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34Y1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34Y1
KR200220034Y1 KR2020000030975U KR20000030975U KR200220034Y1 KR 200220034 Y1 KR200220034 Y1 KR 200220034Y1 KR 2020000030975 U KR2020000030975 U KR 2020000030975U KR 20000030975 U KR20000030975 U KR 20000030975U KR 200220034 Y1 KR200220034 Y1 KR 20022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handle
roller
binding stra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김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식 filed Critical 김건식
Priority to KR2020000030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34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으로 가늘고 길이가 긴 호스 전선 등의 물체를 여러가닥 합쳐서 묶거나 또는 농업용으로 배추를 묶을 수 있도록한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손잡이(10)의 선단에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를 구성하여 개폐가 가능토록 하고 일측에는 작용손잡이(40)를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를 작용시키면 기어와 롤러 등의 작용으로 인해 결속끈(60)을 공급하여 물체를 한바퀴 감은 후 일정길이 당겨 조이도록 하였고 그 이후 결속끈(60)이 중첩된 부분을 스테플러로 집어준 후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60)의 공급과 결속끈(60)이 대상물을 감싸는 동작, 뒤로 당겨서 조이는 동작, 결속끈을 스테플침으로 체결하는 동작 및 절단 등의 동작이 자동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결속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이러한 장치는 배추를 출하하기전 묶어주는데 사용한다면 그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농사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Description

결속기{A banding machine}
본 고안은 가늘고 길이가 긴 물체를 여러가닥 합쳐서 묶거나 또는 끝이 벌어져 있는 물체를 단정하게 모아서 묶을 수 있도록한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길이가 긴 물체 또는 끝이 벌어져 있는 물체란 여러가지 예가 있을 수 있는데, 식물종류로서는 배추를 들 수가 있고, 산업용으로는 전선이나 호스, 파이프 등을 예로 들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물체를 묶어주어야 하는 이유는 배추의 경우 재배된 상태에서는 상단의 잎부분이 벌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출하를 하려면 상단의 조금 아래부분을 묶어주어야 하는 것이고, 산업기계류나 설비에 사용되는 전선, 호스, 파이프 등의 경우는 여러가닥을 묶어서 정리를 하게 되면 외관도 깔끔할 뿐 아니라 정비나 수리 등의 관리를 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배추를 묶는 경우는 짚이나 끈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매우 힘이 드는 작업일 수 밖에 없는 것이고, 그에 따라서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엄청난 인력과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산업기계류나 설비에 사용되는 전선이나 호스, 파이프의 경우에는 조임밴드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도 어차피 수작업으로 밴드를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힘이 들기는 마찬가지이고 결속해야할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시간과 인력의 소요가 실로 엄청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게와 같은 형태로 손으로 잡아 젖히기만 하면 묶음선의 공급과 조임, 고정 및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결속기를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작업에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에서 본 부분 측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손잡이 10':기어 11:진입구동롤러
11':진입피동롤러 12:기어 13:기어
14:후진구동롤러 15:핀 16:스프링
17:진입안내통로
20:고정가이드부 21:통로 22:가이드홈
30:개폐가이드 31:핀 32:연결돌부
40:작용손잡이 41:가이드돌부 42:핀
43:원호형래크 44:롤러가이드 45:걸림돌부
46:작용편 47:밀편
50:작용판 51:핀 52:누름롤러
53:판스프링 54:작용롤러 55:출몰핀
56:연결대 57:슬라이드핀 58:안내홈
59:작동구
60:결속선 61:권취롤 61':설치대
70:작동레바 70':핀 71,71':핀
72:연결대 74:받침롤러 75:걸림돌부
80:스테플침 81:공급통로 82:체결장치
83:경사면 85:스프링 86:칼날
본 고안의 결속기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정손잡이(10)를 구성하고 그 선단에는 원형의 절반정도로 된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를 구성하되 고정가이드부(20)는 고정손잡이(10)와 연결되는 부분이 일측길이가 길고 타측은 짧게 구성한 것이다.
고정가이드부(20)가 이루지 못한 나머지의 원형을 이루는 개폐가이드(30)를 구성하여 고정가이드부(20)와 맞닿으면 완전한 원형을 이루도록 하되 고정가이드부(20)의 짧은 쪽 끝단에서 핀(31)으로 연결하면서 연결돌부(32)를 구성하여 연결돌부(32)의 작용에 의해 개폐가 가능토록 하였고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의 내면에는 결속끈(60)이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21)를 구성하였다.
고정가이드부(20)의 외주면 상하부에는 가이드홈(22)을 구성하고 여기에 작용손잡이(40)를 결합하는데 작용손잡이(40)에 가이드돌부(41)를 돌설하여 가이드홈(22)에 삽입되면서 작용손잡이(40)가 원호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는 결속선(60)이 감긴 권취롤(61)을 설치토록 설치대(61')를 구성하고 이러한 결속선(60)을 공급하는 구성을 구비하는데,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서로 맞물리는 크기가 크고작은 진입구동롤러(11)와 진입피동롤러(11')를 구성한 후 일측의 진입구동롤러(11)에는 기어(12)를 동시에 구성하며, 여기로부터 고정가이드부(20)의 통로(21)와 연결되는 진입안내통로(17)를 구성하였다.
상기의 기어(12)를 회전시키도록 작용손잡이(40)에 핀(42)으로 유설된 원호형래크(43)를 구성하되 원호형래크(43)는 높이가 2단이면서 역시 2단의 롤러가이드(44)가 구성되었다.
또한 진입구동롤러(11)와 동축에 기어(10')를 구성하여 원호형래크(43)와 맞물리도록 하고 따라서 작용손잡이(40)를 작용시키면 원호형래크(43)가 기어(10')를 회전시켜 기어(12) 및 진입구동롤러(11)가 회전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진입구동롤러(11) 및 진입피동롤러(11')의 작용에 의해 결속선(60)이 고정가이드부(20)의 중심으로 공급되도록 한 후 상기한 통로(21)를 타고 한바퀴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가이드부(20)가 연결되는 쪽의 고정손잡이(10)에는 결속선(60)을 일정길이 밀어 넣은 후 끝을 눌러준 상태에서 다시 일정거리를 후진시켜 조여줄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의 일측 진입구동롤러(11)를 고정손잡이(10)에 핀(51)으로 설치된 작용판(50)에 설치를 하고 기어(12)와 맞물리는 또 다른 기어(13)를 구성한 후 상기 기어(13)와 동시에 설치되는 후진구동롤러(14)를 설치하였다.
결속할 대상물의 직경이 작으면 결속끈(60)을 조여주어야 하는데 상기 후진구동롤러(14)에 맞닿는 후진피동롤러(15)를 진입안내통로(17)옆의 고정손잡이(10)에 설치를 하되 후진피동롤러(15)는 스프링(16)으로 탄지시켜 스프링(16)의 힘으로 후진구동롤러(16) 쪽으로 탄성이 가해지도록 하였다.
작용판(50)의 다른쪽 선단 부분의 고정손잡이(10)에는 누름롤러(52)를 설치하고 그 앞에는 판스프링(53)을 설치함으로써 작용판(50)의 다른쪽 선단이 작용롤러(54)를 밀면 작용롤러(54)가 다시 판스프링(53)을 밀어 판스프링(53)의 선단이 통로(21)를 지나는 결속끈(60)의 후단부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작용판(50)의 다른쪽에는 상기한 바 있는 롤러가이드(44)를 타도록 작용롤러(54)를 설치하는데 원호형래크(43)가 작용을 하여 기어(10') 및 진입구동롤러(11)를 회전시킬 때 작용롤러(54)도 롤러가이드(44)를 타다가 롤러가이드(44)의 돌출된 부분에 다다르면 작용판(50)이 밀리면서 상기한 판스프링(53)을 누르는 동작이 일어나도록 한 것이며, 또한 후진구동롤러(14)와 후진피동롤러(15)도 이격이되어 있다가 작용판(50)의 작용으로 밀착이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개폐가이드(30)를 작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는데,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작동레바(70)를 핀(70')으로 고정시키되 작동레바(70)의 끝을 핀(31)근처까지 연장시킨 후 끝단에 두개의 핀(71)(71')을 설치하고, 그 중 일측의 핀(71')에 연결돌부(32)와 연결한 연결대(72)를 연결함으로써 작동레바(70)의 작용에 의해서 개폐가이드(30)가 개폐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작동레바(70)에는 받침롤러(74)를 설치하여 개폐가이드(30)가 닫긴 상태에서는 받침롤러(74)가 원호형래크(43)의 뒷면을 받쳐주도록 하였으며, 작동레바(70)와 작용손잡이(43)의 후단에는 걸림돌부(75)(45)를 각각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작용을 완료하면 걸림돌부(75)(45)가 서로 걸리도록 하였다.
결속끈(60)이 통로(21)로 진입을 하는 위치에는 결속끈(60)을 묶어주는 스테플러 장치를 구성하는데 고정손잡이(10)의 일측으로부터 스테플침(80)을 공급하는 공급통로(81)를 구성하며, 하단에는 스테플침(80)을 강제로 밀어넣어 결속끈(60)을 집어주도록 하는 체결장치(82)를 구성하되 하단에 경사면(83)을 구성한 후 작용손잡이(40)의 하단에 상기 경사면(83)과 마찰되면서 체결장치(82)를 끌어내려 스테플침(80)이 결속끈(60)에 체결되도록 하는 작용편(46)을 구성하였다.
또한 진입안내통로(17)의 끝단부에 근접하여 결속끈(60)을 절단하는 장치를 구성하는데, 스프링(85)에 탄지되는 칼날(86)을 구성한 후 작용손잡이(40)에 칼날을 밀 수 있는 밀편(47)을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고정손잡이(10) 쪽으로 이동을 하면 스테플러가 체결됨과 동시에 칼날(86)을 밀어 결속끈(60)이 절단되도록 구성하였다.
스테플러를 작용하는 체결장치(82) 옆의 결속끈(60) 바깥쪽에는 두개의 출몰핀(55)을 설치한 후 하단에 슬라이드핀(57)을 구성하고 승강핀(57)이 경사진 안내홈(58)을 가진 작동구(59)에 연결이 되도록 하며, 작동구(59)를 작동레바(70) 끝의 핀(71)과 연결대(56)로 연결을 함으로써 작동레바(70)가 작용을 하면 연결대(56)가 작동구(59)를 당기고 슬라이드핀(57)이 안내홈(58)을 타면서 출몰핀(55)이 돌출되도록 하고, 이러한 작용이 결속끈(60)을 후진시 결속끈(60)의 스테플을 체결할 부분까지 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67은 작용판 복귀용 스프링, 76은 작동레바 복귀용 스프링, 77은 결속끈 진입용 롤러, 87은 스테플침이 체결될 때 끝을 절곡시키기 위한 받침판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본 고안의 결속장치가 도 1과 같은 상태인데, 작동레바(70)가 고정손잡이(10)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개폐가이드(30)가 고정가이드부(20)로부터 벌어진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작용손잡이(40)는 멀리 이격된 상태이다. 또한 원호형래크(43)는 기어(10')로부터 이격이 되어 있고 결속끈(60)은 밀착된 진입구동롤러(11)와 진입피동롤러(11') 사이를 통과하여 선단이 절단부의 칼날(86)까지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하는데, 먼저 결속할 대상물을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사이로 진입을 시킨 다음 작동레바(70)를 고정손잡이(10) 쪽으로 밀착을 시킨다. 따라서 개폐가이드(30)가 닫기면서 고정가이드부(20)와 함께 원형을 이루면서 결속할 대상물을 감싸게 되며, 이로써 원호형래크(43)가 기어(10')와 맞물리게 되고 결속할 준비가 완료된다.
작용손잡이(40)를 고정손잡이(10) 쪽으로 젖히게 되면 원호형래크(43)에 의해 기어(10')가 회전을 하고 따라서 진입구동롤러(11)와 기어(12)가 회전을 하므로 진입구동롤러(11)와 진입피동롤러(11')사이의 결속끈(60)이 진입안내통로(17)를 통해 통로(21)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이다.
결속끈(60)이 통로(21)를 한바퀴 돌아서 진입위치보다 조금 지나는 정도가 되면 작용롤러(54)가 원호형래크(43)의 탄차진 부분(돌출된 부분)을 타게 되는데, 이로써 작용판(50)이 핀(51)을 중심으로 작용을 하여 진입구동롤러(11)와 진입피동롤러(11')는 이격을 시키고 반대로 후진구동롤러(14)와 후진피동롤러(15)를 맞물리게 하여 결속끈(60)을 후진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기어(12)와 기어(13)가 맞물려 반대로 회전을 하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작용판(50)의 선단이 누름롤러(52)를 눌러 판스프링(53)이 결속끈(60)의 끝단부를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후진구동롤러(14)와 후진피동롤러(15)가 끈을 당겨 후진시킴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결속끈(60)이 조여지는 것이고 더 이상 조여지지 못하면 후진피동롤러(15)는 스프링(16)에 탄지된 상태이므로 겉돌게 된다.
상기한 후진 작용에서 결속끈(60)의 스테플침(80)으로 체결할 부분이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가 이루는 원형의 내부쪽으로 딸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데, 작동레바(70)를 젖힐 때 끝단의 연결대(56)를 당기게 되고 따라서 작동구(59)가 이동을 하면 안내홈(58)에 의해 슬라이드핀(57)이 이동을 하여 출몰핀(55)이 돌출되므로 결속끈(60)의 이탈을 막아주는 것이다.
작용손잡이(40)가 고정손잡이(10)에 거의 근접이 되는 시점에서 스테플작업과 절단이 이루어지는데, 작용손잡이(40)의 작용편(46)이 경사면(83)을 눌러 체결장치(82)를 끌어내리고 따라서 스테플침(80)이 결속끈(60)의 겹쳐진 부분에 체결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칼날(86)이 밀편(47)에 의해 전진을 하면서 결속끈(60)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돌부(45)(75)가 결합이 이루어져 작동레바(70)를 놓기 전에 작용손잡이(40)를 후진시키는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결속이 끝나게 되고 이후 원복을 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동레바(70)를 원복을 시키면 걸림돌부(45)(75)가 해제되어 작용손잡이(40)가 원복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고, 동시에 연결대(72)와 연결돌부(32)에 의해 개폐가이드(30)가 처음과 같이 벌어지게 되므로 본 고안의 결속기를 대상물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받침롤러(74)가 원호형래크(43)로부터 이격이 되어 원호형래크(43)가 기어(10')로부터 이격이되므로 작용손잡이(40)가 후진을 할 때 기어(10') 및 진입구동롤러(11) 등은 회전을 하지 않는다.
또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후진구동롤러(14)가 후진피동롤러(15)와 이격이 되고 작용판(50)이 누름롤러(52)를 누르던 힘도 제거가 되므로 판스프링(53)도 원복을 한다.
또한 스테플 체결장치(82)도 원복을 하고 칼날도 원복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용을 반복을 하여 결속작업을 연속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끈(60)의 공급과 결속끈(60)이 대상물을 감싸는 동작, 뒤로 당겨서 조이는 동작, 결속끈을 스테플침으로 체결하는 동작 및 절단 등의 동작이 자동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결속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이러한 장치는 배추를 출하하기전 묶어주는데 사용한다면 그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농사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Claims (5)

  1.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손잡이(10)와;
    상기 고정손잡이(10)의 선단에 구성되고 일측길이가 좀더 길고 타측은 짧게 하면서 원형의 절반 정도로 된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와;
    고정가이드부(20)의 짧은 쪽 끝단에 핀(31)으로 연결되고 고정가이드부(20)가 이루지 못한 나머지의 원형을 이루는 개폐가이드(30)와;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의 내면에 구성하는 통로(21)와;
    고정가이드부(20)에 결합되어 원호형으로 작용하는 작용손잡이(40)와;
    작용손잡이(40)에 핀(42)으로 유설되어 기어(10')를 작용시키는 원호형래크(43)와;
    고정손잡이(10)에 구성되어 권취롤(61)을 설치하는 설치대(61')와;
    고정손잡이(10)에 핀(51)으로 설치되어 작용롤러(54)와 원호형래크(43)에 의해 작용하는 작용판(50)과;
    작용판(50)에 설치되어 원호형래크(43)와 맞물리는 기어(10') 및 이와 동축에 형성되는 기어(12)와 진입구동롤러(11)와;
    진입구동롤러(11)와 맞닿도록 고정손잡이(10)에 설치되는 진입피동롤러(11')와;
    작동레바(70)에 설치되어 원호형래크(43)를 받쳐주는 받침롤러(74)와;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핀(70)으로 설치되어 선단에 연결대(72)를 연결하여 개폐가이드(30)를 작용토록 하는 작동레바(70)와;
    결속끈(60)이 통로(21)로 진입을 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스테플침(80)을 공급하는 공급통로(81) 및 스테플침(80)을 강제로 밀어넣어 결속끈(60)을 집어주도록 하는 체결장치(82)와;
    진입안내통로(17)의 끝단부에 근접하여 결속끈(60)을 절단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결속끈(60)을 묶어주는 장치로서 결속끈(60)이 통로(21)로 진입을 하는 위치에 고정손잡이(10)의 일측으로부터 스테플침(80)을 공급하는 공급통로(81)를 구성하며, 하단에는 스테플침(80)을 강제로 밀어넣어 결속끈(60)을 집어주도록 하는 체결장치(82)를 구성하되 일측에 경사면(83)을 구성한 후, 작용손잡이(40)의 하단에 상기 경사면(83)과 마찰되면서 체결장치(82)를 끌어내려 스테플침(80)이 결속끈(60)에 체결되도록 하는 작용편(46)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진입안내통로(17)의 끝단부에 근접하여 결속끈(60)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스프링(85)에 탄지되는 칼날(86)을 구성한 후 작용손잡이(40)에 칼날을 밀 수 있는 밀편(47)을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고정손잡이(10) 쪽으로 이동을 하면 칼날(86)을 밀어 결속끈(60)이 절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조임 및 절단작용시 결속끈(60)의 후단을 눌러주기 위한 구성으로, 작용판(50)의 다른쪽 선단 부분의 고정손잡이(10)에는 누름롤러(52)를 설치하고 그 앞에는 판스프링(53)을 설치함으로써 작용판(50)의 다른쪽 선단이 누름롤러(52)를 밀면 누름롤러(52)가 다시 판스프링(53)을 밀어 판스프링(53)의 선단이 통로(21)를 지나는 결속끈(60)의 후단을 누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대상물의 직경이 작을 경우 결속끈(60)을 조여주기 위한 구성으로, 작용판(50)에 상기 기어(12)와 맞물리는 기어(13) 및 이와 동축에 형성되는 후진구동롤러(14)를 설치하고 후진구동롤러(14)와 맞닿으면서 스프링(16)에 탄지된 후진피동롤러(15)를 진입안내 통로(17)옆의 고정손잡이(10)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KR2020000030975U 2000-11-06 2000-11-06 결속기 KR200220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5U KR200220034Y1 (ko) 2000-11-06 2000-11-06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5U KR200220034Y1 (ko) 2000-11-06 2000-11-06 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34Y1 true KR200220034Y1 (ko) 2001-04-16

Family

ID=7308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75U KR200220034Y1 (ko) 2000-11-06 2000-11-06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0B1 (ko) 2014-06-11 2014-10-23 정우용 포장밴드 결속기
KR20210003445A (ko) * 2019-07-02 2021-01-12 신현택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KR20240050227A (ko) 2022-10-11 2024-04-18 조남선 결속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70B1 (ko) 2014-06-11 2014-10-23 정우용 포장밴드 결속기
KR20210003445A (ko) * 2019-07-02 2021-01-12 신현택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KR102261030B1 (ko) * 2019-07-02 2021-06-03 신현택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KR20240050227A (ko) 2022-10-11 2024-04-18 조남선 결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3114B2 (ja) 自動結束装置と結束用タイ
AU2016294894B2 (en) Binding machine
JP3393684B2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US4495972A (en) Automatic tie gun
JPS5832089B2 (ja) ケツソクヨウノタバネケ−ブルシユウノウカ−トリツジ
EP3752425B1 (en) Portable cable tie tool
CA1154666A (en) Automatic tie gun
JPH07257511A (ja) 自動結束機
JP4667075B2 (ja) 結束引締め具
KR200220034Y1 (ko) 결속기
JP3748504B2 (ja) 結束装置
JPH08175507A (ja) 古梢用結束機
RU2603510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вязки проволокой
KR200217260Y1 (ko) 결속기
RU2799425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JP2003020005A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JP2009153418A (ja) 園芸用結束機
JP4677253B2 (ja) 結束引締め具
GB2072614A (en) A gun for applying ties around bundles
JP2797947B2 (ja) 結束機
JP4695897B2 (ja) 結束引締め具
JP2938610B2 (ja) 緊結装置
JP3346880B2 (ja) 結束装置
RU2781589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DE69827743T2 (de) Verbessertes mit ultraschall arbeitendes bindewerk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