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13A -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13A
KR20240054013A KR1020220134238A KR20220134238A KR20240054013A KR 20240054013 A KR20240054013 A KR 20240054013A KR 1020220134238 A KR1020220134238 A KR 1020220134238A KR 20220134238 A KR20220134238 A KR 20220134238A KR 20240054013 A KR20240054013 A KR 2024005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nish
outer garnish
pillar
fastening
bod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회
심종우
박유진
변재섭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13A/ko
Priority to US18/218,226 priority patent/US20240124063A1/en
Priority to CN202310922049.1A priority patent/CN117901955A/zh
Priority to DE102023120256.1A priority patent/DE102023120256A1/de
Publication of KR2024005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the metal being over-moulded by the synthetic material, e.g. in a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모든 필러의 상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A필러 자체를 구성하는 루프사이드어셈블리;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하부차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가니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는, 폐단면으로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내부에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체 구조{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차체는 승객의 거주 공간과 화물의 탑재 공간을 제공하며, 차량의 충돌 등의 경우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차량의 외관 디자인 형성에 큰 비중을 가지고 있다.
종래 차체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A, B, C필러가 차례로 배치되면서, 양쪽 A필러 사이에 윈드쉴드글래스를 장착할 공간을 형성하고, A필러와 B필러 사이에 전방도어, B필러와 C필러 사이에 후방도어, 양쪽 C필러 사이에 리어윈드쉴드글래스를 각각 장착할 공간을 형성하며, 이들 A, B, C필러들의 상측에는 루프를 결합하도록 된 것이 있다.
종래 A, B, C필러의 구조는 프레스 판넬 타입으로 용접을 통해서 모두 이어져 있으며, BIW(Body In White) 상태의 바디 전체를 조립한 후에 페인팅 공정에 투입되므로, 종래의 차체 바디는 대량 생산에 유리하지만, 요구되는 금형 등의 장치가 많아서 다품종 소량 생산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50104269 A
본 발명은 차체의 부품수를 축소하면서, 차체의 일부 구성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서 다품종 소량 생산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 차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체 구조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모든 필러의 상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A필러 자체를 구성하는 루프사이드어셈블리;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하부차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가니쉬;
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는,
폐단면으로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내부에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에는 다수의 넛설트(nutsert)와, 다수의 인서트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몰딩부재는 상기 넛설트가 장착된 부위를 차체 내측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인서트브라켓을 감싸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재는 다수의 인서트너트를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상기 하부차체의 펜더에 결합하는 A필러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상기 하부차체의 B필러 상단에 결합하는 B필러마운팅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필러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외측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사이에 A필러보강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몰딩부재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결합을 위한 루프체결홀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루프체결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내측에 일부가 일체화된 폐루프 형상의 루프고리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내측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가 결합되는 체결보스를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후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플레이트홀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에서 돌출된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내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편;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재의 후크플레이트홀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돌기가 돌출된 반대편의 상기 평판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후크플레이트홀 내부로 돌출된 사이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루프고리와, 다수의 체결보스 및 다수의 후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루프고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루프체결홀과,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플레이트홀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에는 다수의 체결나사가 상기 몰딩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루프고리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상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상측에서 상기 루프고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루프고리와 체결보스가 형성된 위치의 하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우터가니쉬의 차체 전방측에도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외측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사이에 A필러보강재가 결합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상기 A필러보강재와,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전방 단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에 결합되는 제1A체결볼트;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측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 및 몰딩부재에 결합되는 제2A체결볼트;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 및 몰딩부재에 결합되는 제3A체결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하부차체의 B필러 상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가니쉬마운팅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가니쉬마운팅보스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니쉬B필러마운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상기 C필러와 결합되는 후방 단부에, C필러의 후방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후방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플랜지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C필러에 결합되는 C체결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나뉘어진 다수의 가니쉬부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니쉬부분체들은 서로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로 결합되는 가니쉬부분체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다수의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후크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차체의 필러와 결합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상기 필러의 표면을 향해 점차 두께가 감소하여 매끄러운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두께감소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체의 부품수를 축소하면서, 차체의 일부 구성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서 다품종 소량 생산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차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루프사이드어셈블리와 아웃터가니쉬가 결합된 어퍼바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어퍼바디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아웃터가니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를 반대쪽에서 관측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어퍼바디를 반대쪽에서 관측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어퍼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루프사이드어셈블리로부터 아웃터가니쉬를 이격시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ⅩⅠ-ⅩⅠ선 단면도,
도 12는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루프고리, 루프체결홀, 체결보스, 및 체결나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7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하측에서 관측한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후크플레이트와 후크플레이트홀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5는 어퍼바디의 전방 단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선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ⅩⅦ-ⅩⅦ선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ⅩⅧ-ⅩⅧ선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ⅩⅨ-ⅩⅨ선 단면도,
도 20은 도 1의 ⅡⅩ-ⅡⅩ선 단면도,
도 21은 도 6의 ⅡⅩⅠ부 상세도,
도 22는 도 21의 후크와 후크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체 구조의 실시예는, 차체(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1)의 모든 필러의 상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A필러 자체를 구성하는 루프사이드어셈블리(3);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를 하부차체(5)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가니쉬(7)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는, 폐단면으로 차체(1)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파이프(9); 상기 파이프(9)를 내부에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차체(1)를 하부차체(5)와 상부차체(13)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차체(13)는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와 아웃터가니쉬(7)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과 같은 차체(1)에서, 하측의 B필러(15)와 C필러(17) 등은 하부차체(5)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이와 같은 하부차체(5)는 공용으로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와 아웃터가니쉬(7)로 이루어진 상부차체(13)를 차종에 따라 가변하여 상기 하부차체(5)의 상측에 결합시킴으로써, 다품종 소량생산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차체(5)의 구조와 상기 상부차체(13)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루프사이드어셈블리(3) 및 아웃터가니쉬(7)를 모두 변경시키면서, 보다 유연한 차체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C필러(17)까지만 존재하는 차체를 예시하고 있으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D필러가 존재하는 차량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본 발명의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와 아웃터가니쉬(7)는 D필러의 상단까지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의 전방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A필러 자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도 1에 A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9)는 금속성 재질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9)에는 다수의 넛설트(NUTSERT: 19)와, 다수의 인서트브라켓(21)이 장착되고; 상기 몰딩부재(11)는, 도 13과 같이, 상기 넛설트(19)가 장착된 부위를 차체 내측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인서트브라켓(21)을 감싸도록 성형된다.
상기 넛설트(19)에는 차체 내측으로부터 각종 브라켓 등을 체결하는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몰딩부재(11)는 상기 인서트브라켓(21)을 감싸면서 형성된 부분이 루프레일 등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재(11)는 다수의 인서트너트(23)를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하부차체(5) 등과 같은 다른 차체 부품과 쉽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의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를 상기 하부차체(5)의 펜더에 결합하는 A필러마운팅브라켓(25);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를 상기 하부차체(5)의 B필러(15) 상단에 결합하는 B필러마운팅브라켓(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A필러마운팅브라켓(25)과 B필러마운팅브라켓(27)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에 볼트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A필러마운팅브라켓(25)과 B필러마운팅브라켓(27)을 하부차체(5)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도, 볼트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다품종 소량생산에 보다 적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브라켓들 이외에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를 상기 하부차체(5)에 결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브라켓들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A필러마운팅브라켓(25)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의 차체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의 차체 외측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의 사이에 A필러보강재(29)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차체(13)의 전방단부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3)의 몰딩부재(11)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의 결합을 위한 루프체결홀(3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7)에는 상기 루프체결홀(31)에 삽입되도록,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내측에 일부가 일체화된 폐루프 형상의 루프고리(33)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루프고리(33)를 상기 루프체결홀(31)에 삽입하면, 상기 루프고리(33)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루프체결홀(3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몰딩부재(11)와 아웃터가니쉬(7)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내측에는 상기 몰딩부재(1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35)가 결합되는 체결보스(37)를 다수개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나사(35)를 다수개 체결함으로써,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 몰딩부재(11) 사이의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루프고리(33)와 루프체결홀(31)만으로 부족한 결합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가니쉬(7)에는 상기 몰딩부재(11)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후크플레이트(39)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11)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3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플레이트홀(41)이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후크플레이트(39)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에서 돌출된 평판부(43); 상기 평판부(43)의 내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편(45); 상기 탄성편(45)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돌기(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몰딩부재(11)의 후크플레이트홀(41)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39)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돌기(47)가 돌출된 반대편의 상기 평판부(43)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 내부로 돌출된 사이드돌기(4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에 상기 후크플레이트(39)가 삽입될 때에는 상기 후크돌기(47)가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에 접촉하면서, 상기 탄성편(45)이 탄성 변형되는데, 이때 상기 사이드돌기(49)는 상기 탄성편(45)과 간섭되지 않아서, 상기 탄성편(45)이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에 삽입되도록 하고, 일단 상기 탄성편(45)의 후크돌기(47)가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을 관통하여 체결되면, 상기 사이드돌기(49)가 상기 평판부(43) 양측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탄성편(45)의 후크돌기(47)가 상기 후크플레이트홀(41)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여, 견고한 조립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터가니쉬(7)에는 상기 몰딩부재(11)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루프고리(33)와, 다수의 체결보스(37) 및 다수의 후크플레이트(39)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11)에는 상기 루프고리(3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루프체결홀(31)과, 상기 후크플레이트(3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플레이트홀(41)이 구비되어, 서로 탄성력을 이용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상기 다수의 체결나사(35)가 상기 몰딩부재(11)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37)에 체결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루프고리(33)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상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37)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상측에서 상기 루프고리(33)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39)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루프고리(33)와 체결보스(37)가 형성된 위치의 하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39)는 상기 아우터가니쉬의 차체 전방측에도 다수개가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 루프사이드어셈블리(3)는 모든 방향으로 매우 견고한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상기 A필러보강재(29)와,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전방 단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29)에 결합되는 제1A체결볼트(51);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측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29) 및 몰딩부재(11)에 결합되는 제2A체결볼트(53);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29) 및 몰딩부재(11)에 결합되는 제3A체결볼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제1A체결볼트(51)와 제2A체결볼트(53) 및 제3A체결볼트(55)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 A필러보강재(29)를 공간상의 모든 방향으로 상호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실질적인 범위 내에서, 상기 제1A체결볼트(51)와 제2A체결볼트(53) 및 제3A체결볼트(55)가 서로 직교하면서 체결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몰딩부재(11)에는 상기 하부차체(5)의 B필러(15) 상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가니쉬마운팅보스(57)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7)에는 상기 가니쉬마운팅보스(57)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니쉬B필러마운팅홀(5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상기 B필러(15)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몰딩부재(11)에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몰딩부재(11)는 상기 가니쉬마운팅보스(57) 근처 부위가 상기 B필러(15)에 별도의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결국 상기 아웃터가니쉬(7)가 상기 B필러(15)의 외측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차체의 필러와 결합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상기 필러의 표면을 향해 점차 두께가 감소하여 매끄러운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두께감소부(61)를 구비한다.
즉,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하단부가 상기 B필러(15)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와 같은 두께감소부(61)가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가니쉬(7)와 B필러(15)가 만나는 부위의 단차가 두드러지지 않고 매끄러운 연결부를 형성하여, 차체의 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상기 C필러(17)와 결합되는 후방 단부에, C필러(17)의 후방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후방플랜지(63)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플랜지(63)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C필러(17)에 결합되는 C체결볼트(65)가 구비된다.
즉, 도 20과 같이, 상기 아웃터가니쉬(7)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후방플랜지(63)가 형성된 상태에서, 차량의 가장 후방의 필러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C체결볼트(65)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C필러(17)의 상단과 미려한 마감 상태를 형성하며, 하부차체(5)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나뉘어진 다수의 가니쉬부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니쉬부분체들은 서로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터가니쉬(7)는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물로 구성되되,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가니쉬부분체(67)와 후방가니쉬부분체(69)로 구별하여 성형한 후, 상기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1과 같이, 상기 서로 결합되는 가니쉬부분체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다수의 후크(7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후크(71)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홀(73)이 형성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가니쉬부분체(67)에 다수의 후크(7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가니쉬부분체(69)에 다수의 후크홀(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가니쉬부분체(67)의 후크(71)들을 상기 후방가니쉬부분체(69)의 후크홀(73)에 삽입되도록 결합하면, 상기 전방가니쉬부분체(67)와 후방가니쉬부분체(69)는 서로 일체화되어, 상기 아웃터가니쉬(7)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후크(71)는 상기 후크홀(73)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후크턱(75)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다수의 후크(71)는 각각의 후크턱(75)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일단 다수의 후크(71)가 후크홀(7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다수의 후크(71)가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방향이 서로 달라서,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쉽게 분리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차체
3; 루프사이드어셈블리
5; 하부차체
7; 아웃터가니쉬
9; 파이프
11; 몰딩부재
13; 상부차체
15; B필러
17; C필러
19; 넛설트
21; 인서트브라켓
23; 인서트너트
25; A필러마운팅브라켓
27; B필러마운팅브라켓
29; A필러보강재
31; 루프체결홀
33; 루프고리
35; 체결나사
37; 체결보스
39; 후크플레이트
41; 후크플레이트홀
43; 평판부
45; 탄성편
47; 후크돌기
49; 사이드돌기
51; 제1A체결볼트
53; 제2A체결볼트
55; 제3A체결볼트
57; 가니쉬마운팅보스
59; 가니쉬B필러마운팅홀
61; 두께감소부
63; 후방플랜지
65; C체결볼트
67; 전방가니쉬부분체
69; 후방가니쉬부분체
71; 후크
73; 후크홀
75; 후크턱

Claims (20)

  1.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차체의 필러의 상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A필러 자체를 구성하는 루프사이드어셈블리;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하부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웃터가니쉬;
    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는,
    폐단면으로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내부에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몰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다수의 넛설트와, 다수의 인서트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몰딩부재는 상기 넛설트가 장착된 부위를 차체 내측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인서트브라켓을 감싸도록 성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는 다수의 인서트너트를 인서트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상기 하부차체의 펜더에 결합하는 A필러마운팅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를 상기 하부차체의 B필러 상단에 결합하는 B필러마운팅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필러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외측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사이에 A필러보강재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몰딩부재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결합을 위한 루프체결홀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루프체결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내측에 일부가 일체화된 폐루프 형상의 루프고리가 다수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내측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가 결합되는 체결보스를 다수개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후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플레이트홀이 다수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에서 돌출된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내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편;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의 후크플레이트홀에는,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돌기가 돌출된 반대편의 상기 평판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후크플레이트홀 내부로 돌출된 사이드돌기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몰딩부재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루프고리와, 다수의 체결보스 및 다수의 후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루프고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루프체결홀과, 상기 후크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후크플레이트홀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에는 다수의 체결나사가 상기 몰딩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루프고리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상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상측에서 상기 루프고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루프고리와 체결보스가 형성된 위치의 하측에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크플레이트는 상기 아우터가니쉬의 차체 전방측에도 다수개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어셈블리의 차체 외측에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와의 사이에 A필러보강재가 결합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상기 A필러보강재와,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전방 단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에 결합되는 제1A체결볼트;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측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 및 몰딩부재에 결합되는 제2A체결볼트;
    상기 아웃터가니쉬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A필러보강재 및 몰딩부재에 결합되는 제3A체결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에는 상기 하부차체의 B필러 상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가니쉬마운팅보스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가니쉬에는 상기 가니쉬마운팅보스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니쉬B필러마운팅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상기 C필러와 결합되는 후방 단부에, C필러의 후방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후방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플랜지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관통하여 상기 C필러에 결합되는 C체결볼트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나뉘어진 다수의 가니쉬부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니쉬부분체들은 서로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서로 결합되는 가니쉬부분체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다수의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후크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가니쉬는 차체의 필러와 결합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상기 필러의 표면을 향해 점차 두께가 감소하여 매끄러운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두께감소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구조.


KR1020220134238A 2022-10-18 2022-10-18 차체 구조 KR20240054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38A KR20240054013A (ko) 2022-10-18 2022-10-18 차체 구조
US18/218,226 US20240124063A1 (en) 2022-10-18 2023-07-05 Vehicle body structure
CN202310922049.1A CN117901955A (zh) 2022-10-18 2023-07-26 车身结构
DE102023120256.1A DE102023120256A1 (de) 2022-10-18 2023-07-31 Fahrzeugkörper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38A KR20240054013A (ko) 2022-10-18 2022-10-18 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13A true KR20240054013A (ko) 2024-04-25

Family

ID=9046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238A KR20240054013A (ko) 2022-10-18 2022-10-18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24063A1 (ko)
KR (1) KR20240054013A (ko)
CN (1) CN117901955A (ko)
DE (1) DE1020231202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269A (ko) 2014-03-04 2015-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퍼바디 프레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269A (ko) 2014-03-04 2015-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퍼바디 프레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01955A (zh) 2024-04-19
DE102023120256A1 (de) 2024-04-18
US20240124063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5290B2 (en) Composite liftgate
EP3107745B1 (en) Composite liftgate
US7571957B2 (en) Component integration panel system with closed box section
US8100466B2 (en) Vehicle roof having a modular, multishell structure
WO2008062763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US20170369103A1 (en) Motor vehicle rear parcel shelf including composite material
KR20240054013A (ko) 차체 구조
JP2006507173A (ja) 運転室用サブアセンブリ
KR20060012003A (ko) 차량 후방 카고 모듈
KR20240042847A (ko) 차체 구조
KR20240054057A (ko) 차체 구조
CN211107252U (zh) 一种侧围下饰条装置和汽车
CN211731579U (zh) 一种用于车辆的d柱结构
US6733069B2 (en) Vehicle roof
CN215436628U (zh) 一种车辆的d柱上内板及车辆
CN219948087U (zh) 用于车辆的内饰板总成及车辆
CN219428048U (zh) 车辆的d柱外饰板和车辆
CN219524038U (zh) 前舱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100551251B1 (ko)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의 리어 필라부 결합구조
CN212637332U (zh) 一种汽车行李架密封结构及车辆
CN101316753B (zh) 用于车辆的开口结构
KR20240075405A (ko) 모빌리티의 패널 조립체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KR19980055375A (ko) 자동차의 후방 차체 구조
JPH1012953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