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260Y1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7260Y1 KR200217260Y1 KR2020000027513U KR20000027513U KR200217260Y1 KR 200217260 Y1 KR200217260 Y1 KR 200217260Y1 KR 2020000027513 U KR2020000027513 U KR 2020000027513U KR 20000027513 U KR20000027513 U KR 20000027513U KR 200217260 Y1 KR200217260 Y1 KR 2002172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arc
- handle
- fixed
- gea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사와 같은 형태의 결속선을 이용하여 가늘고 길이가 긴 물체를 여러가닥 합쳐서 묶어줄 수 있도록 한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집게와 같은 형태로 손으로 잡아 젖히기만 하면 묶음선의 공급과 결속 및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결속기를 제공함으로써 결속작업에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에 고정손잡이(10)와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를 구성하고 그 일측에 핀(31)으로 연결되는 개폐가이드(30)를 구성하며, 내면에는 통로(21)를 구성하였다.
고정가이드부(20)에 결합되어 원호형으로 작용하는 작용손잡이(40)를 구성한 후 기어(12)를 작용시키는 원호형래크(43)와 래크 (44)를 구성하며, 고정가이드부(20)에는 '+'자 형의 결속홈(51)을, 후단에는 기어(52)를 구성한 결속축(50)과 칼날(53)을 구성하고 권취롤(61)을 거치하는 거치대(13)와 공급롤러(11)(11')를 구성하였다.
또한 작용판(70)을 구성한 후 여기에 받침롤러(74)를 설치하면서 개폐가이드와 연결대로 연결을 하고,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는 작용판(70)을 밀어주는 작동레바(14)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선(60)의 공급과 결속선(60)이 대상물을 감싸는 것, 절단 및 꼬임에 의한 결속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결속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사와 같은 형태의 결속선을 이용하여 가늘고 길이가 긴 물체를 여러가닥 합쳐서 묶어줄 수 있도록 한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길이가 긴 물체란 예를 들면 식물, 그 중에서도 특히 벼가 있을 수 있고, 전선이나 호스, 비교적 직경이 작은 파이프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물체를 묶어주어야 하는 이유는 벼의 경우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묶어서 세워주지 않으면 발아를 하여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 산업기계류나 설비에 사용되는 전선, 호스, 파이프 등의 경우는 여러가닥을 묶어서 정리를 하게 되면 외관도 깔끔할 뿐 아니라 점검이나 수리 등의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벼를 묶는 경우 짚이나 끈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매우 힘이 드는 작업일 수 밖에 없는 것이고, 그에 따라서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태풍이 불어 벼가 넘어지면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이를 묶어 세우는데 엄청난 노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산업기계류나 설비에 사용되는 전선이나 호스, 파이프의 경우에는 조임밴드를 사용하여 묶어주고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도 어차피 수작업으로 밴드를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힘이 들기는 마찬가지이고, 결속해야할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시간과 인력의 소요가 실로 엄청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게와 같은 형태로 손으로 잡아 젖히기만 하면 묶음선의 공급과 결속 및 절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결속기를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작업에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최초의 준비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작업중인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손잡이 11,11':공급롤러 12:기어
13:거치대 14:작동레바 15:핀
16:스프링
20:고정가이드부 21:통로 22:가이드홈
30:개폐가이드 31:핀 32:연결돌부
40:작용손잡이 41:가이드돌부 42:핀
43:원호형래크 44:래크 45:걸림돌부
50:결속축 51:결속홈 52:기어
53:칼날 54:각부 55:스프링
56:볼
60:결속선 61:권취롤
70:작용판 71:핀 72:기어받침부
73:연결대 74:받침롤러 75:걸림돌부
본 고안의 결속기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정손잡이(10)를 구성하고 그 선단의 조금 치우친 위치에는 원형의 절반이 조금 넘는 정도로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를 구성하되, 고정가이드부(20)는 고정손잡이(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일측길이가 좀더 길고 타측은 짧게 구성한 것이다.
고정가이드부(20)가 이루지 못한 나머지의 원형을 이루는 개폐가이드(30)를 구성하여 고정가이드부(20)와 맞닿으면 완전한 원형을 이루도록 하되, 고정가이드부(20)의 짧은 쪽 끝단에서 핀(31)으로 연결을 하여 개폐가 가능토록 하였고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의 내면에는 결속선(60)이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21)을 구성하였다.
고정가이드부(20)에는 원호형의 가이드홈(22)을 구성하고 여기에 작용손잡이(40)를 결합하는데, 작용손잡이(40)에 가이드돌부(41)를 돌설하여 가이드홈(22)에 삽입되면서 작용손잡이(40)가 원호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는 결속선(60)이 감긴 권취롤(61)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3)를 구성한 후 이러한 결속선(60)을 공급하는 구성을 구비하는데, 고정손잡이(10)의 거치대(13) 옆에 서로 맞물리는 공급롤러(11)(11')를 구성하고 일측의 공급롤러(11)에는 기어(12)를 동시에 구성하며, 이러한 기어(12)를 회전시키도록 작용손잡이(40)에 핀(42)으로 유설된 원호형래크(43)를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를 작용시키면 원호형래크(43)가 기어(12)를 회전시켜 공급롤러(11)가 회전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공급롤러(11)(11')의 작용에 의해 결속선(60)이 고정가이드부(20)의 중심으로 공급되도록 한 후 상기한 통로(21)를 타고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내부를 한바퀴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가이드부(20)가 고정손잡이(10)와 연결되는 중심부에는 결속선(60)을 꼬아서 묶을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결속축(50)을 결합하되 결속축(50)의 선단에는 '+'자 형의 결속홈(51)을 형성하여 결속선(60)의 선단이 최초로 진입시 결속홈(51)을 통과하고 통로(21)를 한바퀴 이동한 후 다시 그 결속홈(51)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며, 결속축(50)의 후단에는 기어(52)를 구성한 후 작용손잡이(40)에 상기 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래크(44)를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작동을 하여 고정손잡이(10)에 근접하는 시점에 이르면 기어(52)와 래크(44)가 맞물려 결속축(50)이 회전을 하는 것이다.
결속선(60)이 결속홈(51)으로 진입하는 위치에는 칼날(53)을 고정시켜 둠으로써 결속홈(51)에 결속선(60)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결속축(50)이 회전을 하면 저절로 결속선(60)이 절단되도록 하였다.
또한 결속축(50)의 일부분을 4각으로 구성한 각부(54)를 구성한 후 그 옆에 스프링(55)에 탄지되는 볼(56)을 밀착시켜 결속축(50)이 회전을 중지할 시 결속홈(51)이 일정한 위치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개폐가이드(30)를 작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는데,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작용판(70)을 핀(71)으로 고정시키되 작용판(7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기어(52)의 아래를 받치는 기어받침부(72)를 구성하여 작용판(70)의 작용에 따라서 기어(52)의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 장소를 벗어나도록 하였다.
개폐가이드(30)의 핀(31)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연결돌부(32)를 형성 한 후 작용판(70)과 연결대(73)로 연결하여 작용판(70)의 작용에 의해 개폐가이드(30)가 개폐를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작용판(70)에는 받침롤러(74)를 설치하여 개폐가이드(30)가 닫긴 상태에서는 받침롤러(74)가 원호형래크(43)의 뒷면을 받쳐주도록 하였으며, 작용판(70)과 원호형래크(43)의 후단에는 걸림돌부(75)(45)를 각각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작용을 완료하면 걸림돌부(75)(45)가 걸리도록 하였다.
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는 작동레바(14)를 핀(15)으로 설치하여 작동레바(14)의 선단이 작용판(70)을 밀어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레바(14)를 고정손잡이(10)에 밀착시키면 개폐가이드(30)가 닫히도록 하며, 고정손잡이(10)와 작동레바(14) 사이에 스프링(16)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초의 준비상태를 보면 도 1과 같이 결속선(60)이 다량 감겨진 권취롤(61)을 거치대(13)에 걸어두고 결속선(60)의 선단이 공급롤러(11)(11')를 통과하여 결속축(50)에 근접한 상태가 되게 하고 작용손잡이(40)는 고정손잡이(10)와 90도 각도로 벌려둔 상태이며, 작동레바(14)는 고정손잡이(1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작용판(70)이 후진을 한 상태이므로 개폐가이드(30)는 고정가이드부(20)로부터 개방된 상태이고 기어받침부(72)는 결속축(50)의 기어(52) 아래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며 받침롤러(74)는 원호형래크(43)를 밀지 않으므로 원호형래크(43)는 기어(12)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묶을 대상을 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사이로 위치시키고 작용을 시작하는데, 먼저 작동레바(14)와 고정손잡이(10)를 동시에 손으로 잡아주면 도 2와 같이 작동레바(14)의 선단이 작용판(70)을 밀게되는 것이고, 따라서 작용판(70)의 기어받침부(72)는 결속축(50)의 기어(52) 아래에 위치하고 연결대(73)가 개폐가이드(30)를 밀어 닫으면서 원형이 이루어지며, 받침롤러(74)는 원호형래크(43)를 밀어 기어(12)와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작용손잡이(40)를 고정손잡이(10) 쪽으로 작용시킴으로서 결속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먼저 원호형래크(43)가 기어를 회전시켜 공급롤러(11)(11')가 결속선(60)을 밀어 넣고 결속선(60)은 결속축(50)의 결속홈(51)을 통과한 후 고정가이드부(20)가 개폐가이드(70)에 형성된 통로(21)를 타고 원형을 이루면서 들어온다.
결속선(60)이 통로(21)를 한바퀴를 돌아 선단이 다시 결속홈(51)을 어느정도 지나치면 원호형래크(43)의 이빨이 형성된 부분이 기어(12)를 지나므로 공급롤러(11)(11')의 작용은 중지가 되고 다른 래크(44)가 결속축(50)의 기어(52)와 맞물리면서 결속축(5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래크(44)는 아래로 약간 쳐져 있다가 작용판(70)의 기어받침부(72)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기어(52)와 맞물린다.
결속축(50)이 결속선(60)을 물고 회전을 시작하면 그 옆에 밀착된 칼날(53)에 의해 결속선(60)의 후단이 저절로 절단이 되고 곧바로 결속선(60)을 잡고 회전을 하므로 결속선(60)이 꼬여지는 것이며, 회전을 완료한 후에는 스프링(55)에 탄지된 볼(56)과 각부(54)에 의해 결속홈(51)이 처음과 같은 위치에서 회전을 멈춘다.
작용손잡이(40)의 작용이 완료됨과 동시에 걸림돌부(75)(45)가 걸려 작용손잡이(40)가 후진을 할 수 없도록 되는데, 그 이유는 혹시 이러한 상태에서 실수로 작용손잡이(40)를 후진하게되면 결속축(50)이 역회전을 하여 꼬여있던 결속선(60)이 풀리고 대기중인 결속선(60)이 후진을 하여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결속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먼저 작동레바(14)를 놓아주어야 하는데 힘을 풀면 스프링(16)의 힘으로 벌어지면서 작용판(70)을 밀고있던 힘이 제거되며, 따라서 작용판(70)이 작동레바(14)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작용판(70)이 작용을 하면 먼저 걸림돌부(75)(45)가 해제되어 원호형래크(43)가 후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고 받침롤러(74)가 후진을 하여 원호형래크(43)가 기어(12)와 이격이 되며, 작용판(70)이 연결대(73)를 당겨 개폐가이드(30)가 개방되도록 하고 또한 기어받침부(72)가 이동을 하여 래크(44)를 받쳐주던 힘을 제거하므로 래크(44)가 기어(5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그 후 본 고안의 결속장치를 결속되어 있는 대상물로부터 제거시킨 후 작용손잡이(40)를 처음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작용손잡이(40)의 작용은 가이드돌부(41)가 가이드홈(22)을 타면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순서로 한번의 결속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선(60)의 공급과 결속선(60)이 대상물을 감싸는 것, 절단 및 꼬임에 의한 결속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결속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이러한 장치를 벼를 세워 묶는데 사용한다면 벼의 쓰러짐에 의한 곡식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농사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Claims (4)
-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손잡이(10)와;상기 고정손잡이(10)의 선단에 구성되고 일측길이가 좀더 길고 타측은 짧게 하면서 원형의 절반이 조금 넘는 정도로 구성하는 원호형의 고정가이드부(20)와;고정가이드부(20)의 짧은 쪽 끝단에 핀(31)으로 연결되고 고정가이드부(20)가 이루지 못한 나머지의 원형을 이루는 개폐가이드(30)와;고정가이드부(20)와 개폐가이드(30)의 내면에 구성하는 통로(21)와;고정가이드부(20)에 결합되어 원호형으로 작용하는 작용손잡이(40)와;고정손잡이(10)에 구성되어 권취롤(61)을 거치하는 거치대(13)와;고정손잡이(10)의 거치대(13) 옆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한쪽에는 기어(12)가 형성되는 공급롤러(11)(11')와;작용손잡이(40)에 핀(42)으로 유설되어 기어(12)를 작용시키는 원호형래크(43)와;고정가이드부(20)가 고정손잡이(10)와 연결되는 중심부에 설치되고 선단에는 '+'자 형의 결속홈(51)을, 후단에는 기어(52)를 구성한 결속축(50)과;상기 기어(52)를 회전시키도록 작용손잡이(40)에 설치되는 래크(44)와;결속선(60)이 결속홈(51)으로 진입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칼날(53)과;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핀(71)으로 설치되면서 기어받침부(72)가 구성되고 연결대(73)로 개폐가이드(30)와 연결되는 작용판(70)과;작용판(70)에 설치되어 원호형래크(43)의 뒷면을 받쳐주는 받침롤러(74)와;고정손잡이(10)의 일측에 핀(15)으로 설치되어 선단이 작용판(70)을 밀어주도록한 작동레바(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 제 1항에 있어서,결속축(50)의 일부분에 4각으로 구성한 각부(54)를 구성하고 그 옆에 스프링(55)에 탄지되는 볼(56)을 밀착시켜 결속축(50)이 회전을 중지할 시 결속홈(51)이 일정한 위치에서 중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 제 1항에 있어서,작용판(70)과 원호형래크(43)의 후단에는 걸림돌부(75)(45)를 각각 구성하여 작용손잡이(40)가 작용을 완료하면 걸림돌부(75)(45)가 걸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 제 1항에 있어서,고정가이드부(20)에는 원호형의 가이드홈(22)을 구성하고 작용손잡이(40)에 가이드돌부(41)를 돌설하여 가이드홈(22)에 삽입되면서 작용손잡이(40)가 원호형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7513U KR200217260Y1 (ko) | 2000-10-02 | 2000-10-02 | 결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7513U KR200217260Y1 (ko) | 2000-10-02 | 2000-10-02 | 결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7260Y1 true KR200217260Y1 (ko) | 2001-03-15 |
Family
ID=7305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7513U KR200217260Y1 (ko) | 2000-10-02 | 2000-10-02 | 결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726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3898B1 (ko) * | 2015-08-11 | 2018-03-30 | 민은아 |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
-
2000
- 2000-10-02 KR KR2020000027513U patent/KR20021726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3898B1 (ko) * | 2015-08-11 | 2018-03-30 | 민은아 |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76376B2 (ja) | 例えばブドウを拘縛するための拘縛帯を配置する装置 | |
JP4216281B2 (ja) | 鉄筋自動結束機 | |
WO1995005313A1 (fr) |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lier des articles entre eux | |
US5613530A (en) | Hand held twist tie apparatus | |
US3880204A (en) | Wire tying mechanism | |
US4354535A (en) | Hand-held automatic wire binding tool | |
JPS63191719A (ja) | 結束機 | |
KR200217260Y1 (ko) | 결속기 | |
CN107687258B (zh) | 钢筋绑扎工具 | |
US5996232A (en) | Tree pruner | |
CN210177976U (zh) | 自动钢筋捆扎器 | |
EP0017674B1 (en) | Apparatus for twisting together the end portions of wire around a bundle | |
KR100860377B1 (ko) | 농작물 자동결속기 | |
CN206734706U (zh) | 一种绕线扎线装置 | |
KR101949814B1 (ko) | 농작물, 다발묶음 또는 묶음제품 자동결속기 | |
KR200220034Y1 (ko) | 결속기 | |
CN211642695U (zh) | 捆扎机 | |
JPH06167115A (ja) | 棒材の結束装置 | |
US4705080A (en) | Bundle tying machine | |
CN218258875U (zh) | 自动捆包设备 | |
KR950013946B1 (ko) | 고무줄을 이용한 결속기 | |
JP2609007B2 (ja) | 汎用結束機 | |
JP2644392B2 (ja) | 汎用結束機 | |
KR100202835B1 (ko) | 푸성귀 자동 단 묶음장치 | |
JPH0834406A (ja) |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