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227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227A
KR20240050227A KR1020230000804A KR20230000804A KR20240050227A KR 20240050227 A KR20240050227 A KR 20240050227A KR 1020230000804 A KR1020230000804 A KR 1020230000804A KR 20230000804 A KR20230000804 A KR 20230000804A KR 20240050227 A KR20240050227 A KR 2024005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binding machine
fixing
machine charact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선
서상돈
Original Assignee
조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선 filed Critical 조남선
Publication of KR2024005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결속기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의 결속기는 고정심의 제거를 보조하는 분리바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파손이 빈번한 회동부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심이 문제가 있을 때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회동부 손상 시 이를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며 및 제품의 수명 주기가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속기{BINDER}
본 발명은 농업용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분리바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고, 롤러부를 교체할 수 있는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결속기는 끈, 테이프 등의 결속재를 이용하여 결속을 하는 장치로, 줄기를 올 곧게 성장시키도록 지주대와 결속을 하는데 활용된다. 농업용 결속기는 테이프와 고정심을 이용하여 줄기와 지주대를 결속할 수 있다. 결속기는 테이프를 줄기와 지주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고, 테이프를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에 고정심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줄기와 지주대를 고정한다.
결속기는 반복 동작 시, 고정심이 잘못 끼워지거나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리무버 또는 제거장치 등이 활용된다.
그러나 고정심의 문제는 반복적으로 발생되기는 하나, 랜덤적으로 발생되어 리무버 또는 제거장치 등이 랜덤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리무버 또는 제거장치를 항시 준비하기란 어려우며, 그러기에 이러한 장치들은 필요할 때 준비되지 않거나 또는 빈번하게 잃어버리기 십상이다.
또한, 결속기의 고질적인 문제는 반복 사용에 따른 힌지 부분의 고장이다.
결속기는 고정심이 위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이격되어 일측에서 고정프레임을 향하여 회동되며 움직이는 회동프레임의 반복적인 회동 동작을 통하여 동작되는데, 회동프레임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회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힌지 부분이 사용에 따라 닳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 힌지 부분이 파손되면 당연히 고정프레임과 회동프레임이 제대로 맞닿지 않게 되어 고정심이 테이프를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 힌지 부분을 교체하고자 하나, 이 힌지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결속기 자체를 변경하거나 또는 고정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0001)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 2002200340000" (등록일자 2001.01.31)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잘못 동작된 고정심을 제거할 수 있는 리무버를 상시 구비한 결속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힌지 연결 부분을 교체 가능하도록 결속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정심과 테이프가 위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되어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맞닿아 상기 테이프를 그립하며 상기 고정심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고정심이 상기 테이프에 끼워지도록 하는 회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면에 길이방향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리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일측이 폐쇄된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바는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배치홈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홈의 개방된 부분을 설정된 길이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폐쇄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은 측면에서 회동프레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회동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와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돌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설치홀에 인입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롤러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걸림바에 인입되고,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설치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는 고정부가 배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정심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바가 배치되어, 필요한 경우 분리바를 이용하여 고정심을 제거하고, 분리바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회동부인 걸림돌기가 메인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손 시 걸림돌기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하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걸림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걸림돌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하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걸림돌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결속기의 걸림돌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결속기는 줄기와 줄기를 가이드하는 바를 결속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결속기는 메인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200)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힌지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동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우측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좌측이 메인프레임(100)과 맞닿게 움직일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배치부(130) 및 실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부(130)는 고정심과 테이프의 일단부가 배치된 부근이다. 회동프레임(200)과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정렬되어 배치된 고정심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실장부(140)에 원형으로 권취된 테이프는 일단부가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00)의 단부인 배치부(130)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200)은 파지부(210)와 변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10)는 테이프를 파지하여 메인프레임(100)에 권취된 테이프 일부를 회동프레임(200)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210)는 회동프레임(200) 내 미도시된 스프링을 통하여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프레임(200)이 메인프레임(100)과 맞닿게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파지부(210)는 일측으로 이동되어 테이프를 파지하고, 회동프레임(200)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경우 파지된 테이프를 회동프레임(200)으로 끌고 올 수 있다.
작업자는 줄기에 바를 위치시키고, 회동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에 위치된 테이프를 줄기와 바에 감을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다시 회동프레임(200)을 메인프레임(1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변형부(220)가 동작되어 고정심이 테이프에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별히 지시번호로 지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에서 메인프레임(100)의 배치부(130)에 인접하여 커터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는 커터에 의하여 커팅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100)에 위치된 고정심의 상측에 회동프레임(200)의 변형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변형부(220)는 가이드홈(2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회동프레임(200)이 메인프레임(100)으로 강하게 이동되는 경우 고정심이 변형부(220)에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게 되고, 가이드홈(221)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며 고정심이 테이프를 감싸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는 고정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나, 메인프레임(100)에는 고정심을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고 있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고정심을 상측으로 밀 수 있는 플레이트가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결속기는 고정심과 관련된 부분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발생된다. 메인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200)이 지속적으로 맞닿는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 고정심이 배치부(130)에서 제대로 이탈되지 않아 배치부(130)에서 끼워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회동프레임(200)의 반복 동작에 따라 회동프레임(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회동부(300)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에 고정홈(150)이 형성되고, 해당 고정홈(150)에 분리바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분리바는 잘못 위치된 고정심을 제거할 수 있는 얇은 형상의 바일 수 있다. 고정심을 제거하는 분리바는 결속기에 쉽게 고정 및 이탈되어야 하되, 결속기의 움직임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것을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에 고정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50)은 분리바를 쉽게 결속 및 이탈 가능할 수 있다.
분리바는 길이부,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보다는 짧으나 긴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며, 절곡부는 길이부의 일측에서 길이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꺽이며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고정홈(150)은 분리바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바가 고정홈(150)이 위치되어 고정홈(150)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일면에는 고정블록(170)과 제1연장부(161), 제2연장부(162)를 포함하여 분리바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블록(170)은 메인프레임(100)의 일면에서 분리바의 길이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연통홈(171)이 형성된다. 고정블록(170)의 연통홈(171)은 고정홈(1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바의 길이부는 고정블록(170)의 연통홈(171)을 통하여 인입되며, 대부분이 고정홈(150)에 배치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블록(170)과 반대되는 위치에는 제1연장부(161), 제2연장부(162)가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제1연장부(161)와 제2연장부(162)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홈(150)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1연장부(161)와 제2연장부(162)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연장부(161)와 제2연장부(162) 사이에는 배치홈(16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홈(163)의 가로길이는 분리바의 절곡부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바의 절곡부는 제1연장부(161)와 제2연장부(162) 사이에 위치된 배치홈(163)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00)에는 고정프레임(180)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80)은 메인프레임(10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80)은 메인프레임(100)의 고정홈(15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고정프레임(180)은 메인프레임(100)을 감싸 고정홈(150)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바가 고정홈(150)에 배치되는 경우, 분리바의 일부 영역은 메인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80) 사이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분리바가 메인프레임(100)의 고정홈(150)에 고정되는 경우, 분리부의 일단부는 고정블록(170)의 연통홈(171)을 통하여 고정블록(170) 내에 위치되어 위치되가 고정되고, 일부 영역은 메인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80)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인 절곡부는 제1연장부(161)와 제2연장부(162) 사이에 형성된 배치홈(163)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바는 메인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분리바를 메인프레임(100)에서 분리하려는 경우, 분리바를 회전시켜 분리부의 절곡부를 배치홈(163)에서 이탈시킨 후 분리바를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분리바는 메인프레임(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200)의 회동부(300)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과 회동프레임(200)은 회동부(3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회동부(300)는 걸림돌기(310)와 슬라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110)은 고정심이 위치되고 배치부(130)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00)의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제2프레임(120)은 제1프레임(110)이 내측에 배치되며 외측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00)의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제2프레임(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동프레임(200)이 가압 시 도 1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회동프레임(200)의 가압 시 고정심이 회동프레임(200)의 변형부(220)와 맞닿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에는 설치홀(121)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에는 설치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121)에는 걸림돌기(310)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31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0)에 고정된 슬라이드부(320)와 결합되어 회동프레임(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310)는 회동프레임(200)이 동작 시 회동프레임(200)의 슬라이드부(3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여야 하므로, 슬라이드부(320)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돌기(31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바(311), 롤러부(312), 롤러지지부(313),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바(311)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헤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는 걸림바(311)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가 제외된 걸림바(311)의 다른 부분은 설치홀(121)에 인입될 수 있다.
걸림바(311)에는 롤러부(312)와 롤러지지부(313)이 위치될 수 있다.
롤러부(312)는 슬라이드부(320)와 맞닿아 회동프레임(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롤러부(312)는 걸림바(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부(312)는 확경부(312a)와 회전지지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확경부(312a)는 회전지지부(312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부(312b)는 걸림바(311)가 인입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지지부(313)는 롤러부(312)와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313)는 지지부(313a)와 회전연결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3a)는 회전연결부(313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회전연결부(313b)도 회전지지부(312b)와 마찬가지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회전연결부(313b)의 직경은 회전지지부(312b)의 중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지지부(313)는 걸림바(311)가 인입되고, 회전연결부(313b)가 롤러부(312)의 회전지지부(312b)의 중공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롤러지지부(313)의 지지부(313a)와 롤러부(312)의 확경부(312a) 사이에 슬라이드부(320)가 맞닿으며 배치되고, 회동프레임(200)의 동작에 따라 롤러부(312)가 회전되되, 확경부(312a)와 지지부(313a)에 의하여 롤러지지부(313)와 맞닿는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상호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부분을 통하여 걸림바(311)는 고정부(40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400)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사이의 설치홀(121)에 배치되고, 롤러하우징과 롤러부(312)가 인입되어 고정된 걸림바(311)의 헤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설치홀 내로 인입되어 고정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회동부(300), 특히나 걸림돌기(310)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310)가 손상된 경우 고정부(400)를 걸림바(311)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걸림바(311)에 롤러부(312), 롤러지지부(313)를 연결한 후 이를 다시 고정부(400)를 통하여 고정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걸림돌기(310)는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회동프레임
300 : 회동부
400 : 고정부

Claims (12)

  1. 고정심과 테이프가 위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되어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맞닿아 상기 테이프를 그립하며 상기 고정심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고정심이 상기 테이프에 끼워지도록 하는 회동프레임
    을 포함하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면에 길이방향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리바를 더 포함하는 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일측이 폐쇄된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는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2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배치홈에 배치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홈의 개방된 부분을 설정된 길이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폐쇄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은
    측면에서 회동프레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회동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위치되는 걸림돌기와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돌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설치홀에 인입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롤러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걸림바에 인입되고,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설치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는 고정부가 배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서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KR1020230000804A 2022-10-11 2023-01-03 결속기 KR20240050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710 2022-10-11
KR20220129710 2022-10-11
KR20220129709 2022-10-11
KR1020220129709 2022-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227A true KR20240050227A (ko) 2024-04-18

Family

ID=8448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804A KR20240050227A (ko) 2022-10-11 2023-01-03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2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4Y1 (ko) 2000-11-06 2001-04-16 김건식 결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4Y1 (ko) 2000-11-06 2001-04-16 김건식 결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3672B (zh) 光纤切割器
JP5696286B2 (ja) 綴じ機
JP4760439B2 (ja) 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のカール径調整機構
JP2008297643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替装置
KR20240050227A (ko) 결속기
JP5828718B2 (ja) 針板着脱機構および該針板着脱機構を備えたミシン
CN103061630A (zh) 铰链构造
KR101972557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JP6433188B2 (ja) ロック付き針板交換装置
JP5921209B2 (ja) さく孔機用ロッド脱着装置
US20040177738A1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JP7185438B2 (ja) 糸通し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2010082726A (ja) 丸鋸盤の安全カバー装置
JP2009014137A (ja) 携帯端末
JP2008072928A (ja) 結束機
CN103857271B (zh) 带端处理装置
JP6568404B2 (ja) ラベルプリンタ
KR20070020632A (ko) 건조 잎담배 반자동 결속장치
KR20040015072A (ko) 결속기
KR100567572B1 (ko) 프레임 연결장치
CN203449655U (zh) 一种折纸机
KR102035287B1 (ko) 파이프 커터
JP2008168831A (ja) ワイパアーム及び車両用ワイパ
JP3754694B2 (ja) パチンコ機用枠施錠装置
JP5859316B2 (ja) 円筒型カットアウトの蓋体取付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