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003A - 차량 후방 카고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 후방 카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003A
KR20060012003A KR1020057021721A KR20057021721A KR20060012003A KR 20060012003 A KR20060012003 A KR 20060012003A KR 1020057021721 A KR1020057021721 A KR 1020057021721A KR 20057021721 A KR20057021721 A KR 20057021721A KR 20060012003 A KR20060012003 A KR 2006001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y
rear frame
vehicle
sail panel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조셉 존 하니
피에르-자비에르 로이
Original Assignee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filed Critical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1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트렁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직립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가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는 차량의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 카 비임을 포함한다. 세일 패널은 횡단 카 비임에 견고히 고정된다. 세일 패널은 트렁크 개구 둘레로 물의 흐름을 전향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도록 차량의 측벽에 일치되도록 적용되는 대칭 대향 플랜지를 포함한다. 세일 패널은 차량의 후방 프레임의 설치 동안 차량내에 후방 프레임을 배치하기 위해 차량상의 원추형 돌출부와 결합하는 원추형 오목부를 포함한다.
Figure 112005065467951-PCT00001
세일 패널, 후방 프레임, 트렁크 개구, 원추형 돌출부, 원추형 오목부

Description

차량 후방 카고 모듈{VEHICULAR REAR CARGO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 조립체에 연결되고, 차체상에 설치되기 이전에 예비조립되는 후방 카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강성 차체 구조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차체 구조체는 함께 용접된 복수의 미리형성된 구조 부재를 포함한다. 구조 부재는 강성 차체 구조체의 후방에 증가된 강성도 및 강도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차체 구조체는 후방 패키지 선반, 오디오 스피커, 좌석 조립체 등 같은 다른 구성요소의 설치 이전에 완성된다. 따라서, 현재의 제조 기술은 강성 차체 구조체의 모든 원하는 구성요소의 설치를 완료하기 위해 다수의 단계 및 작업을 수반한다.
따라서, 차량 제조를 단순화하고 그 비용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본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이런 단순화는 차체 구조체내의 구성요소 또는 부재의 수의 최소화 및 차체 구조체의 제조 단계의 수의 감축을 포함한다. 또한, 원하는 성능 특성을 유지하면서, 차량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트렁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직립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후방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는 차량의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 카 비임(car beam)을 포함한다. 세일 패널(sail panel)이 횡단 카 비임에 견고히 고정된다. 세일 패널은 트렁크 개구 둘레에서의 물의 흐름을 전향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측벽에 합치되도록 적응된 대칭 대향 플랜지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자동차 차체의 후면도이다.
도2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차체의 후면도이다.
도3은 후방 프레임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4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에 성형된 선반이 설치되어 있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5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의 세일 패널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6은 후방 프레임 조립체가 차량내에 탑재되는 조립 라인의 사시도이다.
도7은 후방 프레임 조립체가 차량내에 배치된 조립 라인의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자동차(5)의 측벽(2) 사이에서 연장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10)는 실질적인 관형, U-형상 횡단 카 비임(12)을 포함한다. 횡단 카 비임(12)은 실질적인 수평 횡단 부재 (14)를 포함하며, 이는 이격 배치된 직립 부재(16) 사이에서 연장한다. 각 직립 부재(16)는 수평 횡단 부재(14)와 원위 단부(18) 사이에서 연장한다. 브래킷(20)은 볼트, 클립 또는 용접 같은 적절한 부착 수단으로 좌석 등판 패널 또는 프레임(미도시)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횡단 부재(14)에 형성된다. 횡단 카 비임(12)은 액체성형(hydroform)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굴곡 또는 용접 같은 다른 적절한 금속 성형법에 의해, 또는 그와 연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횡단 카 비임(12) 특성은 개별 차량의 제원에 차량 동역학을 조율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변할 수 있다. 장착판(22)은 직립 부재(16)의 원위 단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각 장착판(22)은 볼트 등으로 차량(5)에 횡단 카 비임(12)을 부착하기 위한 개구(23)를 포함한다. 횡단 카 비임(12)은 차량(5)내의 횡단 카 부하를 관리하며, 차량의 구조체를 통한 전단력 흐름을 제공한다.
복수의 타이 바아(24)가 실질적으로 차량(5)의 후방으로 연장하며, 이는 도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타이 바아(24) 각각은 횡단 부재(14)에 견고히 고정된 전방 단부와 대향 후방 단부(28) 사이에서 연장한다. 세일 패널(30)은 복수의 타이 바아(24) 각각의 후방 단부(28)에 견고히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가 세일 패널(30)에 형성된다. 오목부(32)는 차량(5)으로부터 돌출하는 대응 원추 구조체(35)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개구(31)는 차량(5)에 대한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의 설치 동안 그를 통해 볼트(33)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부(32)의 중심에 형성된다. 오목부(32)는 원추 구조체(35)와의 정합 결합을 경유하여 차량으로의 설치 및 적절한 정렬을 돕는다. 부가적으로, 정합 원 추면은 오목부(32) 사이에 접촉하며, 원추 구조체(35)는 평면 정합면에 비해 보다 큰 형상부 둘레로 부하를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양태에서, 오목부(32) 및 원추 구조체(35)는 상술된, 볼트(33)와 연계하여 접착제 밀봉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접착제 밀봉제는 트렁크 개구(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한 물 배리어를 제공한다.
세일 패널(30)은 차량(5)의 측벽(2) 사이에서 연장하는 후방 에지(34)를 포함한다. 차량(5)의 후방 에지(34) 및 측벽(2)은 일반적으로 차량(5)내에 트렁크 개구(36)를 형성한다. 세일 패널(30)은 용접, 볼트결합 등에 의해 차량(5)의 각 측벽(2)에 형성된 채널 섹션(40)에 각각 고정된 대칭 대향 플랜지형 에지(38)를 포함한다. 각 채널 섹션(40)은 실질적인 S-형상 단면을 갖는다. 플랜지형 에지(38)는 채널 섹션(40)의 S-형 횡단면을 따르도록 적응된다. 플랜지형 에지(38) 및 각 채널 섹션(40)은 트렁크 개구(36) 둘레로 물의 흐름을 전향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앵커(42)가 횡단 부재(14)에 견고히 고정된다. 복수의 앵커(42) 각각은 본 기술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어린이 좌석띠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횡단 부재(14)로부터 외향 연장한다.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44)은 복수의 타이 바아(24) 각각에 힌지 결합된다.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44)은 트렁크 개구(36)에 관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동안 트렁크 덮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트렁크 덮개(미도시)에 견고히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프링(미도시)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트렁크 덮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와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44) 중 하나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트렁크 덮개의 이동 동안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44)의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타이 바아(24) 각각에 컷아웃부(48)가 형성된다.
볼트 등에 의해 선반(50)이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에 견고히 고정된다. 선반(50)은 세일 패널(30)의 후방 에지(34)와 횡단 부재(14) 사이에서 연장한다. 선반(50)은 종래의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50)은 오디오 스피커, 제어 모듈 및 배선 하니스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양태에서, 복수의 리브(52)가 선반(50)내에 형성되어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와 선반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한다.
도5,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후방 프레임 조립체(10)는 조립 라인상에서 로봇 아암(54)을 사용하여 들어올려져 차량(5)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반(50) 및 오디오 스피커와 배선 하니스 같은 다른 구성요소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상에 예비설치되며, 통합된 후방 카고 모듈로서 차량(5)내에 함께 설치된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의 차량 내로의 배치 동안, 차량(5)상의 원추 구조체(35)는 차량(5)에 관하여 후방 프레임 조립체(10)를 적절히 위치시키는 것을 돕도록 세일 패널(30)내의 오목부(32)와 정렬하여 그 내부로 연장한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10)가 차량내에 배치된 이후에, 볼트(33)가 세일 패널(30)의 각 개구를 통해 각 원추 구조체(35)에 형성된 대응 나사형 보어내로 설치되어 차량(5)에 세일 패널(30)을 고정한 다. 또한, 볼트가 장착판(22)내의 개구(23)를 통해 차량(5)내의 대응 나사형 보어내에 설치되어 횡단 카 비임(12)을 차량(5)에 유지한다. 차량에 대한 후방 프레임 조립체(10)의 부착은 차량에 부가적인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후방 프레임 조립체(10)가 차량(5)에 고정된 이후, 트렁크 덮개가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44)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며, 사용된 용어는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 및 변용이 상기 기술의 견지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6)

  1. 트렁크 개구를 형성하는 직립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후방 프레임 조립체이며,
    차량의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 카 비임과,
    횡단 카 비임에 견고히 고정된 세일 패널을 포함하고,
    세일 패널은 트렁크 개구 둘레로 물의 흐름을 전향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측벽에 일치되도록 적응된 대칭적인 대향 플랜지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 카 비임은 이격 배치된 직립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수평 횡단 부재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등받이 시트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수평 횡단 부재상에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직립 부재는 수평 횡단 부재에 견고히 고정된 제1 단부와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며,
    차량에 횡단 카 비임을 부착하기 위한 직립 부재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장착판을 더 포함하는 수평 후방 프레임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수평 횡단 부재에 고정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비한 복수의 타이 바아를 더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세일 패널은 복수의 타이 바아의 후방 단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세일 패널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차량에 대한 부착을 위해 세일 패널을 적절히 위치설정 및 정렬하기 위해 차량으로부터 돌출하는 대응 원추 구조체와 정합하도록 원추형으로 성형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고정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오목부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트렁크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지향시키기 위한 물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오목부와 원추 구조체 사이에 위치되는 접착제 밀봉제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1. 제2항에 있어서, 횡단 부재는 어린이 좌석띠의 부착을 위해 그 위에 형성된 복수의 앵커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2. 제5항에 있어서, 트렁크 개구에 대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동안 트렁크 덮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타이 바아 각각에 결합된 트렁크 덮개 지지 아암을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타이 바아는 트렁크 덮개지지 아암의 운동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컷아웃부를 더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4. 제2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해 세일 패널과 수평 횡단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선반을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선반은 선반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그 위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16. 트렁크 개구를 형성하는 직립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후방 프레임 조립체이며,
    차량의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 카 비임과,
    횡단 카 비임에 견고히 고정된 세일 패널을 포함하고,
    세일 패널은 트렁크 개구 둘레에서 물의 흐름을 전향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도록 차량의 측벽에 일치되도록 적응된 대칭적인 대향 플랜지를 포함하고, 차량에 대한 부착을 위해 세일 패널을 적절히 배치 및 정렬하도록 차량으로부터 돌출하는 대응 원추 구조체와 정합하기 위한 원추형 오목부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 조립체.
KR1020057021721A 2003-05-15 2004-05-17 차량 후방 카고 모듈 KR20060012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059603P 2003-05-15 2003-05-15
US60/470,596 2003-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003A true KR20060012003A (ko) 2006-02-06

Family

ID=3347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721A KR20060012003A (ko) 2003-05-15 2004-05-17 차량 후방 카고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8446B2 (ko)
EP (1) EP1626890B1 (ko)
KR (1) KR20060012003A (ko)
CN (1) CN100398380C (ko)
CA (1) CA2525747A1 (ko)
DE (1) DE602004023834D1 (ko)
WO (1) WO20041038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4076B1 (fr) * 2007-11-23 2009-12-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rtie structurell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gouttiere arriere
DE102010054685A1 (de) 2010-12-16 201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ckseitiges Kraftfahrzeug-Bodenmodul
DE102010054693A1 (de) * 2010-12-16 2012-06-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ckseitiges Kraftfahrzeug-Bodenmodul
JP5810677B2 (ja) * 2011-06-30 2015-11-11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US9010847B2 (en) * 2011-08-02 2015-04-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5689489B2 (ja) * 2013-03-01 2015-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101439145B1 (ko) * 2013-03-19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패키지트레이 구조
JP6136983B2 (ja) * 2014-02-27 2017-05-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EP3180232A4 (en) 2014-08-12 2018-04-11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FR3030433B1 (fr) * 2014-12-19 2017-02-10 Plastic Omnium Cie Tablett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en materiau composite
JP6881251B2 (ja) * 2017-11-21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N113371072B (zh) * 2021-07-02 2022-09-27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包裹架总成及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80891A (fr) 1907-03-26 1907-12-19 Standard Candy Machine Company Machine pour la confection de bonbons enveloppés de papier ou empapillotés
US3590936A (en) * 1969-07-25 1971-07-06 Budd Co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JPS6116175A (ja) * 1984-07-04 1986-01-24 Nissan Motor Co Ltd 車体構造
JPH0723108B2 (ja) * 1988-03-25 1995-03-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FR2642381B1 (fr) * 1989-01-31 1991-05-17 Peugeot Dispositif de cloisonnement pour la partie arriere de l'habitacle d'un vehicule
JP2798960B2 (ja) * 1989-03-31 1998-09-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H02145572U (ko) * 1989-05-15 1990-12-11
US5171054A (en) * 1991-12-23 1992-12-15 Davidson Textron Inc. Rear shelf module for motor vehicle
JPH0589164U (ja) * 1992-05-08 1993-12-03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5754664A (en) * 1993-09-09 1998-05-19 Prince Corporation Vehicle audio system
US5881458A (en) * 1995-12-14 1999-03-16 Dr. Ing. H.C.F. Porsche A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ody structure for a convertible
US5580121A (en) * 1995-12-19 1996-12-03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body rear support arrangement
KR20010023564A (ko) * 1997-09-03 2001-03-26 에이지마, 헨리 일체형 음향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패널
US6113180A (en) * 1997-09-25 2000-09-05 Chrysler Corporation Closed loop vehicle frame structure for laterally spaced suspension components
US6010181A (en) * 1997-12-16 2000-01-04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tructure for establishing desired body side panel alignment and proper body width
US6183030B1 (en) * 1998-06-23 2001-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rear structure for a modular vehicle body
DE19843024C2 (de) * 1998-09-19 2003-10-23 Daimler Chrysler Ag Aussteifung für eine selbsttragende Karosserie eines Kraftwagens
DE19843025C1 (de) * 1998-09-19 2000-04-20 Daimler Chrysler Ag Trennanordnung für eine selbsttragende Karosserie
JP2000177641A (ja) * 1998-12-16 2000-06-27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リヤシェルフ構造
EP1373021B1 (en) * 2001-03-26 2007-02-07 Magna International Inc Mid structural module
KR100428124B1 (ko) * 2001-07-07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개폐시스템 및 그 설계방법
JP4032702B2 (ja) 2001-10-31 2008-01-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TWI239918B (en) * 2003-03-20 2005-09-21 Mitsubishi Motors Corp Vehicle body structure of periphery of rear suspension
US6808228B1 (en) * 2003-07-31 2004-10-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Damper stiffener extension and box-beam parcel 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3834D1 (de) 2009-12-10
US20070138836A1 (en) 2007-06-21
CN100398380C (zh) 2008-07-02
CA2525747A1 (en) 2004-12-02
WO2004103803A2 (en) 2004-12-02
EP1626890B1 (en) 2009-10-28
CN1791529A (zh) 2006-06-21
EP1626890A2 (en) 2006-02-22
WO2004103803A3 (en) 2005-03-24
US7628446B2 (en)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3021B1 (en) Mid structural module
US9051952B2 (en) Support structure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body with a plastic insert
KR20060012003A (ko) 차량 후방 카고 모듈
CN109204510B (zh) 车身前部构造
US20140159430A1 (en) Motor vehicle with modular body
WO2008062763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JPH0463774A (ja) 車両の前部車体の組立方法
JP3553578B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の取付構造
CN113260531A (zh) 车辆行李箱盖
CN113022711A (zh) 衣帽架钣金总成、其组装方法和车辆
JP20051121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0177641A (ja) 自動車のリヤシェルフ構造
JP338130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JP3078388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JP4296823B2 (ja) 車両天井構造
JP2006021607A (ja) 車両用ロールバーの組み付け構造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548009Y2 (ja) 自動車のカウル部の構造
KR100435750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 구조
KR0118846Y1 (ko) 자동차의 후방 범퍼의 사이드 플레이트
JP2022067188A (ja) 車両後部構造
KR20230042805A (ko) 자동차용 멤버 조인트 장치
KR200239452Y1 (ko) 차량의센터서포트브라켓조립구조
CN117302361A (zh) 一种汽车前端模块、前机舱结构及汽车
KR20000010334A (ko) 리어 롱지튜디날 프레임의 리어 액슬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