ((a)/(b)) 가 100/0 ∼ 3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용 중합체.
    Figure pct00015

    (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2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는 0 또는 1 을 나타내고,
    Y 는, 하기 식 (2), 식 (3), 식 (4) 및 식 (5) 의 하이드록시우레탄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구조이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단량체 (b)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용 중합체.
    Figure pct00020

    (식 (6) 중,
    R3 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고,
    Z 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2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n 은, Z 가 산소 원자인 경우는 1 을 나타내고, Z 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2 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수제용 중합체와 액상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수제용 중합체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제 처리물.
KR1020247009473A 2021-09-30 2022-09-28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 KR20240068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0377 2021-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651A true KR20240068651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5828B (zh) 水性聚合物分散组合物和拨水拨油剂
JP5310550B2 (ja) 防汚加工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加工物品
US8557939B2 (en) Antifouling composition,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article treated therewith
US6979711B2 (en) Fluorine efficient finishes for textiles
CN101835868A (zh) 拒水拒油剂
CN102666971A (zh) 含氟聚合物和处理剂
CN112823170B (zh) 含氟聚合物和表面处理剂
US20200010691A1 (en) Oil-repellent composition
US20140343207A1 (en) Fluorinated copolym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water/oil repellent composition
KR20090026199A (ko) 반발성을 제공하는 방법
WO2013058336A1 (ja) 含フッ素組成物および表面処理剤
WO2013115197A1 (ja) 含フッ素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撥水撥油剤組成物
CN110761074B (zh) 一种环保低温型拒水拒油组合物
JP2021014482A (ja) 撥水性重合体および撥水剤組成物
KR20240068651A (ko) 발수제용 중합체, 발수제 조성물 및 발수제 처리물
WO2023119695A1 (ja) スリップ防止効果のある撥水性有機微粒子
JP2022103124A (ja) 耐水圧向上効果のある撥水性有機微粒子
JP7352810B2 (ja) 含フッ素重合体、塗料組成物、塗装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塗装物品
WO2023054428A1 (ja) 撥水剤用重合体、撥水剤組成物および撥水剤処理物
JP2023145051A (ja) 撥水撥油剤用重合体、撥水撥油剤組成物および撥水撥油剤処理物
JP2024062488A (ja) 撥水剤組成物、撥水剤および撥水剤処理物
US20060074188A1 (en) Fluorine efficient finishes for textiles
JP2023122778A (ja) 含フッ素共重合体および皮革処理組成物
JPH0641520A (ja) 防汚加工剤組成物
WO2022102568A1 (ja) 共重合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