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23B1 -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23B1
KR101345223B1 KR1020110115977A KR20110115977A KR101345223B1 KR 101345223 B1 KR101345223 B1 KR 101345223B1 KR 1020110115977 A KR1020110115977 A KR 1020110115977A KR 20110115977 A KR20110115977 A KR 20110115977A KR 101345223 B1 KR101345223 B1 KR 10134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eavy equipment
link plate
le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752A (ko
Inventor
임국건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임국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건 filed Critical 임국건
Priority to KR102011011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23B1/ko
Priority to CN201210159591.8A priority patent/CN103088865B/zh
Publication of KR2013005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작레버를 가지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의 구조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가지는 컨트롤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바의 상하 이동을 위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지지하면서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운동시키는 링크플레이트; 상기 링크플레이트를 회동시키도록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운전자의 인체 피로도 증가를 억제하고,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작레버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 height adjusting device of operating lever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작레버를 가지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중장비에 활용이 가능하며, 굴착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중장비는 건설 및 토목 공사의 현장에 사용되는 중량이 큰 기계를 통칭하는 용어로써, 대표적으로 굴착기나 로더 등이 있다.
중장비 중 굴착기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방향의 선회가 가능한 상부회전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회전체의 이동을 위한 하부이동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체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전체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면서 운전자의 운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과 다양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실 등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이동체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 형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업체는 상기 상부회전체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과, 상기 암의 끝 부분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운전실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운전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운전실의 내부 공간으로 운전자가 이동한 후 운전자는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운전실의 도어가 위치하는 면을 폐쇄하게 된다. 이는 중장비의 운전 시 개방된 면을 통해 운전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회전체에는 상기 중장비의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실 즉, 엔진룸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동력실의 외면에는 다수의 부품 및 엔진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운전실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굴착기를 운전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운전시트가 제공되고, 상기 운전시트의 좌우측에는 운전자가 상기 작업체를 조작하거나 상기 하부이동체의 이동방향 조작 등 상기 굴착기의 다양한 운전 및 작업을 위한 조작레버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운전시트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이러한 조작레버를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작업을 진행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굴착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2509호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가 개시되어 있으며, 작업장치를 조작하는 콘솔박스의 조종레버 위치를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적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구성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콘솔박스틸팅용 안전레버의 회동시 콘솔박스를 틸팅시키는 경우 장비 시동 중 조종레버를 조작하는 구성에도 작업 장치 작동을 방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종레버를 갖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3276호에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구성이 개시되며, 운전석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콘솔박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구동축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터치 조작에 의해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면서 이중 안전장치가 형성되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의 구조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가지는 컨트롤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바의 상하 이동을 위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지지하면서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운동시키는 링크플레이트; 상기 링크플레이트를 회동시키도록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는,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조작레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자가 가장 편한 위치에 조작레버를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한 작업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운전자의 인체 피로도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중장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중장비의 운전시트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가장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중장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굴착기는 땅을 파거나, 암석 등을 채굴하여 파낸 땅이나 암석 등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칭하는 중장비의 대표적 기계이다.
이러한 굴착기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체(40)와, 상기 회전체(10)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회전체(10)는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이동 및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실(20)과, 상기 동력실(20)의 일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운전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10)의 하측에는 상기 이동체(40)가 위치하며, 상기 이동체(40)는 굴착기의 이동을 위한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측의 상기 회전체(10)를 지지하는 지지빔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이동체(40)에 무한궤도가 아닌 바퀴가 장착되어 상기 이동체(40)를 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0)에는 상기 작업체(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업체(50)는 붐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굴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끝 부분에는 버킷(51)이 장착되어 굴착된 토양 등을 퍼 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버킷(51)은 필요에 따라 다른 작업 도구가 장착될 수 있어 작업 현장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는 도어(3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31)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운전실(30)의 측면을 통해 운전자가 상기 운전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하게 된다.
상기 도어(31)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도어(31)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장착되고, 이러한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31)는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운전실(30) 내부 공간의 운전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작업 중 운전자의 낙상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운전실(30)의 하면과 상기 이동체(40)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운전실(30)의 틸팅을 위한 틸팅장치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틸팅장치는 굴착기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굴착기의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운전석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운전실(30)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32)이 마련된다.
상기 운전석(32)은 운전자가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는 후방시트(321)와 하반신을 지지할 수 있는 하방시트(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시트(321)는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상반신을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상태에서 상기 굴착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하방시트(322)는 운전자가 하반신을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상태에서 상기 굴착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후방시트(321)와 상기 하방시트(322)는 상기 운전실(30)로 전달되는 진동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소재 예를 들어 스펀지 등과 같은 소재로 내부 공간이 충진되고, 외면은 외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소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죽 또는 고분자 복합소재 등으로 충진 소재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방시트(322)의 좌측과 우측에는 운전자가 상기 굴착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61)와, 조작버튼(62) 등이 적어도 상면에 장착되는 컨트롤박스(6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상기 조작레버(61)와 상기 조작버튼(62)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조작레버(61)와 상기 조작버튼(62)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 수신하고,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기판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방시트(322)의 하측에는 프레임(71)이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71)은 하나 또는 다수의 빔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방시트(322)의 하면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프레임(71)에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을 위하여 조작하는 상기 조작레버(61)를 가지는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지지하는 지지바(73)와, 상기 지지바(73)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바(73)의 높이 조절을 위한 지지로드(74)와, 상기 지지로드(74)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로드(74)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72)과, 상기 회전축(7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회전축(72)을 회동시키는 링크플레이트(75)와, 상기 링크플레이트(75)를 회동시키도록 결합되고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유닛(7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71)은 다수의 빔이 일체형 또는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71)은 상방에서 볼 때 즉, 도면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며,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71)의 중앙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축(72)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72)은 상기 프레임(71)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전방회전축(722)과, 상기 프레임(71)의 전후 방향 후단부에 위치하는 후방회전축(7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72)은 상기 프레임(71)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쪽 끝 부분이 상기 프레임(71)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으로 돌출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71)에서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72)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75)가 결합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5)는 상기 회전축(72)의 끝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축(72)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5)는 상기 회전축(72)에 고정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축(72)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와 동일한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로 회전 운동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7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72)에는 상기 회전축(72)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지지로드(74)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로드(74)는 상기 회전축(72)과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로드(74)는 도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길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 후반부는 상기 회전축(7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로드(74)의 전후 방향 전반부에는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지지하는 지지바(73)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바(73)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가로 방향으로 누운 형태로 장착되어 한쪽 끝 부분 도면에서 볼 때 우측 끝 부분은 상기 지지로드(74)와 결합되고, 다른 쪽 끝 부분 도면에서 볼 때 좌측 끝 부분은 상기 지지로드(74)의 측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로드(74)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컨트롤박스(60)와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73)가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회전축(721)은 도면에서 볼 때,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상기 프레임(71)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후방회전축(721)의 양쪽 끝 부분은 상기 프레임(71)의 양 측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상기 후방회전축(721)에 상기 컨트롤박스(60)가 결합되면서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플레이트(75)에는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유닛(76)의 한쪽 끝 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76)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프레임(71)에 형성되는 고정부(76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76)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761)에는 상기 구동유닛(76)을 조작하기 위한 구동레버(7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77)는 상기 구동유닛(76)의 한쪽 끝 부분과 결합되어 운전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76)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유닛(76)이 공압 실린더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 즉, 유압 실린더의 형태도 가능할 것이며, 가스식 스프링과 같은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가장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조작레버가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프레임(71)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유닛(76)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75)가 회동하게 될 때, 그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78)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제한부(78)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면이 상기 프레임(71)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이 외측방으로 돌출되록 형성되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75)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7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플레이트(75)에는 상기 회전제한부(78)와 접하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75)의 회전 범위를 제한되도록 하는 제한곡면(751)이 형성되고, 상기 제한곡면(751)은 상기 링크플레이트(75)의 후반부 일부를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함몰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한곡면(751)의 곡률은 상기 구동유닛(76)의 구동 범위와 비례하여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유닛(76)의 구동 범위가 커지면, 상기 제한곡면(751)의 곡률도 커지도록 형성하게 되고, 구동범위가 작아지면 그 곡률도 작아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플레이트(75)에는 상기 구동유닛(76)의 구동 압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76)과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홀(7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752)은 상기 링크플레이트(75)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유닛(76)의 구동 압력이 큰 경우 비교적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752)에 상기 구동유닛(76)을 결합하고, 구동 압력이 작은 경우 비교적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752)에 상기 구동유닛(76)을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결합홀(752)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유닛(76)에 따라 상기 링크플레이트(75)를 교체하지 않고도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바(73)가 가장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로드(74)는 상기 프레임(71)의 측면과 평행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76)의 압력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하도록 구동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레버(77)와 상기 컨트롤박스(60)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굴착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32)에 앉으면서 상반신과 하반신을 지지시킨 다음, 운전자는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조작레버(61)를 조작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버(61)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운전자는 상기 구동레버(77)를 하방으로 압착하게 된다. 상기 구동레버(77)가 하방으로 압착되면, 상기 구동유닛(76)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구동레버(77)를 하방으로 압착하게 되면, 상기 구동레버(77)는 상기 고정부(76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유닛(76)과 결합되는 상기 구동레버(77)의 하단부를 상기 구동유닛(76)과 결합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버(61)를 현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시키고 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박스(60)를 상기 구동유닛(76)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더 큰 압력으로 하방을 향하여 압착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박스(60)에서 가해지는 하방 압착에 의해 상기 지지바(73)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바(73)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로드(74)는 상기 회전축(72)과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지지바(73)가 지지되는 부분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로드(74)의 하방 회동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74)와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72)은 상기 지지로드(74)와 동일한 회전 방향(도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과 범위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72)의 회전 운동(도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에 의해 상기 회전축(72)에 지지되는 상기 링크플레이트(75)는 상기 회전축(72)과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동일 방향(도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75)가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링크플레이트(75)와 결합되는 상기 구동유닛(76)이 하방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76)이 하방으로 압력을 받게 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버(61)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운전자는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레버(77)의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구동레버(77)의 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구동레버(77)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76)은 동작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76)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가 되면, 상기 링크플레이트(75)의 동작이 정지되면서, 상기 회전축(72)의 회전 운동이 정지되고, 상기 회전축(72)의 회전 운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지지로드(74)와 상기 지지바(73)의 회전 운동이 정지되어,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조작레버(61)의 위치가 고정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상기 조작레버(61)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그 전반부가 상기 지지바(73)와 결합되어 지지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후방회전축(721)과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73)의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전반부(도면에서 볼 때 우측 부분)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컨트롤박스(60)의 후반부(도면에서 볼 때 좌측 부분)는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컨트롤박스(6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조작레버(6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레버(61)의 높이 조절장치에는 이중 안전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76)의 동작은 상기 구동레버(77)에 의해 1차적으로 제한되면서 상기 조작레버(61)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제한부(78)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75)의 회전 범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회전축(72)의 회전과 상기 구동유닛(76)의 동작이 2차적으로 제한되어 상기 조작레버(61)가 임의로 승하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작레버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장 적합한 위치에 상기 조작레버를 위치시키기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적 피로도 감소와, 사용이 편의성, 제품 또는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많은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는 중장비의 생산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회전체 20. 동력실
30. 운전실 31. 도어
32. 운전석 321. 후방시트
322. 하방시트 40. 이동체
50. 작업체 51. 버킷
60. 컨트롤박스 61. 조작레버
62. 조작버튼 71. 프레임
72. 회전축 721. 후방회전축
722. 전방회전축 73. 지지바
74. 지지로드 75. 링크플레이트
751. 제한곡면 752. 결합홀
76. 구동유닛 761. 고정부
77. 구동레버 78. 회전제한부

Claims (6)

  1.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가지는 컨트롤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바의 상하 이동을 위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지지하면서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 운동시키는 링크플레이트;
    상기 링크플레이트를 회동시키도록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는 운전자가 가압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레버가 장착되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 범위가 달라지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제한부와 접하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도록 제한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한곡면의 곡률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범위와 비례하는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KR1020110115977A 2011-11-08 2011-11-08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KR101345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77A KR101345223B1 (ko) 2011-11-08 2011-11-08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CN201210159591.8A CN103088865B (zh) 2011-11-08 2012-05-22 重型设备操作杆高度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77A KR101345223B1 (ko) 2011-11-08 2011-11-08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752A KR20130050752A (ko) 2013-05-16
KR101345223B1 true KR101345223B1 (ko) 2013-12-26

Family

ID=4820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977A KR101345223B1 (ko) 2011-11-08 2011-11-08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5223B1 (ko)
CN (1) CN1030888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10A (ko) 2014-10-06 2016-04-15 권유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159Y1 (ko) * 1997-04-30 1999-07-01 토니헬샴 굴삭기 콘트롤 박스의 록킹장치
KR100900434B1 (ko) * 2007-04-16 2009-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전후방향의 완충수단이 장착된 중장비용 시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77A (ko) * 1996-07-31 1998-04-30 김무 중장비용 안전레버장치
JP4486662B2 (ja) * 2007-06-15 2010-06-23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高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159Y1 (ko) * 1997-04-30 1999-07-01 토니헬샴 굴삭기 콘트롤 박스의 록킹장치
KR100900434B1 (ko) * 2007-04-16 2009-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전후방향의 완충수단이 장착된 중장비용 시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10A (ko) 2014-10-06 2016-04-15 권유미 레버 바아용 절곡각도 조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8865A (zh) 2013-05-08
KR20130050752A (ko) 2013-05-16
CN103088865B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248B2 (ja) 前後方向の緩衝手段を備えた建設機械用シート
EP2708660B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070059988A (ko) 작업 차량 및 스키드 스티어 로더
EP3396073B1 (en) Device for operating construction machine
AU2012200496A1 (en) Rope shovel with curved boom
JP4286183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WO2011152709A2 (en) Mobile apparatus
KR101345223B1 (ko) 중장비의 조작레버 높이 조절장치
JP3598064B2 (ja) 削岩装置用ブーム装置
KR101607540B1 (ko) 작업용 차량의 스탠드 조절장치
JP4586834B2 (ja) バケット式掘削機
JP2020084651A (ja) 作業車両
JP4555188B2 (ja) 建設機械
KR101547857B1 (ko) 작업용 차량의 레버스탠드 조절장치
KR20130098567A (ko) 작업용 차량의 잠금 및 해제 장치
CN211773982U (zh) 挖掘机
JP7008526B2 (ja) 作業車両
KR20130042729A (ko) 중장비의 운전실 틸팅 장치
JP7094848B2 (ja) 作業用車両
JP2015221591A (ja) 建設機械
KR101489946B1 (ko) 굴삭기용 안전 작업대
JP6104705B2 (ja) 後方小旋回型の油圧ショベル
JP2019049127A (ja) 油圧ショベル
JP6687984B2 (ja) 開脚型油圧ショベル
KR101482170B1 (ko) 작업용 차량의 그릴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