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713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713A
KR20240064713A KR1020247013071A KR20247013071A KR20240064713A KR 20240064713 A KR20240064713 A KR 20240064713A KR 1020247013071 A KR1020247013071 A KR 1020247013071A KR 20247013071 A KR20247013071 A KR 20247013071A KR 20240064713 A KR20240064713 A KR 20240064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rime mover
driver
co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야 스미노
도모유키 다나카
다카시 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24006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71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은, 엔진(7)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와 운전석(10)과의 사이에 마련되며, 운전석(10)을 원동기 커버(9)의 상측에 고정하는 시트 베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 베이스(11)의 베이스판(12)은, 운전석(10)에 장착되는 운전석 고정부로서의 4개의 나사 구멍(12F)과, 원동기 커버(9)에 장착되는 원동기 커버 고정부로서의 6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베이스판(12)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은, 나사 구멍(12F)보다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 베이스(11)는, 운전석(10)을 장착하기 전에, 원동기 커버(9)에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원동기를 덮는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운전석이 마련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 중,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초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에 있어서의 기기류의 설치 스페이스가 작게 제한되어 있다. 초소형의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된 엔진 등의 원동기와, 원동기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와,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마련되며,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을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여기서, 원동기 커버는,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비용을 삭감하거나 하기 위해, 예를 들면, 얇은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은, 예를 들면, 복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원동기 커버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9-5621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유압 셔블은, 복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운전석을 원동기 커버 상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원동기 커버의 운전석을 장착하는 부분에는, 운전석이나 운전석에 착좌하는 오퍼레이터의 중량 등에 따라 부하가 가해진다. 그리고, 운전석을 원동기 커버 상에 장착하는 볼트의 배치는, 스패너 등의 나사 체결 공구가 닿는 위치가 되도록, 운전석의 형상 사양에 의거하여, 운전석의 주위에 집중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원동기 커버의 일부에 부하가 집중되어 버려, 원동기 커버가 변형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동기 커버의 일부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동기 커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와,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마련된 운전석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면부와 상기 운전석과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을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고정하는 시트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는, 상기 운전석에 장착되는 운전석 고정부와, 상기 원동기 커버에 장착되는 원동기 커버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기 원동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운전석 고정부보다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기 커버의 일부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동기 커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유압 셔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원동기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작업 장치와 롤 바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운전석을 최전(最前) 위치로 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도 3과 마찬가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운전석을 최후(最後) 위치로 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도 3과 마찬가지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시트 베이스에 안전 벨트, 그리스(Grease) 건, 컵 홀더를 장착한 상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에서 본 유압 셔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부 선회체의 후부(後部)를 원동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원동기 커버와 시트 베이스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시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시트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시트 베이스의 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건설 기계의 실시 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자주가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회전 운동과 요동이 가능한 스윙식의 작업 장치(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건물의 내부에서의 해체 작업, 골목길 등의 좁은 장소에서의 굴삭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예를 들면 기계 중량(총 중량)이 1톤 정도의 초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기종이다.
상부 선회체(3)는, 선회 프레임(5), 엔진(7), 원동기 커버(9), 운전석(10), 시트 베이스(11), 안전 벨트(19, 20), 그리스 건(21), 컵 홀더(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한 금속제의 후판(厚板)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5A)과, 바닥판(5A)의 전부(前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지지부(5B)와, 바닥판(5A)의 후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카운터 웨이트(5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5B)는, 작업 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5C)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중량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5C)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원동기 커버(9)의 연결 부재(9F)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9F)를 개재하여 카운터 웨이트(5C)의 상부에 원동기 커버(9)를 개폐 가능(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카운터 웨이트(5C))의 후측에는, 후술의 롤 바(27)가 장착되어 있다.
측면 커버(6)는, 선회 프레임(5)의 바닥판(5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측면 커버(6)는, 카운터 웨이트(5C)와 동등한 높이 치수를 가지고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6)는, 후측이 개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엔진(7)은, 원동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엔진(7)은, 카운터 웨이트(5C)의 전측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배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엔진(7)은, 유압 펌프(8)(도 8 참조)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원동기로서는, 엔진과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식의 원동기, 또는 전동 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원동기 커버(9)는, 엔진(7)을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원동기 커버(9)는,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식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동기 커버(9)는, 전면부(9A), 후면부(9B), 좌면부(座面部)(9C), 우면부(9D) 및 상면부(9E)에 의해 하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부(9A)의 하측 부분은, 원동기 커버(9)의 최전부(最前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전면(9A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는, 완만하게 만곡하면서 전측이 내려가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부(9B)의 하부에는, 개폐할 때의 지지점이 되는 연결 부재(9F)가 마련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9)는, 이 연결 부재(9F)를 개재하여 카운터 웨이트(5C)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전면부(9A)에는, 개폐 레버(9G)가 마련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9)는, 개폐 레버(9G)를 조작함으로써 선회 프레임(5)측의 구조물에 대한 연결(록)이 해제되어 개방할 수 있다(상측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9E)의 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브래킷(9H)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9H)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예를 들면, 2개의 나사 구멍(9J)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9E)의 후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예를 들면, 4개의 나사 구멍(9K)이 마련되어 있다. 전측의 나사 구멍(9J)에는, 시트 베이스(11)의 전부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13)가 나사 장착된다. 한편, 후측의 나사 구멍(9K)에는, 시트 베이스(11)의 후부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13)가 나사 장착된다.
여기서, 상면부(9E)에 마련된 6개의 나사 구멍(9J, 9K)은, 상면부(9E)의 넓은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6개의 나사 구멍(9J, 9K)은, 볼트(13)를 이용하여 시트 베이스(11)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당해 시트 베이스(1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나사 구멍(9J) 또는 나사 구멍(9K)에 부하가 작용했다고 해도, 이 부하를 다른 5개의 나사 구멍(9J, 9K)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동기 커버(9)는, 내구성(운전석(10)을 싣는데 필요한 강도)을 유지하면서, 저렴하고 경량인 얇은 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운전석(10)은, 원동기 커버(9)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운전석(10)은, 시트 베이스(11)를 개재하여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장착되어 있다. 운전석(10)은, 오퍼레이터의 체형이나 조작 자세에 따라 착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전석(10)은, 슬라이드 기구(10A)와, 슬라이드 기구(10A) 상에 장착된 좌부(座部)(10B)와, 좌부(10B)의 후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부(10C)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10A)는, 오퍼레이터의 착좌 위치, 즉, 좌부(10B)와 등받이부(10C)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10A)는, 시트 베이스(11)(원동기 커버(9))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 상에 마련된 이동부와, 고정부와 이동부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부 상에서 이동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레일과, 이동부의 전측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이동부의 이동과 고정을 전환하는 레버부(10A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운전석(10)은, 슬라이드 기구(10A)에 의해 중량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운전석(10)을 장착하는 대상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진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기구(10A)의 레버부(10A1)는, 상측으로 인상됨으로써, 좌부(10B)(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레버부(10A1)는, 하측으로 내려짐으로써, 좌부(10B)(이동부)의 이동을 규제하여 착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운전석(10)은, 슬라이드 기구(10A)의 하측의 고정부가 시트 베이스(11)의 상면에 얹어지고, 이 상태에서, 고정부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한 볼트(모두 도시 생략)를 시트 베이스(11)의 베이스판(12)에 마련된 나사 구멍(12F)에 나사 장착한다. 이에 따라, 운전석(10)은, 시트 베이스(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착좌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10)의 좌부(10B) 및 등받이부(10C)는, 슬라이드 기구(10A)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최전 위치, 도 5에 나타내는 최후 위치 및 최전 위치와 최후 위치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도 3 참조)로 이동 가능, 또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이 되는 시트 베이스(11)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베이스(11)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와 운전석(10)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트 베이스(11)는, 운전석(10)을 원동기 커버(9)의 상측에 고정한다. 시트 베이스(11)는, 베이스판(12), 손잡이(14), 안전 벨트 장착부(15, 16), 그리스 건 장착부(17), 컵 홀더 장착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은, 각(角) 프레임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중판부(12A)와, 중판부(12A)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굴곡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전판부(12B)와, 중판부(12A)의 후측에 위치하여 중판부(12A)보다 좌우 방향으로 크게 연장된 후판부(12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12B)에는, 원동기 커버(9)의 브래킷(9H)에 마련된 2개의 나사 구멍(9J)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동기 커버 고정부로서의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판부(12C)에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마련된 4개의 나사 구멍(9K)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동기 커버 고정부로서의 4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E)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12)에는, 중판부(12A)의 네 모퉁이 가까이에 위치하여 운전석 고정부로서의 4개의 나사 구멍(12F)이 마련되어 있다. 4개의 나사 구멍(12F)에는, 운전석(10)의 슬라이드 기구(10A)에 마련된 4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한 볼트(모두 도시 생략)가 나사 장착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은,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측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에 전측으로부터 볼트(13)를 삽입 통과하고, 이 볼트(13)를 원동기 커버(9)의 나사 구멍(9J)에 나사 장착한다. 또한, 후측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E)에 상측으로부터 볼트(13)를 삽입 통과하고, 이 볼트(13)를 원동기 커버(9)의 나사 구멍(9K)에 나사 장착한다. 이에 따라, 시트 베이스(11)를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2)에는, 운전석(10)(슬라이드 기구(10A))이 얹어지고, 슬라이드 기구(10A)의 고정부에 마련된 4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한 볼트가 나사 구멍(12F)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시트 베이스(11)에는, 운전석(10)(슬라이드 기구(10A))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판(12)은, 원동기 커버(9)와 별도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원동기 커버(9)를 형성하는 강판보다 높은 강도, 예를 들면, 판 두께를 두껍게(판 두께 치수를 크게) 하거나, 고강도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판(12)은, 4개의 나사 구멍(12F)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배치된 6개소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에서,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판(12)은, 운전석(10)으로부터의 부하나 안전 벨트(19, 20)가 잡아당겨졌을 때의 부하가 1개소에 작용해도, 이 부하를 광범위한 6개소에 분산된 상태로 원동기 커버(9)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2)은, 전측을 장착하는 볼트(13)를 옆으로 눕혀(축선이 가로 방향), 전측으로부터 나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트(13)는, 운전석(10)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돌릴 수 있어, 베이스판(12)의 착탈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손잡이(14)는, 베이스판(12)의 좌우 양측에 대칭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손잡이(14)는, 좌우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원동기 커버(9)를 개폐 조작할 때에 잡을 수 있다. 손잡이(14)는, 베이스판(12)의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부터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손잡이(14)는, 원동기 커버(9)를 개폐할 때의 지지점이 되는 후측의 연결 부재(9F)로부터 크게 떨어진 원동기 커버(9)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동기 커버(9)를 개폐할 때에는,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손잡이(14)를 잡을 수 있고, 원동기 커버(9)를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주행 중에 흔들린 경우, 손잡이(14)를 잡음으로써 신체(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14)는, 원동기 커버(9)의 전면부(9A)의 전면(9A1)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14)는, 운전석(10)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다리(장딴지 등)가 부주의하게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14)는, 운전석(10)의 좌부(10B)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베이스판(12)의 중판부(12A)로부터 상 방향으로 돌출된 브래킷(14A)과, 브래킷(14A)의 상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 방향을 향하는 바(14B)와, 외측 방향 바(14B)의 선단부(외측의 단부)로부터 굴곡하여 전측으로 연장된 외측 파지부(14C)와, 외측 파지부(14C)의 선단부(전단부)로부터 굴곡하여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베이스판(12)의 전판부(12B)에 도달한 전측 파지부(14D)와, 전측 파지부(14D)의 선단부로부터 굴곡하여 후측으로 연장되고, 전판부(12B)에 장착된 장착 바(14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파지부(14C)는, 시트 베이스(11)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파지부(14C)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를 따르도록, 전측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예를 들면, 장갑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당해 외측 파지부(14C)와 상면부(9E)와의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도록, 외측 파지부(14C)는, 상면부(9E)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측 파지부(14C)는, 운전석(10)의 좌부(10B)에 걸터앉을 때, 일어설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좌부(10B)의 좌면(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파지부(14C)는, 전측을 향해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외측 파지부(14C)는, 오퍼레이터의 다리에 가까운 전측 위치의 돌출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운전석(10)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원동기 커버(9)에 가까운 위치에 둔 경우에도, 다리와 외측 파지부(14C)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측 파지부(14D)는, 시트 베이스(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파지부(14D)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슬라이드 기구(10A)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한 운전석(10)(슬라이드 기구(10A)의 이동부, 좌부(10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석(10)을, 도 3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 도 4에 나타내는 최전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운전석(10)이 전측 파지부(14D)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장착 바(14E)(전측 파지부(14D)의 선단)는, 슬라이드 기구(10A)의 레버부(10A1)를 사이에 끼우고, 좌우 방향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좌우의 장착 바(14E)는, 운전석(10)을, 도 3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 도 4에 나타내는 최전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슬라이드 기구(10A)의 레버부(10A1)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 베이스(11)에는, 추가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베이스(11)에는, 후술의 안전 벨트(19, 20)를 장착하기 위한 안전 벨트 장착부(15, 16), 그리스 건(21)을 장착하기 위한 그리스 건 장착부(17), 컵 홀더(22)를 장착하기 위한 컵 홀더 장착부(18)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안전 벨트 장착부(15, 16)는, 베이스판(12)의 후판부(12C)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안전 벨트 장착부(15, 16)는, L자 형상으로 굴곡진 판체로 이루어지고, 하측 가장자리가 후판부(12C)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안전 벨트 장착부(15, 16) 중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면에는, 나사 구멍(15A, 16A)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의 안전 벨트 장착부(15)에는, 좌측의 안전 벨트(19)의 기부(基部)(19A)에 삽입 통과시킨 볼트를 나사 구멍(15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기부(19A)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안전 벨트 장착부(16)에는, 우측의 안전 벨트(20)의 기부(20A)에 삽입 통과시킨 볼트를 나사 구멍(16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기부(20A)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유럽의 규격에서는, 초소형의 유압 셔블에도 안전 벨트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안전 벨트는, 운전석 이외, 예를 들면 원동기 커버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다가, 유럽의 규격에서는, 안전 벨트의 장착 강도는, 안전 벨트를 15000N의 힘으로 잡아당겨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원동기 커버(9)는, 얇은 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 벨트(19, 20)를 원동기 커버(9)에 직접 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에서는, 1개소의 볼트 고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15000N의 힘을 견디어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안전 벨트 장착부(15, 16)는, 강도를 구비한 시트 베이스(11)에 장착되고, 이 시트 베이스(11)를 개재하여 원동기 커버(9)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 벨트(19, 20)가 잡아당겨져 안전 벨트 장착부(15, 16)에 작용하는 부하는, 시트 베이스(11)를 개재하여 광범위하게 분산시킨 상태에서 원동기 커버(9)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스 건 장착부(17)는, 베이스판(12)의 후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스 건 장착부(17)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면에 복수개, 예를 들면, 2개의 나사 구멍(17A)이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다. 그리스 건 장착부(17)에는, 그리스 건 홀더(21A)에 삽입 통과시킨 볼트를 나사 구멍(17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그리스 건 홀더(21A)(그리스 건(21))가 장착되어 있다.
컵 홀더 장착부(18)는, 우측의 손잡이(14)에 마련되어 있다. 컵 홀더 장착부(18)는, 외측 방향 바(14B)의 선단측에 고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 장착부(18)의 상측에는, 컵 홀더(22)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도시 생략)가 나사 장착되는 나사 구멍(18A)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의 안전 벨트(19)는, 좌측의 안전 벨트 장착부(15)에 장착되어 있다. 좌측의 안전 벨트(19)는, 기부(19A)에 삽입 통과된 볼트가 안전 벨트 장착부(15)의 나사 구멍(15A)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안전 벨트 장착부(1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안전 벨트(20)는, 우측의 안전 벨트 장착부(16)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의 안전 벨트(20)는, 기부(20A)에 삽입 통과된 볼트가 안전 벨트 장착부(16)의 나사 구멍(16A)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안전 벨트 장착부(16)에 장착되어 있다. 좌측의 안전 벨트(19)와 우측의 안전 벨트(20)는, 운전석(10)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배 주변에서 연결됨으로써, 오퍼레이터를 운전석(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스 건(21)은, 시트 베이스(11)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스 건(21)은, 유압 셔블(1)의 급유 개소에 윤활제로서의 그리스를 충전하기 위한 공구이다. 그리스 건(21)은, 그리스 건 홀더(21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스 건 홀더(21A)는, 그리스 건 장착부(17) 상에 재치된다. 이 상태에서, 그리스 건 홀더(21A)는, 삽입 통과된 볼트를 나사 구멍(17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그리스 건 장착부(17)에 장착되어 있다.
컵 홀더(22)는, 시트 베이스(11)의 우측의 손잡이(14)에 마련되어 있다. 컵 홀더(22)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음료의 용기를 넣을 수 있다. 컵 홀더(22)는, 당해 컵 홀더(22)의 측부에 삽입 통과된 볼트를 컵 홀더 장착부(18)의 나사 구멍(18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컵 홀더 장착부(18)에 장착되어 있다.
플로어(23)는, 원동기 커버(9)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레버 스탠드(24)는, 플로어(23)의 전부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레버 스탠드(24)의 상부에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25)와 작업용의 조작 레버(26)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바(27)는, 선회 프레임(5)의 카운터 웨이트(5C)의 후측에 장착되어 있다. 롤 바(27)는, 운전석(10)에 앉은 오퍼레이터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 역(逆)U자 형상의 강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롤 바(27)는, 구조물이 낙하해 오거나, 유압 셔블(1)이 상하 반전하거나 하였을 때에, 오퍼레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바(27)는, 원동기 커버(9)를 개방할 때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퇴피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는, 플로어(23) 위에 탑승하고, 운전석(10)에 착좌한다. 이 때에, 오퍼레이터는, 슬라이드 기구(10A)의 레버부(10A1)를 조작함으로써, 좌부(10B)의 위치를 기호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운전석(10)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면, 오퍼레이터는, 안전 벨트(19)와 안전 벨트(20)를 연결한다.
운전석(10)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는, 레버 스탠드(24)의 주행용의 조작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는, 작업용의 조작 레버(26)를 조작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거나, 작업 장치(4)를 회전 운동시키거나 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7)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는, 롤 바(27)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개폐 레버(9G)를 조작하여 록을 해제하고, 손잡이(14)를 잡고 원동기 커버(9)를 들어 올린다. 이 때에, 손잡이(14)는, 원동기 커버(9)의 회전 운동 지지점이 되는 연결 부재(9F)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간단히 원동기 커버(9)를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다. 원동기 커버(9)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엔진(7)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엔진(7) 등의 메인터넌스가 종료되면, 원동기 커버(9)를 닫고, 롤 바(27)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엔진(7)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와 운전석(10)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운전석(10)을 원동기 커버(9)의 상측에 고정하는 시트 베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 베이스(11)의 베이스판(12)은, 운전석(10)에 장착되는 운전석 고정부로서의 4개의 나사 구멍(12F)과, 원동기 커버(9)에 장착되는 원동기 커버 고정부로서의 6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베이스판(12)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은, 나사 구멍(12F)보다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원동기 커버 고정부로서의 6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D, 12E)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의 면적은, 운전석 고정부로서의 4개의 나사 구멍(12F)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 베이스(11)는, 운전석(10)을 장착하기 전에, 원동기 커버(9)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운전석(1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스패너, 소켓 렌치 등의 나사 체결 공구가 닿지 않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안전 벨트 장착부(15, 16)의 내측에도, 원동기 커버(9)에 대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볼트 고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를 원동기 커버(9)의 광범위에 걸쳐 복수개소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석(10)에서부터 시트 베이스(11)에 작용한 부하는, 시트 베이스(11)에 의해 복수개소의 장착 위치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원동기 커버(9)의 일부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동기 커버(9)의 강도를 낮게 억제한 상태에서도, 원동기 커버(9)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10)은, 착좌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10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석(10)의 중량이 보다 커져, 운전석(10)의 장착 부분에 가해지는 부하가 더 커진다. 이 경우에도, 원동기 커버(9)와 운전석(10)과의 사이에 시트 베이스(11)를 개재시킨 장착 구조에서는, 원동기 커버(9)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하여 원동기 커버(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원동기 커버(9)와 운전석(10)과의 사이에 시트 베이스(11)를 배치한 구성에서는, 운전석(10)의 사양이 상이한 경우에도, 원동기 커버(9)에 대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대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는, 변형되기 쉬운 상면부(9E)의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부하가 가해졌을 때의 지지점(변형의 기점)이 되는 원동기 커버의 휨 가공 부분의 근방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 중, 전면부(9A), 후면부(9B), 좌면부(9C), 우면부(9D)와의 사이의 휨 가공 부분(능선 부분)의 가까이에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는, 작용점과 지지점의 거리가 짧아져, 동일한 부하에 대한 휨 모멘트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원동기 커버(9)는, 휨 가공 부분의 가까이에 나사 구멍(9J, 9K)을 마련함으로써,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 부하에 대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시트 베이스(11)에는, 원동기 커버(9)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1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14)를 잡음으로써, 원동기 커버(9)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에 흔들린 경우에도, 손잡이(14)를 잡음으로써 신체(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베이스(11)에 손잡이(14)을 마련한 구성에서는, 원동기 커버에 손잡이를 직접적으로 마련한 구성과 비교하여, 손잡이(14)를 잡고 원동기 커버(9)를 개폐 조작할 때에 원동기 커버(9)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기 때문에, 원동기 커버(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원동기 커버(9)는,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식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손잡이(14)는, 시트 베이스(11)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파지부(14C)와, 시트 베이스(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전측 파지부(14D)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14)는, 유압 셔블(1)의 좌우의 어느 쪽에서도 잡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14)는, 전측에서도 잡을 수 있다.
손잡이(14)는, 원동기 커버(9)의 전면부(9A)의 전면(9A1)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14)는, 운전석(10)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다리(장딴지 등)가 부주의하게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석(10)은, 착좌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10A)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손잡이(14)의 전측 파지부(14D)는,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슬라이드 기구(10A)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한 운전석(10)(슬라이드 기구(10A)의 이동부, 좌부(10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14)의 전측 파지부(14D)는, 슬라이드 기구(10A)에 의해 운전석(10)을 전측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운전석(10)(슬라이드 기구(10A)의 이동부, 좌부(10B))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시트 베이스(11)에는, 안전 벨트 장착부(15, 16), 그리스 건 장착부(17), 컵 홀더 장착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베이스(11)에는, 안전 벨트 장착부(15, 16)를 이용하여 안전 벨트(19, 2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스 건 장착부(17)를 이용하여 그리스 건(21)을 장착할 수 있다. 컵 홀더 장착부(18)를 이용하여 컵 홀더(22)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볼트(13)를 이용하여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시트 베이스(11)를 장착하고, 4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시트 베이스(11)에 운전석(10)의 슬라이드 기구(10A)를 장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5개 또는 7개 이상의 볼트(13)를 이용하여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시트 베이스(11)를 장착하고,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시트 베이스(11)에 운전석(10)의 슬라이드 기구(10A)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대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를, 전면부(9A), 후면부(9B), 좌면부(9C), 우면부(9D)에 가까운 안전 벨트 장착부(15, 16)의 내측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동기 커버(9)의 상면부(9E)에 대한 시트 베이스(11)의 장착 위치를, 운전석(10)의 하측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기 커버(9)의 후부를 선회 프레임(5)의 카운터 웨이트(5C) 상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원동기 커버(9)의 전부,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차체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5 선회 프레임
7 엔진(원동기)
9 원동기 커버
9A 전면부
9A1 전면
9E 상면부
9F 연결 부재(지지점)
10 운전석
10A 슬라이드 기구
11 시트 베이스
12 베이스판
12D, 12E 볼트 삽입 통과 구멍(원동기 커버 고정부)
12F 나사 구멍(운전석 고정부)
14 손잡이
14C 외측 파지부
14D 전측 파지부
15, 16 안전 벨트 장착부(장착부)
17 그리스 건 장착부(장착부)
18 컵 홀더 장착부(장착부)
19, 20 안전 벨트(추가 부품)
21 그리스 건(추가 부품)
22 컵 홀더(추가 부품)

Claims (6)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된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와,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마련된 운전석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면부와 상기 운전석과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을 상기 원동기 커버의 상측에 고정하는 시트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는,
    상기 운전석에 장착되는 운전석 고정부와,
    상기 원동기 커버에 장착되는 원동기 커버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베이스의 상기 원동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운전석 고정부보다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에는, 상기 원동기 커버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 커버는,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식 커버로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시트 베이스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파지부와, 상기 시트 베이스의 전측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전측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원동기 커버의 전면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착좌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전측 파지부는,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한 상기 운전석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베이스에는, 추가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47013071A 2022-03-25 2023-02-23 건설 기계 KR20240064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9888 2022-03-25
JPJP-P-2022-049888 2022-03-25
PCT/JP2023/006607 WO2023181775A1 (ja) 2022-03-25 2023-02-23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713A true KR20240064713A (ko) 2024-05-13

Family

ID=8810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071A KR20240064713A (ko) 2022-03-25 2023-02-23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4713A (ko)
WO (1) WO20231817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6219A (ja) 2017-09-20 2019-04-1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6360B2 (ja) * 2000-08-24 2009-04-02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JP2006077496A (ja) * 2004-09-10 2006-03-2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用車両におけるパーキングレバーの配設構造
JP4546422B2 (ja) * 2006-06-27 2010-09-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118289B2 (ja) * 2013-09-24 2017-04-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建設機械のオペレータ用シート構造体
JP5997191B2 (ja) * 2014-01-24 2016-09-2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155226B2 (ja) * 2014-05-22 2017-06-28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6219A (ja) 2017-09-20 2019-04-1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1775A1 (ja)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912B2 (ja) 産業車両
JP4544121B2 (ja) 建設機械
KR100632884B1 (ko) 건설 기계
WO2009157230A1 (ja) ローダ作業機
KR20070059988A (ko) 작업 차량 및 스키드 스티어 로더
JP4286183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240064713A (ko) 건설 기계
US11976443B2 (en) Working machine
JP4814709B2 (ja) 建設機械
JP2020159038A (ja) 建設機械の手摺り構造
EP1327546B1 (en) Cabin with link type door
EP3575500B1 (en) Small hydraulic shovel
JP6867326B2 (ja) 建設機械
KR101607540B1 (ko)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CN113728140A (zh) 作业车辆
JP6567453B2 (ja) 建設機械
JP6810085B2 (ja) 建設機械
KR20200005762A (ko)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JP2001348911A (ja) 旋回作業機
US11849667B2 (en) Magnetic panel for utility vehicle
KR101345223B1 (ko)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JP2019138005A (ja) 作業車両
JP6722152B2 (ja) 建設機械
JP4291212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0255460A (ja) トラクタ後上部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