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881A -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881A
KR20240055881A KR1020247012630A KR20247012630A KR20240055881A KR 20240055881 A KR20240055881 A KR 20240055881A KR 1020247012630 A KR1020247012630 A KR 1020247012630A KR 20247012630 A KR20247012630 A KR 20247012630A KR 20240055881 A KR20240055881 A KR 2024005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hear support
covering
van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델 비. 콜슨
코 쿠페루스
보니 얼
켈리 란
켄트 에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5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 B29C65/08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using a rotary anv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29C65/74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by means of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7Beaded-edge joints or bead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7Joining plastics plates for making venetian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29C66/8141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being V-shap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9Curtains; Blinds; 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Grat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버링을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 및 품질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대체로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118, 120)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 위치되는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112)를 갖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100)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링은 3차원 다층, 셀형 베인을 가지며, 이는 미적으로 매력적이고 프라이버시 및 차양 목적에 실제로 유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는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되고, 일 예에서, 지지 부재는 블랙, 그레이 및/또는 브라운일 수 있고, 추가의 예에서, 후방 지지 부재(들)은 전방 지지 부재(들)보다 더 어두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예컨대 시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65퍼센트(65%) 이상 내지 약 90퍼센트(90%) 이하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커버링의 폐쇄 그리고 또한 저부 레일 조립체의 실시예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 조립체 및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링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RELATED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본 개시내용은 윈도우, 도어웨이(doorways), 아치웨이(archways)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작동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광 투과 및 관통 시야 제어 특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된 대체로 수평 가요성 베인 요소를 갖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패널 및/또는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현재의 커버링은, 대체로 수평 실질적으로 가요성인 베인 요소를 지지하는 대체로 수직 전방 및 후방 시트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313,99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Hunter Douglas에 의해 Silhouette®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시어 차양을 포함한다. 수직 지지 시트는 대체로 가요성 시어 직물이다. 수직 지지 시트는 실질적으로 수평 가요성 베인과 함께 가요성 또는 연화 광-제어 윈도우 커버링 또는 패널을 형성한다. Silhouette®의 가요성 성질은 이것이 롤러를 중심으로 가요성 광-제어 패널을 롤링 및 권출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게 허용하며, 롤-업 유형 커버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어 패널은 클리어하거나 염색된 화이트 또는 오프-화이트인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그 강도 및 내구성 요건을 고려해 볼 때, 약화된 다소 흐릿한 관통하는 시야("관통 시야(view-through)")를 초래한다. 약화된, 흐릿한 관통 시야는 커버링을 통해 투과되는 광을 연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지만, 직사광에 있어서는, 이러한 시어 재료를 완전 관통하는 시야가 다소 제한될 수 있다.
Silhouette®의 베인은 단층 재료 및 직물이고, 특정 배향에서, 이 단층 베인은 서로 상에 그림자를 생성한다. 2013년 3월 1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이고,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2014/0138037호는, 특정 위치 및 배향에서 룸-대면 시트 상에 그림자를 연화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또는 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층의 대체로 수평 베인을 갖는 가요성 롤-업 유형 윈도우 커버링을 개시한다.
투과된 광을 완만하게 빛나게 연화시키는 베인을 갖는 광-제어 윈도우 패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더 양호한 룸-암화(room-darkening) 속성 및 관통 시야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미적 외양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 및 커버링의 목적 및 장점은 후속하는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고 그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개시내용의 요약은 패널 및 커버링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주어지고, 본 개시내용 또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의 각각은 일부 경우에 별개로, 또는 다른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실시예의 관점에서 제시되지만, 임의의 실시예의 개별 양태는 별개로, 또는 그 실시예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다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건축용 패널 또는 커버링 대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윈도우, 도어웨이, 아치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커버링은 고유한 치수성, 풍부성, 및 범용성을 제공하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된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로 형성된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커버링 또는 패널은 광-제어적일 수 있고 미적이며 또한 실용적이다. 패널은 높이 및 폭을 갖고, 대체로 높이 및 폭을 갖는 대체로 수직 전방 지지 요소 또는 부재와, 높이 및 폭을 갖는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요소 또는 부재를 포함하고,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부재는 전방 지지 부재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추가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가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형성된 절첩부 또는 주름이 없이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고 평탄할 수 있으며,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패널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모두는 베인 요소의 이동 및 각도 배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능한,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는 수직 지지 부재에 의해 조작되고 제어되어, 패널에 의해 또는 패널을 통해 방해, 차단 또는 투과되는 광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의 높이 및 폭은 패널의 높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는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베인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부의 길이는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는 세장형 스트립 또는 테이프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베인 요소의 길이는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폭, 전방 수직 지지 부재(제1 시어 지지 부재)의 조합된 폭,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제2 시어 지지 부재)의 모든 조합된 폭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베인 요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투명, 반-불투명, 및 불투명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의 그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 및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베인 요소 및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직조, 부직포, 또는 니트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요소 중 하나 이상, 또는 일부 실시예 모두는 비-셀형 베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인 요소 중 하나 이상, 또는 일부 실시예 모두는 공동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셀형 베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공동,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분리된 수직 지지 부재에 응답하여 확장되는 공동을 갖는 튜브일 수 있다.
수직 지지 요소는 직물, 필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시성 및 광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건축용 개구를 위한 가요성 패널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시어일 수 있고,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또한 시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2개의 다른 시어 재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 지지 시어는 전방 수직 지지 시어의 개방도 팩터(openness factor)보다 큰 개방도 팩터를 갖거나, 또는 그 반대이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시어 중 하나 이상은 60% 이상 90% 이하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시어는 70% 초과, 7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80%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약 80% 내지 약 90%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수직 지지 부재는 어두운 색상, 예컨대 흑색, 회색, 또는 갈색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전방 시어를 포함하는, 다른 시어보다 더 어두운 색상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높은 개방도 팩터 및 어두운 색상을 갖는 수직 지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관통 시야를 증가시킬 수 있고, 베인 요소의 개선된 가시성이 특정 실시예에서 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재료가 UV 열화에 덜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어두운 색상을 갖는 것이 또한 지지 부재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베인 요소는 재료의 상단 및 저부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층은 단일의 일체형의 연속적인 재료 시트 또는 다중편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건축용 커버링으로서 작동될 때, 다층 베인의 층은 이동 가능하고 서로에 대해 분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공동을 형성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공간을 에워싸는 대체로 수평 팽창성 튜브를 형성하고, 대체로 2차원 평판 슬랫을 형성하도록 붕괴 가능한 벽을 갖는 셀형 베인을 생성한다. 공동의 체적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멀리 분리됨에 따라 증가될 수 있고, 공동의 체적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함께 더 가깝게 이동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은 복수의 다층 베인을 포함하며, 각각의 다층 베인은 가요성 상단 층 및 가요성 저부 층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은 재료의 별개의 상단 스트립 및 재료의 별개의 저부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 실시예의 상단 층은 저부 층과는 다른 폭을 가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저부 층은 상단 층보다 크거나, 또는 그 반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인 요소는 별개의 제3 층, 또는 더 많은 층 또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3 층 또는 스트립은 상단 및 저부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 중간 층일 수 있고, 중간 스트립 또는 층은 광 투과를 차단하는 룸-암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을 형성하는 재료의 상단 및 저부 층 또는 스트립은 정점 및 결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영역 내의 그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얇고, 좁은 폭이고, 가요성이고, 굴곡 지점 또는 힌지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의 중간 섹션이 서로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여 3차원 셀형 베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은 폭이 좁고 약 층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베인 층의 두께에 따라, 약 1.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 내지 약 0.1 ㎜의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의 재료는 결합 영역에서 융합되고, 결합 영역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핫-나이프 용접을 포함하는,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인의 상단 및 저부 층 각각은 결합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다른 영역에서보다 제1 결합 영역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더 얇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융합하는 것,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재봉하는 것, 및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융합하고, 접착식으로 접합하고, 함께 재봉하는 것, 또는 스테이플, 핀 및 택과 같은 다른 부착 또는 결합 수단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층 베인은 상단 및 저부 층을 생성하기 위해 1회 이상 구성되고, 조작되고, 절첩되고, 천공되고, 주름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열 경화될 수 있는 단편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의 상단 층의 측부 에지는 일체형일 수 있고, 그 각각의 저부 층의 측부 에지와 동일한 연속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측부 에지는 절첩, 천공, 주름, 압축, 및 열 경화(heat-setting),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점 및 절첩 라인을 형성한다. 다른 측부 에지는 융합, 접착식 접합, 재봉, 또는 다른 결합 또는 부착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인은 연결 위치에서 수직 지지 부재와 연관되고 그리고/또는 결합되고, (베인의 일 단부를 결합하는) 제1 연결 위치(제1 영역) 및 (베인의 다른 단부를 결합하는) 제2 연결 위치(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오프셋 거리만큼 그 각각의 근접한 제1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위치 중 다른 하나는 제2 오프셋 거리만큼 그 각각의 근접한 제2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 위치와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또는 결합 영역) 사이의 오프셋 거리는 제2 연결 위치와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또는 결합 영역) 사이의 오프셋 거리와 다르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결합 영역(정점)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어 연결 위치와 결합 영역(정점) 사이에 오프셋 거리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상대 길이, 특히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대한 베인의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커버링 및/또는 패널을 위한 베인 폐쇄가 특히 차양 배향으로 조임 및/또는 강화될 수 있고, 베인 폐쇄의 시퀀스가 제어될 수 있다.
패널의 상기 실시예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저부 레일, 롤러, 헤드 레일 및 제어 기구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링은 패널의 저부 단부와 작동식으로 연관된 저부 레일, 롤러를 작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 및/또는 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헤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링은 롤러와 작동식으로 연관된 패널의 상단 단부를 갖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저부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베인 폐쇄를 더 보조할 수 있는 저부 레일의 단일 영역 또는 라인을 따라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최저부 베인, 및/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 바람직하게는 결합될 수 있다.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및 제2 측부 에지를 갖는 재료의 상단 층 및 제1 및 제2 측부 에지를 갖는 재료의 저부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 결합 영역을 갖는 베인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제1 측부 에지를 따라 각각의 상단 층 및 각각의 저부 층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측부 에지를 따른 제1 결합 영역은 약 1.0 mm 이하의 폭을 갖는, 단계; (c) 전방 시어 및 후방 시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전방 시어 및 후방 시어 사이에 베인을 연장, 바람직하게는 결합시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베인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이어서 시어에 베인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는 요약에서 실시예의 개시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용어 및 문구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 가장 넓은 해석을 부여받아야 하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요약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이 유리하게는 일부 경우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에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실시예의 관점에서 제시되지만, 임의의 실시예의 개별 양태는 개별적으로, 또는 그 실시예나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이용되거나 또는 청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서 다양한 수준의 상세로 설명되며, 이 요약에서 청구 요지의 범주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요소, 구성요소 등의 포함 또는 비-포함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이해에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상세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하는 상세가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청구 요지는 본 명세서에 예시된 특별한 실시예 또는 배열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건축용 커버링의 다양한 양태, 특징, 및 실시예는 제공된 도면과 연계하여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건축용 커버링의 양태, 특징 및/또는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 실시예가 제공되지만, 청구범위는 도시된 정확한 배열, 구조, 하위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로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도시된 배열, 구조, 하위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배열, 구조, 하위조립체, 특징, 실시예, 양태, 및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반드시 실척일 필요는 없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단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건축용 커버링의 다양한 실시예, 양태 및 특징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a는 셀 사이에 간극 또는 간격을 갖는 셀을 형성하는 개방 구성의 다층 베인을 갖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는 건축용 개구를 위한 커버링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커버링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커버링의 정면도이다.
도 1d는 다층 베인이 폐쇄 또는 붕괴된 구성 상태로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는 도 1a의 커버링의 사시도이다.
도 1e는 후퇴 위치에 있는 도 1a의 커버링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광 투과를 도시하는 커버링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베인이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도 2a의 커버링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베인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도 2a의 커버링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개방 구성의 다층 베인을 갖는 건축용 개구를 위한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베인이 개방으로부터 폐쇄로 전이됨에 따른, 도 3a의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결합되기 전의, 다층 베인 요소의 구성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결합된 다층 베인 요소를 도시하는 커버링의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a는 베인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절단-밀봉 및 용접 공정을 도시한다.
도 6b는 다층 베인 요소의 정점의 일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층 베인 요소의 정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층 베인 요소의 정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셀형 베인을 통한 광 확산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커버링의 실시예의 사시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3층 베인을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절단-밀봉 및 용접 공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접착제, 용접, 및 절첩에 의해 형성된 셀형 베인을 갖는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차이점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과장되어 있다.
도 12는 셀형 베인이 오프셋되어 하나의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오프셋이 없는 다른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셀형 베인을 도시하는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3은 단층 비-셀형 베인을 갖는 건축용 커버링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 측면도이다.
도 14는 하나의 부착 위치를 따라 광-제어 패널에 결합된 저부 레일을 갖는 커버링의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광-제어 패널에 결합된 저부 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갖는 커버링의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건축용 커버링, 그 작동 방법, 및 제조 방법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세가 기술된다. 그러나, 건축용 커버링, 및 그 작동 및 제조 방법의 다른 그리고 수많은 실시예가 이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청구범위 및 본 발명은 실시예, 하위조립체, 또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특정 특징 또는 상세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상황에서, 공지된 방법, 절차, 제조 기술, 구성요소 및 조립체는 다른 양태, 또는 건축용 커버링의 특징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대체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구성요소, 양태, 특징, 요소 및 하위조립체는 설명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 및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커버링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환경 및 작동 요건에 특히 적용될 수 있는 형태, 구조, 배열, 비율, 재료, 및 구성요소의 많은 추가, 치환, 또는 변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은 단지 예로서 의도된 것이고, 단순히 건축용 커버링의 소정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건축용 커버링이 특히 광 및 관통 시야를 제어하기 위한 윈도우 커버링로서 사용하는 것을 참조하여 예에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커버링은 다른 적용예도 또한 가질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많은 예에서 상세한 설명은 대체로 시트 및 특히 시어 시트로서 설명된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로 형성된 커버링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 및 교시는 예를 들어 테이프, 스트립, 시트, 패널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수직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다른 재료에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 및 많은 예는 바람직하게는 다층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다층 베인의 사용을 포함하는, 베인 또는 슬랫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수평 광 제어 요소를 개시하고 있지만, 개시내용 및 교시는 비-셀형 및/또는 단층 수평 광 제어 부재에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커버링 및/또는 광-제어 패널의 실시예, 요소 및/또는 특징을 배제하는 것으로 더 좁게 해석되도록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건축용 커버링을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 전반에 걸쳐, 참조 번호는 커버링의 일반적인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형태, 형상, 구조 등에서 동일하지 않지만, 유사한 기능 또는 이점을 제공하는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번호가 아니라, 글자, 소수, 또는 위첨자와 같은) 추가적인 참조 문자가 유사한 요소 또는 특징부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개시내용은 커버링의 모든 구성요소를 항상 언급하거나 나열하지는 않고, 요소, 부재, 또는 구조물에 대한 단수형에 대한 언급, 예컨대,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수평 베인 요소, 또는 스트립 또는 베인에 대한 단수형에 대한 언급은 문맥상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그러한 요소에 대한 언급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건축용 커버링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모든 방향에 대한 언급(예컨대, 근위, 원위, 상부, 하부, 상향, 하향, 좌, 우,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후방, 백, 상단, 저부, 위에, 아래에, 수직, 수평, 반경방향, 축방향, 내부, 외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은 청구범위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특히 본 개시내용의 위치, 배향, 또는 사용에 대한 제한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지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연결에 대한 언급(예컨대, 부착, 결합, 연결 및 조인)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일군의 요소 사이에 중간 부재 및 요소 사이에 상대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에 대한 언급은 2개의 요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서로에 대해 서로 고정 관계에 있다고 반드시 추정하지는 않는다. 식별에 대한 언급(예컨대, 1차, 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이나 우선권을 내포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하나의 특징을 다른 특징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도면에 반영된 치수, 위치, 순서 및 상대적인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커버링의 일반적인 작동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윈도우, 도어 프레임(door frames), 아치웨이 등을 포함하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커버링은 미적 외양, 및 원하는 차양 및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에 특히 유용하다. 대체로 커버링은 대체로 수직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를 포함하는 가요성 하위조립체 또는 패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베인 또는 슬랫으로 또한 지칭되는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와는 다른 광 투과율 또는 반투명성을 갖고, 베인 및 지지 부재는 커버링을 통한 관통 시야 및 광 투과를 함께 제어한다. 베인의 형상 및 각도 배향은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및 수직으로 지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베인 요소는 광, 관통 시야, 차양 효과 및/또는 프라이버시를 룸에 제공 및 제어하기 위해 대체로 수평하고 수직 지지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부터 수직하고 수직 지지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까지 다른 각도 배향 사이에서 조정, 예를 들어 회전 또는 피봇될 수 있다.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임의의 절첩 라인, 주름 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시트, 패널, 테이프, 스트립 등, 및 이들 요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는 단편 또는 다중편(들)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평면일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는 높이(길이), 폭 및 두께를 갖고, 그 두께 (그들의 높이 및 폭에 대체로 수직임)는 비교적 얇을 수 있고, 수직 지지 부재는 대체로 그 각각의 길이(높이) 및/또는 폭보다 훨씬 얇은 재료로 제조된다. "길이"라고 또한 지칭되는 수직 지지 부재의 "높이"는 대체로 그리고 통상적으로 커버링 또는 패널의 높이 또는 수직 치수에 대응하고 그와 연관되는 한편, 수직 지지 부재의 폭은 대체로 그리고 통상적으로 커버링 또는 패널의 폭 그리고, 건축용 개구의 폭에 대응한다. 수직 지지 부재의 폭은 베인 요소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높이 및 폭은 패널의 높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를 갖지 않고, 종종 수직 지지 부재는 본 개시내용에서 시트로 지칭될 것이고,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시트로 형성된다.
베인 요소는 예를 들어 스트립, 테이프,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베인 요소는 재료, 예를 들어 스트립, 테이프 또는 패널의 단편 또는 다중편(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요소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대체로,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베인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베인 요소의 길이는 대체로 커버링의 폭에 대응한다. 베인 요소는 (길이 및 폭에 대체로 수직) 두께를 갖고, 그 두께는 비교적 얇을 수 있고, 대체로 그 각각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훨씬 얇은 재료로 제조된다.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를 갖지 않고, 베인 요소는 종종 본 개시내용에서 베인 또는 슬랫으로 지칭될 것이다.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및 베인 요소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재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니트, 직포,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직물 및 필름과 같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위조립체 또는 시트와 베인의 조합은 종종 광-제어 패널, 하위조립체, 또는 줄여서 "패널"로 지칭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는 대체로 가요성의 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는 또한 대체로 가요성의 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함께 커버링을 위한 대체로 가요성인 하위조립체 또는 패널을 형성한다.
또한, 수직 지지 부재 및 베인은 블랙아웃, 불투명, 부분적으로 불투명, 반투명, 투명, 또는 클리어부터 변하는, 다양한 광 투과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는 베인 요소에 비해 더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베인이 이동되는, 예를 들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는 경우, 커버링 내의 광 투과율 또는 반투명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는 광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어 및/또는 재료이고, 베인 요소는 반투명, 반-불투명, 불투명, 및/또는 룸-암화 재료 또는 그 조합이다.
도 1a 내지 도 1e,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및 도 3b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대체로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커버링(100)은 대체로 헤드레일(102), 헤드레일과 연관된 롤러(126), 광-제어 패널(104), 저부 레일 또는 중량(110), 및 커버링을 작동시키고(예를 들어,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 패널의 미적 외양 및 외관뿐만 아니라 패널을 통해 광이 차단되거나 투과되는 양, 품질, 및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10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 튜브 또는 롤러(126)가 패널(104)의 상단 단부(170)를 지지하고 그에 연결되고, 저부 레일(110)이 패널(104)의 저부 단부(175)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롤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측방향 이동을 제공하도록 롤러의 주연부를 따라 다른 수평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있다. 헤드 레일(102)은 롤러(126)를 지지할 수 있고, 패널은 건축용 개구에 걸쳐 롤러(126)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헤드 레일(102)은 건축용 개구의 상단의 형상 및 치수(예를 들어, 폭)에 대체로 대응할 수 있다. 패널(104)은 대체로 수직 전방 지지 부재(118)와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부재(12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수평 베인(1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112)은 대체로 수직 전방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에 결합되고,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부재 또는 시트(120)에 결합된다. 패널의 적용예를 제한하지 않고, 전방 지지 부재(118)는 건축용 개구의 내부(111)와 대면하는 전방 시어일 수 있고, 후방 지지 부재(120)는 개구의 외부(101)와 대면하는 후방 시어일 수 있다. 베인(112)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로부터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베인의 중간 부분이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대체로 직교하는 제1 또는 개방 위치와 베인의 적어도 중간 부분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대체로 평행한 제2 또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118, 120)는 베인 요소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간에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는 절첩 라인, 주름 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커버링(100)은 개구 내의 커버링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광-제어 패널(104)의 연장 및 후퇴, 및 그에 따라 투과되는 광의 성질 및 품질, 관통 시야 특성, 및 패널(104)의 형상 및 미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또는 제어 기구는 또한 지지 부재(118, 120)에 대한 수평 베인 요소(112)의 각도 배향을 제어할 수 있고, 이는 또한 투과되는 광의 성질 및 품질, 관통 시야 특성, 및 패널(104)의 형상 및 미적 매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롤업-유형의 윈도우 커버링에서, 이동 또는 제어 기구(106)는 바람직하게 롤러(126)를 회전시킨다. 특히, 이동 기구(106)는 광-제어 패널(104)의 베인(112)을 후퇴, 연장 또는 각도 배향시키기 위해 롤러(1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광-제어 패널은 패널이 롤러에 완전히 권취되는 완전히 후퇴된 위치와 패널이 롤러로부터 완전히 권출되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대체로 서로 평행하고 인접한 수직 지지 부재들과 함께 개구 내에서 대체로 연장되며, 베인은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수직 지지 부재들에 평행하게 배향된다(도 1b 참조). 일 예에서, 이동 기구(106)는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코드(108)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풀리(109), 직접 구동 배열체, 기어 트레인, 및/또는 클러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26)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원격 제어와 같은 사전-프로그래밍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또는 제어 기구는 현재 공지되어 있는 이동 기구 및 미래에 개발되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이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이동 기구가 주로 롤-업 유형의 커버링을 위한 롤러 또는 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나중에 개발되는 다른 배열체 및 기구, 예컨대 적층 및 절첩 배열을 위한 기구, 및/또는 저부 레일의 상승이 대신에 패널(104)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윈도우 커버링으로서 사용될 때의 참조 목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윈도우 개구의 외부(101)와 대면하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120)는 후방 지지 부재 또는 시트로서 지칭되고, 윈도우 개구의 내부(111)와 대면하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118)는 전방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로서 지칭된다. 윈도우 커버링의 베인은 다른 각도 배향 또는 방향으로 베인을 배향시키도록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이 다른 방향 및 배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패널을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 및/또는 커버링을 통한 가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차양 배향으로 지칭되는 제1 배향에서, 베인(112)은 전방 지지 부재(118)로부터 연장되고 베인(112)의 중간 부분(159)이 (도 1a에 도시된) 후방 지지 부재(120)를 향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후방 지지 부재(120)를 향해 하향으로 전방 지지 부재(118)로부터 연장되는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대체로, 차양 배향에서, 후방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베인의 부분(158)은 전방 지지 부재에 근접한 베인의 부분(113)과 동일한 높이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차양 배향에서, 베인 요소(112)의 각도 배향에 따라서, 후방 지지 부재(120)를 통해 커버링에 진입하는 태양광은, 베인 재료의 불투명도에 따라서, 후방 지지 부재(120)를 통과하는 광을 차단하거나 확산시킬 수 있는 베인 요소(112)와 직면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배향으로 지칭되는 제2 배향에서, 베인(112)은 후방 지지 부재(120)로부터 연장되고, 베인(112)의 중간 부분(159)이 (도 3a에 도시된) 전방 지지 부재(118)를 향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후방 지지 부재(120)로부터 (도 3b에 도시된) 전방 시트(118)를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대체로, 프라이버시 배향에서, 전방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베인의 부분(161)은 후방 지지 부재에 근접한 베인의 부분(163)과 동일한 높이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된다. 프라이버시 배향에서, 윈도우 아래의 사람은 그의 관통 시야를 차단하는 베인(112)으로 인해 실내를 보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배향에서, 광원(103)(태양)으로부터 후방 지지 부재(120)를 통해 진입되는 태양광(105)은 (도 2b에 도시된) 베인(112) 사이의 간극 또는 공간(124)을 통해 투과된다.
베인(112)의 각도 배향 및 이동은,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결합되는 베인(112)을 갖는 롤-업 유형의 커버링에서, 지지 부재의 상대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는, 이들이 윈도우 개구 내에서 연장되도록 롤러(126)(도 1e)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조화를 이루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윈도우 커버링이 (도 1d에 도시된) 롤러(126)로부터 완전히 연장 및 권출된 후에, 롤러(126)의 추가적인 회전이 전방 지지 부재(118) 및/또는 후방 지지 부재(120)를 서로로부터 멀리 측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를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반대 방향으로 또한 이동시킨다(도 2b, 도 2c, 도 3b).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의 서로에 대한 이러한 수직으로 대향하는 방향성 이동(107)은 지지 부재 사이에서 베인(112)을 피봇 또는 회전시킨다. 지지 부재의 상대적인 수직 운동(107)은 서로에 대한 전방 지지 부재(118) 및 백 지지 부재(120)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수직 운동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지지 부재의 상대적인 수직 운동(107)은 실질적으로 고정인 백 지지 부재(12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 부재(118);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된 전방 지지 부재(118)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백 지지 부재(120); 또는 서로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 부재(118) 및 백 지지 부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112)의 이러한 피봇팅 또는 회전 운동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에 대한 베인(112)의 각도 배향을 제어하고, 다른 팩터에 의해, 베인(112)의 형상을 제어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또한, 롤-업 유형의 커버링 내의 베인(112)의 각도 배향 및 상대 이동을 포함하는 대체로 광-제어 및 관통 시야 특성은, 지지 부재가 롤러의 후방 측부(115) 또는 전방 측부(119)로부터 및/또는 롤러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지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윈도우 커버링이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롤러(126)의 전방 측부(119)로부터 상하로 롤링되면, 이후 지지 부재(118, 120)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먼저 후퇴될 때, 후방 지지 부재(120)가 하강되고 전방 지지 부재(118)를 향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도 2b 참조), 전방 지지 부재(118)는 수직 상향으로 상승될 것이다.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의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베인(112)이 전방 지지 부재(118)로부터 후방 지지 부재(120)를 향해 하향 연장되고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 배향으로 있도록,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에 대한 그 각도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베인(112)을 회전 또는 피봇시킨다. 그러나, 윈도우 차양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후방 측부(115)로부터 상하로 롤링되면, 이후 지지 부재(118, 120)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부터 먼저 후퇴될 때, 전방 지지 부재(118)가 하강되고 후방 지지 부재(120)를 향해서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후방 지지 부재(120)는 수직 상향으로 상승될 것이다.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의 이러한 이동은, 베인이 후방 지지 부재로부터 전방 지지 부재를 향해 하향 연장되도록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버시 배향으로 있도록,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대한 그 각도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베인을 회전 또는 피봇시킨다. 따라서, 롤러 또는 헤드 튜브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롤러의 전방 측부 또는 후방 측부 주위에 감기는 방향은 커버링이 차양 또는 프라이버시 배향으로 작동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베인 요소
본 개시내용의 일부는 패널의 작동 중에 셀형 다층 베인을 형성하기 위해 광-제어 패널에서 조립되는 다층 베인을 설명하지만, 패널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또는 전체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비-셀형 베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2b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의 일부 실시예는 2개의 대체로 평행한, 수직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 120)와,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118, 120)의 위치에 따라 체적을 변화시키는 셀(122)을 형성하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다층 베인(112)을 갖는다. 지지 부재(118, 120)의 측방향 및 수직 이동은 다층 베인(112)의 형상 및 각도 배향을 제어한다. 그 결과, 다층 베인(112)은 폐쇄된 대체로 평탄한 다층 슬래브(130)(도 1d 및 도 2c 참조)와 개방된 3차원 셀형 베인(135) 사이에서 변화한다(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3a 참조). 사용되는 재료(들), 그리고 패널(104)이 형성되고 구성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층 베인(112)에 의해 형성되는 셀(122)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시트(118, 120)의 이동에 의해 그 체적이 변화하고, 이는 또한 패널(104)의 광 투과율 및 관통 시야를 변화시킬 수 있다.
셀(122)이 폐쇄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폐쇄될 때, 각각의 셀(122)은 실질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다층 베인(112)을 형성하는 재료는 도 1b, 도 1d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 120)의 각각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인(112)은 셀이 압축된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베인(112)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 120)(대체로 도 1d 및 도 2c 참조) 사이에 위치된 의사-중간 시트(130)를 형성할 수 있다. 셀(122)이 압축 및 폐쇄될 때, 베인(112)은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각도 배향되고, 그 반투과성 및 불투명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관통 시야 및 광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한 베인 사이의 간극을 통한 광 또는 가시성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인접한 베인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 있다.
셀(122)이 개방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베인(112)이 위치될 때, 각각의 베인(112)의 중간 부분(159)은 시트(118, 1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횡방향이고 대체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도 1a 및 도 1b, 도 2b 및 도 3a 참조) 또는 각도를 이룰 수 있다(도 2b 및 도 3b 참조). 다층 베인(112)은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때 바람직하게는 개방 단부를 갖는 공간 또는 셀(122)을 완전히 둘러싸고, 에워싸고 포위하는 벽을 형성한다. 즉, 다층 베인(112)은, 개방될 때, 바람직하게는 공간 또는 셀(122) 전체를 에워싸는 벽을 갖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형성하고, 개방 단부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을 수 있다. 베인(112)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인이 다른 베인과 공통 벽 또는 재료를 공유하지 않도록 서로 인접하고 그리고 이격된 지지 부재 또는 시트(118, 120)에 별개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인은 대체로 단일의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전방 또는 후방 시트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대체로 그 시트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대체로 단일의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전방 또는 후방 시트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인접한 베인(112) 사이에 간극 또는 공간(125)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접한 셀형 베인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길이만큼 분리된다. 간극(125)은 관통 시야를 제공하여 패널을 통한 광 투과를 허용할 수 있다. 개방 구성에서, 베인(112)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의해 형성된 그리고 인접한 베인(112) 세트 사이의 간극(125) 내에 공기를 포획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각의 셀(122) 내에 공기를 포획함으로써 절연을 제공할 수 있는 셀(122)을 형성한다.
다층 셀형 베인(112)은 커버링(100)의 다른 측부에서 눈에 띄는 것으로부터 하나의 측부 상에서 커버링(100)의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를 감소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커버링의 구조물과 직면하는 광으로 인한 또는 패널의 외부 측부(101) 상의 물품(예를 들어, 파편)과 직면하는 광으로 인한 그림자 라인은, 특정 입사각에 관계없이, 커버링의 내부 측부(111)로부터 볼 때 감소될 수 있다.
차양 배향의 베인은 주로 후방측으로부터 이들을 타격하는 태양을 갖고, 반사되기보다는 투과되기 때문에, 광이 룸에 진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재료의 상단 층의 외부 표면(137)을 타격하는 광이 베인(112)의 공동(122) 내에서 다른 방향으로 분산 및 투과될 것이고, 베인 재료의 저부 층을 떠날 때 더 분산 또는 약화될 것이기 때문에, 다층 셀형 베인의 하나의 잠재적인 장점은 광 투과율 및 확산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00)이 차양 배향으로 있는 상태에서, 상부 또는 상단 다층 베인(135)은 광이 하부 셀형 베인(135)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광이 하부 셀형 베인(135)과 직접 접촉하는 곳과 광이 하부 셀형 베인(135)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차단되는 곳 사이에서 하부 셀형 베인(135)의 상단 층(114) 상에 예리한 경계 라인(160)이 존재한다. 가시적이지 않은 예리한 경계 라인은 셀형 베인(135)의 확산 성질 때문에 하부 셀형 베인(135)의 저부 층(116) 상의 내부(111)로부터 보여진다. 대신에, 셀형 베인(135)의 저부 층(116)의 외부 표면(140)은 전방 시트(118)를 향해 더 어둡고, 저부 층(116)이 후방 시트(120)에 접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더 밝게 된다.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 단층 베인인 경우, 베인의 내부 측부(111) 상의 광의 투과는 매우 거칠고 뚜렷할 수 있고, 종종 베인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 사이의 예리한 경계 라인을 초래한다. 그러나, 셀형 베인인 경우, 재료의 다층 및 층 사이의 셀형 공간은 투과된 광을 완만한 글로우로 연화시킬 것이다. 또한, 특히 차양 배향에서, 다층 셀형 베인을 갖는 광-제어 패널로부터 투과된 광의 이러한 완만한 글로우는 반사된 광보다 훨씬 더 양호하게 베인의 텍스처를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층 베인은 차양 배향으로 룸과 대면하는 전방 시트를 통해 매끄럽고 부드러운 외양을 제공한다.
커버링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베인(112)은 다층일 수 있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상단 스트립(114)으로 또한 지칭되는 베인 재료(114)의 상단 층과,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저부 스트립(116)으로 또한 지칭되는 베인 재료(116)의 저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112)은 별개의 상단 스트립(114) 및 별개의 저부 스트립(116)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폭을 한정하는 2개의 측부 에지와, 그 2개의 각각의 측부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상호연결될 수 있는 (그리고, 단부 및/또는 중간 영역에서 결합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는) 길이를 한정하는 2개의 단부를 갖고,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주로 평탄화된 튜브 또는 다층 베인(112)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은 절첩, 천공, 접힘, 및 주름, 및/또는 절첩, 주름, 열 경화될 수 있고, 시트가 절첩되어 상단 스트립 또는 층 및 저부 스트립 또는 층을 형성하는 절첩 라인을 형성하는, 단편 또는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절첩된 시트 재료의 2개의 측부 에지는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주로 평탄화된 튜브 또는 다층 베인(112)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함께 정렬되고, 결합되고, 상호연결될 수 있다(그리고, 단부 및/또는 중간 영역에서 연결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재료의 상단 스트립 또는 층(114)은 상단, 외측, 또는 외부 표면(137); 저부, 내측, 또는 내부 표면(138); 및 폭 "WTS"를 형성하는 우측 측부 에지(162) 및 좌측 측부 에지(164)를 포함한다. 상단 스트립(114)은 길이 "LTS"를 형성하는 제1 단부(182) 및 제2 단부(184)를 갖는다. 재료의 저부 스트립 또는 층(116)은 상단, 내측, 또는 내부 표면(139); 저부, 외측 또는 외부 표면(140); 및 폭 "WBS"를 형성하는 우측 측부 에지(172) 및 좌측 측부 에지(174)를 포함한다. 저부 스트립(116)은 길이 "LBS"를 형성하는 제1 단부(192) 및 제2 단부(194)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층(114)의 폭(WTS)은 저부 스트립/층(116)의 폭(WBS)보다 더 작다. 베인(112)은 동일한 폭 또는 동일하지 않은 폭을 갖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층(114, 116)을 가질 수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층(114)의 폭(WTS)은 저부 스트립/층(116)의 폭(WBS)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층(114)의 길이(LTS)는 저부 스트립/층(116)의 길이(LBS)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스트립/층(114, 116)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 초과의 스트립 또는 층을 사용하여 2개 초과의 층을 갖는 다층 베인(1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의 다층 베인(112)은 별개의 상단 시트, 층 또는 스트립(114) 및 별개의 저부 시트, 층 또는 스트립(116)을 중첩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시트, 층 또는 스트립(114, 116)을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접 결합시켜 다층 베인(112)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립(114, 116)은 정점(144)을 형성하기 위해 그 제1 측부 외부 에지(162, 172)를 따라 그리고 정점(146)을 형성하기 위해 그 제2 측부 외부 에지(164, 174)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스트립(114, 116)은 매우 작은 길이방향 연장 영역(132, 136)을 따라 결합될 수 있고, 스트립의 중간 부분에서 그리고 단부에서 연결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매우 작은 길이방향 연장 부착 영역(132, 136)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미적으로 보이는 3차원 셀형 베인(135)을 초래할 수 있는 조인된 측부 에지 및 정점에 양호한 가요성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2개의 층의 작은 부착 영역(132, 136)은 약화 영역, 가요성 구역, 또는 힌지(133)를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층은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형성되는 약화 영역 및/또는 힌지로부터 유리한 유연성이 초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의 내부 표면(138, 139)은 매우 작은 부착 영역 또는 구역(132, 136)을 생성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영역(132, 136)은 작고, 힌지(133)는 결합 영역(132, 136)에 또는 대략 그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에지(162, 172)가 조인되는 결합 영역(132)의 측면도는 정점(146)을 형성한다. 측부 에지(164, 174)가 조인되는 베인(112)의 다른 측부 상의 작은 결합 영역(13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점(144)을 형성한다. 결합 영역(132, 136)이 작다는 것을 고려하면, 각각의 정점(146, 144)은 결합 영역(132, 136)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위치된다. 결합 영역 또는 구역(132, 136)은 층이 대체로 서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영역(132, 136)이 힌지(133)를 형성하는 매우 작은 영역만을 제공하고, 이는 서로에 대한 2개의 스트립/층(114, 116)의 이동(예컨대, 층/스트립의 분리) 및 공동(122)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셀형 베인(135)의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결합 영역(132, 136)은 바람직하게는, 반드시는 아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14, 116)의 전체 길이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결합 영역(132, 136)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대체로 상단 스트립(114)의 폭(WTS)의 방향으로 폭 "WAR" 및 바람직하게는 베인을 형성하는 스트립의 두께 "TTS", "TBS"보다 더 작은 저부 스트립의 폭(WBS)을 갖는다. 결합 영역(132, 136)의 폭 "WAR"은 부분적으로 다층 베인(112)을 형성하는 층 또는 스트립의 두께에 의존할 것이고, 일부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132, 136)의 폭 "WAR"은 대체로 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이다. 패널(104)의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의 폭 "WAR"은 약 0.05 mm 이상 약 2mm 이하일 수 있고, 약 0.1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결합 영역(132, 136)의 폭의 비제한적인 예는 약 1.0㎜, 약 0.8㎜, 약 0.6㎜, 약 0.5㎜, 약 0.4㎜, 약 0.3㎜, 약 0.2㎜, 약 0.1㎜, 약 0.08㎜, 및 약 0.06㎜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의 폭은 약 0.125 mm 이상 약 0.5 m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의 폭은 0.1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약 0.1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결합 영역의 폭은 베인 층의 두께 및 강성에 따라 그리고 또한 다층 베인에 대한 원하는 유연성 요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결합 영역(133, 136)의 작은 폭은 팁 또는 정점(146, 144)에서 유연성을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또는 층(114, 116)의 상대적인 이동 및 용이한 분리 및 셀(122)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힌지(133) 또는 가요성 구역을 측부 에지 또는 정점에서 제공한다.
작은 결합 영역(132, 136)을 형성하는 것은 다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작은 결합 영역을 형성하는 일부 바람직한 기술, 및 힌지(133)는 결합 영역에서 재료를 함께 융합하는 것을 포함하고, 용접 예를 들어 초음파 절단-용접 또는 핫-나이프 용접/절단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공정을 사용하여, 재료(114, 116)의 2개 이상의 층이 재료를 중첩시킴으로써 조립 및 처리되고, 여기서 그 에지가 거칠게 정렬될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혼(190)과 회전 드럼(종종 앤빌로 지칭됨)(191) 사이에서 층을 통과시킨다. 진동 혼(190)의 고주파 기계적 운동 및 혼(190)과 회전 드럼(191) 사이의 압축력은 혼(190)이 베인 재료(114, 116)와 접촉하는 좁은 영역에서 마찰열을 생성한다. 열은 스트립(114, 116) 내로 재료를 용융 및 절단할 뿐만 아니라, 함께 적층된 재료 또는 스트립(114, 116)의 각각의 제1 에지(162, 172) 및 각각의 제2 에지(164, 174)를 용접 및 융합하여 각각의 정점(146, 144)을 형성한다. 초음파 용접으로부터 과도한 트림(193)은 베인(112)을 형성하는 스트립 또는 시트(114, 116)로부터 제거되고, 스크래핑될 수 있다.
진동 혼(190)과 회전 드럼(191) 사이의 초음파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좁은 영역에서 발생하여 상단 스트립(114)의 에지(162, 164), 및 저부 스트립(116)의 에지(172, 174)를 따라 매우 좁은 결합 영역(132, 136)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혼(190)은 20K의 초음파이고, 앤빌(191)은 약 140도 이상 약 170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도 내지 약 160도인, 얕은 각도(195)를 갖고 (그리고 약 5도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고), 이는 그것이 절단될 때 재료의 에지를 용융, 용접, 및 밀봉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스트립의 재료 및 두께, 베인의 설계, 및 패널의 의도된 용도와 같은 팩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초음파 절단-밀봉의 작용은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의 재료가 함께 용융 및 융합되는, 매우 작은 접합 영역, 예컨대 점 용접을 생성한다.
또한, 초음파 절단 용접 공정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영역(132)에 인접한 영역(165, 166)은 베인 층(114, 116)의 나머지 본체 또는 폭보다 얇거나 또는 더 얇을 수 있고 더 가요성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 영역(136)에 인접한 영역은 또한 스트립(114, 116)의 나머지 본체 또는 폭보다 얇아질(더 얇아질) 수 있고 더 가요성일 수 있다. 초음파 용접 공정에 의해 형성된 얇은 영역(165, 166)과 조합된 약화 영역(133)은 훨씬 더욱 더 가요성의 힌지(133)를 형성할 수 있다.
핫-나이프는 또한 다층 스트립(114, 116)을 그 측부 에지(162, 172 및 164, 174)를 따라 함께 용융, 절단, 용접, 및 융합될 것이고, 초음파 절단/밀봉과 유사한 용접 및 결합 영역(132, 136)을 생성할 것이다. 핫-나이프 공정에서, 핫-나이프가 다층 재료를 통과함에 따라, 핫-나이프는 각각의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의 에지(162, 172 및 164, 174)를 용융, 절단, 용접, 융합, 및 밀봉하여 다층 베인(112)을 형성한다.
초음파 절단-밀봉 및 핫-나이프 공정 모두는 층/스트립 사이에 결합 영역을 생성하고, 여기에서 다층 재료는 약 이만분의 1인치의 작은 거리에 대해 평행할 수 있고, 짧은 거리에 걸친 재료의 용융 및 유동의 결과로서, 베인 재료는 팁 또는 정점(144, 146)에서 및/또는 그에 바로 인접한 지점 또는 작은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고, 베인 재료는 가요성이고 정점에서 힌지를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112)은 2개의 층(상단 층(114) 및 저부 층(116)), 절첩 라인(131), 및 정점(146)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측부 에지를 따라, 조작되고, 구성되고, 천공되고 및/또는 접힌,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주름형성된, 천공된, 압축된 및/또는 열 경화된 재료의 단일 시트 또는 스트립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인 주름, 천공, 압축, 및/또는 열 경화는 바람직한 절첩 라인(1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층(114, 116)의 나머지 측부 에지(164, 174)는 작은 부착 영역(136)을 따라 결합되어 정점(144)을 형성한다. 절첩 라인(131) 및 결합 영역(136)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적인 외양의 3차원 셀형 베인(135)을 초래할 수 있는 유리한 가요성 특성을 제공한다. 절첩, 천공, 및 선택적으로 주름, 천공, 및/또는 열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절첩 라인(131)은 층이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힌지(133)를 형성할 수 있다. 다층 베인이 절첩 라인(131)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정점(146)은 절첩 라인(131)에 또는 그와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위치된다. 결합 영역(136)은 또한 층이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약화 영역, 가요성 구역 또는 힌지(133)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 영역은 상술한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패널(104)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영역(132')은 (도 8, 도 11에 도시된) 에지(162, 172) 및 상단 및 저부 층/스트립(114, 116) 및 접착제 층(127)을 포함하는 결합 영역 또는 조인트에 3층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에지(164, 174)를 따라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을 접합하기 위해 글루 또는 접착제(127)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영역(132')은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용접 공정, 또는 절첩 라인(131)을 형성하는 절첩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결합 영역(132)보다 더 두껍고 더 넓은 경향이 있다. 다층 베인에 적합한 텍스타일과 적합한 강도를 갖는 적절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접착제(127)의 폭 "WAR" 또는 스트립(114, 116) 사이의 글루 라인은 대체로 1 mm 보다 작지 않고, 베인에 사용되는 텍스타일과 접착제에 따라 약 1.5 mm 내지 약 2 mm 이상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글루 라인 또는 접착제(127)가 도 8에서 에지(162, 172)의 외부 팁까지 줄곧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글루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이 평행한 관계로 보유지지되는 영역과 결합 영역(133')의 폭(WAR)을 연장시키는 경향이 있는 팁 또는 외부에지까지 줄곧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다층 베인의 상단 및 저부 층의 접착식 접합을 사용하는 다층 구조 부착부는 더 강성인 경향이 있고, 용접 또는 융합 공정을 사용하여, 또는 절첩 공정을 사용하여 베인 재료를 결합하는 것보다 더 스트립(114, 116)의 이동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베인의 접착식 접합은 절첩 라인 또는 융합(예컨대, 용접) 결합 또는 부착 공정보다 더 긴 평행 관계로 다층 베인의 2개의 층을 보유지지하는 경향이 있어서, 결합 영역은 더 넓어지고 2개의 층은 융합 공정이 사용될 때보다 더 분리를 저지하는 경향이 있다. 더 강성이고, 덜 가요성인, 더 긴(더 넓은) 결합 영역은 또한 패널의 작동 중에 베인이 형성되는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127)의 사용은 공동(122')을 갖는 셀형 베인(135')을 생성할 것이지만, 결합 영역은 더 큰 폭(WAR)을 갖고, 공동(122')은 재료를 함께 융합시킴으로써 또는 대체로 약 1.5 mm 미만이고 더 작은(예컨대, 약 0.05 mm 내지 약 1.0 mm) 작은 결합 영역에서 재료를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작은 결합 영역(132, 136)과 함께 생성된 공동보다 더 작은 체적 및 다른 형상을 갖는 경향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135")은 정점(144)을 형성하는 절첩 라인(131)과 정점(146)을 형성하는 용접에 의해 생성된 작은 결합 영역(1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셀형 베인(135") 내의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의 부착 또는 결합은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절단-용접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절첩(및 주름, 천공, 및/또는 열 경화)을 사용하여 형성된 셀/공동(122")은 힌지(133")를 형성할 수 있고, 용접 또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서만 생성된 결합 영역과 함께 생성된 공동보다 더 크고 다른 형상을 갖는 공동(122")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의 제1 측부 에지를 생성하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의 각각의 측부 에지는 접착 공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반면, 다층 베인의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의 다른 각각의 (제2) 측부 에지는 용접 공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베인 재료를 다르게 (3개 또는 4개의 섹션 또는 그 이상으로) 조작하고, 구성하고, 주름지게 하고, 절첩하고 및/또는 열 경화하고 에지 또는 절첩된 영역을 따라 결합하여 개방 또는 압축될 수 있는 관형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더 많은 층이 생성될 수 있다. 다층 베인이 또한 생성될 수 있고, 그 개시내용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Manufacture and Systems"인 대리인 정리 번호 161045-00300을 갖는 2016년 10월 28일자(본 출원과 동일한 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62/414,548호에 도시된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결합 영역(132, 136) 사이의 상단 스트립(114) 및 저부 스트립(116)의 개별 폭 "WTS" 및 "WBS", 상단 스트립(114) 및 저부 스트립(116)의 각각의 폭, 및 결합 영역(132, 136)의 성질 및 유형, 또는 절첩 라인(131)의 사용뿐만 아니라 다른 팩터가 베인의 형상과, 패널(104)의 작동 및 시트(118, 120)의 이동 중에 형성된 셀 공동의 형성 및 형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단 스트립(114)의 폭(WTS)은 그 각각의 저부 스트립(116)의 폭(WBS)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결합 영역(132, 136) 사이의 저부 스트립(116)의 폭(WBS)보다 작은 결합 영역(132, 136)사이의 폭(WTS)을 갖는 상단 스트립(114)을 갖는 다층 베인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은, 예를 들어, 약 4인치의 재료 폭에 대해 약 0.030 인치만큼, 또는 약 1% 다르게 폭이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114)과 저부 스트립(116) 사이의 폭의 차이는 약 0.5% 이상 약 3% 이하일 수 있으며, 다른 양이 고려되지만, 약 0.25%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약 3인치 내지 약 4인치의 베인에 있어서,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 사이의 폭의 차이는 약 0.5 ㎜ 이상 약 4.0 ㎜ 이하일 수 있고, 사용되는 재료 및 다층 베인에 대한 원하는 특성에 따라, 상단 및 저부 층 사이의 각각의 폭의 다른 차이가 고려되더라도, 약 0.1 ㎜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상단 스트립(114)보다 더 넓은 저부 스트립(116)은 셀(122)의 개방과 형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층 셀형 베인(135)이 개방 확장 위치에 있을 때 더 큰 체적 셀(122)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의 폭의 차이는 링클을 초래할 수 있는 재료의 여분의 턱(tucks)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롤러 주위로 직물을 균일하게 권취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층 또는 스트립(114, 116)이 그 결합된 또는 절첩된 에지(162, 172 및 164, 174) 사이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다층 베인은 롤러 주위에 위치될 때에 서로에 대해 평탄하게 놓이기 위해서, 외부 스트립이 내부 스트립 보다 더 넓어져야 하기 때문에, 롤러 주위에 권취될 때에 베인 재료의 잠재적인 주름 및 링클을 유발할 수 있다. 다층 베인(112)의 외부 층 또는 스트립은 다층 베인(112)의 내부 층 또는 스트립과 동일한 원주방향 원호를 추적하고 롤러에 대해 평탄하게 놓일 수 있기 위해서, 대체로 내부 층 또는 스트립보다 더 넓어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베인(112) 내의 주름 및 잠재적 결함을 생성할 수 있는 내부 층 상에 여분의 직물의 외부 층 및/또는 턱의 스트레칭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다층 베인(112)의 외부 층, 즉 외부 스트립으로서 롤러(126) 주위를 롤링하는 스트립(114, 116)에 대해 더 큰 폭을 제공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저부 스트립 또는 층(116)은 롤러의 외측 주위를 롤링할 것이고, 링클 및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단 스트립(114)보다 더 크다. 내부 층 또는 스트립과 비교할 때 다층 베인(112)의 외부 층 또는 스트립에 대한 폭의 차이의 범위는 스트립에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 롤러의 직경, 및 베인의 폭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층 베인(112)을 형성하는 스트립 또는 시트(114, 116)는 약 2.5인치 내지 약 4.5인치의 스트립으로 예비 슬릿된 직물의 넓은 롤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약 1/4 인치의 증분으로 변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이 직조 직물보다 더 얇고 저렴할 수 있는, 다층 베인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 직물, 바람직하게는 약 0.005인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베인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직조 직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용접(절단-밀봉) 공정이 직물의 에지를 밀봉시켜 닳아 해어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베인을 위한 직물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및 수많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초음파 및 핫-나이프 응용에서 적합한 용접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베인의 차양 또는 프라이버시 효과를 향상시키고 원하는 외관을 생성하기 위해 상단 및 저부 스트립에 적합한 재료 및 설계 패턴이 선택될 수 있다. 상단 스트립(114) 및 저부 스트립(116)을 위한 재료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재료는 바람직한 범위의 색상 및/또는 불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저부 표면(138, 140)은 색상으로 또는 설계로 인쇄될 수 있다. 또는 상단 및 저부 스트립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상단 표면(137, 139)은 색상으로 또는 설계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및 저부 스트립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양면(이중 인쇄됨)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스트립들이 인쇄되어야 한다면, 이들은 바람직하게 그 에지를 따라 결합 영역의 형성 이전에 인쇄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링은 다층 베인(112)을 이용함으로써 폐쇄 구성, 예컨대 룸 암화 버전으로 개구를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101) 또는 후방과 대면하는 스트립(114, 116)은 다른 스트립보다 색상이 블랙이거나 또는 더 어두울 수 있다. 후방 표면 스트립(114)은, 예를 들어, 임의의 광이 재료를 통과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재료일 수 있고, 다른 스트립은 반투명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후방과 대면하는 블랙 또는 어두운 스트립(예컨대, 임의의 광이 통과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층 또는 스트립) 및 전방과 대면하는 반투명 스트립을 갖는 다층 베인을 이용함으로써, 후방 룸-암화 스트립 내의 임의의 결함, 또는 후방 층을 지나 투과되는 임의의 광이 전방 대면 층에 의해 확산될 것이다. 프라이버시 배향에서, 후방과 대면하는 더 어두운(예컨대, 블랙) 스트립은 저부 스트립(116)이다. 차양 배향에서, 후방과 대면하는 더 어두운 (예컨대, 블랙) 스트립은 다층 베인의 상단 스트립이다. 대안적으로, 매우 가벼운 확산성인 재료가 후방 스트립, 바람직하게는 저부 스트립(116)에 사용될 수 있고, 텍스처화된 직물이 전방 대면 스트립, 바람직하게는 상단 스트립(114)에, 또는 그 반대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베인은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 이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스트립(114)과 저부 스트립(116) 사이에 위치된 제3 스트립(129)의 사용은 다층 베인(112')에 중간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또는 중간 층 및 선택적으로 추가의 층은 필름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필름 또는 직물은 다층 베인을 형성하는 다른 스트립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폴리에스테르 재료와의 향상된 접합 및/또는 용접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베인 내의 추가 층은 더 양호한 차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114)의 직물(167)의 제1 롤, 중간 층 재료(129)의 직물(168)의 제2 롤, 및 저부 스트립(116)의 제3 롤(169)은 각각 권출되어 상단 스트립(114), 중간 층 재료(129) 및 저부 스트립(116)이 층으로서 배열되고 초음파 용접부 또는 다른 결합 또는 부착 공정으로 공급되어 다층 베인(112')을 형성한다. 특정 버전에서, 다층 베인(112')의 제3 층의 사용은 개선된 룸-암화 베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층(129)은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고, 재료는 광이 다층 베인을 통과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룸-암화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룸-암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DuPont#329 및 Mylar와 같은 금속화 필름이 제3 중간 층(129)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3개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용접(절단-밀봉)되고, 그 에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층은 그 에지에서 다른 층에만 결합되고, 이는 셀, 공동 또는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층으로부터 그 에지 사이에서 자유롭게 분리된다.
정전기 축적은 베인 층의 분리 및 베인의 개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 얇은 슬리크 셀에 있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특히 층/스트립(114, 116)의 내부 표면(138, 139) 상에서의 정전기 방지 화합물로 베인 재료를 처리하는 것은 이러한 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셀(122)을 형성하도록 층/스트립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전기 방지 재료가 예를 들어 베인 층/스트립의 표면 상에 정전기 방지 재료를 인쇄함으로써 층/스트립(114, 116)내로 합체될 수 있다.
패널의 구성
패널(104)에서, 베인(112)은 수직 지지 부재(118, 120)로부터 연장되고, 일 실시예는 도 5,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위치(142, 148)에서 수직 지지 부재 또는 지지 부재(118, 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은 시어 직물인 지지 부재(118, 120)에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베인이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다층 베인(112)의 셀(122)의 형상 및 개방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 실시예에서, 저부 스트립(116)은 제1 연결 위치(148)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방 지지 부재(118)에 결합되고, 상단 스트립(114)은 제2 연결 위치(142)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후방 지지 부재(120)에 결합된다(도 5, 도 9, 도 11 및 도 12). 제1 연결 위치(148) 및 제2 연결 위치(142)의 각각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8,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베인의 길이(즉, 패널 및/또는 시트의 폭)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글루 또는 접착제(143),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접착제가, 베인(112)에 도포되고, 베인(112)이 그 후에 지지 부재(118, 120)에 부가된다. 더 구체적으로, 접착제(143)는 바람직하게는 베인(112)의 길이를 따라 일렬로 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베인(11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도포된다. 연결 위치(148, 142)의 폭은 (스트립(114, 116)의 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략 1 mm 이상 대략 10 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위치의 폭은 약 2 mm 내지 약 3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위치(148, 142)의 폭은 결합 영역(132, 136)의 폭보다 더 클 수 있고, 적어도 4배 더 클 수 있고, 10배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위치는 베인 및/또는 수직 지지 부재에 적용될 수 있는 글루 라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 베인(112)에서, 하나 이상의 글루 라인(142)이 상단 층/스트립(114)에 적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글루 라인(148)이 저부 층/스트립(116)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글루 라인(148)은 저부 스트립(116)의 저부 또는 외부 면(140)에 적용될 수 있고, 제2 글루 라인(142)은 상단 스트립(114)의 상단 또는 외부 면(137)에 적용될 수 있다. 롤러의 전방(119)으로부터 권취되고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112)이 차양 배향으로 있도록 구성되는 패널(104)에서, 제1 글루 라인(148)을 갖는 저부 스트립(116)은 전방 시트(118)에 결합되고, 반면에 제2 글루 라인(142)을 갖는 상단 스트립(114)은 후방 시트(12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위치(148, 142)는 모두 그 각각의 근접한 결합 영역(132, 136) 및/또는 정점(146, 144)(도 5)으로부터 거리(145)로부터 이격되거나 오프셋되고, 또는 연결 위치(148, 142) 중 하나만이 그 각각의 근접한 결합 영역(132, 136) 또는 정점(146, 144)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오프셋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연결 위치(148, 142)는 그 각각의 근접한 결합 영역(132, 136) 및/또는 정점(144, 146)(도 12 참조)과 중첩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결합 영역(132), 정점(146), 및 연결 위치(148)는 전방 시트(118)에 근접하고 (예컨대, 1 cm 이내), 결합 영역(132) 및/또는 정점(146)은 연결 위치(148)(예컨대, 글루 라인(148)) 이어서 연결 위치(142)에 더 인접하고, 명명 목적을 위해, 연결 위치(148)는 결합 영역(132) 및/또는 정점(146)에 대해 근접하고,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유사하게, 도 5에서, 결합 영역(136), 정점(144), 및 연결 위치(142)(예컨대, 글루 라인(142))는 후방 시트(120)에 근접하고 (예컨대, 1 cm 이내), 결합 영역(136) 및/또는 정점(144)은 연결 위치(142) 이어서 연결 위치(148)에 더 인접하고, 명명 목적을 위해, 연결 위치(142)는 결합 영역(136) 및/또는 정점(144)에 대해 근접하고,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결합 영역(132, 136) 또는 정점(144, 146)과 각각의 근접한 연결 위치(148, 142) 사이의 오프셋 거리(145)는 다층 셀형 베인(135)의 셀(122)의 개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프셋 거리(145)는 상단 스트립(114)과 저부 스트립(116)의 분리와 3차원 셀형 형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더 큰 오프셋 거리(145)는 대체로 더 두툼한 셀 또는 공동(122)을 제공하는 반면, 더 작은 오프셋 거리(145)는 더 얇은 셀 또는 공동(122)으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대체로 정점 지점(146, 144)(결합 영역(132, 136))으로부터 각각의 근접한 연결 위치(148, 142)까지의 오프셋 거리(145)는, 오프셋이 없는 0으로부터 각각의 상단 또는 저부 스트립(114, 116)의 폭의 약 15%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오프셋 거리(145)의 비제한적인 예는 상단 또는 저부 스트립(114, 116)의 폭의 약 1% 이상 약 15% 이하이고, 이는, 예를 들어, 약 1%의 증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폭의 약 5cm 이상 약 12cm의 이하의 범위인 베인을 갖는 패널(104)에 대해, 오프셋 거리(145)는 약 0만큼 작을 수 있고(오프셋 없음), 연결 위치(글루 라인)(148, 142)과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 지점(146, 144) 또는 결합 영역(132, 136) 사이에서 약 1cm 이상일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약 0.5 밀리미터의 증분으로 변할 수 있다. 오프셋이 요구되는 일 실시예에서, 오프셋 거리(145)는 약 5 mm 내지 약 8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mm 내지 약 7 mm의 범위일 수 있다. 대체로, 연결 위치가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 및/또는 결합 영역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경우에, 연결 위치는 약 5㎝ 내지 약 12㎝ 범위의 폭을 갖는 베인에 대한 그 각각의 정점 및/또는 결합 영역의 1㎝ 이하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148, 142) 중 하나만이 결합 영역(132, 136)의 근접한 각각의 정점(146, 144)으로부터 오프셋 거리(145)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영역(132)(및 정점(146))은 실질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148)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연결 위치와 결합 영역의 이러한 중첩은 패널(104)의 전방 시트(118) 상에서 유리할 수 있고, 그 이유는 다층 베인의 정점 또는 에지에서 베인과 수직 지지 부재 사이의 조인트(예컨대, 글루 라인)가 정점으로부터 먼 거리의 조인트(예컨대, 글루 라인)보다 더 양호하게 관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 위치(148, 142) 중 하나가 결합 영역(132, 136) 중 하나와 중첩되고, 결합 영역(132, 136) 중 하나가 연결 위치(148, 142) 중 하나로부터 오프셋될 때, 다층 베인은 여전히 공동(122)을 개방 및 생성하는 경향이 있고, 전방 및 후방 시트 모두를 따라 또는 근접하여 오프셋(145)으로 결합되는 다층 베인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형성한다. 다층 베인(112)은 셀 또는 공동(122)을 여전히 형성하는데, 이는 후방 시트(120)에 인접한 저부 스트립(116)의 정점(144)과 제1 연결 위치(148) 사이의 거리가 전방 시트(118)에 인접한 상단 스트립(114)의 정점(146)과 제2 연결 위치(142)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이고, 힘을 균등화하기 위해, 저부 스트립(116)은 상단 스트립(114)과 유사한 곡선을 따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전방 지지 부재(118)가 후방 지지 부재(12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때, 결과적인 셀형 베인(135)은 바람직하게 부유 외관, 예를 들어 S-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다층 베인의 형상은 예를 들어 상단 스트립(114) 및 그 각각의 저부 스트립(116)의 개별 폭,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의 각각의 폭, 결합 영역(132, 136)과 그 각각의 근접한 제1 또는 제2 연결 위치(148, 142) 사이의 거리(145), 전방 시트(118) 및 후방 시트(120)를 분리하는 거리, 상단 및 저부 스트립(114, 116)을 위한 재료의 강성, 및 결합 영역(132, 136)의 가요성 및 폭, 또는 절첩 라인(131)의 유형 및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팩터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 5 cm 내지 약 12 cm 다층 베인 폭을 갖는 패널(104)에 대해, 제1 및 제2 결합 영역(132, 136)은 약 1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내지 약 0.125 mm의 폭을 갖고, 제1 및 제2 연결 위치(148, 142)는 약 2 mm 내지 약 8 mm의 폭을 갖고, 상단 스트립(114) 상의 제2 글루 라인(142)은 제2 결합 영역(136) 또는 정점(144)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8 mm의 거리(145)만큼 오프셋되어 정점(144)에서 또는 그 주위에 힌지(133)를 형성한다. 저부 스트립(116) 상의 제1 글루 라인 위치(148)는 약 5 mm 내지 약 8 mm의 오프셋 거리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정점(146)에 또는 그 주위에 힌지(133)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결합 영역(132) 또는 정점(146)과 중첩되고 그로부터 실질적으로 오프셋 거리를 갖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베인(135")이 약 5 cm 내지 약 12 cm의 폭을 갖고, 정점(146) 및 작은 결합 영역(136)을 형성하는 우선 절첩 라인(131)을 갖도록 형성되고, 결합 영역(136)은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약 1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내지 약 0.125 mm의 폭을 갖고, 제1 및 제2 연결 위치(148, 142)는 약 2 mm 내지 약 8 mm의 폭을 갖고, 제2 연결 위치치(142)는 힌지(133)를 형성하기 위해 정점(144)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8 mm의 거리(145)만큼 오프셋된다. 제1 연결 위치(148)는 약 5 mm 내지 약 8 mm의 오프셋 거리(145)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정점(146)에 또는 그 주위에 힌지(133')를 형성하기 위해 절첩 라인(131) 또는 정점(146)과 중첩되고 그로부터 실질적으로 오프셋 거리를 갖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링(100) 내의 다층 베인(112)은 붕괴 가능하고 팽창 가능한 튜브를 형성하도록 별개로 생성된다. 다층 베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사이에 제공된 공간 또는 간극(125)을 갖는 지지 시트에 별개로 결합된다(부착 위치(148, 148', 142, 142')). 각각의 다층 베인(112)은 개방 단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셀 또는 공동(122)을 에워싸고 형성하는 연속 벽을 갖는 길이방향 튜브 또는 슬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다각형, 이중-S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의 다층 베인(112)의 도면인 도 5를 참조하면, 상단 스트립(114)은 대체로 전방 지지 부재(118)와 백 지지 부재(120) 사이에 걸쳐지고, 저부 스트립(116)은 대체로 백 지지 부재(120)와 전방 지지 부재(118) 사이에 걸쳐진다. 더 구체적으로, 개방 위치에서,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은 측벽(123, 124), 상단 벽(176) 및 저부 벽(177)을 갖는 공간 또는 셀을 전체적으로 에워싼다. 측벽(124)은 대체로 글루 라인 위치(148)와 정점(146) 사이에서 전방 지지 부재(118)를 따라서 그리고 그에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반면, 측벽(123)은 대체로 글루 라인 위치(142)와 정점(144) 사이에서 후방 지지 부재(120)를 따라서 그리고 그에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단 벽(176)은 글루 라인(142)과 정점(146)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반면, 저부 벽(177)은 글루 라인(148)과 정점(144) 사이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개방 위치에 다층 베인이 있는 일 실시예에서, 상단 스트립(114) 및 저부 스트립(116) 각각은 실질적으로 측방 "S" 형상을 형성한다. 도 5의 상단 스트립(114)의 형상을 추적하면, 제2 결합 영역(136)은 후방 지지 부재(12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섹션(153) 또는 측벽(123)은 힌지(133)에서 제2 결합 영역(136)의 정점(14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 부재(120)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상향으로 제2 글루 라인 위치(142)까지 연장되고, 여기서 상단 스트립(114)은 후방 지지 부재(120)의 내측 표면(121)에 결합된다. 상단 스트립(114)의 일부가 측벽(123)을 형성하고, 글루 라인(142)에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후방 지지 부재(120)를 따라서 연장되고 섹션(150) 내에서 글루 라인(14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에 전방 지지 부재(118)를 향해서 굴곡되고 만곡되고, 그리고 상단 스트립(114)의 곡률은 이것이 후방 지지 부재(120)로부터 전방 지지 부재(118)를 향해서 멀리 연장됨에 따라 계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단 스트립(114)의 섹션(150)은 문자 "S"의 저부 부분의 형상을 취한다. 이어서, 상단 스트립(114)은, 전방 및 백 지지 부재(118, 120) 사이에 위치된 변곡 영역(151)에서 방향을 변경하고, 전방 지지 부재(118)에 인접하여 위치된 결합 영역(132) 및 정점(146)을 향해서 섹션(152) 내에서 굴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단 스트립(114)의 섹션(152)은 문자 "S"의 상단 부분의 형상을 취한다.
저부 스트립(116)은 또한 대체로 "S" 형상 곡률을 형성하고, 형상이 상단 스트립(114)과 유사하다. 더 구체적으로, 저부 스트립(116)의 형상을 추적하면, 제1 결합 영역(132)은 전방 지지 부재(118)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저부 스트립(116)의 섹션(154), 또는 측벽(124)은 힌지(133)에서 제1 결합 영역(132)의 정점(14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 지지 부재(118)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하향으로 제1 글루 라인 위치(148)까지 연장되고, 여기서 저부 스트립(116)은 지지 부재(118)의 내측 표면에 결합된다. 저부 스트립(116)의 일부가 측벽(124)을 형성하고, 제1 글루 라인 위치(148)에서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방 지지 부재(118)를 따라서 연장되고, 제1 글루 라인 위치(148)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에 제1 지지 부재(118)로부터 백 지지 부재(120)를 향해 섹션(155) 내에서 굴곡되고 만곡되고, 그리고 저부 스트립(116)의 곡률은 이것이 백 지지 부재(120)를 향해서 연장됨에 따라 계속된다. 저부 스트립(116)이 제1 글루 라인 위치(148)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저부 스트립(116)의 섹션(155)은 상향 헤드로 시작함에 따라 "S" 형상의 저부 절반을 닮는다. 이어서, 저부 스트립(116)은 전방 및 백 지지 부재(118, 120) 사이에 위치된 변곡 영역(156)에서 만곡되고 방향을 변경하고, 이것이 후방 지지 부재(12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섹션(157) 내에서 하향 굴곡되고, 여기서 저부 스트립(116)은 후방 지지 부재(120)에 인접한 제2 결합 영역(136)의 정점(144)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부 스트립(116)의 섹션(157)은 문자 "S"의 상단 부분의 형상을 취한다.
스트립(114, 116)의 작은 결합 영역(132, 136) 및/또는 스트립(114, 116)을 형성하는 재료의 상대적으로 얇은 가요성 성질은 정점(146, 144)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힌지(133)의 형성에 기여하고 이를 용이하게 하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 층 그리고 가능하게는 결합 영역(132, 136)(및 정점(146, 144))으로부터의 오프셋 거리에서 지지 부재에 대한 베인 층 모두와 조합하여 층의 분리, 공동(122)의 형성, 다층 베인의 형상(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S자" 형상)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 부재의 구성은 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114, 116)를 위한 재료 및 설계가 패널(104)의 설계의 독립적인 양태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시어로서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시어 직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시어는 광과 관통 시야를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재료이다. 재료, 예컨대, 시트의 개방도는, 예를 들어, 재료 내의 개방 공간의 퍼센트를 측정하는 그 개방도 팩터(openness factor)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여기서 60% 개방도 팩터("OF")는 40% 재료 및 60% 구멍 또는 개방 공간을 갖는다. 개방도 팩터(OF)가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시어와 더 양호한 관통 시야가 재료에 의해 제공된다. 개방도 팩터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식은 얀 및/또는 개방 영역의 면적을 측정하고 재료를 갖지 않는 면적의 백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디지털 현미경 또는 고해상도 카메라가 직물, 얀, 또는 재료를 갖지 않는 백분율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와 재료의 이미지를 캡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틱 디지털 현미경(Motic digital microscope) 및 모틱 이미지 플러스 2.0(Motic Image Plus 2.0)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재료의 개방도 팩터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의 논의의 일부는 시어 및 시어의 개방도 팩터를 지칭하지만, 수직 지지 부재는 직물, 필름, 그리고 형성되거나 또는 관통 시야 특성 및 개방도 팩터(OF)를 제공하도록 개구 및 구멍을 수용하기 위해 이후에 처리되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셀형 베인의 체적 외양과 조합하여, 시트 재료를 위한 적절한 개방도 팩터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를 위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패널 및 커버링의 기능 및 미적 외양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및/또는 전방 지지 부재가, 예를 들어, 그레이와 같이, 블랙 또는 어두운 색상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후방 시트(120)는 블랙 또는 어두운 색상일 수 있고, 전방 시트(118)보다 더 어두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안료 채색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어두운 색상 또는 블랙으로 후방 지지 부재(120)를 채색 또는 제공하는 것은 그러한 지지 부재 및 패널을 통해서 가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 지지 부재(120)에 대한 블랙 또는 어두운 색상은 밝은 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료의 광휘 또는 광택 효과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방 지지 부재는 블랙 또는 어두운 색상일 수 있고, 또는 백 지지 부재보다 더 밝게 채색될 수 있고, 클리어, 화이트, 또는 밝게 채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방 지지 부재가 시어일 수 있고, 백 지지 부재가 또한 시어일 수 있다.
시트(118, 120)를 채색하는데 안료 또는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효과적인 채색은 섬유를 제조할 때 안료,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또는 다른 어두운 또는 블랙 안료를 용융된 중합체에 첨가하고, 이에 따라 얀 전체에 걸쳐 색상을 분산 및 포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액 염색 공정은 대체로 단일 색상 얀을 준비하는 데 양호하게 작업하고, 이는 자외선(UV) 열화에 더 저항성인 길게 지속되는 외부 직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매립된 안료는 UV 광선 및 결과적인 열화를 차단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레드 또는 얀은, 예를 들어, 얀을 제조한 후에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더 어둡게 염색될 수 있다. 직물을 염색하는 하나의 방식은, 예를 들어,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염료로 인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이 인쇄될 수 있다. 더 어둡게 채색된 후방 시어는 대체로 UV 열화에 덜 민감하고, 전방 시어를 위한 더 얇거나 또는 더 미세한 얀의 사용을 허용하여 패널(104)에 대한 더 양호한 관통 시야를 초래할 수 있다.
60퍼센트(60%) 이상, 내지 약 2퍼센트(2%)의 증분으로 약 85퍼센트(85%) 이하의, 높은 개방도 팩터를 갖는 지지 부재가 미적인 이유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60퍼센트(6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65퍼센트(65%) 초과, 70퍼센트(70%), 더 바람직하게는 75퍼센트(75%) 초과, 그리고 80퍼센트(80%) 이상 초과의 높은 개방도 팩터를 가지는 지지 부재가 미적인 이유로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더 높은 개방도 팩터에 기여할 수 있는 다른 더 미세한(더 얇은) 얀이 사용될 수 있다. 어두운 얀의 사용은 태양광이 커버링 내의 재료를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는 추가적인 이유로 유리할 수 있고, 재료는 그 강도를 유지할 것이다.
시어, 부분 시어로서 형성된, 또는 수직 지지 부재로서 다수의 개구를 갖는 2개의 지지 부재를 갖는 패널(104)을 구성할 때, 강도, 내구성, 스트레치, UV 열화 및 모아레 광 간섭과 같은 팩터는 모두 허용 가능한 커버링(100)의 설계에서의 팩터이다. 2개의 시어 재료가 서로 중첩되어 광이 투과되는 경우 광 간섭의 결과로서 모아레가 발생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로서 전방 및 백 시어를 갖는 커버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광 간섭 아티팩트인 모아레는 커버링, 특히 광이 통과하는 윈도우 등을 위한 커버링을 제조할 때 바람직하게는 회피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 및 감소된다.
모아레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식은 전방 및 후방 시트를 위해 다른 시어 직물을 사용하는 것 및/또는 시어 직물을 선택, 가공 및/또는 구성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얀, 사이의 간격 및 연결 지점은 정렬되거나 거의 정렬되지 않는다. 모아레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식은 다른 형상의 개구 및/또는 다른 배향의 개구를 갖는 전방 시트(예컨대, 시어) 및 후방 시트(예컨대, 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방 및 후방 시트(예컨대, 시어)가 얀 사이에 다른 크기의 개구를 가지고, 또한 크기의 개구가 서로의 낮은 배수가 아닌 경우, 모아레가 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형상(예컨대, 다이아몬드 대 직사각형) 및 다른 크기의 개구를 갖는 다른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모아레 감소를 위해 유용하다. 또한, 얀이 정렬되거나 거의 정렬되는 배수(횟수)를 피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은 모아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시트의 개구에 대한 폭 및/또는 길이 치수의 낮은 배수(예컨대, 1.2배 이상)가 아닌 제1 시트의 개구에 대한 폭 및/또는 길이 치수를 사용하는 모아레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그 폭이 제1 시어 내의 개구의 폭보다 약 1.3배 이상 더 크거나 더 작은 제2 시어 내의 개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길이 방향의 제1 시어의 개구는 길이 방향의 제2 시어의 개구보다 약 1.3배 이상 더 크거나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제1 시어는 제2 시어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제2 시어의 개구는 폭 방향에서 약 1.5배 더 크거나 더 작고, 길이 방향에서 약 3.4배 더 크거나 더 작다. 제1 시어는 폭이 약 7.3 ㎜이고 길이가 약 4.1 ㎜인 직사각형 개구일 수 있는 반면, 제2 시어는 폭이 약 10.7 ㎜이고 길이가 약 14.1㎜인 다이아몬드 개구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시어 내의 개구에 대한 다른 형상 및 크기가 고려된다.
패널(104)의 일 실시예에서, 직교 그리드 직물이 전방 시어(118)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노 또는 거즈 직조 직물이 전방 시어(118)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노 직물(Leno fabric)에서, 경사 얀은 쌍으로 사용되고, 얀이 미끄러지지 않고 그에 따라 그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사 얀을 적소에 포획하는 방식으로 함께 꼬인다. 레노 시어는 더 넓은 얀의 간격 및 미세 얀을 갖는 매우 개방된 직조를 허용하며, 이는 양호한 관통 시야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시어를 위한 레노 직조는 인치당 약 21얀(ypi)의 교차 방향 밀도(교차 얀은 함께 꼬인 2개의 얀이다) 및 약 25 ypi의 기계 방향 밀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시어를 위한 레노 직조는 폭(쌍을 이루는 경사 얀 사이의 거리)이 약 7.3 mm이고 길이(위사 얀 사이의 거리)가 약 4.1 mm인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갖는다. 다른 교차 및 기계 방향 밀도 값이 고려되고, 예시적인 값은 얀 데니어에 따라 약 15 내지 약 30 교차 방향 ypi 및 약 15 내지 약 30 기계 방향 ypi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시어를 위한 직물은 레노 또는 평직(plain weave)이고, 22 경사 ypi 및 22 쌍의 위사 ypi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시어는 약 60퍼센트(60%) 이상 약 85퍼센트(85%) 이하의 개방도 팩터를 갖고, 이는 약 2퍼센트(2%)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시어는 60퍼센트(6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퍼센트(6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퍼센트(75%), 80퍼센트(80%) 및 약 85(85%)를 포함하는, 약 70퍼센트(70%)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다. 레노 직물은 약 16 내지 약 24의 범위에 있고 약 20일 수 있는 데니어를 갖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링에 사용하기 위한 레노 직물의 예는 엥헬베르트 슈타이거 레노 직물(Englebert Steiger Leno fabric)이다. 엥헬베르트 슈타이거 레노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65퍼센트(65%)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다. 직교 그리드를 갖는 레노 직물이 전방 수직 지지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레노 직물이 후방 수직 지지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재료가 전방 수직 지지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른 직물, 예를 들어, 사선 그리드 직물이 후방 시어(120)에 사용될 수 있다. 사선 그리드는 바람직하게는 니트 툴레 직물(knit Tulle fabric)이고, 예를 들어 20/1 또는 20/12 얀으로 제조될 수 있다. 20/12는 12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20 데니어 얀으로 제조되는 반면, 20/1은 단일 또는 모노필라멘트를 갖는 20 데니어 얀이다. 20/1 모노필라멘트 얀은 약간 더 작은 전체 직경을 갖고, 그에 따라 시어로 형성될 때, 20/12 보다 더 양호한 관통 시야 및 개방도 팩터를 갖고, 양호한 선택일 수 있다. 툴레는 20-게이지 경사 니팅 기계 상에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치당 20개의 경사 얀이 니터 내로 공급되고, 어떠한 필 얀도 경사 니터 상에 사용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후방 시어에 대한 툴레는 교차(폭) 방향으로 약 20 게이지(얀)이고, 기계 내의 약 10 코스(인치당 코스)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툴레는 16-게이지 툴레 사선 직물을 생성하기 위해 모든 다른 바늘이 제거된 상태에서 32-게이지 니터 상에서 편직될 수 있다. 후방 시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60퍼센트(60%) 이상 약 85퍼센트(85%) 이하의 개방도 팩터를 가지며, 이는 약 2퍼센트(2%)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시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60퍼센트(6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65퍼센트(65%)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75퍼센트(75%) 초과, 약 80퍼센트(80%) 이상, 및 약 85퍼센트(85%)를 포함하는, 70퍼센트(70%) 이상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다. 즉, 약 60퍼센트(60%) 이상 약 86퍼센트(86%) 이하의 범위인 개방도 팩터를 갖는 전방 및 후방 시어가 바람직한 결과를 생성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툴레 시어는 75퍼센트(75%) 초과 90퍼센트(90%) 미만,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퍼센트(80%) 내지 86퍼센트(86%)의 개방도 팩터(OF)를 가질 수 있다. 사선 그리드 직물 및 특히 니트 툴레 직물이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사용되는 것으로 개시되었지만, 사선 그리드 직물, 예를 들어 니트 툴레 직물이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재료가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게이지 경사 니터를 갖는 매우 개방된 그리드 구성으로 제조되고, 16-게이지 툴레 직물을 생성하기 위해 모든 다른 니들을 제거한 32-게이지 니터, 또는 20-게이지 직물을 스트래칭시킴으로써 마무리되는 28-게이지 니터를 갖는 툴레 시어 직물은, 레노 직조 페이스 시어와의 모아레 또는 간섭 패턴을 피하거나 감소시키면서 양호한 관통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후방 시어를 위한 툴레 직물은 28-게이지 니터 상에서 준비되고, 약 20-게이지 직물로 스트래칭됨으로써 마무리되고, 여기서 개구는 폭이 약 10.7 mm이고 길이가 약 14.1 mm인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약 20 내지 약 16-게이지 직물을 생성하는 어두운(예컨대, 그레이 또는 블랙) 20 데니어 얀으로부터 제조되는 사선 그리드 패턴을 갖는 후방 툴레 니트 시어 직물이, 교차 방향으로 15-30 ypi 그리고 기계(위사) 방향으로 15-30 ypi를 갖는 슈타이거 레노 전방 시어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약 7.3 mm의 폭 및 4.1 ㎜의 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갖는 슈타이거 레노 전방 시어는 약 20-게이지 직물로 스트래칭됨으로써 완성되는 28-게이지 니터 상에 준비된 툴레 후방 시어와 쌍을 이루고, 여기서 개구는 폭이 길이가 약 10.7 mm이고, 폭이 약 14.1 mm이다. 레노 직물 및 툴레 직물은 모두 어두울(예컨대, 그레이 또는 블랙) 수 있고, 및/또는 직물 중 하나는 더 밝거나(예컨대, 그레이 대 블랙), 또는 밝은 색상(예컨대, 베이지 또는 화이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방 시어 직물은 레노 직조 직물일 수 있고, 전방 시어는 니트 툴레 직물일 수 있다. 시어 직물, 특히 레노 직조 및 툴레 니트는 비-셀형 베인, 다층 셀형 베인, 및 그 조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은 각각 60(60%)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패널은 비-셀형 베인, 다층 셀형 베인, 또는 양 베인 유형의 혼합물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시트는 약 75퍼센트(75%)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블랙 시어일 수 있고, 또한 약 16 내지 약 28-게이지 툴레 니트 직물, 예를 들어 20-게이지 시어로 스트래칭됨으로써 완성되는 28-게이지 툴레일 수 있다. 툴레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는 20 데니어 얀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가 고려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데니어 얀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시어는 약 65퍼센트(65%)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추가로 슈타이거 레노일 수 있고, 교차(경사) 및 기계(위사) 방향으로 약 15 내지 30 ypi를 가질 수 있다. 65퍼센트(65%) 초과의 개방도 팩터(OF)를 갖는 툴레 및 슈타이거 레노 시어는 프라이버시 또는 차양 배향으로 구성된 단층 비-셀형 베인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비-셀형 베인, 모든 다층 셀형 베인, 또는 비-셀형 및 셀형 베인의 조합을 갖는 커버링은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에 대해 약 80퍼센트(80%)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툴레 시어 및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약 65퍼센트(65%)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레노 직물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후방 시어는 어두운 또는 블랙 색상일 수 있다.
향상된 베인 폐쇄
베인이 패널(104)의 상단 단부(170)로부터 패널(104)의 저부 단부(175)까지의 시트(118, 120)의 전체 길이(높이)를 따라 균일하고 균등하게 배향되고 균일하게 각도 배향되고 이동되어, 인접한 베인(135)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커버링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후방 또는 백 지지 부재와 비교하여 전방 및 후방 시트의 상대적인 길이, 특히 전방 지지 부재에 대한 베인의 인접한 연결 위치 사이에서, 패널의 저부 단부에서 완전한 폐쇄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팩터이다. 커버링 및 직물의 재료의 특정 구성에 따라, 베인(112)이 전방 시트(118)(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되는 인접한 연결 위치(148, 148', 148") 사이의 거리(158)는 후방 시트(120) 상의 인접한 연결 위치(142, 142', 142") 사이의 거리(160)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전방 시트(118) 상의 매우 상단 연결 위치(148)와 매우 저부 연결 위치(148") 사이의 거리는 또한 후방 시트(120) 상의 매우 상단 연결 위치(142)와 매우 저부 연결 위치(142") 사이의 각각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인과 수직 지지 부재의 긴밀하고 그리고/또는 향상된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러의 내측으로 롤링하는 수직 지지 부재는 롤러의 외측으로 롤링하는 수직 지지 부재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측방향으로 함께 근접하고 커버링이 완전히 연장된 폐쇄 위치에 있거나 후퇴되어 있을 때에 베인을 폐쇄 위치로 당기는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패널의 중량 및 장력을 견디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폐쇄된 베인을 당기는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다른 수직 지지 부재/시트보다 짧게 함으로써 장력하에 있도록 인접한 베인(112)의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148, 142) 사이의 상대 거리(158, 160)를 조정함으로써, 베인 및 패널의 시퀀스, 타이밍, 및 양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중량을 지탱하고 롤러의 외측으로 롤링하는 수직 지지 부재/시트는 대체로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보다 시간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장력을 받고 더 스트래칭된다. 롤러의 외측으로 롤링하는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다른 수직 지지 부재보다 짧게 함으로써 (스트래칭을 고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력을 유지하도록,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길이 및 인접한 베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 상의 인접한 연결 위치(142, 142' 및 148, 148')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조정할 때 바람직하게 또한 고려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시트(120) 상의 인접한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142, 142') 사이의 거리(높이/길이)(160)와 비교하여, 전방 시트(118) 상의 인접한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148, 148') 사이의 거리(높이/길이)(158)의 조정은 비율 부여(ratioing)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이 차양 배향을 위해 구성되는 경우, 최상단 연결 위치(148)와 저부 연결 위치(148") 사이의 전방 시트(118)를 따른 거리는, 상단 연결 위치(142)와 저부 연결 위치(142") 사이의 후방 시트(120)를 따른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인접한 베인(112)을 위한 전방 시트(118)를 따른 거리(158)는, 각각의 인접한 베인(112)을 위한 후방 시트(120)를 따른 거리(160)보다 더 짧을 수 있다.
패널의 저부에 대한 커버링의 더 긴밀한 및/또는 향상된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비율 부여는 차양 또는 프라이버시 지향 커버링 제품에 사용될 수 있지만, 차양 지향 커버링 상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연결 위치(예컨대, 글루 라인) 사이의 거리(높이/길이)(158, 160)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불리한 효과는, 롤러의 내측으로 롤링하는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링클을 생성할 수 있는 여분의 재료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커버링의 백 또는 외부 측부(101) 상에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를 형성하면, 차양 지향 제품에서와 같이, 여분의 재료로부터 초래되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내의 링클 또는 웜 트랙은 이제 제품의 백 또는 외부 측부(101) 상에 종료될 것이고, 특히 블랙 후방 시어에 의해 링클은 제품 사용자에 의해 검출되기 어려울 것이다.
패널/커버링의 저부 단부(175)에 대한 커버링의 폐쇄를 제공하거나 또는 보조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롤러의 내측으로 롤링되는 매우 상단 연결 위치로부터 매우 저부 연결 위치까지의 길이는, 롤러의 외측으로 롤링되는 다른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매우 상단 연결 위치와 매우 저부 연결 위치 사이의 각각의 거리보다, 대체로 약 0.2% 이상 약 2% 이하 더 길고(그리고 약 0.1 %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0.25% 이상 약 1% 이하 더 길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18)가 차양 배향으로 패널을 갖는 롤러의 내측으로 롤링하면, 인접한 연결 위치(148, 148', 148") 사이의 거리(158)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 상의 인접한 연결 위치(142, 142', 142") 사이의 거리(160)보다,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18) 상에서 더 짧다.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 중 다른 하나와 비교할 때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하나의 여분의 길이의 백분율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는, 약 0.25% 이상, 0.25%의 증분으로 약 2% 이하 더 길고, 약 0.5%, 약 0.75%, 약 1.25% 및 약 1.5%를 포함하지만, 다른 증분 및 범위도 고려되고, 다층 베인의 폭 및 원하는 특성에 의존할 것이다.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의 상대 길이 및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를 따른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는 모든 셀 및/또는 베인이 동시에 폐쇄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직물의 비율 부여는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18, 120)의 정확한 계량으로 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대한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의 순간적이고 영구적인 접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시트를 계량하는 것은 적절하고 제어된 연결 위치 차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 베인이 수직 지지 부재/시트 재료에 결합되기 전에 수직 지지 부재/시트 재료의 공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수반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인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지점/라인의 결합 또는 부착을 생성하는 순간적이고 영구적인 접합으로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결합된다. 베인이 순간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접합되어 시트 상의 그 각각의 영구 위치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이후에 영구 접합을 수행하도록 재료를 평탄화할 필요가 없다.
저부 레일 구성
커버링은 베인의 길이(및 수직 지지 부재와 패널의 폭)와 동일한 방향으로(예컨대, 그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및 그 길이에 직교하는 폭을 갖는 저부 단부 레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부 레일은 대체로,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커버링 또는 패널의 폭과 대체로 동일한, 베인(11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저부 레일(180)은 바람직하게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에 결합되고, 여기서 최저부 베인(112)은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베인의 폭보다 작은 폭("W")을 갖는다. 삽입체(185)가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에 결합될 수 있고, 삽입체(185)는 저부 레일(180) 내의 공동 내로 삽입된다.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는 연결 위치(148)에서 종결될 수 있고,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되어 저부 레일(180), 베인(112), 또는 저부 레일(180)에 인접하거나 또는 내부의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 중 하나 이상에 연관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될 수 있다. 저부 레일(180)은 바람직하게는 저부 레일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위치 또는 영역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 및/또는 베인, 및/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부 레일은 베인이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연결되는 최하부 영역에 결합된다. 저부 레일(180)은 차양 배향으로 롤러의 내측까지 롤링하는 적어도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저부 레일(18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저부 레일(180')은 채널(186)과 연통하는 공동(187)을 갖는다.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는 삽입체(185')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또는 접착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85')의 뒷면 상에 접합될 수 있다. 삽입체(185')는 공동(187) 내로 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활주될 수 있는 반면, 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20)는 채널(186)을 통해 연장된다. 채널(186)은 바람직하게는 저부 레일(185')의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지지 부재는 그 길이를 따라 채널(186) 외부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수직 지지 부재를 갖는 삽입체(185')가 또한 다른 방법에 의해 채널(18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체(185')는 공동(187)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18)는 베인의 연결 위치(148)(도시되지 않음)에서 종료될 수 있고, 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는 최종 베인의 하부측을 따라 계속될 수 있고 다층 베인의 정점(144)에서 종결될 수 있고, 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는 최종 다층 베인의 정점(144)을 지나 계속될 수 있고 삽입체(185')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가 삽입체(185')에 결합되면, 전방 수직 지지 부재/시트(118)는 또한 채널(186) 및 공동(187) 내로 연장될 것이다. 저부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위치 또는 작은 영역을 따라 패널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중량을 전방 및/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 그리고 단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차양 구성에서의 커버링을 위해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적용한다. 저부 레일(180) 및 선택적 삽입체(185)를 위한 다른 구성이 고려되고, 바람직하게는 베인이 수직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최하부 영역을 따라 단일 위치 또는 작은 영역을 따라 패널에 결합 또는 부착되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의 커버링(100)의 후방 시트(120)는 롤러(도시되지 않음) 주위를 전방 수직 지지 부재(118)의 내측으로 권취하는 수직 지지 부재가 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수직(지지) 시트(120)에 결합된 저부 레일(180)을 사용하는 여러 이점이 있다. 롤러 튜브의 내측으로 롤링하게 될 시트(120) 상에 중량을 배치함으로써, 시트(120)는 스트래칭될 수 있고, 베인(112)의 최하부 부분을 하향으로 견인함으로써 상단 단부(170)로부터 패널(104)의 저부 단부(175)까지 줄곧 완전히 그리고 균등하게 폐쇄하는 (예컨대, 완전히 각도 회전하는) 모든 베인을 도울 수 있다. 한편, 어떠한 중량도 외측 시트(118) 상에 배치되지 않고, 2개의 시트(118, 120)는 2개의 별개의 다른 위치에서, 또는 저부 레일을 따라 2개의 별개의 다른 위치에서 베인의 양측에서 2개의 시트에 걸쳐지며 결합되는 저부 레일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 레일의 폭에 의해 밀려 이격되지 않는다. 또한, 단일 위치에서 또는 그를 따라 내부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만 결합되는 저부 단부 레일(180)은 특히 차양 배향으로 전개될 때 제품에 보다 미적으로 만족스러울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다른 그리고 별개의 위치에서 양 시트에 결합된, 전통적인 만곡된 저부 레일은 차양 배향의 커버링이 권취됨에 따라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일단 권취되면 밸런스 또는 헤드 레일 뒤의 관찰로부터 은폐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프로파일 또는 최소 저부 레일이 사용되지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부 레일에 대한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가요성 패널의 제조 방법
건축용 커버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은, (a) 상단 층 및 저부 층을 갖는 복수의 다층 베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저부 층은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보다 더 넓은, 단계; 및 (c)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전방 지지 부재, 예컨대 시어 및 후방 지지 부재, 예컨대 시어에 다층 베인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을 제공하는 단계는 별개의 상단 스트립 및 별개의 저부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각각의 2개의 측부 에지가 정렬되도록(또는 거의 정렬되도록) 스트립을 중첩하는 단계, 그리고 결합 영역의 그 측부 에지를 따라,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그 측부 에지를 따라서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 측부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스트립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영역은 다층 베인의 정점 또는 힌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립의 측부 에지에 직교하는 결합 영역의 폭은 작을 수 있고, 대체로 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평균 두께 미만, 대체로 약 1.0 mm 내지 약 0.125 mm이다.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굴곡 지점, 힌지 또는 반-힌지(133)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이는 미적으로 성형된 바람직하게는 이중 "S자" 형상의 셀형 베인을 생성하도록 다층 베인의 셀 또는 공동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양 측부 에지가 용접되고, 예컨대, 초음파 절단-밀봉 또는 핫-나이프 절단-밀봉이 상단 및 저부 스트립 사이에 결합 영역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절첩 라인이 다층 베인의 정점 또는 힌지 영역 중 하나를 형성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은, 측부 에지가 동일 선형이고 절첩 라인(예컨대, 바람직한 절첩 라인)이 재료 내에 형성되고 나머지 자유 측부 에지가 결합 영역을 따라서 함께 결합되도록, 절첩 및 선택적으로 주름, 천공, 및/또는 열 경화될 수 있는 재료의 동일편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름 또는 절첩 라인은 하나의 정점 및 힌지를 형성할 수 있고, 결합 측부 에지는 다른 정점(및/또는 결합 영역) 및 힌지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은 별개의 상단 스트립 및 별개의 저부 스트립을 제공하고, 각각의 측부 에지가 정렬되거나 거의 정렬되도록 스트립을 중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영역이 접착 공정을 사용하여 생성되고 다른 결합 영역이 융합 공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결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측부 에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초음파 절단-밀봉 또는 핫-나이프 절단-밀봉 용접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용접부(결합 영역)에 인접한 국소화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얇아져 결합 영역에서 베인의 가요성에 더 추가되고, 베인의 에지에서 결합 영역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훨씬 더 가요성인 힌지 또는 굴곡 지점(133)을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핫-나이프 절단 밀봉은 용접부를 제조할 수 있고, 초음파 절단-밀봉에 비교할만한 얇은 부착 영역 폭을 가져야 한다. 글루 또는 접착제 접합이 이용될 수 있고, 약 1.5㎜ 이상의 접합 영역 폭을 달성할 수 있다. 글루 접합은 접힐 수 있고, 결합 영역을 위한 더 두꺼운 영역과 결합 영역은 정점(144, 146)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로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2개의 직물이 베인의 정점에서 서로 평행하게 보유지지되는 유효 거리는 3 mm 이상일 수 있다.
다층 베인은 접착제로 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핫-멜트 및 UV 경화 접착제 및 공정이 베인을 시어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함유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물 또는 시트의 특성을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 시트에 베인을 결합시키는 대안적인 방식은 재봉이고, 이는 훨씬 더 번거롭고 노동 집약적이다. 커버링(100)이 셀형 베인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셀형 베인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지만, 커버링을 구성하는 다른 방법이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접착제가 베인 또는 수직 지지 부재/시트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베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다음에 베인의 더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해 수직 지지 부재/시트에 베인을 조립하는 것이 유리하다. 접착제는 베인의 다층 스트립이 함께 결합되는 결합 영역/정점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만큼 연속 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절첩 라인이 바람직하게는 약 2 mm 내지 약 8 mm에 위치되고, 또는 대신 글루 라인 중 하나가 원하는 장식적 설계 및 셀형 베인 및 패널의 형상에 따라 결합 영역 및/또는 절첩 라인 중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고유의 치수, 풍부성 및 다용성을 갖는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된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로 형성된 패널을 갖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링 또는 패널은 광-제어적일 수 있고 실용적일뿐만 아니라 미적으로 매력적이다. 패널은 높이 및 폭을 갖고, 대체로 높이와 폭을 갖는 대체로 수직 전방 지지 요소 또는 부재와, 높이 및 폭을 갖는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요소 또는 부재를 포함하고, 대체로 수직 후방 지지 부재는 전방 지지 부재에 작동식으로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전방 지지 부재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를 갖는 패널 및 커버링이 개시되었지만, 추가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가 복수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비-셀형 및/또는 다층 셀형 베인을 포함하는,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와 함께, 패널 및/또는 커버링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형성된 절첩부 또는 주름이 없이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고 평탄할 수 있고,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패널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대체로 수평 베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모두는 베인 요소의 이동 및 각도 배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가능한,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는 수직 지지 부재에 의해 조작되고 제어되어, 패널에 의해 또는 패널을 통해 저지되고 차단되거나 투과되는 광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의 높이 및 폭은 패널의 높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길이(예컨대, 높이)는 패널보다 더 짧고,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 부재의 길이(예컨대, 높이)는 다른 지지 부재보다 더 짧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는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베인 요소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부의 길이는 수직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전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또는 후방 지지 부재의 폭은 베인 요소의 길이보다 더 작다. 베인 요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투명, 반-불투명 및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진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 그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 요소, 및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베인 요소 및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포함하는, 직조, 부직포 또는 니트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요소 중 하나 이상, 및 일부 실시예 모두는 비-셀형 베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인 요소 중 하나 이상, 및 일부 실시예 모두는, 공동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셀형 베인,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응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공동을 갖는 튜브일 수 있다.
수직 지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시성을 허용하고 광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약 65(65%)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건축용 개구를 위한 가요성 패널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가 시어일 수 있고,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또한 시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2개의 다른 시어 재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지지 시어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 다이아몬드 형상 및 개방 직교 그리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지지 시어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개방 다이아몬드 형상 및 개방 직교 그리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재료 내의 개구의 다른 형상 및 크기가 고려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 지지 시어는 전방 수직 지지 시어의 개방도 팩터보다 더 큰 개방도 팩터를 갖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또는 시어 중 하나 이상은 60% 이상 90% 이하의 개방도 팩터, (그리고 약 2%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도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 또는 시어는 70% 초과, 약 7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고, 약 80% 내지 약 90%의 개방도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 이상(적어도 하나)은 어두운 색상, 예를 들어 블랙, 그레이, 또는 브라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 또는 시어는 전방 시어를 포함하는, 전방 지지 부재보다 어두운 색상일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수직 지지 부재는 용액 염색되고, 분산 염색되고, 또는 카본 블랙으로 용액 및 분산 모두 염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는 어둡고 카본 블랙 안료 채색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는 화이트, 오프-화이트, 및 클리어 및/또는 티타늄 안료로 채색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높은 개방도 팩터 및 어두운 색상을 갖는 수직 지지 부재를 가지면, 관통 시야를 증가시킬 수 있고, 베인 요소의 개선된 가시성이 특정 실시예에서 달성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니트 툴레 시어 직물 및 직조 레노 시어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니트 툴레 시어 직물과 직조 레노 시어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어두운 색상일 수 있고, 선택된 실시예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블랙 툴레 시어 직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고, 전방 수직 지지 부재는 레노 시어 직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는 약 80% 이상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어두운 툴레 시어 직물이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방 수직 지지 부재는 65% 초과의 개방도 팩터를 갖는 레노 시어 직물이고, 또는 그 반대이다. 일 실시예에서, 툴레 직물은 어두운 색상으로 염색된 20 데니어 모노필라멘트 얀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시어는 쌍으로 된 경사 얀 사이에서 약 7.3 mm 및 위사 얀 사이에서 약 4.2 ㎜의 개구를 갖는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대략 20-25 ypi를 갖는 레노 직조 직물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 시어는 약 10.7 ㎜의 폭 및 약 14.1 ㎜의 길이의 개구를 갖는 툴레 직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8-게이지 니터 상에 준비되고 약 20-게이지 직물로 스트래칭된다. 전방 및 후방 시어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블랙 또는 어두운 색상일 수 있고, 전방 또는 후방 시어 중 하나는 밝은 색상일 수 있고, 전방 직물은 툴레 시어일 수 있고 후방 직물은 레노 시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베인 요소는 재료의 상단 및 저부 층을 갖는 다층 구조체일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층은 단일의 일체형의 연속적인 재료 시트 또는 다중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고 건축용 커버링으로서 작동될 때, 다층 베인의 층은 이동 가능하고, 서로에 대해 분리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개방 단부를 갖는 공동 또는 공간을 에워싸는 대체로 수평 팽창 가능한 튜브를 형성하는 벽을 갖는 셀형 베인을 생성하고, 대체로 2차원 평탄 슬랫을 형성하도록 압축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붕괴 가능한 그리고 팽창 가능한 튜브는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붕괴 가능한 그리고 팽창 가능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결 위치를 따라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결 위치를 따라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붕괴된 튜브의 각각은 전방 수직 지지 부재를 따라 다른 연결 위치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어서, 튜브가 팽창될 때 다층 베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붕괴된 튜브의 각각은 후방 수직 지지 부재를 따라 다른 연결 위치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어서, 튜브가 팽창될 때 다층 베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에 의해 생성된 벽(들)은 공동의 측부를 완전히 그리고 연속적으로 에워쌀 수 있고, 공동은 다층 베인의 단부에서 개방된다. 다층 베인의 층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측방향으로 이격될 때 세장형의 대체로 수평 튜브를 형성할 수 있고, 공동의 체적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서로 측방향으로 분리됨에 따라 증가될 수 있고, 공동의 체적은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가 함께 더 인접하게 이동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의 상단 층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가 부직포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단 층 및 저부 층 모두가 부직포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다층 셀형 베인을 형성하는 재료의 층/스트립은 단층 베인보다 더 얇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다층 베인은 단층 베인보다 더 안정적일 수 있고 곧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조립된 조합으로서 다층 베인이 더 두꺼울 수 있고 단층 베인보다 우수한 구조적 완전성 및 안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단 층은 저부 층보다 색상이 더 어두울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저부 층은 반투명, 반-불투명, 불투명, 및 룸-암화 재료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단 층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인 요소를 형성하는 다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전에 인쇄된다. 상단 층 및/또는 저부 층 중 하나는 더블톤 색상으로 인쇄된 저부 표면 및/또는 모노톤 색상으로 인쇄된 상단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단 층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정전기 방지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은 복수의 다층 베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다층 베인은 가요성 상단 층 및 가요성 저부 층을 갖고, 각각의 층은 폭을 한정하는 제1 측부 에지 및 제2 측부 에지 그리고 길이를 한정하는 2개의 단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상단 층의 적어도 제1 측부 에지는 제1 결합 영역에서 그 각각의 저부 층의 적어도 제1 측부 에지에 결합되고, 실시예에서, 상단 층의 제2 측부 에지는 제2 결합 영역에서 그 각각의 저부 층의 제2 측부 에지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결합 영역은 제1 및/또는 제2 각각의 정점, 및/또는 제1 및/또는 제2 가요성 힌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저부 층은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백 지지 부재(또는 시어)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상단 층은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백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각각의 근접한 결합 영역으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층은 후방 수직 지지 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지지 부재에 응답하여 저부 층으로 분리된다. 가요성 힌지는 다층 베인의 층이 결합 영역에서 또는 결합 영역에 바로 근접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허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층이 결합 영역에서 또는 결합 영역에 바로 근접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은 재료의 별개의 상단 스트립 및 재료의 별개의 저부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을 형성하는 재료의 상단 층 및 저부 층 또는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얇고 폭이 좁고 가요성인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영역은 상단 및 저부 스트립의 중간 섹션이 길이방향 공동 및 3차원 셀형 베인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굴곡 지점 또는 힌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다층 베인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정점, 및/또는 제1 가요성 힌지를 포함하는, 제1 결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저부 층의 적어도 각각의 제1 측부 에지에 결합되는 각각의 상단 층의 각각의 제1 측부 에지를 갖는다. 상단 층의 제1 측부 에지는 다층 베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1 결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단 및 저부 층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저부 층의 제1 측부 에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 영역은 좁은 폭을 가지며, 베인 층의 두께에 따라, 약 층의 두께 이하인 폭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내지 약 0.1 mm(그리고 약 0.1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의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의 재료는 제1 결합 영역에서 융합되고, 제1 결합 영역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핫-나이프 용접을 포함하는,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인의 상단 및 저부 층 각각은 제1 결합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다른 영역에서보다 제1 결합 영역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더 얇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제1 상단 층의 제2 측부 에지는 제2 결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그 각각의 저부 층의 제2 측부 에지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정점 및/또는 제2 가요성 힌지를 포함한다. 제2 결합 영역은 다층 베인의 제2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영역은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융합하는 것,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 상단 및 저부를 함께 재봉하는 것, 그리고 상단 및 저부 층을 함께 융합하는 것,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 및 재봉하는 것의 조합, 또는 스테이플, 핀 및 택과 같은 결합 또는 부착 수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영역(들)은 좁은 폭을 가질 수 있고, 베인 층의 두께에 따라, 약 층의 두께 이하인 폭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약 0.5 mm 내지 약 0.1 mm(그리고 약 0.1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의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을 형성하는 재료의 층은 그 측부 에지 모두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그 측부 에지 모두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융합될 수 있고, 층의 재료는, 예를 들어, 용접(예컨대, 초음파 용접 또는 핫-나이프 절단-밀봉 용접)에 의해 융합될 수 있다. 베인의 상단 및 저부 층 각각은 제2 결합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다른 영역에서 보다 제2 결합 영역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더 얇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층 베인은 1회 이상 구성되고, 조작되고, 절첩되고, 천공되고, 주름형성되고, 및/또는 열 경화될 수 있는 단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및 저부 층을 생성하기 위해 단일 시트의 재료가 절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의 상단 층의 측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이고 그 각각의 저부 층의 측부 에지와 동일한 연속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측부 에지는 절첩, 천공, 주름, 압축, 및 열 경화,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점 및 절첩 라인을 형성한다. 다층 베인을 형성하는 절첩된 재료 편의 자유 측부 에지는 선택적으로 결합 영역 및 힌지를 형성하도록 저부 층의 측부 에지에 상단 층의 측부 에지를 융합(예컨대, 용접,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용접)함으로써 정렬 및 결합될 수 있는 반면, 절첩, 천공, 주름, 압축, 및/또는 열 경화에 의해 생성되는 절첩 라인은 다른 결합 영역, 정점, 및 힌지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인 요소는 별개의 제3 층, 또는 더 많은 층 또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층 또는 스트립은 상단 및 저부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 중간 층일 수 있고, 중간 스트립 또는 층은 광 투과를 차단하는 룸-암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룸-암화 층의 예는 Mylar, 금속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어두운 불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층은 다층 베인을 형성하기 전에 인쇄될 수 있다. 제3 층은 그 측부 에지를 따라 융합되거나 또는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재봉,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단 및 저부 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다층 베인은 전방 및 후방의 대체로 수직 지지 부재 사이에서 연장된다. 베인의 일 단부는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베인의 다른 단부는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다층 베인의 경우, 일 실시예에서, 저부 층은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상단 층은 제2 연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인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에 접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의 저부 층/스트립은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에 접착되고, 다층 베인의 상단 층/스트립은 제2 연결 위치에서 후방 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접착된다. 다층 베인은 접착제에 의해 시트에 결합될 수 있고, 접착제는 다층 베인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1.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 mm, 그리고 약 10㎜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는 상단 층/스트립 및 저부 층/스트립이 함께 결합된 후에 다층 베인에 도포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접착제가 상단 및 저부 층/스트립의 외부 표면에 도포될 수 있고, 베인이 그 후에 수직 지지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다층 베인은 제1 및 제2 결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단 및 저부 층의 각각의 측부 에지를 결합시키는 것, 또는 절첩 라인(예컨대, 제1 결합 영역)을 형성하도록 재료의 시트를 절첩하는 것, 및 제2 결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 에지를 결합시키는 것, 그리고 그 후에 그 후에 제1 및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다층 베인을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핫-멜트 또는 UV 경화 접착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위치와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각각의 근접한 제1 결합 영역(정점)으로부터 제1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되고, 다층 베인의 상단 층은, 전방 수직 지지 부재가 후방 수직 지지 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때, 체적을 갖는 공동을 에워싸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튜브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을 형성하도록 저부 층으로부터 이격된다.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위치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각각의 근접한 제1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제1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위치 중 다른 하나는 그 각각의 근접한 제2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제2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 위치와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또는 결합 영역) 사이의 오프셋 거리는 제2 연결 위치와 그 각각의 근접한 정점(또는 결합 영역) 사이의 오프셋 거리와 다르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에지(정점) 또는 결합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원하는 오프셋 거리에서 층/스트립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일 배열에서, 제1 연결 위치와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각각의 베인 층의 폭의 약 5% 이상 약 10% 이하의(이는 약 0.5%의 증분으로 변할 수 있음) 오프셋 거리만큼 제1 근접한 각각의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베인의 폭 및 베인의 원하는 형상 및 특징에 따라, 제1 연결 위치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그 각각의 근접한 결합 영역(또는 정점)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8.0 mm 이상(약 0.5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음)의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연결 위치와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각각의 근접한 제1 결합 영역(정점)으로부터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다른 하나는 절첩 라인으로부터 오프셋 거리만큼 이격된다. 접착제는 에지(정점), 결합 영역, 또는 절첩 라인으로부터 각각의 원하는 오프셋 거리에서 층/스트립 모두에 도포될 수 있다. 일 배열에서, 제1 연결 위치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베인 층의 폭의 약 5% 이상 약 10% 이하의(이는 약 0.5%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음) 오프셋 거리만큼 근접한 각각의 절첩 라인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연결 위치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인의 폭에 따라 그리고 베인의 원하는 형상 및 특징에 따라, 약 1.0 mm 이상 약 8.0 mm 이하의(이는 약 0.5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음) 오프셋 거리만큼 그 각각의 근접한 절첩 라인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결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바람직하게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인접할 수 있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그리고/또는 그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영역은 저부 층 상에 있고, 이것은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상의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하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와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단 층의 측부 에지와 저부 층의 측부 에지를 형성하는 절첩 라인은 전방 또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 바람직하게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들 중 하나 상의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제1 정점 또는 제1 결합 영역으로부터 오프셋 거리에서 층/스트립 중 하나에 도포되고, 제2 결합 영역(및/또는 정점), 또는 절첩 라인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그와 적어도 중첩되도록 다른 층/스트립에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단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단 및 저부 층 중 다른 하나는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중 다른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단 층은 제1 연결 위치에서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저부 층은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지지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1 결합 영역은 제1 정점을 형성하고, 제1 정점과 제1 연결 위치 사이의 상단 층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다른 양태에서, 제1 결합 영역에 대향하는 상단 및 저부 층의 제2 측부 에지는 제2 정점을 형성하고, 제2 정점과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상단 및 저부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2 정점은 상단 및 저부 층을 접착식으로 접합, 용접, 재봉, 절첩, 주름, 천공, 및 열 경화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제1 정점은 융합에 의해,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핫-나이프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층 베인 실시예의 상단 층은 저부 층과는 다른 폭을 가질 수 있고, 일 예에서, 저부 층은 상단 층보다 크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약 2.5 인치 내지 약 4.5 인치의 폭을 갖는 베인에 대해, 다층 베인의 저부 층은 약 0.5 mm 내지 약 4 mm 만큼 상단 층보다 더 넓을 수 있고, 0.1 mm의 증분으로 그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상단 층과 저부 층 사이의 폭의 다른 차이가 고려되고, 베인의 폭, 베인의 재료 그리고 원하는 베인 특성에 의존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상대 길이, 특히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대한 베인의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커버링 및/또는 패널을 위한 베인 폐쇄가, 특히 차양 배향으로 조임 및/또는 향상될 수 있고, 베인 폐쇄의 시퀀스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전방 수직 지지 부재의 매우 상단 및 저부 단부에서의 2개의 각각의 제1 연결 위치는 제1 거리를 형성하고, 후방 수직 지지 부재의 매우 상단 및 저부 단부에서의 2개의 각각의 제2 연결 위치는 제2 거리를 형성하고,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는 다를 수 있고, 연결 위치 사이의 다른 거리는 패널의 저부로의 베인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제1 거리를 형성하는 인접한 다층 베인의 2개의 각각의 제1 연결 위치 및 제2 연결 거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인접한 다층 베인의 2개의 각각의 제2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는 다르고, 연결 위치 사이의 다른 거리는 패널의 저부로의 베인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위치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를 따라 이격될 수 있고,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와, 그 폭을 한정하는 2개의 측부 에지를 갖는 복수의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베인을 포함하는 건축용 개구를 위한 가요성 패널이 개시되며, 베인은 제1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베인은 제2 연결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인접한 베인 사이의 전방 및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하나 상의 각각의 제1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인접한 베인 사이의 전방 및 백 수직 지지 부재 중 다른 하나 상의 각각의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와는 다르고, 붕괴된 위치에 있는 패널에 응답하여 베인의 폐쇄를 용이하게 하고, 전방 수직 지지 부재는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 인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위치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상에 있고, 인접한 베인 사이의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상의 각각의 제1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인접한 베인 사이의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상의 각각의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대안적으로, 인접한 베인 사이의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상의 각각의 제1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인접한 베인 사이의 백 수직 지지 부재 상의 각각의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건축용 개구를 위한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저부 레일, 롤러, 헤드 레일 및 제어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은 패널의 저부 단부와 작동식으로 연관된 저부 레일, 롤러를 작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 및/또는 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헤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링은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패널의 상단 단부는 롤러와 작동식으로 연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저부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베인 폐쇄를 보조할 수 있는 저부 레일의 단일 영역 또는 라인을 따라 후방 수직 지지 부재, 최저부 베인, 및/또는 전방 수직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패널에 원하는 외관을 부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부 레일은 베인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베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는 그 길이에 직교하는 폭을 갖고, 저부 레일은 패널(및/또는 수직 지지 부재(들))을 따라 단지 단일 위치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후방 수직 지지 부재에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및 제2 측부 에지를 갖는 재료의 상단 층 및 제1 및 제2 측부 에지를 갖는 재료의 저부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 결합 영역을 갖는 베인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제1 측부 에지를 따라 각각의 상단 층 및 각각의 저부 층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제1 측부 에지를 따른 제1 결합 영역은 약 1.0 mm 이하의 폭을 갖는, 단계; (c) 전방 시어 및 후방 시어를 제공하는 단계 ; 및 (d) 베인이 전방 및 후방 시어 사이에서 연장되어 패널을 형성하도록 전방 시어 및 후방 시어에 베인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베인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이어서 시어에 베인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시어에 베인을 결합시키는 것은 핫-멜트 또는 UV 경화 접착제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결합은 초음파 용접 및 핫-나이프 용접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건축용 커버링이 많은 적용예를 갖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 및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개수의 특징은 단일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요소의 위치, 예를 들어, 결합 영역(정점) 및 글루 라인(결합 또는 부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에 추가하여 특징을 갖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가능하거나, 설명된 모든 특징보다 더 작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능성은 전체 또는 일부가 지금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게 되는 방식으로 다중 구성요소 중에 분포될 수 있다.
넓은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본 특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건축용 커버링의 개시된 실시예의 형태 및 상세의 생략, 치환, 및 변화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해 종래 알려진, 그리고 미래에 개발될 변경 및 변형과 종래에 알려진 것을 포함한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은 다른 요소, 특징,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나열되지만, 복수의 수단, 요소, 또는 방법 단계가, 예컨대, 단일 유닛 또는 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개별적 특징들이 다른 청구항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다른 청구항 내의 포함은 특징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형에 대한 언급은 복수형을 제외하지 않는다. 용어 "하나의(a)", "하나의(an)", "제1(first)", "제2(second)" 등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 및/또는 청구범위의 참조 부호는 단지 명시적인 예로서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전술한 설명은 넓은 응용예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것에 추가하여 많은 유형의 커버링 패널 또는 셰이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커버링에 추가하여, 다수의 유형의 커버링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념은 핸들 조립체를 통해 이동 가능한 상단 레일 또는 임의의 다른 레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 대한 논의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가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을 시사하는 의도는 아니다. 다시 말해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달리 다양하게 구현되고 채택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바를 제외한 그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를 의도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0)

  1. 폭과 높이를 갖는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으로서, 상기 커버링은 그것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고,
    패널의 높이를 정의하는 폭, 상단 및 하단을 갖는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가요성 패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가지는 가요성 제1 시어 지지 부재;
    상기 가요성 패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가지는 가요성 제2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의 높이를 따라, 그리고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의 높이를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연장 가요성 베인들로서,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 각각은 길이 및 폭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의 상기 길이는 상기 패널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패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 각각은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둘 다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은,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에 의해, 광이 상기 가요성 패널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배향과 광이 상기 가요성 패널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배향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수평-연장 가요성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 각각은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한 광 투과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베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셀형 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셀형 베인은 제1 절첩 라인을 형성하도록 절첩되고 주름지는 단일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제2 절첩 라인을 형성하도록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정렬되고 상호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에지를 가지며, 상기 단일 시트 재료의 절첩은 상기 셀형 베인이 상기 제1 배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 공간을 형성하고 둘러싸도록 분리 가능한 2개의 층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층 중 제1 층의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층 중 제2 층의 외측 표면은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라인은 상기 주름을 열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종방향 에지는 중첩하고 상기 2개의 종방향 에지의 초음파 용접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상기 제2 절첩 라인을 형성하는, 커버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보다 긴, 커버링.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층은 셀형 베인의 저부 층을 형성하는, 커버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형 베인은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하는, 커버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형 베인은 금속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층은 상기 2개의 층이 서로 근접할 때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행 배향으로부터 상기 2개의 층이 분리될 때 실질적으로 S-형상 배향으로 이동하는, 커버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약 0.0005 인치의 하한 내지 약 0.005 인치의 상한의 범위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약 0.0005 인치의 하한 내지 약 0.005 인치의 상한의 범위인, 커버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용접부의 폭은 작게는 약 0.05 mm에서 크게는 약 2 mm인, 커버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첩 라인 및 상기 제2 절첩 라인은 각각 힌지(hinge)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시 상기 셀형 베인의 2개의 층이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커버링.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는 광이 그 곳을 통과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는 광이 그 곳을 통과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약 70 퍼센트(70%) 내지 약 90 퍼센트(90%) 범위의 개방도 팩터를 제공하는 개구를 갖는, 커버링.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층 중 제1 층의 외측 표면은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에 직접 접착 결합되고, 상기 2개의 층 중 제2 층의 외측 표면은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에 직접 접착 결합되는, 커버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의 폭은 상기 초음파 용접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층을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의 폭은 상기 초음파 용접부의 폭보다 큰, 커버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의 폭은 작게는 약 1mm에서 크게는 약 3mm이고, 상기 제2 층을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의 폭은 작게는 약 1mm에서 크게는 약 3mm인, 커버링.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층의 외측 표면을 따라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층은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층의 외측 표면을 따라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절첩 라인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오프셋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절첩 라인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커버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작게는 1mm에서 크게는 약 5m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작게는 1mm에서 크게는 약 5mm인, 커버링.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데니어를 갖는 폴리머계 얀(yarn)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얀(yarn) 중 적어도 하나는 약 16 내지 약 24의 범위 내의 데니어를 갖는, 커버링.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각각은 데니어를 갖는 폴리머계 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내의 모든 얀의 데니어는 약 16 내지 약 24의 범위 내에 있는, 커버링.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전단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널의 중량이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얀과 정렬되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방향 얀과 상기 기계 방향 얀에 직교하는 교차 방향 얀을 갖는 직조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기계 방향 얀 및 교차 방향 얀은 직사각형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널의 중량이 상기 기계 방향 얀 또는 상기 교차 방향 얀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되고 상기 기계 방향 얀 또는 상기 교차 방향 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직물로부터 형성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레노 시어 직물인, 커버링.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에서 인치당 15 내지 30얀(ypi)을 갖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널의 중량이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얀과 정렬되고 상기 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이아몬드 개구를 갖는 니트 직물인, 커버링.
  25. 제24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개구를 갖는 니트 직물인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툴레 시어 직물인, 커버링.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어두운 색의 폴리머계 얀으로 형성되는, 커버링.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상기 어두운 색의 폴리머계 얀은 카본 블랙 안료를 이용하여 염색되는, 커버링.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방향 얀 및 교차 방향 얀을 갖는 직조 레노 시어 직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계 방향 얀 및 상기 교차 방향 얀은 어두운 색상이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널의 중량이 상기 기계 방향 얀 또는 상기 교차 방향 얀과 정렬되고 상기 기계 방향 얀 또는 상기 교차 방향 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는 광이 그 곳을 통과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는 약 70 퍼센트(70%) 내지 약 90 퍼센트(90%) 범위의 개방도 팩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는 광이 그 곳을 통과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는 약 70 퍼센트(70%) 내지 약 90 퍼센트(90%) 범위의 개방도 팩터를 갖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방향 폴리머계 얀 및 상기 기계 방향 얀에 직교하여 배향된 교차 방향 폴리머계 얀으로 형성된 직조 직물이며, 상기 기계 방향 얀 및 상기 교차 방향 얀은 직사각형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시어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시어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중 다른 하나는 폴리머계 얀으로 형성된 니트 직물이며, 상기 직조 직물은 상기 패널의 중량이 상기 니트 직물의 기계 방향 얀 또는 교차 방향 얀과 정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커버링.
KR1020247012630A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40055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4248P 2016-10-28 2016-10-28
US62/414,248 2016-10-28
US201762525549P 2017-06-27 2017-06-27
US62/525,549 2017-06-27
KR1020197012210A KR102659313B1 (ko)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CT/US2017/057531 WO2018080910A1 (en) 2016-10-28 2017-10-20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related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210A Division KR102659313B1 (ko)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881A true KR20240055881A (ko) 2024-04-29

Family

ID=60245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630A KR20240055881A (ko)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0197012210A KR102659313B1 (ko)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210A KR102659313B1 (ko) 2016-10-28 2017-10-20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10975616B2 (ko)
EP (1) EP3532270B1 (ko)
JP (2) JP7146749B2 (ko)
KR (2) KR20240055881A (ko)
CN (2) CN109937133B (ko)
AU (2) AU2017350684B2 (ko)
BR (1) BR112019008544B1 (ko)
CA (1) CA3041637A1 (ko)
CL (1) CL2019001138A1 (ko)
CO (1) CO2019005308A2 (ko)
MX (2) MX2019004816A (ko)
TW (2) TWI758349B (ko)
WO (1) WO2018080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881A (ko) * 2016-10-28 2024-04-2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EP3369886A1 (en) * 2016-10-28 2018-09-0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having cellular flexible slats attaced to elongate tapes
AU2018256598A1 (en) * 2017-11-06 2019-05-23 Hunter Douglas Inc. 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180951B2 (en) * 2018-02-26 2021-11-23 Hunter Douglas Inc. Bottom rail for use with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A3053849A1 (en) 2018-09-07 2020-03-07 Hunter Douglas Inc. Fabric panels, sheer fabrics, and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related systems
US20220205147A1 (en) * 2019-04-25 2022-06-30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FR3110193B1 (fr) * 2020-05-15 2022-04-22 Sebastian Brillout Store a lamelles
WO2022093635A1 (en) * 2020-10-26 2022-05-05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panel assembly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8940A (en) * 1935-11-21 1937-05-04 Ewing Dev Company Screen cloth
GB476021A (en) * 1937-04-08 1937-11-30 Ewing Dev Compan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ect screens
US2205581A (en) * 1939-12-08 1940-06-25 Aaron S Staff Knitted fabric
US2559341A (en) * 1947-01-02 1951-07-03 Aspinall Bros Huddersfield Ltd Double-ply leno fabric
GB716605A (en) * 1950-09-12 1954-10-13 Abur Ne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netted fabrics
BE538987A (ko) * 1954-06-16 1900-01-01
US2715762A (en) * 1954-07-21 1955-08-23 Diamond Hosiery Corp Method of forming knitted fabric
US2736945A (en) * 1954-09-03 1956-03-06 Patentex Inc Process for knitting
US3068547A (en) * 1958-09-19 1962-12-18 Chicopee Mfg Corp Reinforced nonwoven fabrics
FR1381472A (fr) * 1963-10-28 1964-12-14 Griesser Et Cie Store à lames orientables et procédé pour le fabriquer
US3681184A (en) * 1970-03-24 1972-08-01 Johnson & Johnson Nonwoven fabrics comprising bamboo,diamond and the like patterns
DK133073C (da) * 1974-04-29 1976-08-30 M O H Rasmussen Varmeisolerende forheng
GB1494842A (en) * 1975-04-23 1977-12-14 Ici Ltd Blind
US4377195A (en) * 1980-06-17 1983-03-22 Hans Jack Weil Private cubicle enclosure
US4469738A (en) * 1983-01-21 1984-09-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iented net furniture support material
FR2540526B1 (fr) * 1983-02-04 1985-10-04 Bat Taraflex Structure textile ajouree du type constitue par un tricot a mailles jetees et procede pour son obtention
US4530113A (en) * 1983-05-20 1985-07-23 Intervascular, Inc. Vascular grafts with cross-weave patterns
DE3525515A1 (de) * 1985-07-17 1987-01-29 Helmut Moser Vorhang mit verstellbaren sichtschutzlamellen
US5244711A (en) * 1990-03-12 1993-09-14 Mcneil-Ppc, Inc. Apertured non-woven fabric
US5603368A (en) 1990-05-09 1997-02-18 Hunter Douglas Inc. Roll up roman shade
US5394922A (en) * 1990-10-24 1995-03-07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313999A (en) * 1990-10-24 1994-05-24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6001199A (en) * 1990-10-24 1999-12-14 Hunter Dougla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456304A (en) * 1990-12-13 1995-10-10 Hunter Dougla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5320154A (en) * 1990-12-13 1994-06-14 Hunter Dougl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window covering
US5168005A (en) * 1990-12-21 1992-12-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axially reinforced membrane
US5392832A (en) * 1991-12-19 1995-02-2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assembly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5287908A (en) * 1991-12-19 1994-02-22 Hunter Douglas Inc. Window covering assembly
ES2098461T3 (es) * 1991-12-19 1997-05-01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Montaje cubriente para aberturas arquitectonicas.
US6068039A (en) * 1992-09-28 2000-05-30 Judkins; Ren Material for venetian type blinds
US5419385A (en) * 1993-07-29 1995-05-30 Hunter Douglas, Inc. Double sheet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with unique vanes
US5490553A (en) * 1993-11-09 1996-02-13 Hunter Douglas, Inc. Fabric window covering with rigidified vanes
US5806579A (en) * 1995-02-06 1998-09-15 Judkins; Ren Venetian type blinds having opposed lift cords
US5558925A (en) * 1995-02-13 1996-09-24 Cellular Designs Unlimited, Inc. Window treatment article
US5749404A (en) * 1995-05-10 1998-05-12 Hunter Douglas Inc. Fabric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ame
ZA963715B (en) * 1995-05-12 1996-11-20 Tensar Corp Bonded composite open mesh structural textiles
US5647421A (en) * 1995-06-06 1997-07-15 Hunter Douglas Inc. Dual shape assembly
US5753338A (en) * 1995-08-21 1998-05-19 Verosol Usa Inc. Honeycomb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01939A (en) 1995-12-21 1997-12-30 Pinto; Michal Sun blocking shade device
US5664613A (en) * 1996-06-03 1997-09-09 Verosol Usa In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6302982B1 (en) * 1997-10-09 2001-10-16 Comfortex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on of fabric venetian blind
US6171424B1 (en) * 1997-10-09 2001-01-09 Comfortex Window Fashions Method of making fabric venetian blinds
US6196291B1 (en) * 1997-11-26 2001-03-06 John D. Rupel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775487B1 (fr) * 1998-02-27 2000-05-19 Hexcel Fabrics Reseau a facteur d'ouverture variable
CN101929036B (zh) * 1999-01-12 2013-09-04 荷兰亨特工业有限公司 用于形成具有经纱和纬纱的非织造织物的设备
US6582794B1 (en) * 1999-10-01 2003-06-24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rchitectural covering
US6484786B1 (en) * 2000-04-14 2002-11-26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US6823923B2 (en) * 2000-04-14 2004-11-30 Hunter Douglas Inc. Light-control window cove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US6354353B1 (en) * 2000-06-14 2002-03-12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Door and window coverings employing longitudinally rigid vanes
US6474396B1 (en) * 2001-08-13 2002-11-05 Ellis I. Toder Knitted mesh with relief band and method
US7172802B2 (en) * 2001-12-27 2007-02-06 Sutherland Ann M Casement fabrics
FR2836933B1 (fr) * 2002-03-08 2004-09-10 Sophie Bouvant Ecran decoratif ajoure transparent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ecran
TW513514B (en) * 2002-05-24 2002-12-11 Ching Feng Blinds Ind Co Ltd Automatic shaping method for production of hive-like Venetian blind
TW551126U (en) * 2002-09-25 2003-09-01 Nien Made Entpr Co Ltd Curtain assembly with transparency control
US6772815B1 (en) * 2003-02-11 2004-08-10 Ren Judkins Window covering having faces of parallel threads
US20040168479A1 (en) * 2003-02-28 2004-09-02 Mcmurray Brian Highly resilient multifilament yarn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7588068B2 (en) 2003-08-20 2009-09-15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US8393080B2 (en) * 2003-08-20 2013-03-12 Hunter Douglas Inc. Method for making a window covering having operable vanes
US7549455B2 (en) * 2003-08-20 2009-06-23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CN1918356A (zh) * 2003-12-22 2007-02-21 亨特道格拉斯有限公司 用作建筑物开孔覆盖物的可缩回的遮光件
US9702185B2 (en) 2003-12-22 2017-07-11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WO2005062875A2 (en) * 2003-12-22 2005-07-14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shad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50215147A1 (en) * 2004-03-26 2005-09-29 Masters Charles R Sunscre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404429B2 (en) * 2004-04-14 2008-07-29 Lace Lastics Co., Inc. Frayless frangible connection for fabric and vertical bli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1984416B1 (ko) * 2004-08-20 2019-05-30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작동가능한 베인을 갖는 윈도우 커버링 제조 장치 및 방법
US20060157205A1 (en) 2004-12-30 2006-07-20 Auger Raymond N Drooped cellular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80127598A1 (en) * 2005-07-21 2008-06-05 Maestroshield Ip Holdings,Llc Mesh system
US20070034343A1 (en) 2005-08-15 2007-02-15 Zahka Joseph G Window screen
WO2007059345A2 (en) 2005-11-16 2007-05-24 Plantra, Inc. Horticultural netting with dimensional control
US20070175596A1 (en) * 2006-01-30 2007-08-02 Gow-Ten Chien Structure of a roller blind
US20070175595A1 (en) * 2006-02-01 2007-08-02 Tzong-Fu Lin Blind with semitransparent sheets of drapery material
US7628195B2 (en) * 2006-02-16 2009-12-08 Hunter Douglas Inc. Non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686060B2 (en) *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having a pair of flexible parallel sheets at least partially integrally connected with vanes
FR2907805B1 (fr) * 2006-10-31 2009-01-16 Mdb Texinov Sa Soc Par Actions Ecran de protection contre les insectes
KR100699769B1 (ko) * 2006-11-24 2007-03-28 차기철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
KR100815579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236766A1 (en) * 2007-03-29 2008-10-02 Jason Vandervoort Window covering
US7415845B1 (en) 2007-07-20 2008-08-26 Claus Graichen Window shade
GB0719225D0 (en) * 2007-10-03 2007-11-21 John Heathcoat & Company Ltd Knitted tulle
US20090139667A1 (en) * 2007-11-30 2009-06-04 Claus Graichen Blind With Pockets
USD600057S1 (en) * 2008-05-07 2009-09-15 Ki Cheol Cha Textile blind united by weaving
KR100876183B1 (ko) * 2008-06-04 2008-12-31 김옥자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WO2010059581A2 (en) * 2008-11-18 2010-05-27 Hunter Douglas Inc. Slatted roller blind
DE502009000591D1 (de) * 2009-01-09 2011-06-09 Norbert Neher Insektenschutzgewebe
KR100907461B1 (ko) * 2009-01-29 2009-07-13 김동식 트리플 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KR100932651B1 (ko) * 2009-01-29 2009-12-21 김동식 바 삽입형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101562043B1 (ko) 2009-02-09 2015-11-20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20201A2 (en) * 2009-04-16 2010-10-21 Jonathan Dallas Toye Reflective netting material
ES2766261T3 (es) * 2009-05-18 2020-06-12 Youil Corp Co Ltd Tejido tridimensional con estructura de tres capas
JP5292559B2 (ja) * 2009-05-29 2013-09-18 福井県 光拡散シート
US8079397B2 (en) 2009-10-30 2011-12-20 Robertson Richard W Roman shade with protected operating cords
EP2325357A2 (en) * 2009-11-23 2011-05-25 Ok-Ja Kim Integrated weaving-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91330B1 (ko) * 2009-12-01 2010-11-01 박금연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US20120318465A1 (en) * 2009-12-31 2012-12-20 Hunter Douglas Inc. Insulating shade for covering an architectural opening
BR112012026322B1 (pt) * 2010-04-16 2020-10-27 Hunter Douglas Inc.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a persiana corrediça com ripas
KR101192996B1 (ko) * 2010-06-04 2012-10-19 (주) 텍스토머 황사방지 방충망
US20120031569A1 (en) 2010-08-09 2012-02-09 Mariak Industries, Inc. Safety window shade assembly
US20120043029A1 (en) * 2010-08-20 2012-02-23 Gaskill Robert D Dual Panel Window Shade Apparatus with Improved Bottom Weight Bar and Rail
AU2012214313B2 (en) * 2011-02-10 2017-06-01 Hunter Douglas, Inc. Band lift system for shades
CA3090998C (en) * 2011-08-26 2023-05-02 Hunter Douglas Inc. Cordless retractable roller shade for window coverings
ES2555144T3 (es) * 2011-09-22 2015-12-29 Aktiebolaget Ludvig Svensson Pantalla de invernadero
US20130163062A1 (en) * 2011-12-22 2013-06-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smart window with continuously tunable transmission
KR20140114363A (ko) 2012-01-12 2014-09-26 렌 주드킨스 창문 덮개용 셀룰러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US9316049B2 (en) 2012-03-01 2016-04-19 Hunter Douglas, Inc. Collapsible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US20130240162A1 (en) * 2012-03-13 2013-09-19 Hunter Douglas, Inc. Light Diffusing Roller Blind Assembly
EP2834399B1 (en) * 2012-04-04 2022-01-26 Argaman Technologies Ltd. A multi-component combination yarn system for moisture management in textiles and system for producing same
WO2014041499A1 (en) * 2012-09-12 2014-03-20 Extenday Ip Limited Netting, crop cover, and ground cover materials
KR101363745B1 (ko) * 2012-11-16 2014-02-14 김기형 밀도가 다른 투시창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직방법
US9512672B2 (en) * 2012-11-19 2016-12-0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
US20140234588A1 (en) * 2013-02-19 2014-08-21 Anthony DeCologero Solar heat film / solar heat shade and system thereof
US9567802B2 (en) * 2013-03-15 2017-02-14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945177B2 (en) * 2013-03-15 2018-04-17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175509B2 (en) * 2013-03-15 2015-11-03 Aedes Technologies Screen with visible marker
CA2846549C (en) * 2013-03-15 2021-05-2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411404B1 (ko) * 2013-05-28 2014-06-25 지엘테크텍 주식회사 공기층을 갖는 입체형 롤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방법
US9611689B2 (en) * 2013-08-02 2017-04-04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sheer shading system
US9322210B2 (en) *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US20160215558A1 (en) * 2013-08-29 2016-07-28 Winplus Co., Ltd.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US10939624B2 (en) * 2014-02-11 2021-03-09 Nine Ip Limited Netting materials
KR101525029B1 (ko) * 2014-02-18 2015-06-03 안은로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US20150247267A1 (en) * 2014-03-03 2015-09-03 Comfortex Window Fashions Variable transparency fabric, window shad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US20150292261A1 (en) 2014-04-09 2015-10-15 Tser Wen Chou Roller curtain structure
KR20150126483A (ko) * 2014-05-02 2015-11-12 주식회사 광세로 이물질 여과용 원단
AU2015275774A1 (en) * 2014-06-16 2017-01-12 Nine Ip Limited Netting material
US20160130867A1 (en) 2014-11-10 2016-05-12 Li-Ming Cheng Window Shade Allowing Adjustment of the Amount of Incoming Light in Different Sections
US9528201B1 (en) 2015-07-13 2016-12-27 Smart Textile Products, LLC Insulating sheer fabric
US10174551B2 (en) * 2015-09-21 2019-01-08 Hunter Douglas Inc. Rail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813921B1 (ko) * 2015-11-04 2018-01-03 (주) 텍스토머 건축물 창호용 방풍막 및 그 제조방법
US9982481B2 (en) * 2015-11-25 2018-05-29 Mario M Marocco Arch window covering with control
US9719297B1 (en) * 2016-01-27 2017-08-01 Calendar Enterprise Co., Ltd. Roller shade with a light regulating function
TWM532819U (en) 2016-04-11 2016-12-01 zhe-wen Zhou Shared curtain fabric structure
KR101638517B1 (ko) * 2016-04-15 2016-07-12 남시우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TWI661117B (zh) * 2016-09-19 2019-06-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致動系統
EP3369886A1 (en) * 2016-10-28 2018-09-0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having cellular flexible slats attaced to elongate tapes
KR20180046770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횡방향 블라인드용 하단 웨이트장치
KR20240055881A (ko) * 2016-10-28 2024-04-2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US10815727B2 (en) * 2016-12-22 2020-10-27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Cordless covering with tiltable vanes
KR101855956B1 (ko) * 2017-04-17 2018-05-09 주식회사 정진텍스타일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TWI767005B (zh) * 2017-06-01 2022-06-11 美商漢特道格拉斯股份有限公司 具有底部軌條調平機構的用於建築特徵之遮蓋物
AU2018256598A1 (en) * 2017-11-06 2019-05-23 Hunter Douglas Inc. 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190211621A1 (en) * 2018-01-05 2019-07-11 Lafayette Venetian Blind, Inc. Window covering for an arched window
US20190316413A1 (en) * 2018-04-12 2019-10-17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panel assembly thereof
US11243337B2 (en) * 2018-05-02 2022-02-08 Hunter Douglas Inc. Sheer material for use in architectural coverings
US20190338586A1 (en) * 2018-05-02 2019-11-07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Light Transmitting Material
CA3053849A1 (en) * 2018-09-07 2020-03-07 Hunter Douglas Inc. Fabric panels, sheer fabrics, and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related systems
US20220205147A1 (en) * 2019-04-25 2022-06-30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KR102341200B1 (ko) * 2020-03-05 2021-12-21 주식회사 윈도우투모로우 자외선차단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방충망용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37133A (zh) 2019-06-25
AU2023266323A1 (en) 2023-12-14
JP7403601B2 (ja) 2023-12-22
EP3532270B1 (en) 2022-08-10
KR20190076971A (ko) 2019-07-02
US10975616B2 (en) 2021-04-13
TWI829094B (zh) 2024-01-11
US20210189797A1 (en) 2021-06-24
CL2019001138A1 (es) 2019-09-13
KR102659313B1 (ko) 2024-04-23
JP7146749B2 (ja) 2022-10-04
CO2019005308A2 (es) 2019-05-31
EP3532270A1 (en) 2019-09-04
AU2017350684B2 (en) 2023-08-17
CN114109228B (zh) 2024-05-14
TW201816255A (zh) 2018-05-01
CN114109228A (zh) 2022-03-01
JP2019534402A (ja) 2019-11-28
TW202219372A (zh) 2022-05-16
JP2022174288A (ja) 2022-11-22
US20220136323A1 (en) 2022-05-05
MX2023006424A (es) 2023-06-13
MX2019004816A (es) 2019-07-01
TWI758349B (zh) 2022-03-21
BR112019008544B1 (pt) 2022-11-22
CN109937133B (zh) 2021-12-21
BR112019008544A2 (pt) 2019-07-09
US20180119485A1 (en) 2018-05-03
WO2018080910A8 (en) 2019-05-02
WO2018080910A1 (en) 2018-05-03
AU2017350684A1 (en) 2019-05-16
US11891854B2 (en) 2024-02-06
CA3041637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313B1 (ko) 건축용 특징부를 위한 커버링, 관련 시스템, 및 제조 방법
US20210363818A1 (en)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related systems, methods of operation, and manufacture
CA2513417C (en) Window covering having faces of parallel threads
KR102632760B1 (ko)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다층 직물 및 덮개 그리고 제조 방법
TW202415851A (zh) 用於建築特徵之覆蓋物、相關系統及製造方法
KR20240072108A (ko) 건축물 특징부를 위한 덮개, 그리고 관련된 시스템, 동작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