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134A -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134A
KR20240062134A KR1020247005691A KR20247005691A KR20240062134A KR 20240062134 A KR20240062134 A KR 20240062134A KR 1020247005691 A KR1020247005691 A KR 1020247005691A KR 20247005691 A KR20247005691 A KR 20247005691A KR 20240062134 A KR20240062134 A KR 2024006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whorl
needle
sewing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코 에가미
다카히로 요시다
다츠야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아이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아이에스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아이에스엠
Publication of KR2024006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가마(3)는 밑실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40)와 내부 가마(50)와 외부 가마(60)를 가지며,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에는, 침락 구멍(51)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에서, 침락 구멍으로부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예를 들면 봉침의 상하 동선에 대해서 좌측의 위치)에 오목부(52)를 형성한다. 해당 오목부(52)는, 전측 및 상하가 개구되고, 안쪽측이 벽면을 이루고 있다. 보빈 케이스에는,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해당 오목부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실 걸이 부재(41)를 마련한다.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은, 실 걸이 부재를 경유하여 해당 오목부를 통과하여, 상방의 침판의 침공으로 향한다. 해당 오목부는 봉침 상하 동선에 대해서 좌측의 위치에 있으므로, 가마로부터 침공으로 향하는 밑실의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의 좌측이 되어,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를 구조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본 발명은 피봉제물에 바늘땀을 형성할 때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고안한 미싱의 가마 구조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해당 가마 구조를 구비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윗실을 꿴 봉침을 상하동하고, 밑실을 수납한 가마를 해당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에 윗실을 얽어, 피봉제물(가공천)에 대해서 바느질을 행하는 바느질 기구와, 해당 피봉제물을 유지한 틀(유지체)을 침락(針落) 위치(needle location)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피봉제물 상에 임의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한 미싱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미싱에 있어서는, 1스티치마다 이송 기구에 의해서 피봉제물을 이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다양한 길이의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타입의 미싱에 의해 형성되는 바늘땀의 품질에는, 퍼펙트(perfect) 스티치와 히치 스티치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퍼펙트 스티치는 윗실과 밑실이 서로 균형 잡힌 상태로 얽혀 형성되는 바늘땀이며, 히치 스티치는 윗실만이 나선을 그리도록 밑실과 얽혀 형성되는 바늘땀이다. 형성된 바늘땀이 퍼펙트 스티치가 될지 히치 스티치가 될지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나는 윗실에 의한 요인이며, 이것은, 윗실을 꿴 봉침이 가공천에 박힐 때에 봉침의 눈구멍 직전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져서 가공천으로 연결되는 윗실이, 바늘땀 형성시의 가공천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을 따라서, 봉침에 대해서 좌감기 방향 또는 우감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얽는가에 따라서 퍼펙트 스티치 또는 히치 스티치가 형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윗실이 봉침에 대해서 우감기 방향으로 얽힐 때, 히치 스티치가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전(「직전」, 「전방」, 「전측」 등) 또는 후(「후방」, 「후측」, 「안쪽」, 「안쪽측」 등)는, 정면에서 본 미싱의 전 또는 후를 말하고, 좌 또는 우는, 정면에서 본 미싱의 좌 또는 우를 말하며, 좌감기 방향 또는 우감기 방향은, 미싱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즉, 좌감기는 반시계 방향, 우감기는 시계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하나는 밑실에 의한 요인이며, 이것은, 침판(針板)의 하방에 배치된 가마(밑실 보빈)로부터 해당 침판의 침공(針孔)을 통하여 상방의 가공천에 연결되는 밑실의 경로와 봉침의 침락 위치와의 관계에 의존하여, 퍼펙트 스티치 또는 히치 스티치가 형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즉, 바늘땀 형성시의 가공천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을 따라서, 봉침의 상하 동선(침락 위치)에 대해서 밑실의 경로가 우측으로 될 때, 히치 스티치가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치 스티치는 퍼펙트 스티치에 비해 바늘땀의 외관이 나쁠 뿐만 아니라, 바늘땀이 느슨해지기 쉬운 등, 바느질 품질을 저하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례로서, 1스티치마다의 바느질 동작시에, 가공천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이 퍼펙트 스티치 형성 방향인지 히치 스티치 형성 방향인지를 판단하고, 히치 스티치 형성 방향이라고 판단했을 경우는, 틀의 이동이나 조작편 등에 의해서 침락 위치에 대한 윗실 또는 밑실의 위치를 변이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가공천을 유지한 틀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이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 형성 방향이라고 판단했을 때, 바늘땀 형성을 위해서 목표로 하는 침락 위치(목표 위치)로 틀을 직접 이동하지 않고, 하강 중의 봉침의 선단이 가공천의 상면에 이르기 전에, 틀을 침의 좌방향으로 우회시키고 나서 목표 위치에 도달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공천에 연결되는 윗실을 봉침에 대해서 좌감기로 얽히게 함으로써,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러나, 봉침의 하강 중에 틀을 우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윗실을 봉침에 대해서 좌감기로 재빠르게 얽히게 하는 것을 달성하려면, 봉침의 하강 이동과 틀의 우회 이동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필요가 있으며, 타이밍이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윗실을 봉침에 얽히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어려웠다.
하기 특허문헌 2는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침판에 형성된 침공에서 안쪽측으로 노치부를 연설(連設)하고, 가공천을 유지한 틀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이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 형성 방향이라고 판단했을 때, 바늘땀 형성을 위해서 목표로 하는 침락 위치(목표 위치)로 틀을 직접 이동하지 않고, 틀을 해당 노치부의 형상을 따라서 우회 이동시키고 나서 목표 위치에 도달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노치부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선단부를 가지며, 밑실이 해당 노치부의 선단부에 좌측으로부터 들어가도록 틀을 우회 이동시켜, 해당 밑실을 해당 노치부의 선단부에서 걸고, 밑실의 경로가 침락 위치의 좌측을 통과하여 안쪽측에서 멈춰지도록(즉, 봉침이 밑실의 경로의 우측이면서 전측으로 침락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공천에 연결되는 밑실의 경로에 대해서, 봉침이 해당 밑실 경로의 우측으로 침락하도록 함으로써,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러나, 침공의 안쪽측으로 연설한 노치부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선단부를 갖는 것은, 필연적으로 해당 선단부와 침공과의 사이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돌기(이를 테면 반도(半島) 부분)를 형성하게 되고, 이 돌기의 존재에 의해서, 윗실 끊김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외부 가마의 날끝에 포착된 윗실 루프는, 외부 가마와 내부 가마와의 사이를 빠져나가면서 이동하고, 천칭(天秤)의 동작에 의해 끌어올려지고, 밑실에 얽히면서 밑실을 타고 상승해 나간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밑실을 타고 상승해 나가는 윗실 루프가, 해당 밑실을 거는 상기 노치부의 선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돌기(반도 부분)에 걸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윗실 끊김이 발생한다. 또한, 밑실이 상기 노치부의 선단부에 들어가서 걸리기 때문에, 다음의 스티치의 바느질 방향에 따라서는, 밑실이 노치부에서 걸린 채로 되어, 통상의 밑실 경로와 달라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일어날 수 있다.
하기 특허문헌 3도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가마로부터 나와 침판의 침공에 이르는 밑실의 경로를, 봉침의 상하 동선(상하동 궤적)에 대해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좌측 루트와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우측 루트로 택일적으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마련하고, 에어 실린더 구동으로 이 전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가공천을 유지한 틀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이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 형성 방향이라고 판단했을 때, 하강 중의 봉침의 선단이 가공천의 상면에 이르기 전에, 상기 전환 기구에 의해서 밑실의 경로를 좌측 루트 또는 우측 루트로 전환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시키고 있다. 그러나, 에어 실린더 구동식의 전환 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하기 특허문헌 4는 윗실 요인 및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봉침에 대한 윗실의 관계를 제어하는 윗실 제어 수단(침봉(針棒) 회동 기구)과, 봉침에 대한 밑실의 관계를 제어하는 밑실 제어 수단(스레드 핸들러(thread handler) 기구)을 구비하고, 가공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 제어 수단을 제어하여,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4에서, 윗실 제어 수단으로서의 침봉 회동 기구 및 밑실 제어 수단으로서의 스레드 핸들러 기구는, 각각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미싱의 구조를 복잡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미싱 헤드에서 복수 개의 침봉을 가지는 다침 미싱에서는, 그와 같은 구조의 복잡화는 한층 더 심각한 문제가 된다.
하기 특허문헌 5는 미싱 헤드와 가마 수용부를 각각 선회시켜 봉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을 개시하고 있고, 미싱 헤드의 선회에 수반하여, 봉침과 가마의 타이밍이나 미싱 헤드와 가마 수용부의 각 선회를 동기화하는 것에 의해 바느질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미싱 헤드와 가마 수용부를 선회시키기 위한 기구나 이것들을 동기 제어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 되어, 구조가 복잡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나타내진 바와 같은 구조는, 러닝(running) 스티치와 같은 일정 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바느질하는 봉제에는 적합하지만, 새틴(satin) 스티치와 같이 바늘땀 방향이 반전하도록 하는 자수의 경우는, 헤드와 가마 수용부의 선회 방향을 1침마다 반전시킬 필요가 있고, 바느질 방향도 바뀌어 가기 때문에, 동기 제어가 매우 곤란하다.
일본 특허 제2515400호 일본 공개특허 평6-343780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2326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2-213603호 일본 특허 제2540051호
본 발명은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싱의 가마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해당 가마 구조를 구비한 미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데 적합한 미싱의 가마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싱의 가마 구조는, 밑실을 감은 밑실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가마와, 해당 내부 가마 둘레로 상기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외부 가마를 가지며, 상기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前面)에는, 침락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에서, 상기 침락 구멍으로부터 상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해당 오목부는, 전측 및 상하가 개구되고, 안쪽측이 벽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보빈 케이스에는, 상기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상기 내부 가마의 상기 오목부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실 걸이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빈 케이스 내의 상기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이, 상기 실 걸이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오목부의 개구 개소를 통과하고,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이란, 회전하는 외부 가마의 날끝이 가마 내에서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거는) 때의 방향이다. 통상,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기 때문에, 그것을 전제로 하여 좌우 관계가 명료하게 되도록 바꿔 말하면, 윗실 루프를 포착할 때의 외부 가마의 날끝의 움직임의 방향(반시계 방향)은 정면에서 보아 좌방향이 된다. 그 경우, 상기 내부 가마의 오목부는, 상기 봉침의 상하 동선보다도 좌측쪽으로(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쪽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미싱에서는, 피봉제물을 유지한 유지체(봉제틀 혹은 자수틀)가 침판의 상방에 배치되고, 1스티치마다 해당 유지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피봉제물 상에 임의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윗실을 꿴 봉침을 상하동하고, 침판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밑실을 수납한 가마를 해당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에 윗실을 얽고, 따라서, 피봉제물에 대한 바느질이 행해진다. 가마로부터 나와 상방으로 연장된 밑실은, 침판의 개구(침공)를 통과하여 피봉제물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유지체(피봉제물)의 이동에 추종하여, 가마로부터 나와 상방에서 해당 피봉제물에 연결되어 있는 밑실도 이동한다. 이 밑실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봉침의 상하 동선에 대한 밑실의 경로도 변화한다.
바늘땀 형성시의 피봉제물의 이동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에 따라서는,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영역이 있다. 그와 같은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에는, 가마로부터 침판의 침공으로 연장된 밑실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상하동 궤적)의 우측에 오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마 구조는, 가마로부터 침판의 침공으로 연장된 밑실의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상하동 궤적)의 우측에 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은, 상기 실 걸이 부재에 의해서 상기 내부 가마의 상기 오목부쪽으로 지향시켜지고, 해당 오목부를 통과하여 침판의 개구(침공)로 향한다. 해당 오목부는, 침락 구멍으로부터 상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즉, 봉침의 상하 동선에 대해서 좌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마로부터 침공으로 향하는 밑실의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의 좌측이 된다. 이것에 의해, 가마로부터 침공으로 향하는 밑실의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의 우측에 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구조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1 관점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타입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도 회피할 수 있고, 바느질 방향의 전 범위에 걸치는 바늘땀을 퍼펙트 스티치로 할 수 있는 미싱, 즉, 올 퍼펙트 스티치를 실현 가능한 미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미싱은, 상기 가마 구조와, 윗실을 꿴 상기 봉침을 상하동하고, 해당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상기 외부 가마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에 윗실을 얽어, 피봉제물에 대해서 바느질을 행하는 바느질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피봉제물을 유지한 유지체를 침락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피봉제물 상에 임의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이송 기구와,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히치 스티치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소정 영역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서 상기 유지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봉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을 퍼펙트 스티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우회시키고, 그 후 상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에 상기 유지체를 이동시키는 우회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우회 제어 수단에 의한 유지체의 우회 이동에 의해서,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바늘땀 형성 방향과 그 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늘땀의 품질(퍼펙트 스티치와 히치 스티치)과의 관계를 일람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의 하나의 미싱 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미싱 헤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피봉제물을 누르기 위한 누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누름 장치에서의 가이드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누름 장치에서의 가이드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누름 장치의 다른 변형예로서, 하부에 커버를 마련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침판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침공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는 밑실의 경로를 예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가마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가마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가마 구조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가마 구조에 포함되는 보빈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미싱의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기 위해서 틀의 우회 이동을 행하는 영역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틀의 우회 이동의 궤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틀의 우회 이동시에서의 윗실과 누름 장치의 가이드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올 퍼펙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바느질 제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마 구조에 의해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가마 구조의 정면도이고, (b)는 내부 가마에서의 봉침과 밑실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틀의 우회 이동 제어에서의 누름 장치의 가이드체의 기능을 도해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틀의 우회 이동 제어에서의 누름 장치의 가이드체의 기능을 도해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침판 구조에 의한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도해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틀 우회 제어용 데이터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변경예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히치 스티치가 형성되는 영역>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히치 스티치가 형성되는 바늘땀 형성 방향의 영역의 전형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바늘땀 형성 방향과 그 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늘땀의 품질(퍼펙트 스티치와 히치 스티치)과의 관계를 일람하는 도면이다. 또한, 바늘땀 형성 방향과 형성되는 바늘땀의 품질과의 관계는, 가마의 방향이나 가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며, 도 1은 자수 미싱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전 회전 수직 가마(DB 타입)에서의 상기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봉침의 눈구멍에 대한 윗실의 통과 방향은, 통상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윗실 보빈으로부터 하방으로 조출된 윗실이, 봉침의 전측으로부터 눈구멍으로 들어가 후방으로 빠져 피봉제물(가공천)에 연결되도록 하는 통과 방향인 것으로 한다. 상하동하는 봉침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 회전하는 수직 가마의 협동에 의해, 주지된 바와 같이 윗실과 밑실이 얽히고, 피봉제물(가공천) 상에 바늘땀이 형성된다.
도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기점(C)은 현재의 침락 위치(미싱의 침판의 침공의 위치)를 나타낸다. 기점(C)을 시작으로 하는 여러 화살표는, 기점(C)으로부터 다음의 침락점으로의 바느질 방향(즉,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각 바늘땀의 바느질 방향은 360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느질 패턴에 의존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화살표 P의 방향을 0도로 하고, 그것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0도부터 360도 미만까지의 각도를 눈금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바느질 방향(즉,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의 영역을 각도에 의해서 특정할 때, 도 1에서의 각도 눈금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화살표 P 및 P'의 방향은, 미싱의 좌우 방향이며, 편의적으로 P방향을 X축의 플러스 방향(X+), P'방향을 X축의 마이너스 방향(X-)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기점(C)에서 X축에 대해 직교하는 Y축의 방향은, 미싱의 전후 방향이며, 후(안쪽)로 향하는 방향을 Y축의 플러스 방향(Y+), 전으로 향하는 방향을 Y축의 마이너스 방향(Y-)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피봉제물(가공천)을 유지한 유지체(틀)의 이동 방향과, 해당 유지체(틀)의 이동에 따라 형성되는 바늘땀의 방향은, 역방향의 관계가 된다. 예를 들어, 화살표 P방향(0도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는, 유지체(틀)는 그것과는 정반대의 화살표 P' 방향(180도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에서는, 여러 화살표에 오버랩하여, 원으로 둘러싼 침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침도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해당 화살표에 대응하는 방향의 바늘땀이 형성될 때의 봉침에 대한 윗실 및 밑실의 관계의 전형적인 예를, 침공의 그림과 함께 대략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 침도에는, 침공에 들어가기 직전의 하강 중의 봉침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피봉제물(가공천)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바느질 방향의 전 범위는, 해당 바느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늘땀의 품질에 따라서, 여러 영역(α~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역 α는, 퍼펙트 스티치가 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이며, 대체로, 약 270도~360도(0도)~약 85도의 영역이다. 이 영역 α에서의 화살표에 오버랩하여 도시된 침도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유지체(틀)의 이동에 수반하여 봉침의 눈구멍으로부터 가공천에 연결되는 윗실이 봉침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침락하므로, 형성되는 바늘땀은 퍼펙트 스티치가 된다. 흰바탕으로 나타낸 영역 α를 제외한 영역(β~δ)이,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영역이다. 사선을 부여한 영역 β는,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이며, 대체로, 약 85도~약 180도의 영역이다. 이 영역 β에서의 화살표에 오버랩하여 도시된 침도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유지체(틀)의 이동에 수반하여 봉침의 눈구멍으로부터 가공천에 연결되는 윗실이 봉침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침락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바늘땀은 히치 스티치가 된다. 도트를 부여한 영역 γ는, 윗실 및 밑실 양방의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이며, 대체로, 약 180도~약 210도의 영역이다. 바둑판 무늬 선을 부여한 영역 δ는,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이며, 대체로, 약 210도~약 270도의 영역이다. 이 영역 δ에서의 화살표에 오버랩하여 도시된 침도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유지체(틀)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마로부터 가공천에 연결되는 밑실이 봉침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침락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바늘땀은 히치 스티치가 된다.
<미싱의 기본 구성>
먼저, 도 2~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미싱의 일례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 그 자체는 주지된 것이며,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을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의 정면도이며, 일례로서, 다두(多頭)·다침(多針) 타입의 자수 미싱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블(2)의 상방에 위치하는 미싱 프레임(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미싱 헤드(H)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각 미싱 헤드(H)의 하방에는, 가마(3)를 지지한 가마 토대(4)가 각 미싱 헤드(H)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2)의 상면에는 천 등의 피봉제물(가공천)을 펼친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5)가 재치되어 있고, 유지체(5)는, 테이블(2)의 하방에 마련한 이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X, Y방향(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 제어된다. 유지체(5)는 자수틀 혹은 가공천 유지틀 등으로서 알려진 것이며, 이하, 틀(5)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미싱 프레임(1)의 우측에는, 미싱의 조작이나 각종 설정을 행하는 조작 패널(6)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조작 패널(6)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로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각종 지시를 행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이송 기구는, 피봉제물을 유지한 틀(5)을 침락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피봉제물 상에 임의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그 자체는 주지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미싱 헤드(H)의 정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그 측면도이다. 미싱 프레임(1)의 정면에 장착된 미싱 암(7)의 전면에, 침봉 케이스(8)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침봉 케이스(8)에는, 복수의 침봉(9)이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침봉(9)에 대응하는 천칭(10)이 요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각 침봉(9)은 축 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하단에는 봉침(1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봉침(11)의 눈구멍(11a)(도 5 등을 참조)에는, 윗실(T)이 직전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꿰인다(도 20 등을 참조). 침봉 케이스(8)에는 슬라이드축(12)이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드축(12)을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침봉 케이스(8)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침봉 케이스(8)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복수의 침봉(9) 중 어느 하나가 가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가동시켜야 할 하나의 침봉(9)이 선택된다.
미싱 암(7)에는 주축(13)이 관통되어 장착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주축 모터에 의해 주축(13)을 회전시키면, 미싱 암(7) 내의 도시되지 않은 캠 기구 및 링크(14) 등을 매개로 하여, 침봉 구동체(15)가 기축(16)을 따라서 상하동한다. 침봉 구동체(15)는 침봉(9)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침봉 연결 브래킷(17)의 걸림 핀(17a)과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침봉(9)을 캐치하는 캐치 위치와 비캐치 위치로 전환된다. 캐치 위치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 구동체(15)가 침봉 연결 브래킷(17)의 걸림 핀(17a)과 맞물린다. 비캐치 위치에서는, 침봉 구동체(15)와 침봉 연결 브래킷(17)의 걸림 핀(17a)과의 맞물림이 풀리고, 침봉(9)의 상부에 마련한 인장 스프링(18)의 복귀력에 의해서 침봉(9)이 상방 위치(상사점(上死點))에서 유지된다. 실제로 침봉(9)(및 봉침(11))을 상하동시켜 바느질을 행할 때는, 침봉 구동체(15)는 상시 캐치 위치로 설정된다. 바느질 동작 중에 일시적으로 침봉(9)(및 봉침(11))을 상사점에서 정지시키는 제어는, 점프 제어로서 공지이다. 그와 같은 점프 제어를 행할 때, 침봉 구동체(15)는 일시적으로 비캐치 위치로 설정된다. 그와 같은 점프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공지된 점프 기구가 미싱 헤드(H)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점프 기구는, 바느질 동작 중에 점프 제어를 행해야 할 때, 봉침(11)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방에서 유지하는 것을 행하는 기구이다. 일례로서, 해당 점프 기구는, 미싱 암(7)에 마련된 점프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해당 점프 모터의 구동에 따라 침봉 구동체(15)를 기축(16) 둘레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침봉 구동체(15)를 비캐치 위치로 설정하는 구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인장 스프링(18)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9)은, 침봉 구동체(15)에 캐치된 상태에서, 해당 침봉 구동체(15)의 승강 운동에 따라 상하동한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9)이 상하동하는 과정에서, 그 선단에 장착된 봉침(11)이 침판(19)의 침공(19a)에 삽통(揷通)하여, 주지의 바느질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상기 점프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점프 기구가 작동하면, 침봉 구동체(15)는 비캐치 위치로 설정되고, 침봉(9)은 침봉 구동체(15)에 캐치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점프 상태가 되어 상사점에 유지된다.
침봉 케이스(8)에는, 각 침봉(9)의 후방에서 승강봉(20)이 상하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승강봉(20)은 침봉(9)과 마찬가지로, 그 축 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하단에는 누름 장치(21)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 장치(21)는 봉침(11)의 하강에 수반하여 피봉제물을 위에서 누르기 위한 것으로, 누름 부재(22)와, 추가로 자세하게 설명할 가이드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봉(20)의 하단에 누름 부재(22)가 장착되고, 누름 부재(22)의 하단에 가이드체(23)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9)에 대응하는 하나의 승강봉(20)이, 미싱 암에 마련된 천 누름 모터(24)에 의해 구동된다. 천 누름 모터(24)에는, 링크 기구(25)가 연계되어 있고, 천 누름 모터(24)가 왕복 회전 구동하면, 미싱 암(7)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천 누름 구동체(26)가 링크 기구(25)를 매개로 하여 승강한다. 천 누름 구동체(26)는 각 승강봉(2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승강봉 연결 브래킷(27)의 걸림 핀(27a)과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침봉 케이스(8)에 구비되는 복수의 승강봉(20) 중 가동 위치에 선택된 침봉(9)에 대응하는 하나의 승강봉(20)의 걸림 핀(27a)이 천 누름 구동체(26)에 맞물리고, 천 누름 구동체(26)의 승강 운동에 의해서 해당 승강봉(20)은 누름 장치(21)(누름 부재(22) 및 가이드체(23))와 함께, 그 축 방향을 따라서 승강한다. 상기 점프 기구에 의한 침봉(9)의 점프시에는, 천 누름 모터(24)가 정지하여, 누름 장치(21)(누름 부재(22) 및 가이드체(23))는 소정의 상방 위치(상사점)에서 정지한다.
상술한 미싱 헤드(H)와 그것에 대응하는 가마(3)의 조합이, 윗실을 꿴 봉침(11)을 상하동하고, 밑실을 수납한 가마(3)를 해당 봉침(11)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에 윗실을 얽어, 피봉제물에 대해서 바느질을 행하는 바느질 기구에 상당한다.
<누름 장치의 구조>
도 5는 누름 장치(2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승강봉(20)의 하단에 장착 부재(28)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장착 부재(28)에 대해서, 누름 장치(21)의 누름 부재(22)가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누름 부재(22)의 하단은 침봉(9) 직하로 연장되어, 봉침(11)이 삽통하는 관통공(22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침봉(9)의 하강시에 누름 부재(22)도 하강하여 피봉제물을 위에서 누른 상태가 되었을 때, 더 하강하는 봉침(11)이 관통공(22a)을 통과하여 피봉제물에 꽂혀, 바느질이 행해지게 된다. 여기까지의 구조는, 주지의 천 누름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누름 부재(22)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가이드체(23)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누름 장치(21)의 각 구성 부품(22, 23) 등은, 금속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체(23)는 대략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고, 누름 부재(22)의 관통공(22a)에 연통되는 중공부(상하 방향의 개구)를 가지고 있고, 해당 관통공(22a)을 통과하는 봉침(11)이 해당 중공부를 통해 가이드체(23)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체(23)는 완전한 원통을 이루고 있지 않고, 정면에서 보아, 삽통하는 봉침(11)의 좌전방으로부터 좌측면에 상대하는 위치에 걸쳐, 해당 가이드체(23)의 하단까지 개구된 개방부(노치)(29)를 구비하고 있다(도 8도 함께 참조). 개방부(노치)(29)는, 물론, 가이드체(23)의 중공부로 통하고 있고, 해당 중공부를 통과하는 봉침(11)의 눈구멍(11a)에 꿰인 윗실의 일부분(피봉제물측에 연결되는 부분)이, 틀(5)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는, 해당 개방부(29)를 통과하여 해당 가이드체(23)로부터 외측으로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마(3)의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을 상면에서 보는 것에 의해서 바꿔 말하면 좌방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체로 좌측에 형성된 개방부(29)는, 가마(3)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윗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부(29)를 거쳐 윗실을 가이드체(23)로부터 외측으로 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 걸치는 틀(5)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윗실을 봉침(11)에 좌감기로(즉 가마(3)의 회전 방향으로) 감을 수 있다.
가이드체(23)에서, 대체로 좌측에 형성된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와 후측 가장자리는, 해당 가이드체(23)의 소재벽 부분의 전측 가장자리부(23a) 및 후측 가장자리부(23b)에 대응하고 있다. 즉, 개방부(29)는 전측 가장자리와 후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한계지어져 있고, 틀(5)의 이동에 따라서, 윗실이 그 개구로부터 밖으로 나온 후에 우회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에, 가이드체(23)의 소재벽 부분의 전측 가장자리부(23a) 또는 후측 가장자리부(23b)에 의해서 그 움직임이 규제되게 된다.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서, 전측 가장자리부(23a)에 의한 규제 동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즉 전측 가장자리부(23a))로부터 전면쪽의 가이드체(23)의 소재벽 부분을,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부(23a)라고 칭하기로 한다. 규제부 즉 전측 가장자리부(23a)가 규제하려고 하는, 대체로 좌측에 형성된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윗실의 움직임이란, 대체로 우방향의 움직임이며, 바꿔 말하면, 가마(3)의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이다. 따라서, 가이드체(23)에서의 규제부(23a)는, 가마(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윗실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29)는 가이드체(23)의 하단까지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규제부(23a)는, 해당 개방부(29)를 통과하는 윗실의 가마(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해당 가이드체(23)의 하단에 이를 때까지 규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윗실이 규제부(23a)에 의해서 규제된 상태에서는, 봉침(11)의 하강에 따라서, 윗실이 규제부(23a)를 따라서 가이드체(23)의 하단까지 이동하고, 개방부(29)를 하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규제부(23a)에 의한 규제가 풀린다. 규제부(23a)에 의한 규제가 풀리면, 윗실은 봉침(11)에 좌감기로(즉 가마(3)의 회전 방향으로) 감긴다. 일례로서, 가이드체(23)에서의 규제부(23a)는,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면쪽에서 적절한 범위로 마련된다. 추가로 자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체(23)에 형성한 규제부(23a)는,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서, 봉침(11)이 피봉제물에 꽂힐 때에 윗실이 봉침(11)의 우측에 오지 않도록 하기(봉침(11)에 좌감기로 감기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도 5에서, 기호 V는 봉침(11)의 상하동 궤적(상하 동선)을 나타낸다. 또한, 봉침(11)이 피봉제물에 꽂힐 때에 윗실이 봉침(11)의 우측에 오지 않도록 한다고 하는 목적을 위해서, 가이드체(23)에 마련한 규제부(전측 가장자리부)(23a) 혹은 적어도 그 하단(피봉제물에 맞닿는 개소)은, 봉침(11)의 상하동 궤적(V)보다도 좌측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한다. 즉, 규제부(23a)는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가마(3)의 회전 방향쪽(좌측)으로 편위한 위치에서 윗실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5(혹은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 즉, 가이드체(23)에 형성한 규제부(전측 가장자리부)(23a)는, 상방으로부터 좌하 방향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노치된 형상(오목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 형상(오목 부분)에 의해, 개방부(29)에서의 상부 또는 중간부의 개구가 하부의 개구 보다도 앞쪽으로 약간 넓혀진 형태가 되므로, 봉침(11) 및 누름 부재(22)의 하강시에서, 개방부(29)로부터 나와 규제부(23a)에 의해서 규제된 상태가 되어 있는 윗실의 부분에 느슨함이 나타났을 경우에, 넓은 개구의 개소에서 이것을 흡수하고, 규제부(23a)에 의한 윗실의 유지 상태를 가능한 한 유지하며, 따라서, 봉침(11)이 피봉제물에 박히기 전에 규제부(23a)로부터 윗실이 벗어나는 것을 가급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사는 필수는 아니며, 개방부(29)의 전측 가장자리, 즉, 가이드체(23)에 형성한 규제부(전측 가장자리부)(23a)는, 수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체(23)의 외관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대략 원통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6은 가이드체(2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가이드체(23-1)는, 적절한 각도(예를 들면 대략 90도)를 이루고 연결된 2개의 측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측벽면 이외의 공간은, 봉침(11)의 통과를 허용하는 공간(상기 중공부에 상당), 및, 가마(3)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윗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부(29)로서의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가이드체(23-1)에서의 전면측의 측벽면이 규제부(23a)로서 기능한다.
도 7은 가이드체(2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체(23-2)는, 적절한 각도(예를 들면 대략 90도)를 이루고 순차적으로 연결된 3개의 측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측벽면 이외의 공간은, 봉침(11)의 통과를 허용하는 공간(상기 중공부에 상당), 및, 가마(3)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윗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부(29)로서의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가이드체(23-2)에서의 전면측의 측벽면이 규제부(23a)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5~도 7에 나타낸 가이드체(23)는, 벽면 부분을 가지고 있고, 해당 벽면 부분의 전면측의 측면 가장자리부가 규제부(23a)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벽면 부분을 가지지 않고, 핀 모양 혹은 선 모양의 가는 기둥 부재의 형태로 규제부(23a)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가는 기둥 부재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개방부(29)로서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방의(전면측의) 기둥 부재를 규제부(23a)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개방부(29)의 반대측에서, 해당 2개의 가는 기둥 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는 원호 모양의 연결 족부(足部)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로서, 이 원호 모양의 연결 족부의 중간에 1 이상의 다른 가는 기둥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가이드체(23)는 규제부(23a)로서 기능하는 하나의 가는 기둥 부재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도 8은 누름 장치(2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누름 부재(22)의 하측에 가이드체(23)를 덮는 커버(30)를 마련하고 있다. 누름 장치(21)의 구조는, 커버(30)에 관련되는 요소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커버(30)는 저면측이 매끄러운 둥근 모양이 있는 볼록 곡면(그릇 모양)을 이루고 있고, 가이드체(23)를 헐겁게 수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지름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 내측은 누름 부재(22)에 적합한 오목부를 이루고 있다. 가이드체(23)의 하측으로부터 커버(30)를 장착하고, 나사(31)로 조이는 것에 의해, 커버(30)를 누름 부재(22)에 맞붙여 고정하고, 따라서, 가이드체(23)의 측면 주위를 커버한다. 커버(30)의 내측에서 가이드체(23)는 틈새를 두고 헐겁게 수용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가이드체(23)의 기능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체(23)의 하단의 주변이 커버(30)의 볼록 곡면(그릇 모양) 저면에 의해서 둘러싸이게 되므로, 예를 들면 피봉제물의 펄럭거림을 막기 위해서 누름 장치(21)의 상하 스트로크량을 작게 해도 가이드체(23)가 이동하는 피봉제물 상의 바늘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판 구조>
본 실시예에서는, 침판(19)의 침공(19a)과 관련하여,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신규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9는 그와 같은 신규한 침판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의 침공(19a)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는 밑실(D)의 경로를 예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종래부터 알려진 침공(19a)은, 도 10의 (a)에서 점선을 보충하여 예시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단순한 원형의 구멍이었다. 이 원형의 대략 중심을 봉침(11)의 상하 동선(도 5에서의 V)이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판 구조에서는, 침판(19)에서, 침공(19a)과 관련하여 안내공(31)과 홈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침판(19)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안내공(31)은, 미싱의 전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침공(19a)에 연통하고, 또한,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가마(3)의 회전 방향쪽(도 10의 (a)에서 좌측쪽)으로 편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침판(19)은 침공(19a)의 직전에서 안내공(31)으로부터 가마(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10의 (a)에서 우방향)으로 연장된 홈부(32)를 가진다. 해당 홈부(32)는 상방 및 안내공(31)과 통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지만, 그 이외는 저면(32a) 및 측벽(32b)으로 되어 있다(도 10의 (b)). 주지된 바와 같이, 바느질 동작시에서 가마(3)로부터 나온 밑실(D)이 침공(19a)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피봉제물에서 바늘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마(3)로부터 나온 밑실(D)은, 침공(19a)뿐만 아니라, 그것에 연통되는 안내공(31)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밑실(D)이 안내공(31)을 통과하는 상태일 때, 틀(5)이 이동하는 방향에 의존하여,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안내공(31)으로부터 위로 나온 밑실(D)의 부분이 홈부(32)를 거쳐 침공(19a)의 직전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홈부(32)에는 저면(32a)이 있기 때문에, 하측의 밑실(D)의 부분은 안내공(31)에 남고, 상측의 밑실(D)의 부분이 구부러져 홈부(32)의 상부 공간으로 가이드된다.
안내공(31)은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가마(3)의 회전 방향쪽(좌측쪽)으로 편위하여 배치되고, 또한, 홈부(32)는 침공(19a)의 직전에서 해당 안내공(31)으로부터 가마(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에 의해서 대략 좌방향으로 틀(5)이 이동될 때 밑실(D)은 해당 안내공(31)으로 유도되고, 이어서 틀(5)이 침락 위치(목표 위치)로 대략 우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밑실(D)은 안내공(31)으로부터 홈부(32)를 따라서 대략 우방향으로 유도된다. 이때, 해당 홈부(32)의 양측은 측벽(32b)이기 때문에, 밑실(D)은 안쪽측의 측벽(32b)에서 걸리고,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안쪽측으로 이행하지 않고,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직전측에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가마(3)로부터 침판(19)의 침공(19a)으로 연장된 밑실(D)의 경로가 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안쪽측으로 가지 않고 직전측에 유지되는 것에 의해, 히치 스티치(특히 더블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홈부(32)는 저면(32a)을 가지므로, 루프를 축소하면서 밑실(D)을 타고 침공(19a)을 빠져나가 위로 가는 윗실의 루프가 해당 홈부(32)에 걸리도록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윗실 끊김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또한, 밑실(D)은 홈부(32)의 측벽(32b)에 걸려 있을 뿐이므로, 윗실의 상승에 수반하여 밑실(D)이 끌어 올려지면, 밑실(D)은 홈부(3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통상의 경로(즉 침공(19a)을 통과하는 경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다음의 바늘땀 형성시의 밑실(D)의 경로 형성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도 10의 (a)에 평면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안내공(31)이 침공(19a)에 접속하는 개소에서, 안내공(31)의 안쪽측의 벽면(31a)이 안쪽으로부터 가마(3)의 회전 방향쪽의 직전 방향으로(즉 좌전(左前)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즉, 이 벽면(31a)은, 최안쪽이 봉침(11)의 상하 동선에 가장 가깝고, 최전방이 봉침(11)의 상하 동선으로부터 가장 좌측으로 멀어지도록, 안쪽으로부터 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접속 개소에서의 벽면(31a)의 경사는, 틀(5)의 우회 이동시에서, 밑실(D)의 경로를 침공(19a)으로부터 안내공(31)으로 이행시킬 때에, 해당 경사를 따라서 밑실(D)을 안내공(31)으로 스무스하게 이행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안내공(31)과 침공(19a)의 접속 개소의 형태는 임의로 설계해도 된다.
<가마 구조>
본 실시예에서는, 가마(3)와 관련하여,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신규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은 그와 같은 신규한 가마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그 평면도이고, 도 13의 (a)는 그 좌측면도이고, 도 13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마(3)는 침판(19)의 하방에 배치된다. 일례로서, 가마(3)는 수직 전회전 가마(DB형)이다. 가마(3)는 밑실을 감은 밑실 보빈(도시하지 않음)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40)와, 해당 보빈 케이스(40)를 수용하는 내부 가마(50)와, 해당 내부 가마(50) 둘레로 상기 봉침(11)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외부 가마(60)를 가진다. 내부 가마(50)는 공지된 바와 같이 가마 받침(70)을 매개로 하여 가마 토대(4)에 고정되고, 보빈 케이스(40)는 내부 가마(50) 내에서 고정되어 있다. 외부 가마(60)는 해당 봉침(11)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하축(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고, 해당 하축과 함께 회전한다. 수직 전회전 가마(DB형)에서, 외부 가마(60)의 회전 방향(R)은 반시계 방향이다. 내부 가마(50)의 상부 전면에는, 봉침(1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침락 구멍(51)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 가마(50)의 상부 전면에서, 침락 구멍(51)으로부터 외부 가마(60)의 회전 방향(R)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오목부(52)는 전측 및 상하가 개구되고, 안쪽측이 벽면(52a)을 이루고 있고, 또한, 해당 안쪽측의 벽면(52a)은, 해당 벽면(52a)이 외부 가마(60)의 날끝(61)의 이동 궤적과 간섭하지 않는 대략 한계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52)의 안쪽측의 벽면(52a)을 대략 한계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오목부(52)로부터 피봉제물에 연결되는 밑실 경로(오목부(52)로부터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의 위치)를 침락(상하동 궤적)보다도 가급적 안쪽측(후방)으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마 구조에 의해서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할 수 있는 영역을 가급적 확장할 수 있다. 오목부(52)에서의 좌우의 벽면은, 외부 가마(60)의 회전 방향(R)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측벽(52b)과,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측벽(52c)이다.
보빈 케이스(40)의 상부쪽의 소정 개소(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52)의 하방)에,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쪽으로 향하게 하기(안내하기) 위한 실 걸이 부재(41)가 마련된다. 추가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빈 케이스(40) 내의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이, 해당 실 걸이 부재(41)를 경유하여 내부 가마(50)의 상기 오목부(52)의 개구 개소를 통과하고, 상방으로 인출된다. 오목부(52)를 통과한 밑실은, 외부 가마(60)의 회전에 따라 공지된 바와 같이 윗실 루프에 얽히고, 봉침(11)의 상승에 수반하여 침공(19a)으로부터 위로 나와, 바늘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내부 가마(50)에 마련한 오목부(52)는, 밑실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은 가마 구조에 의해, 가마(3)로부터 침판(19)의 침공(19a)을 통과하여 상방의 피봉제물로 연결되는 밑실의 경로는, 내부 가마(50)의 상부 전면에 마련된 오목부(52)를 통과하여, 봉침(11)의 상하 동선(침락 위치)에 대해서 좌측에 오도록 된다. 즉,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은, 실 걸이 부재(41)에 의해서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쪽으로 지향시켜지고, 해당 오목부(52)를 통과하여 침판(19)의 침공(19a)을 향한다. 해당 오목부(52)는 침락 구멍(51)으로부터 외부 가마(60)의 회전 방향(R)으로 시프트된 위치(즉, 봉침(11)의 상하 동선에 대해서 좌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그 안쪽측의 벽면(52a)이 외부 가마(60)의 날끝(61)의 이동 궤적과 간섭하지 않는 대략 한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마(3)로부터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의 경로가 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안쪽(左奧)측이 된다. 이것에 의해, 가마(3)로부터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의 경로가 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우측에 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 δ에서는, 틀(5)은 그 180도 반대의 우안쪽(右奧)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밑실을 봉침의 상하 동선의 하방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가마에 있어서는, 피봉제물로 끌어당겨져 밑실의 경로가 봉침의 상하 동선의 우측으로 된 상태에서 침락하기 때문에, 히치 스티치를 발생시킨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δ에서의 바느질을 위해서 틀(5)이 우안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마(3)로부터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은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에 맞닿고, 또한 해당 밑실의 우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류측 측벽(52b)에 의해서 규제된다. 따라서, 가마(3)로부터 나온 밑실은 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측을 통해 침공(19a)으로 향하므로, 밑실의 우측으로 침락하는 것에 의해 히치 스티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영역 δ에 속하는 바느질 방향에서, 대략 70도의 방향으로 틀(5)이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는 밑실 경로가 확실하게 침락(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측이 되기 때문에, 가령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의 배치가 상기 대략 한계 위치보다도 얕았다고 해도, 히치 스티치의 발생이 회피된다. 이것에 대해서, 예를 들면 대략 40도의 방향으로 틀(5)이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는, 가령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의 배치가 상기 대략 한계 위치보다도 얕았다고 하면, 밑실 경로는 침락(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측이 되지 않고, 전측을 경유하여 우측이 되므로, 히치 스티치를 회피할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의 배치를 상기 대략 한계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대략 40도의 방향으로 틀(5)이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라도, 밑실 경로는 침락(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측이 되도록 할 수 있어, 히치 스티치를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의 배치를 안쪽측으로 할수록 본 실시예에 따른 가마 구조에 의해서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또한, 이 안쪽측 벽면(52a)의 배치를 상기 대략 한계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틀 우회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해당 영역을 최대로 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52)의 하류측 측벽(52c)에는, 실 끊기시에 밑실을 걸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면 좋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측벽(52c)은 상류측 측벽(52b)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단(前端)에 돌기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가마(3)의 상방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실 끊기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해당 실 끊기 장치가 실 끊기 동작을 행할 때, 가마(3)로부터 침공(19a)으로 연장된 밑실의 부분이 포착되어 절단 위치까지 좌방향으로 유도되고, 해당 절단 위치에서 절단된다. 그와 같이 실 끊기 동작을 위해서 밑실이 좌방향으로 이동할 때, 밑실은 하류측 측벽(52c)에 맞닿고, 하류측 측벽(52c)을 따라서 전후로 적절히 움직일 수 있다. 그 경우, 하류측 측벽(52c)의 전측 가장자리가 측벽과 동일면이었다고 하면, 밑실이 하류측 측벽(52c)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일어나기 쉽고, 그렇게 하면, 밑실은 가마(3)로부터 짧은 거리로 실 끊기 장치에 이르게 되며, 그 상태에서 절단되면, 절단후 밑실 잔장(殘長)이 짧아져 버려, 다음 작업할 때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하류측 측벽(52c)의 전단에서, 그 벽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돌기부(52d)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실 끊기 동작시에 있어서, 하류측 측벽(52c)에 맞닿은 밑실이 전방으로 움직였을 때 돌기부(52d)에 의해서 걸리고, 밑실이 하류측 측벽(52c)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된다. 이 고안에 의해, 절단후 밑실 잔장을 필요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 다음 작업할 때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 가마(50) 및 외부 가마(60)에서의 추가 개량예에 대해 설명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외부 가마(60)는, 그 외주에, 봉침(11)의 눈구멍(11a)으로부터 인출된 윗실의 루프를 포착하기 위한 날끝(6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가마(60)의 외주면에는, 실 분리 스프링(즉, 상부 스프링부)(62)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 분리 스프링(62)의 선단부(62a)는, 날끝(61)이 포착한 윗실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클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분리 스프링(62)의 전단 가장자리(즉,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부)(62b)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가마(50)에서의 상기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보다 안쪽에(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실 분리 스프링(62)의 전단 가장자리(62b)는, 외부 가마(60)의 날끝(61)의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부(이동 궤적의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보다도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 알려진 실 분리 스프링은, 외부 가마의 회전에 수반하여 포착한 윗실 루프를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해, 회전 방향 후방에 걸쳐 전측 가장자리단을 전방을 향하여 돌출시킨 부분(필레)을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이 실 분리 스프링의 전측 가장자리단이 돌출되어 있으면, 가마로부터 침공으로 향하는 밑실도 전방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밑실에 느슨함이 생긴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 분리 스프링(62)이 상기 오목부(52)에 의해서 유도된 밑실과 접촉하지 않도록, 그 전단 가장자리(62b)에서 그와 같은 돌출 부분(필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밑실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 분리 스프링(62)은, 실 루프를 전방으로 밀어내지 않기 때문에, 보다 광의적으로, 상부 스프링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실 분리 스프링(상부 스프링부)(62)의 전단 가장자리(62b)에 돌출 부분(필레)을 마련하지 않는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가마(50)의 구조를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개선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3의 (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가마(50)의 전면 외주부에서, 상기 오목부(52)로부터 회전의 하류 방향으로 대략 1/4 원호각(즉 90도) 정도의 범위에 걸쳐서, 자세하게는 1/4 원호각(즉 90도) 미만의 범위에 걸쳐서, 특히 도시예에서는 대략 80도 정도의 범위에 걸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융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융기부(53)는 단면 산형(山形) 형상이며, 회전의 상류를 향함에 따라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안내면(53a)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회전의 하류를 향함에 따라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53)는 외부 가마(60)의 날끝(61)에 포착된 윗실 루프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기능한다. 외부 가마(60)의 회전에 수반하여 윗실 루프는 융기부(53)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밀려나고, 보빈 케이스(40)의 전면을 이동하면서 내부 가마(50) 주위를 통과해 나간다. 이렇게 하여, 내부 가마(50)의 융기부(53)를, 종래 알려진 실 분리 스프링의 필레 대용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마 토대(4)에 고정된 가마 받침(70)의 돌기(71)가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에 감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감합한 상태에서 내부 가마(50)가 가마 토대(4)에 고정되고, 내부 가마(50)가 외부 가마(6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제지된다.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과 가마 받침(70)의 돌기(71)의 선단과의 사이에는 적절한 개구 공간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52)에 유도된 밑실은 이 개구 공간을 통과하여 침공(19a)으로 향한다.
또한, 보빈 케이스(40)의 일례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보빈 케이스(40) 내에 수납되는 밑실 보빈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케이스(40)의 본체(42)는, 그 전면 상부에, 침락한 봉침(1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부(42a)를 가지고 있다. 보빈 케이스 본체(42)의 몸통부(외주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납한 밑실 보빈으로부터 밑실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구멍(42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밑실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실 조절 스프링(4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구멍(42b)의 상방에는, 밑실의 통과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홈(4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빈 케이스 본체(42)의 몸통부의 상부도 개구되어 있고, 이 상부 개구는 상기 개구부(42a)와 통하고 있다.
실 걸이 부재(41)는 보빈 케이스(40)의 전면 상부에, 자세하게는 상기 개구부(42a)의 하측에서 좌측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실 걸이 부재(41)는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되어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개구 개소를 향하는 밑실에 텐션을 주도록, 스프링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실 걸이 부재(41)를 실 걸이 스프링이라고도 하기로 한다. 실 걸이 스프링(실 걸이 부재)(41)은,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통과시키는(거는) 환상 또는 만곡 모양의 링 부분(41a)을 가지며, 해당 링 부분(41a)에 통과된 밑실이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개구 개소로 향해진다. 실 걸이 스프링(41)의 텐션에 의해,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이 오목부(52)를 통과하도록 적절히 유도되고(즉, 오목부(52)를 통과하도록 밑실의 경로를 규제함), 또한 밑실의 느슨함을 흡수한다. 실 걸이 스프링(41)은 보빈 케이스(40)의 전면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링 부분(41a)과는 반대측의 일단(우측단)이, 보빈 케이스(40)에 고정되고, 해당 링 부분(41a)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해당 링 부분(41a)은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거의 직하에 위치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그것을 통과한 밑실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 걸이 스프링(41)의 고정단(우측단)으로부터 링 부분(41a)측의 단부(좌측단)까지의 길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 걸이 스프링(41)의 요동 범위(스트로크 범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고, 비교적 큰 밑실의 느슨함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 걸이 부재(41)를 스프링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쪽으로 밑실을 확실하게 안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밑실에 텐션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조건하에서 밑실에 느슨함이 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갖게 할 수 있다.
보빈 케이스(40)의 인출 구멍(42b)으로부터 인출된 밑실은, 실 조절 스프링(43)에 맞닿고, 안내홈(42c)을 통과하고, 실 걸이 스프링(41)의 링 부분(41a)을 통과하여 상향으로 반전하고,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를 통과하여, 침공(19a)으로 빠져나간다. 또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빈 케이스(40)의 인출 구멍(42b)으로부터 인출된 밑실을, 실 조절 스프링(43)을 경유시킨 후, 안내홈(42c)을 통과하지 않고, 실 걸이 스프링(41)의 링 부분(41a)을 통과하도록 해도 된다.
옵션으로서,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케이스(40)에서, 실 걸이 스프링(실 걸이 부재)(41)의 전방으로 가이드 부재(44)를 마련해도 된다. 가이드 부재(44)는, 보빈 케이스 본체(42)의 전면 좌상부에,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44)는 그 장착 부위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도면(44a)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유도면(44a)은 보빈 케이스(40)의 전면에 대체로 연속해 있도록(대략 일치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4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가마(3)의 회전에 따라 보빈 케이스(4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 상방으로 이행하는 윗실 루프를, 원활히 보빈 케이스 전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4)의 유도면(44a)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44b)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44b)는 주지의 피커(도시하지 않음)의 선단을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의 피커란, 실 끊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윗실의 절단시에 봉침측 윗실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소정량의 실 잔부를 확보하여 봉침의 눈구멍으로부터 윗실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주지의 피커는, 좌우 1쌍의 선단을 가지며, 실 끊기 동작시에, 이 양 선단을 보빈 케이스(40)의 개구부(42a)에 삽입하여, 가마(3)를 빠져나가는 윗실을 양 선단에 걸어 유지하는 것에 의해 소정량의 윗실 잔부를 확보하고, 따라서, 봉침의 눈구멍으로부터의 실 빠짐을 막는다. 본 실시예에서도 그와 같은 피커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하는 피커(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실 걸이 스프링(41)에 대한 간섭을 막기 위해, 해당 피커의 일방의 선단(좌측의 선단)의 길이를 종래의 것에 비해 약간 짧게 해야 한다. 가이드 부재(44)의 유도면(44a) 및 개구(44b)는, 그와 같은 특수한 피커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즉, 피커를 세팅한 상태에서는, 해당 피커의 짧은 쪽의 선단(좌측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44)의 유도면(44a)의 개구(44b)에 진입하지만, 실 걸이 스프링(41)에는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 걸이 스프링(41)의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44)의 유도면(44a)을 따라서 윗실 루프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윗실 루프는 피커의 양 선단에(즉, 짧은 쪽의 선단에도) 확실하게 걸리고, 따라서, 소정량의 윗실 잔부를 확보하여, 봉침(11)의 눈구멍(11a)으로부터의 실 빠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44)는 필수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피커를 장비하지 않는 타입의 미싱에서는 불필요하다.
<틀 우회 제어>
본 실시예에서,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 장치(21)에서 가이드체(23)를 마련하는 것에 더하여, 틀(5)의 우회 제어를 행한다. 이 틀 우회 제어는, 전기/전자적인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15는 미싱의 제어 시스템(즉, 미싱의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은, 공지된 바와 같이, 미싱의 각종 처리 및 구동의 제어를 행하는 CPU(중앙 처리 유닛)(101)와, CPU(101)의 작업 에어리어인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102)와, 미리 프로그램된 1 내지 복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바느질 데이터) 및 그것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컨트롤 데이터(프로그램 제어 데이터) 그리고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불휘발적으로 기억한 기억 장치(ROM=판독 전용 메모리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은, 미싱 주축(13)을 회전시키는 주축 모터용의 드라이버(104), 상기 틀(5)을 X방향, Y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X축 모터 및 Y축 모터용의 각 드라이버(105, 106), 상기 침봉(9)을 점프시키기 위한 상기 점프 모터용의 드라이버(107), 누름 장치(21)를 승강시키기 위한 상기 천 누름 모터(24)용의 드라이버(108)를 구비하고 있고, 각 드라이버에는 대응하는 상기 각 모터가 접속된다. 또한,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작 패널(6)을 포함하는 유저 입출력 인터페이스(109)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6)은 화상 표시와 유저 입력 조작 접수를 겸한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의 설정·제어용 화면이 해당 터치 패널에 표시된다. 유저는 해당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조작 화상 등을 터치 조작 등 하는 것에 의해 각종의 조작·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및/또는 내부 혹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CPU(101)의 제어에 따라서,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임의의 패턴의 바느질 데이터가 기억 장치(103)로부터 읽어내지고, 1스티치마다의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서 각 드라이버(104~108) 등이 제어되어 바느질 동작이 행해져, 바늘땀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 바느질 데이터에 의해서,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히치 스티치를 형성하는 소정 영역(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β~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은 CPU(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즉, CPU(101) 및 해당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103)로부터 읽어낸 바느질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히치 스티치를 형성하는 소정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서,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히치 스티치를 형성하는 소정 영역에 속한다고 판정되었다면, 해당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틀(5)을 이동할 때에, 해당 틀(5)을 우회 이동시키는 우회 제어를 행한다. 이 우회 제어는 CPU(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즉, CPU(101) 및 해당 프로그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서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상기 소정 영역에 속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점프 기구(107 등)에 의해 상기 점프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 기구(105, 106 등)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틀(5)의 우회 이동을 행하는 제어 수단(즉, 우회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틀(5)의 우회 이동이란, 봉침(11)을 상방으로 점프시킨 상태에서 해당 봉침(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이 상기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의 상기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해당 틀(5)을 이동시킨 후, 해당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이 상기 가이드체(23)의 상기 규제부(23a)에 맞닿도록 상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상기 틀(5)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해당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이 상기 가이드체(23)의 상기 규제부(23a)에 맞닿도록 하는 틀(5)의 움직임은,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이 규제부(23a)를 경유하도록 우회하는 움직임에 다름없다. 즉, 우회 이동이란, 틀(5)을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곧바로 이동하지 않고, 봉침(11)을 상방으로 점프시킨 상태에서, 윗실이 가이드체(23)의 상기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해당 틀(5)을 일단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해당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이 규제부(23a)에 맞닿도록(경유하도록) 우회하고, 마지막으로,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도달한다고 하는 이동이다.
도 1에서 하나의 전형적인 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은, 영역 β 및 영역 γ이다. 영역 β 중 90도 전후의 일부 영역(즉, 바느질 방향이 미싱의 안쪽측인 영역)은, 비교적 적은 우회량으로 틀(5)을 우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히치 스티치를 회피할 수 있는 영역이며, 편의적으로 이것을 제1 영역(S1)이라고 하기로 한다. 참고로서, 제1 영역(S1)의 일례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도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기점(C)은 현재의 침락 위치(침판(19)의 침공(19a)의 위치)를 나타내고, 반시계 방향으로 눈금 새긴 0도부터 360도 미만까지의 각도에 의해서, 기점(C)으로부터 다음의 침락점으로의 바느질 방향(즉,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을 특정하는 것으로 한다. 90도 전후의 바느질 방향의 영역(S1)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방향은, 그 정반대(180도 반대측)의 270도 전후의 영역이다. 참고로서, 제1 영역(S1)에 속하는 바느질 방향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목표 위치의 일례를, 도 16에서 T1으로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틀(5)의 우회 이동시에, 윗실이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좌전측으로) 틀(5)을 일단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상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T1)는 비교적 가깝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우회량으로 틀(5)을 우회 이동시킴으로써 목표 위치(T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제1 영역(S1)의 범위는, 도면에서는 각도 a 내지 b의 범위로서 나타내고 있고, 일례로서 85도 내지 112도 미만 정도의 범위이지만, 추가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범위는 적절히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바느질 방향이 속하는 영역 β 및 영역 γ 중 나머지 영역(S2)은, 비교적 큰 우회량으로 틀(5)을 우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영역이며, 편의적으로 이것을 제2 영역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2 영역(S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β의 잔부와 영역 γ의 전부가 포함된다. 이 제2 영역(S2)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방향은 그 정반대(180도 반대측)의 영역이며, 참고로서, 제2 영역(S2)에 속하는 바느질 방향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목표 위치의 일례를, 도 16에서 T2로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틀(5)의 우회 이동시에, 윗실이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좌전측으로) 틀(5)을 일단 이동시킨 위치로부터, 상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T2)는 비교적 멀고, 또한 안쪽측쪽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목표 위치(T2)에 도달하려면, 비교적 큰 우회량으로 틀(5)을 우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제2 영역(S2)의 범위는, 도면에서는 각도 b 내지 c의 범위로서 나타내고 있고, 일례로서 112도 내지 210도 정도의 범위이지만, 추가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범위도 적절히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우회량이 다른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2개의 영역(S1, S2)으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도 16에서, S0는 틀(5)의 우회 이동을 행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고, 이 영역 S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α와 δ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우회 이동을 행하는 동안에 1회 또는 2회 혹은 그 이상의 상기 점프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상기 제1 영역(S1)에 속하는 경우, 상기 우회 이동을 행하는 동안에 1회의 상기 점프 제어를 행하고,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상기 제2 영역(S2)에 속하는 경우, 상기 우회 이동을 행하는 동안에 2회의 상기 점프 제어를 행한다.
도 17은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틀 우회 제어에 의해서 실행되는 틀(5)의 우회 이동의 궤적 중 몇 가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도 16과 마찬가지로, C는 우회 이동 개시시의(현재의) 침락 위치(기점)를 나타내고, T1 및 T2는 우회 이동 종료시의 침락 위치(목표 위치)를 나타낸다. 이것과 관련하여, 도 18은 틀(5)의 우회 이동시에서의 윗실(T)과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며, 가이드체(23) 그리고 봉침(11) 및 그 눈구멍(11a)에 들어가는 윗실(T)의 부분을 수평 방향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점프 상태에서, 봉침(11)은 가이드체(23)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가이드체(23)의 단면과 봉침(11)의 단면(및 그 눈구멍(11a)에 들어가는 윗실(T)의 부분의 단면)은 동일 높이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도 17의 (a)는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상기 제1 영역(S1)에 속하는 경우의 해당 우회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해당 우회 이동을 행하는 동안에 1회의(1스티치분의) 점프 제어를 행한다. 기점(C)에서 상승한 침봉(9)(봉침(11))은 점프 기구에 의해서 점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방에서 유지된다. 또한, 천 누름 모터(24)가 정지하고, 누름 장치(21)가 소정의 상방 위치에 정지한다. 동시에, 봉침(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상기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틀(5)이 이동 제어된다. 이 때의 틀(5)의 움직임을 도 17의 (a)에서 A1으로 나타낸다. 틀(5)의 움직임 A1의 종점(즉 우회 이동의 중간점)(m1)은 적절한 X-Y 좌표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우회 이동을 효율적으로(컴팩트하게)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틀(5)의 움직임 A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이 되도록, A1의 종점(즉 중간점)(m1)을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도 18의 (a)는, 이 때의 틀(5)의 움직임 A1에 수반하여,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틀(5)이 중간점(m1)에 도달하면 1스티치분의 점프 제어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중간점(m1)으로부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T1)를 향하여, 틀(5)을 이동시킨다. 이 때의 틀(5)의 움직임을 도 17의 (a)에서 A2로 나타낸다. 틀(5)의 움직임 A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이 되고, 이 움직임 A2의 과정에서,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맞닿고, 윗실(T)의 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해당 규제부(23a)에 의해서 제한된다. 도 18의 (b)는, 이 때의 틀(5)의 움직임 A2에 수반하여, 윗실(T)이 해당 규제부(23a)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봉침(11)의 눈구멍(11a)으로부터 나온 윗실(T)은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점(m1)으로부터 목표 위치(T1)를 향하여 틀(5)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침봉(9)(봉침(11)) 및 누름 장치(21)는 하강한다. 물론, 하강하는 봉침(11) 및 누름 장치(21)가 피봉제물의 상면에 접하기 전에, 틀(5)이 목표 위치(T1)에 도달하여 우회 이동이 완료되도록, 적절한 동작 타이밍 조정이 이루어진다.
도 17의 (b)는,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상기 제2 영역(S2)에 속하는 경우의 해당 우회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해당 우회 이동을 행하는 동안에 2회의(2스티치분의) 점프 제어를 행한다. 기점(C)에서 상승한 침봉(9)(봉침(11))은 점프 기구에 의해서 점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방에서 유지된다. 또한, 천 누름 모터(24)가 정지하고, 누름 장치(21)가 소정의 상방 위치(상사점)에 정지한다. 동시에, 봉침(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상기 개방부(29)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틀(5)이 이동 제어된다. 이 때의 틀(5)의 움직임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7의 (b)에서도 A1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틀(5)의 움직임 A1의 종점(즉 제1 중간점)(m1)은 적절한 X-Y 좌표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우회 이동을 효율적으로(컴팩트하게)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틀(5)의 움직임 A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이 되도록, A1의 종점(즉 제1 중간점)(m1)을 설정하면 된다. 틀(5)의 움직임 A1에 수반하여,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나온 상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틀(5)이 제1 중간점(m1)에 도달했을 때 1회째의(1스티치분의) 점프 제어는 종료되지만, 점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2회째의(1스티치분의) 점프 제어를 속행한다.
다음으로, 점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1 중간점(m1)으로부터 제2 중간점(m2)을 향하여, 틀(5)을 이동시킨다. 이 때의 틀(5)의 움직임을 도 17의 (b)에서 A2로 나타낸다. 틀(5)의 움직임 A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이 되고, 이 움직임 A2의 과정에서,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나온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맞닿고, 윗실(T)의 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해당 규제부(23a)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 움직임 A2의 과정에서 윗실(T)이 해당 규제부(23a)에 맞닿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면, 도 18의 (b)와 마찬가지이다. 이 상태에서, 봉침(11)의 눈구멍(11a)으로부터 나온 윗실(T)은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틀(5)의 움직임 A2의 종점(즉 제2 중간점(m2))은 적절한 X-Y 좌표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목표 위치(T2) 및 규제부(23a)에 확실하게 맞닿는(걸리는) 것을 고려하여, 틀(5)의 움직임 A2가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우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이 되도록, A2의 종점(즉 제2 중간점(m2))을 설정하면 된다. 틀(5)이 제2 중간점(m2)에 도달하면 2회째의 점프 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움직임 A2의 종점(제2 중간점(m2))에 이르렀을 때, 윗실(T)은 해당 규제부(23a)에 좌감기로 얽힌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2 중간점(m2)으로부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T2)를 향하여, 틀(5)을 이동시킨다. 이 때의 틀(5)의 움직임을 도 17의 (b)에서 A3으로 나타낸다. 틀(5)의 움직임 A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안쪽 방향이 된다. 이 움직임 A3에 수반하여, 윗실(T)은 규제부(23a)에 더 좌감기로 얽힌 우측으로 기울어진 안쪽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그러나, 봉침(11)의 눈구멍(11a)으로부터 나온 윗실(T)이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는, 도 18의 (b)의 상태와 변함없다. 제2 중간점(m2)으로부터 목표 위치(T2)를 향하여 틀(5)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침봉(9)(봉침(11)) 및 누름 장치(21)는 하강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강하는 봉침(11) 및 누름 장치(21)가 피봉제물의 상면에 접하기 전에, 틀(5)이 목표 위치(T2)에 도달하여 우회 이동이 완료되도록, 적절한 동작 타이밍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내는 틀 우회 제어에서는, 틀(5)의 우회 이동을 간헐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1스티치마다의 바느질 데이터(틀 이동 데이터)와 점프 제어 코드를 조합하여 프로그램해 두고, 1회의 점프 제어에 의한 우회 이동은, 최초의 1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터(중간점(m1)으로의 틀 이동 데이터)와 점프 제어 코드의 조합과, 다음의 1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터(목표 위치(T1)로의 틀 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2회의 점프 제어에 의한 우회 이동은, 처음의 1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터(제1 중간점(m1)으로의 틀 이동 데이터)와 점프 제어 코드의 조합과, 다음의 1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터(제2 중간점(m1)으로의 틀 이동 데이터)와 점프 제어 코드의 조합과, 마지막의 1스티치의 바느질 데이터(목표 위치(T2)로의 틀 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틀 우회 제어에서의 점프 제어의 횟수는, 상기와 같은 1 또는 2회로 한정되지 않고, 3회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1회만이어도 된다.
틀(5)의 우회 이동은, 상기와 같이 간헐적으로 행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17의 (c)는, 틀(5)의 우회 이동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b)와 마찬가지로 목표 위치는 T2이며, (b)와 마찬가지의 궤적 A1, A2, A3으로 우회 이동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점프 제어 코드가 연속되었을 경우는 틀(5)을 연속 이동으로 한다고 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침봉(9)을 점프시킨 채로의 상태에서, 목표 위치(T2)까지 틀(5)의 우회 이동을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윗실 느슨함 방지>
일 실시예에서,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시에 윗실(T)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면 좋다. 이를 위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 케이스(8)의 하부에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가 배설된다.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는 주지의 윗실 락 장치(400)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베이스판(201)의 양단이 침봉 케이스(8)의 좌우 측면에 장착된 브래킷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판(201)에서의 각 침봉(9)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축부에 스프링을 끼워 장착한 나사(202)에 의해 누름 편(203)이 유지되어 있다. 천칭(10)으로부터 수하(垂下, 늘어뜨림)된 윗실(T)(도 3에서는 도시 생략)은 베이스판(201)과 누름 편(203) 사이로 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나사(202)의 나사 포함량을 조정하여 스프링의 탄력을 바꿈으로써, 베이스판(201)과 누름 편(203)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윗실(T)에 대해서 약간의 텐션을 접촉 저항에 의해서 부여한다.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를 통과한 윗실(T)은 윗실 락 장치(400)를 통과하고, 대응하는 봉침(11)의 눈구멍(11a)에 꿰인다.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의 나사(202) 및 누름 편(203)에 의해서 윗실(T)에 부여하는 텐션은,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시에 가이드체(23)에 걸려 있는(감겨 있는) 윗실(T)이 느슨함에 의해 하방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된다. 이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에 의해, 침봉(9)의 점프시에서도 상하동하는 천칭(10)의 하강시에 해당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의 상방의 윗실(T)의 부분에 느슨함이 생겼다고 해도, 해당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에서의 접촉 저항에 의해서 그것보다도 하방의 윗실(T)에 느슨함이 나오지 않도록 되어,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시에 가이드체(23)에 걸려 있는(감겨 있는) 윗실(T)이 느슨함에 의해 하방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윗실(T)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여도 된다. 또한, 각별한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를 마련하지 않고, 주지의 윗실 락 장치(400)로 대용해도 된다. 상술한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는 윗실(T)에 대해서 항상 텐션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접촉 저항이라도 실 조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변형예로서, 윗실 느슨함 방지부(200)를 윗실 락 장치(400)와 같이 가동식으로 하고, 틀(5)의 우회 제어시만 텐션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올 퍼펙트 스티치를 실현하는 바느질 제어>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미싱은, 윗실 요인 및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여 바느질 방향의 전 범위에 걸치는 바늘땀을 올 퍼펙트 스티치로 하는 바느질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올 퍼펙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바느질 제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기억 장치(103) 내에 격납되고, CPU(101)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은,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복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패턴(자수 패턴 혹은 그 외의 바느질 패턴)의 바느질 동작을 개시할 때 스타트한다. 스텝 St1에서는, 바늘땀의 형성 순위를 나타내는 스티치 카운터 n의 값을 초기값 1로 세팅한다. 스텝 St2에서는, 스티치 카운터 n의 현재값에 의해서 지정되는 순위(n침째)의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한 스티치 이동량 데이터 Pn(틀(5)의 X-Y이동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t3에서는, 해당 스티치 이동량 데이터 Pn의 운침(運針) 방향(즉,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을, 현재의 침락 위치를 기점(C)으로 하여, 연산한다. 스텝 St4에서는, 연산한 운침 방향(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도 16에 나타내는 영역 S0(즉, 틀 우회 제어를 행하지 않는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스텝 St5로 진행하고, NO이면 스텝 St8로 진행한다.
스텝 St5에서는, 스티치 이동량 데이터 Pn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틀(5)을 이동하고, 침봉(9)을 하강시켜 1침의 바느질 동작을 행한다. 스텝 St5에서의 바느질 동작에서는 틀(5)의 우회 이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6에 나타내는 영역 S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영역 α와 δ가 포함된다. 연산한 운침 방향(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영역 α에 속한다면, 단지 통상의 바느질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퍼펙트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산한 운침 방향(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영역 δ에 속하는 경우는, 전술한 특유의 가마 구조에 의해서,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고, 퍼펙트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영역 δ에서의 히치 스티치의 회피>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마 구조에 의해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가마 구조의 정면도이고, (b)는 내부 가마(50)에서의 봉침과 밑실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가마(3)는, 도 11~도 14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가마(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영역 δ에 속하는 경우는, 틀(5)은 해당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를 향하여 우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마(3)로부터 침공(19a)으로 향하는 밑실(D)은, 틀(5)의 이동에 따라 우안쪽 방향으로 이끌리지만, 도 20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실(D)은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에 맞닿고, 또한 해당 밑실(D)의 우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오목부(52)의 상류측 측벽(52b)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가마(3)로부터 나온 밑실(D)은, 봉침(11)의 상하 동선의 좌안쪽측을 통과하여 침공(19a)으로 향하고, 상방의 피봉제물(W)로 연결되게 되므로, 상하동하는 봉침(11)이 침판(19)보다도 아래에 있는 상태에서, 밑실(D)은 항상 봉침(11)의 좌안쪽측에 위치하고, 그 우측에 오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영역 δ에서의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구조적으로 회피하여, 가마(3)에서 실현되는 윗실(T)과 밑실(D)의 얽힘은 퍼펙트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또한, 봉침(11)이 피봉제물(가공천)(W)을 통과할 때 해당 피봉제물이 상하로 펄럭이는 일이 일어나고, 그것에 의해 밑실(D)에 느슨함이 생기고, 느슨해진 밑실(D)이 봉침(11)의 침끝보다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실 걸이 부재(41)에 스프링 작용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피봉제물(W)의 펄럭임 등으로 밑실(D)이 느슨해졌다고 해도,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거의 직하에 위치하는 실 걸이 부재(실 걸이 스프링)(41)의 스프링 작용이 신속하게 밑실(D)의 느슨함을 흡수하기 때문에, 밑실(D)을 당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밑실(D)이 봉침(11)의 침끝보다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가마(60)의 상부 스프링부(실 분리 스프링)(62)의 전단 가장자리(62b)가 내부 가마(50)의 오목부(52)의 안쪽측 벽면(52a)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전단 가장자리(62b)가 밑실(D)에 맞닿아 밑실(D)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외부 가마(60)의 상부 스프링부(실 분리 스프링)(62)에 의한 밑실(D)의 느슨함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밑실(D)의 느슨함에 의한 히치 스티치 발생의 가능성도 배제한다고 하는 만전이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도 19로 되돌아가, 스텝 St8에서는, 상기 스텝 St3에서 연산한 운침 방향(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도 16에 나타내는 제1 영역(S1)(영역 β의 일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스텝 St9으로 진행한다. 스텝 St9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은 우회 이동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영역(S1)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t8의 판정이 NO인 경우는, 상기 스텝 St3에서 연산한 운침 방향(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도 16에 나타내는 제2 영역(S2)(영역 β의 잔부와 영역 γ를 포함하는 영역)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는, 스텝 St10으로 진행하여,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큰 우회 이동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S2)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한다.
<영역 S1에서의 히치 스티치의 회피>
스텝 St9에서 행하는 제1 영역(S1)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1회 점프 제어)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9)을 점프시킨 상태에서 틀(5)을 중간점(m1)까지 이동하고, 그 다음에, 틀(5)을 목표 위치(T1)까지 이동하여 봉침(11)을 피봉제물(W) 상에 침락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도 21을 함께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도 21은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에서의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의 기능을 도해하는 사시도이다.
침봉(9)을 점프시켜 봉침(11)을 상방에 유지한 상태에서, 틀(5)을 중간점(m1)으로 이동함으로써, 틀(5)은 도 17의 (a)에서 A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이고,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T)이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나온 상태가 된다. 도 21의 (a)는, 이 때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틀(5)을 중간점(m1)으로부터 목표 위치(T1)까지 이동함으로써, 틀(5)은 도 17의 (a)의 궤적 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이고,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T)이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맞닿아 규제되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침봉(9)의 점프 상태가 해제되는 것에 의해, 봉침(11) 및 누름 장치(21)가 하강한다.
도 21의 (b)는, 하강하는 봉침(11)이 누름 장치(21)의 누름 부재(22)의 관통공(22a)에 들어가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은,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걸리고(자세하게는 규제부(23a)에서의 노치 부분),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봉침(11)의 좌측에 유지된다.
도 21의 (c)는, 봉침(11)이 더 하강하여 누름 부재(22)의 가이드체(23) 내로 들어가, 피봉제물(W)에 꽂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이드체(23) 내를 하강하는 봉침(11)은, 그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와 규제부(23a)에 의해서 규제되면서 피봉제물(W)에 연결되어 있는 윗실(T)의 부분의 우측을 통과한다.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가 하사점(下死點)까지 이르면, 누름 장치(21)의 하강은 멈춰지고, 이후는 봉침(11)만이 더 하강한다.
도 21의 (d)는, 더 하강하는 봉침(11)의 선단이 가이드체(23)를 통과하여, 피봉제물(W)에 박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의 부분은,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의해서 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봉침(11)의 좌측의 위치에 유지되면서, 봉침(11)의 하강에 수반하여 규제부(23a)를 따라서 하강한다.
도 21의 (e)는, 봉침(11)이 더 하강하는 것에 의해서,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의 부분이 가이드체(23)의 하단보다 하방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의 부분은 규제부(23a)로부터 벗어나고, 봉침(11)에 대해서 좌감기 방향으로 얽힌 상태가 된다.
더 하강하는 봉침(11)이 피봉제물(W) 및 침판(19)의 침공(19a)을 빠져나가, 눈구멍(11a)의 부분이 침판(19)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된 상태에서는,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와 상방의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의 부분은, 봉침(11)의 좌측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침공(19a)을 빠져나가 피봉제물(W)에 이른다. 이렇게 하여, 봉침(11)이 가마(3)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는,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의 피봉제물(W)(침공(19a))에 이르는 윗실(T)의 경로는, 봉침(11)의 좌측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봉침(11)이 가마(3) 내로 하강한 상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와 상방으로 연장된 윗실(T)이 외부 가마(60)의 날끝(61)에 의해서 포착되고, 날끝(61)과 함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윗실 루프가 형성되고(인출되고), 가마(3)의 회전과 봉침(11)의 상승 및 천칭(10)의 움직임의 조합에 의해서 윗실(T)의 루프가 밑실(D)에 얽혀, 바늘땀이 형성된다.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온 윗실(T)이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는(봉침(11)에 대해서 좌감기로 되는) 상태에서 가마(3) 내로 들어가므로, 이 바늘땀은 퍼펙트 스티치로서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제1 영역(S1)(영역 β의 일부)에서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영역(S2)에서의 히치 스티치의 회피>
스텝 St10에서 행하는 제2 영역(S2)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2회 점프 제어)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봉(9)을 1스티치분 점프시킨 상태에서 틀(5)을 제1 중간점(m1)까지 이동하고, 다음으로, 침봉(9)을 또 1스티치분 점프시킨 상태에서 틀(5)을 제2 중간점(m2)까지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틀(5)을 목표 위치(T2)까지 이동하여 봉침(11)을 피봉제물(W) 상에 침락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도 21의 (a) 및 도 22를 함께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침봉(9)을 1스티치분 점프시켜 봉침(11)을 상방에 유지한 상태에서, 틀(5)을 제1 중간점(m1)으로 이동함으로써, 틀(5)은 도 17의 (b)에서 A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이고,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의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이,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나온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면 도 21의 (a)와 같다.
다음으로, 침봉(9)의 점프를 지속하여(또 1스티치분 점프시킨 상태로 하여), 틀(5)을 제1 중간점(m1)으로부터 제2 중간점(m2)까지 이동함으로써, 틀(5)은 도 17의 (b)의 궤적 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우방향으로 움직인다. 틀(5)이 제2 중간점(m2)에 도달하면 점프 제어를 종료한다. 이 움직임 A2의 종점(제2 중간점(m2))에 이르렀을 때, 윗실(T)은 해당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대해서 좌감기로 얽힌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면 도 22와 같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침(11)으로부터 하강하여 오고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은,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좌감기로 깊게 얽혀 있다. 이와 같이, 2회 점프 제어에 의한 틀 우회 이동은, 윗실(T)을 규제부(23a)에 대해서 확실하게 걸 수 있으므로, 걸림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틀(5)을 제2 중간점(m2)으로부터 목표 위치(T2)까지 이동함으로써, 틀(5)은 도 17의 (b)의 궤적 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인다. 이 움직임 A3에 수반하여, 윗실(T)은 규제부(23a)에 더 좌감기로 얽히고 우측으로 기울어진 안쪽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피봉제물(W)에 연결되는 윗실(T)은,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좌감기로 깊게 걸려,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봉침(11)의 좌측에 유지된다. 점프 제어는 종료되어 있으므로, 제2 중간점(m2)으로부터 목표 위치(T2)를 향하여 틀(5)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침봉(9)(봉침(11)) 및 누름 장치(21)는 하강한다.
더 하강하는 봉침(11)이 피봉제물(W) 및 침공(19a)을 통과하여 가마(3)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윗실(T)의 상태는, 도 21의 (c)~(e)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즉,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온 윗실(T)의 부분은,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는(봉침(11)에 대해서 좌감기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가마(3) 내로 들어감으로써,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2 영역(S2) 중 영역 β의 부분에서는, 상기와 같이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에 의해, 퍼펙트 스티치의 바늘땀이 형성된다. 제2 영역(S2) 중 영역 γ는,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와 밑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가 혼재하기 때문에,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도 회피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틀 우회 제어에 의해서 봉침(11)에 대해서 좌감기로 해도 밑실이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후측(후방)에 위치하면 더블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영역 γ에서의 이와 같은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는, 전술한 대로, 침판(19)의 침공(19a)에 관련되는 특유의 침판 구조에 의해서 회피된다. 자세하게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다.
<영역 γ에서의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의 회피>
도 9 및 도 10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침판(19)에는, 침공(19a)에 관련하여 안내공(31)과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3은 이와 같이 안내공(31)과 홈부(32)를 가지는 침판(19)의 구조에 의해서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구조를 도해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에서는,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누름 장치(21)와 침판(19)의 사이에 존재하는 틀(5) 및 피봉제물(W)을 생략하고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윗실(T)의 하측과 밑실(D)의 상측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편의상,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와 침판(19)(침공(19a))과의 거리는 일정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는, 이 거리는 누름 장치(21)의 상하동에 따라서 변화한다.
도 23의 (a)는, 스텝 St10에서 행하는 제2 영역(S2)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2회 점프 제어)에서, 대체로, 틀(5)이 제1 중간점(m1)까지(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방의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은,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의 개방부(29)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으로 나온 상태가 된다. 가마(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피봉제물(W)에 연결된 밑실(D)은, 틀(5)의 이동전에는 침락 위치에 대응하여 침공(19a)을 통과하고 있지만, 틀(5)의 제1 중간점(m1)으로의(좌측으로 기울어진 전측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침공(19a)으로부터 안내공(31)으로 유도된다.
도 23의 (b)는, 스텝 St10에서 행하는 제2 영역(S2)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2회 점프 제어)에서, 대체로, 틀(5)이 제2 중간점(m2)까지(대체로 우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방의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걸려,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도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규제부(23a)에 대해서 좌감기로 얽힌다. 밑실(D)은, 틀(5)의 제1 중간점(m1)으로부터 제2 중간점(m2)으로의(대체로 우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안내공(31)으로부터 꺽여져 홈부(32)의 상부 공간에 인입되고, 해당 홈부(32)를 따라서 대략 우방향으로 유도된다.
도 23의 (c)는, 스텝 St10에서 행하는 제2 영역(S2)용의 틀 우회 이동 제어(2회 점프 제어)에서, 대체로, 틀(5)이 목표 위치(T2)까지(대체로 우안쪽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방의 봉침(11)의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T)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체(23)의 규제부(23a)에 대해서 더 좌감기로 얽혀 있다. 밑실(D)은, 틀(5)의 제2 중간점(m2)으로부터 목표 위치(T2)로의(대체로 우안쪽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홈부(32)의 안쪽측(즉 침공(19a) 근처)의 측벽(32b)(도 10의 (b))에서 걸리고,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안쪽측으로 이행하지 않고,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직전측에 유지된다. 이것은, 가마(3)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침판(19)에 이르는 밑실(D)의 경로가,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직전측에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틀(5)이 목표 위치(T2)에 이른 상태에서, 봉침(11)이 더 하강하고, 그러고 나서 상승하고, 그 과정에서, 가마(3)의 회전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윗실(T)의 루프가 밑실(D)에 얽혀, 바늘땀이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눈구멍(11a)의 후방으로부터 나온 윗실(T)이 봉침(11)의 좌측에 위치하는(봉침(11)에 대해서 좌감기로 되는) 상태에서 가마(3) 내로 들어가고, 또한, 밑실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침판(19)에 이르는 밑실(D)의 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봉침(11)의 상하 동선보다 직전측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윗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 및 밑실 요인의 히치 스티치 양방(즉 더블 히치 스티치)를 회피한 바느질이 실현된다.
또한, 틀(5)의 우회 이동에 수반하여 밑실(D)도 인출되지만, 전술한 실 걸이 부재(41)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인출된 밑실(D)의 느슨함은 신속하게 흡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 걸이 부재(41)에 스프링 작용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틀(5)의 우회 이동에 수반하여 밑실(D)이 인출되었다고 해도, 가마(3)에 마련한 실 걸이 부재(실 걸이 스프링)(41)의 스프링 작용이 신속하게 밑실(D)의 느슨함을 흡수하기 때문에, 밑실(D)을 당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밑실(D)이 느슨해져 침판(19)의 걸림 개소(홈부(32))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 걸이 부재(실 걸이 스프링)(41)는, 가마(3)로부터 상향으로 조출되어 침판(19)의 침공(19a) 또는 안내공(31)으로 향하는 밑실에 대해서 텐션을 부여하도록, 침판(19)의 하방에 마련되는, 텐션 부여 수단으로서 기능(겸비)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외부 가마(60)의 날끝(61)에 포착된 윗실(T)의 루프는 내부 가마(50)를 빠져나가, 천칭(10)(도 4)의 끌어올림에 의해서 윗실(T)은 그 루프를 축소하면서 밑실(D)을 타고 끌어 올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32)는 저면(32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루프를 축소하면서 밑실(D)과 함께 침공(19a)을 빠져나가 위로 가는 윗실(T)의 루프가 해당 홈부(32)에 걸리도록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아, 윗실 끊김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목표 위치(T2)에서 침락할 때, 밑실(D)은 침판(19)의 홈부(32)의 안쪽측의 측벽(32b)(도 10의 (b))에 걸려 있을 뿐이므로, 윗실(T)의 상승에 수반하여 밑실(D)이 끌어 올려지면, 밑실(D)은 홈부(3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통상의 경로(즉 침공(19a)을 통과하는 경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다음의 바늘땀 형성시의 밑실(D)의 경로 형성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도 19에 있어서, 스티치 이동량 데이터 Pn의 운침 방향(즉,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을 따라서, 스텝 St5, St9, St10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윗실 요인 및 밑실 요인에 의한(모든 타입의) 히치 스티치의 발생을 회피한 올 퍼펙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바느질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진 나머지의 스텝에 대해 설명하면, 스텝 St5, St9, St10의 처리 후, 스텝 St6으로 이행하여, 스티치 카운터 n의 값을 1 증가한다. 다음의 스텝 St7에서는, 1 증가한 값 n이, 현재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패턴의 「스티치 총수」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NO이면, 상기 스텝 St2로 되돌아가, 1 증가한 값 n(즉 「다음의 바늘땀」)에 대해서, 해당 스텝 St2 이후의 처리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한다. 현재 바느질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패턴의 바느질이 완료되면, 스텝 St7에서는 YES로 판단하고, 도 19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틀 우회 제어 데이터 설정>
일 실시예에서, 틀 우회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즉, 우회 제어를 위한 제조건)를, 유저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4는 조작 패널(6)(도 2)을 이용하여, 틀 우회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우회 제어를 위한 제조건)를 설정·변경 가능한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패널(6)은 터치 조작 가능한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표시 화면 상에는, 다양한 동작 모드에 따라서, 필요한 화상 및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동작 모드가 설정 모드인 경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파라미터 설정 화면(110)을 조작 패널(6)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한다. 파라미터 설정 화면(110) 상에는, 일례로서, 번호 21 내지 30의 틀 우회 제어용의 설정 항목이 각각의 현 설정값과 함께 표시된다. 다른 예로서, 파라미터 설정 화면(110) 상에 복수의 설정 항목(번호 21 내지 30)을 동시에 표시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을 표시하고, 스크롤 조작 등에 의해서 표시되는 설정 항목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파라미터 설정 화면(110)에 표시된 번호 21 내지 30 중 원하는 설정 항목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하나의 설정 항목에 관한 현 설정값이 표시부(111)에서 표시된다. 설정값 전환 키(1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해당 선택된 설정 항목에 관한 현 설정값이 증감 변경되고, 또한, 표시부(111)에서 표시된다. 설정값의 변경 후, 확정 키(113)를 누르면 해당 변경한 설정값이 유효로 된다.
번호 21의 「올 퍼펙트 스티치(Apfs) 사용」에 관한 항목은, 틀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유효로 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Yes/No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틀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유효로 할지 여부를 전환한다. 도시에서는, 「Yes」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설정값은 「Yes/No」를 대신하여, 「ON/OFF」여도 된다.
이 설정에 따라서, 틀(5)의 우회 이동 제어의 유효화/무효화를 실제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 19의 흐름의 일부를 도 25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즉, 전술한 스텝 St3과 St4의 사이에 스텝 St11을 삽입하고, 이 스텝 St11에서, 「올 퍼펙트 스티치(Apfs) 사용」이 YES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즉, 틀(5)의 우회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유효로 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t11이 YES이면, 상기 스텝 St4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틀(5)의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t11이 NO이면, 스텝 St4를 점프하여 상기 스텝 St5로 진행하고, 틀(5)의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틀(5)의 우회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유효로 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양성이 풍부한 바느질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바느질 작업의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틀(5)의 우회 이동을 실행함으로써 윗실 요인에 의한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여, 바느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틀(5)의 우회 이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여분으로 들기 때문에, 바느질의 전체적인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목적으로 하는 바느질 제품에 따라서는 히치 스티치에 의한 품질 저하보다는 생산 효율 저하쪽을 회피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표면에는 보이지 않는 숨은 부분을 봉제 하는 경우는, 히치 스티치의 개선을 하지 않고, 생산 효율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피봉제물(가공천) 또는 윗실의 종류 등에 따라서, 틀(5)의 우회 이동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순한 직선 바느질과 복잡한 자수 바느질에서는, 히치 스티치를 회피하는 요구도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우를 대비하여, 틀(5)의 우회 이동의 유효(Yes 또는 ON) 또는 무효(No 또는 OFF)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유익하다.
번호 22~24의 항목은, 틀 우회 제어를 행하는 운침 방향(바늘땀 형성 방향)을 규정하는 파라미터 a, b, c를 설정하는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S1, S2)(도 16)의 범위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제1 영역(S1)의 범위를 규정하는 경계 각도 a 및 b를 번호 22, 23의 항목에서 가변 설정하고, 제2 영역(S2)의 범위를 규정하는 경계 각도 b 및 c 중 b는 번호 23의 항목에서의 설정에 따르고, c는 번호 24의 항목에서 가변 설정한다. 일례로서, 각 경계 각도 a, b, c로서 소정값(예를 들면 a=85도, b=112도, c=210도)를 초기 설정해 두고,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이 소정값 a, b, c를 증감하는 것에 의해 가변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한 내용(각 경계 각도 a, b, c의 값)에 기초하여, 도 19의 스텝 St4 및 St8에서의 영역 S0, S1의 판정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영역을 엄밀하게 경계짓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안전 사이드에 입각하면, 틀 우회 제어를 실행하는 영역(S1, S2)의 범위를 넓게 설정하여 틀(5)의 우회 이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틀(5)의 우회 이동 제어가 많을수록 전체적인 생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바느질 제품에 따라서는, 바늘땀의 품질을 중시할 필요가 없는 장소의 바느질에서는 히치 스티치를 허용함으로써, 생산 효율의 저하를 가급적으로 회피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틀 우회 제어를 실행하는 영역(S1, S2)의 범위를 고정하지 않고, 피봉제물(가공천) 또는 윗실의 종류 등에 따라서, 가변 설정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우를 대비하여, 틀(5)의 우회 이동 제어를 행해야 할 소정 영역(S1, S2)의 범위(각 경계 각도 a, b, c의 값)를 가변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유익하다.
번호 25, 26의 항목은, 틀 우회 제어에서의 제1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파라미터 X1, Y1을 설정하는 수단(즉, 틀(5)의 우회 이동 경로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중간점(m1)(도 17)의 X-Y 변위 좌표 위치(기점(C)에 대한 상대적 좌표 위치)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번호 27, 28의 항목은, 틀 우회 제어에서의 제2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파라미터 X2, Y2를 설정하는 수단(틀의 우회 이동 경로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중간점(m2)(도 17)의 X-Y 변위 좌표 위치(제1 중간점(m1)에 대한 상대적 좌표 위치)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이들 파라미터 X1, Y1, X2, Y2에 대해서도, 각각 소정값을 초기 설정해 두고,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이 각 소정값을 증감하는 것에 의해 가변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4에서 예시된 각 파라미터 X1, Y1, X2, Y2의 현재값(2.5mm, -3.8mm, 1.1mm)는, 도 1에 나타낸 바늘땀의 X-Y 좌표 표현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간점(m1)을 규정하기 위한 X1=2.5mm, Y1=2.5mm로 하는 X-Y 변위 좌표 위치는, 도 1에 나타낸 바늘땀의 X-Y 좌표 표현 형식에서의 X+ 및 Y+의 사분면에 속하는 바늘땀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방향은 180도 반대측이기 때문에, X- 및 Y-의 사분면에 속하고, 도 17에서 기점(C)으로부터 좌전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중간점(m1)으로 틀(5)이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2 중간점(m2)을 규정하기 위한 X2=-3.8mm, Y2=1.1mm로 하는 X-Y 변위 좌표 위치는, 도 1에 나타낸 바늘땀의 X-Y 좌표 표현 형식에서의 X- 및 Y+의 사분면에 속하는 바늘땀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틀(5)의 이동 방향은 180도 반대측이기 때문에, X+ 및 Y-의 사분면에 속하고, 도 17에서 제1 중간점(m1)으로부터 우전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중간점(m2)으로 틀(5)이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설정한 내용(제1 및 제2 중간점(m1, m2)을 규정하는 각 파라미터 X1, Y1, X2, Y2의 값)에 기초하여, 도 19의 스텝 St9 및 St10에서의 틀(5)의 우회 이동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틀(5)의 우회 제어에서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파라미터 X1, Y1, X2, Y2를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틀(5)의 우회 이동 경로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우회 이동 경로를 설정하면, 누름 장치(21)의 가이드체(23)에 확실하게 윗실을 얽히게 할 수 있는 한편, 틀(5)의 우회 이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여분으로 들기 때문에, 바느질의 전체적인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우회 이동 경로를 설정하면, 틀(5)의 우회 이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그다지 들지 않아, 바느질의 전체적인 생산 효율은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바느질 품질과 생산 효율 중 어느 쪽을 우선할지의 절충에 따라 적절한 틀 우회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설정 수단은 유익하다.
번호 29, 30의 항목은, 틀 우회 제어를 적용하는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 및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란, 틀 우회 제어를 적용하는 바늘땀의 길이(스티치 길이)의 최소값이며,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이란, 틀 우회 제어를 적용하는 바늘땀의 길이(스티치 길이)의 최대값이다. 일례로서,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로서 0.0mm가 초기 설정되고,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로서 36.0mm가 초기 설정되며, 이 값을 적절히 증감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 또는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을 틀 우회 제어에 적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다음에 형성해야 할 바늘땀의 길이(스티치 길이)가 설정한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와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의 범위 내이면, 틀(5)의 우회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스텝 St3과 St4의 사이에(혹은 도 25의 스텝 St11과 St4의 사이에), 다음에 형성해야 할 바늘땀의 길이가 설정된 유효 최소 스티치 길이와 유효 최대 스티치 길이의 사이의 범위 내로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을 삽입하고, 해당 스텝이 YES로 판단되었을 때 스텝 St4로 이행하거나, NO이면 스텝 St5로 점프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틀 우회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우회 제어의 조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미싱의 조작 패널(6)을 이용한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행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바느질 패턴 프로그램 혹은 자수 패턴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 틀 우회 제어용의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임의로 설정하고, 해당 바느질 패턴 프로그램 혹은 자수 패턴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함께 기억시켜 두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프로그램된 데이터의 형태에서 틀 우회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즉 우회 제어의 조건)가 제공되는 구성도, 틀 우회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우회 제어의 조건)를 가변 설정하는 설정 수단의 일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틀(5)의 우회 이동을 행할 때, 틀 우회 이동 제어와 함께 점프 기구에 의한 침봉 점프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침봉을 점프 제어하는 점프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타입의 미싱에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해당 점프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미싱에서, 틀(5)의 우회 이동을 행하기 위해서는, 틀(5)의 우회 이동 중에 침락하지 않도록 침봉의 동작을 제어하면 된다. 예를 들어, 틀(5)의 우회 이동 중에 주축(13)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틀(5)의 우회 이동 중에 침락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두 및 다침 타입의 미싱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 기술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두 타입의 미싱 혹은 1침 타입의 미싱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수 미싱 혹은 통상의 봉제 미싱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유지체(틀)는, 평면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자 틀과 같은 회전형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가마는 전 회전 수직 가마(DB타입)로 한정되지 않고, 수평 가마나 반회전 가마 등, 그 외의 임의의 타입의 가마여도 된다. 채용하는 가마의 타입이나 그 회전 방향 등에 의해서 히치 스티치가 발생하는 영역이 상기 실시예와는 다를 수 있지만, 그것에 따른 영역 판정을 행하거나, 혹은 그것에 따른 침판 구조를 변형하거나(안내공(31) 및 홈부(32)의 배치를 변경함), 혹은 그것에 따른 가마 구조를 변형하는(오목부(52)의 배치를 변경함) 등의 변경을 실시하면 좋다.
상기 조작 패널(6)은 미싱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미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로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의 우회 제어의 조건을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식의 조작 패널(예를 들면, 모바일 컴퓨터 혹은 휴대 단말 등)에 의해서, 상기 각종의 우회 제어의 조건을 수동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즉 설정 장치)을 구성해도 된다. 그 경우, 그와 같은 휴대식의 조작 패널로 이루어지는 설정 수단(즉 설정 장치)은, 미싱의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서 설정 정보/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각종의 우회 제어의 조건을 수동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즉 설정 장치)으로서, 미싱에 고정적으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패널(6)과 상기 휴대식의 조작 패널 양자를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Claims (13)

  1. 미싱의 가마 구조로서, 밑실을 감은 밑실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를 수용하는 내부 가마와, 상기 내부 가마 둘레로 상기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외부 가마를 가지며, 상기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에는, 침락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외부 가마는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날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내부 가마의 상부 전면에서, 상기 침락 구멍으로부터 상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는 전측 및 상하가 개구되고, 안쪽측이 벽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보빈 케이스에는, 상기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상기 내부 가마의 상기 오목부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실 걸이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빈 케이스 내의 상기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이, 상기 실 걸이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오목부의 개구 개소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 개소를 통과하는 상기 밑실의 안쪽 방향의 움직임은, 상기 내부 가마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상기 안쪽측의 벽면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 걸이 부재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 걸이 부재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실 걸이 부재가 상기 보빈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단에는, 상기 밑실 보빈으로부터 조출된 밑실을 통과시키는 고리 모양 또는 만곡 모양의 링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 걸이 부재는 상기 링 부분에 통과된 상기 밑실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요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걸이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마는 상기 날끝부의 주위에 배치된 상부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스프링부의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부가, 상기 날끝부의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부보다도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마는, 전면 외주부에서,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외부 가마의 회전 방향으로 90도 미만의 범위에 걸쳐서 마련된 융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마의 상기 오목부의 안쪽측의 벽면은, 상기 외부 가마의 상기 날끝부의 전측의 측면 가장자리부의 회전 궤적보다도 전측이며 상기 회전 궤적 근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케이스에서, 상기 실 걸이 부재의 전방에 가이드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보빈 케이스의 전면에 대체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유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가마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미싱의 가마 구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가마 구조와,
    윗실을 꿴 상기 봉침을 상하동하고, 상기 봉침의 상하동에 동기하여 상기 외부 가마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에 윗실을 얽어, 피봉제물에 대해서 바느질을 행하는 바느질 기구와,
    상기 피봉제물을 유지한 유지체를 침락 위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피봉제물 상에 임의의 방향으로 바늘땀을 형성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는 미싱.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다음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방향이 히치 스티치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소정 영역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서 상기 유지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봉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윗실을 퍼펙트 스티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우회시키고, 그 후 상기 다음의 바늘땀에 대응하는 목표 위치로 상기 유지체를 이동시키는 우회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미싱.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바느질 동작 중에 점프 제어를 행해야 할 때, 상기 봉침을 하강시키지 않고 상방에서 유지하는 점프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회 제어 수단은 상기 점프 기구에 의해 상기 점프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한 상기 유지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미싱.
KR1020247005691A 2021-09-30 2022-03-16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KR20240062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1556 2021-09-30
JP2021161556 2021-09-30
PCT/JP2022/011963 WO2023053507A1 (ja) 2021-09-30 2022-03-16 ミシンの釜構造及びミ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134A true KR20240062134A (ko) 2024-05-08

Family

ID=8578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691A KR20240062134A (ko) 2021-09-30 2022-03-16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3053507A1 (ko)
KR (1) KR20240062134A (ko)
CN (1) CN118076773A (ko)
TW (1) TW202323621A (ko)
WO (1) WO202305350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80A (ja) 1993-06-07 1994-12-20 Juki Corp ミシンのヒッチステッチ防止装置
JP2515400Y2 (ja) 1990-05-02 1996-10-30 株式会社千徳 パンフレットラック
JP2540051Y2 (ja) 1991-03-04 1997-07-02 盟和産業株式会社 床構造体
JP2008023261A (ja) 2006-07-25 2008-02-07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12213603A (ja) 2011-04-01 2012-11-08 Juki Corp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2046C2 (de) 1986-09-20 1993-11-25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Nähautomaten mit einem Nähkopf mit Drehgehäuse
JPH0268096A (ja) * 1988-09-01 1990-03-07 Hirose Mfg Co Ltd 本縫い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2515400B2 (ja) 1989-07-31 1996-07-10 ジューキ株式会社 自動縫製ミシン
JP2006239389A (ja) * 2005-02-02 2006-09-14 Sabun Kogyosho:Kk ミシンの垂直回転釜
JP5089122B2 (ja) * 2006-09-29 2012-12-05 株式会社廣瀬製作所 ミシンの全回転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400Y2 (ja) 1990-05-02 1996-10-30 株式会社千徳 パンフレットラック
JP2540051Y2 (ja) 1991-03-04 1997-07-02 盟和産業株式会社 床構造体
JPH06343780A (ja) 1993-06-07 1994-12-20 Juki Corp ミシンのヒッチステッチ防止装置
JP2008023261A (ja) 2006-07-25 2008-02-07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12213603A (ja) 2011-04-01 2012-11-08 Juki Corp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53507A1 (ko) 2023-04-06
TW202323621A (zh) 2023-06-16
CN118076773A (zh) 2024-05-24
WO2023053507A1 (ja)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272B2 (ja) ミシン
KR20240062134A (ko) 미싱의 가마 구조 및 미싱
KR20240068630A (ko) 미싱의 침판 구조 및 미싱
KR20240068631A (ko) 미싱의 제어 장치 및 설정 장치 그리고 미싱
KR20220082620A (ko) 전방향 록스티치가 가능한 회전북통 및 회전북통에 의해 전방향 록스티칭 방법
KR20240062133A (ko) 미싱 및 누름 장치
JP3872487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JP2010227374A (ja) ミシン
JPH07275546A (ja) 多本針二重環縫いミシン
JP5089122B2 (ja) ミシンの全回転釜
JP2009011595A (ja) ミシン
JP2009160263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5021245B2 (ja) ボビンケース
US9290869B2 (en) Sewing machine
JP5420606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US20240026584A1 (e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JP3821136B2 (ja) 針糸繰り装置付ミシン
JP2006272011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4237592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CN1036478C (zh) 缝纫机用打环器
KR20210029945A (ko)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윗실루프 가이드수단
JPH05228290A (ja) 自動糸切り機構付きミシン
JP4294435B2 (ja) ミシン
JP2010227375A (ja) ミシン
JP2000202184A (ja) 2本針ミシ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