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98B1 -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 Google Patents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98B1
KR101843898B1 KR1020150113220A KR20150113220A KR101843898B1 KR 101843898 B1 KR101843898 B1 KR 101843898B1 KR 1020150113220 A KR1020150113220 A KR 1020150113220A KR 20150113220 A KR20150113220 A KR 20150113220A KR 101843898 B1 KR101843898 B1 KR 10184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lever
fruit
g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173A (ko
Inventor
민은아
Original Assignee
민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은아 filed Critical 민은아
Priority to KR102015011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는 어린 과실을 보호하는 과실봉지 입구 외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매듭끈을 엇갈리게 하여 회전시켜 매듭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매듭끈의 양단부를 벌린 상태로 각각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끼움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매듭휠; 상기 매듭휠이 상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조립되며, 상기 매듭휠 반대쪽에는 상기 회전축에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이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꺽인 후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파지부가 형성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 힌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파지부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제2파지부가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원호형 구동기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잡고 가위질 동작을 하게 되면 매듭휠이 회전됨으로써 한 손으로도 과실봉지를 어린 과실의 줄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씌울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Fruit bags automatic bundle device}
본 발명은 어린 과실에 과실봉지를 씌운 다음 가위질 동작으로 매듭끈을 자동으로 꼬이게 하여 어린 과실의 줄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한 손으로도 과실봉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씌울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봉지는 과수원 등에서 과일나무에 열린 과일을 병충해와 조류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생산된 과일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어린 과실에 대략 편지봉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과실봉지를 씌우는 사전 작업을 하게 된다.
즉, 과실봉지 입구를 벌린 후 어린 과실을 삽입한 다음 과실봉지 입구 외면에 구비된 가요성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매듭끈을 손으로 꼬여줌으로써 과실봉지의 입구가 줄기 부분에 매듭 처리된 매듭끈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처럼 어린과실에 과실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어린 과실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하므로 과실봉지 씌움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로 인한 과실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제1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7-0072473호 '과일봉지 씌움기' 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2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5593호 '자동과실 봉지 씌우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과실봉지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씌우기 위한 과실봉지 씌움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므로 제조단가가 매우 높은 문제점과, 제품 중량이 무거움으로써 작업자가 들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7-0072473호(2007.07.0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5593호(2000.06.30)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는, 한 손으로도 과실봉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씌울 수 있도록 어린 과실에 과실봉지를 씌운 다음 가위질 동작으로 매듭끈을 자동적으로 꼬이게 함으로써 어린 과실의 줄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과실봉지 씌우는 작업을 누구나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두번의 가위질 동작만으로 매듭끈의 꼬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과실봉지 씌움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는, 어린 과실을 보호하는 과실봉지 입구 외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매듭끈을 엇갈리게 하여 회전시켜 매듭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매듭끈의 양단부를 벌린 상태로 각각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끼움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매듭휠; 상기 매듭휠이 상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조립되며, 상기 매듭휠 반대쪽에는 상기 회전축에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이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꺽인 후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파지부가 형성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 힌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파지부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제2파지부가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원호형 구동기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매듭끈 양단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얹혀지는 걸이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중앙에 형성되는 꼬임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매듭휠과 간격을 유지하여 꼬임공간부를 형성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정속 또는 배속시키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에는 매듭휠 또는 종동기어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단속하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매듭휠 외측으로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내주면과 상기 매듭휠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공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석과 자성체가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끼움공 정위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레버 및 제1레버의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제2레버를 제1레버에 대해 외향 탄발시키는 탄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실봉지의 입구 크기는 어린과실이 출입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 아래부터는 다 자란 과실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실봉지 입구 내주면에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레버와 제2레버를 잡고 가위질 동작을 하게 되면 매듭휠이 회전됨으로써 한 손으로도 과실봉지를 어린 과실의 줄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씌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매듭끼움공 정위치부재에 의하여 끼움공이 항상 정 위치에 위치되므로 매듭끈을 끼움공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한 두번의 가위질 동작으로 매듭끈이 자동적으로 꼬여 줌으로써 과실봉지 씌우는 작업을 누구나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중량이 가볍게 제작될 수 있어 오랜 시간 동안 과실봉지 씌움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위질 동작에 의한 매듭끈의 꼬임 회전수를 연결기어를 통해 정속회전 또는 배속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과실 종류에 따라 매듭 꼬임 횟수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8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어린 과실을 보호하는 과실봉지(F) 입구 외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매듭끈(B)을 엇갈리게 하여 회전시켜 매듭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휠(10), 제1레버(20), 제2레버(30)로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매듭끈(B)은 가요성 금속와이어(굵기가 얇고 자유자재로 꺽이는 연성 철사 일명 '컬러철사' 라 함) 외면에 컬러 색상의 연질 합성수지를 피복 처리한 구성이며, 이러한 매듭끈(B)은 종이 재질의 과실봉지(F) 입구 외면에 테이프(T) 등으로 중간이 부착되어 있고, 양단부는 과실봉지(F) 입구를 조일 수 있는 일정 길이를 가진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듭끈(B)은 어린 과실(미도시)을 과실봉지(F) 입구에 삽입하면 어린 과실의 줄기 부분이 매듭끈(B)의 위치에 대응되므로 매듭끈(B)의 양단부를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비틀면 가요성 금속 와이어인 매듭끈(B)을 꼬이면서 과실봉지(F)의 입구를 폐쇄됨으로써 어린 과실 줄기 부분에 묶여 매달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매듭끈(B)을 이용하여 어린 과실에 과실봉지(F)를 간편하게 씌울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매듭휠(10)은 매듭끈(B)의 양단부를 벌린 상태로 각각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끼움공(1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매듭휠(10)은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끼움공(11)이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끼움공(11)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2쌍 이상 형성되어 작업자가 매듭끈(B) 양단부를 벌려 끼움공(11)에 삽입할 때 끼움공(11)의 위치와 끼움 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끼움공(11)은 매듭휠(10) 회전축(2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매듭끈(B)의 삽입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끼움공(11) 내측에는 삽입된 매듭끈(B)의 끝단부 가 여유 있게 수용되도록 공간이 확보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공(11)의 내경은 매듭끈(B)의 폭이나 굵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기로 매듭끈(B)이 끼움공(11)에 삽입된 후에 끼움공(11)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끼움공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공(11)의 입구는 모따기 처리하거나 라운드 처리되어 매듭끈(B)을 끼움공(11)에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레버(20)는 대략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중간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꺽인 위치에 힌지부(23)가 형성되고, 이 힌지부(23)를 기준으로 다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꺽여 길게 형성되어 제1파지부(24)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제1레버(20)의 상단부 일측에는 회전축(21)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베어링으로 지지된 회전축(21)에 상기 매듭휠(10)이 조립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듭휠(10) 반대쪽에는 상기 회전축(21)에 종동기어(22)가 조립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힌지부(23)가 마련되어 이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꺽인 후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파지부(24)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종동기어(22)는 매듭휠(10)의 외경보다 1/2 직경 이하로 작은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져서 외주면에 기어비가 적은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제2레버(30)는 상기 제1레버(20)의 힌지부(23)에 힌지 조립되어 연결됨으로써 제1레버(20)와 제2레버(30)는 가위질 형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레버(30)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파지부(24)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제2파지부(31)가 마련된다.
상기 제2레버(30) 상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2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원호형 구동기어(32)가 일체로 마련된다.
구동기어(32)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부(23)가 구동기어(32)의 중심점이 되며, 그 외곽의 직경은 상기 종동기어(22)의 외경보다 적어도 1.5배 이상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어(32)는 대략 ∠90도 각도 영역에서 힌지부(23)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종동기어(22)와 구동기어(32)의 기어비는 대략 1:8 정도이다.
이처럼, 종동기어(22)와 구동기어(32)의 기어비는 적어도 1.5:1 이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동기어(32)가 힌지부(23)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될 때 종동기어(22)는 많은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매듭휠(10)이 매듭끈(B)의 양단부가 끼움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시키므로 매듭끈(B)을 자동으로 꼬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매듭끈(B) 양단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얹혀지는 걸이부(41)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41) 중앙에 꼬임가이드부(42)가 상기 매듭휠(10)과 간격을 유지하여 꼬임공간부(43)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대(40)는 대략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부 외측단부가 제1레버(20)의 회전축(21) 하측에 위치되어 제1레버(20)의 측면에 고정되며, 수직부는 매듭휠(10)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외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됨으로써 걸이부(41)와 매듭휠(10) 사이에 매듭끈(B)이 서로 꼬일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과실봉지(F) 입구를 어린 과실이 통과될 수 있는 정도로 벌린 후 매듭끈(B)의 양단부를 나란히 조절하여 상기 매듭휠(10)의 끼움공(11)에 끼우게 되면 매듭끈(B)의 중간은 걸이부(41)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므로 과실봉지(F)가 거치가 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꼬임가이드부(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과실봉지(F)가 거치대(40)에 거치된 상태에서 매듭휠(10)의 회전에 매듭끈(B)이 꼬여질 때 원활한 꼬임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매듭끈(B)의 꼬임 작용에 의해 점차 중심으로 오므라드는 작용에 의해 과실봉지(F)의 입구를 어린 과실의 가지 쪽으로 오무라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동기어(22)와 구동기어(32)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32)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정속 또는 배속시키는 연결기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32)와 종동기어(22)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매듭휠(10)과의 회전 작동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연결기어(50)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어(50)는 적어도 한 쌍 이상 구성되되, 구동기어(32)의 회전 방향과 매듭휠(10) 및 종동기어(22)의 회전 방향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매듭휠(10)에 의해 꼬여지는 매듭끈(B)의 꼬임 방향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꼬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기어(50)는 제1연결기어(51)와 제2연결기어(52)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기어(51)는 상기 종동기어(22)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며 구동기어(32)와 직접 연결되는 제1기어(53)와, 상기 제1기어(53)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2기어(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기어(52)는 상기 제2기어(54)와 맞물리고 종동기어(22)와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는 제3기어(55)와, 상기 제3기어(55)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기어(22)와 맞물리는 제4기어(56)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기어(54) 및 제4기어(56)와 제1기어(53) 및 제3기어(55)의 기어비는 적어도 2:1 이상의 기어비로 되어 구동기어(32)의 회전 구동력을 종동기어(22)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며, 구동기어(32)의 1/4 원호(대략 ∠90도)의 좁은 회동 작동에 의해서 종동기어(22)가 많은 꼬임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기어(50)는 정속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속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기어(32)와 종동기어(22)의 기어비가 3:1로 되는 경우 구동기어(32)의 회전 각도에서 회전된 만큼 종동기어(22)가 회전되는 회전수가 일정한 정속기어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제1레버(20)와 제2레버(30)를 한 번 가위질 작동할 때 종동기어(22)의 회전수가 일정하게 회전되므로 매듭휠(10)이 매듭끈(B)의 양단부를 일정한 회전수 만큼 일정하게 꼬일 수 있게 한다.
다른 형태로서 구동기어(32)와 종동기어(22)의 기어비를 배속시키기 위하여 연결기어(50)의 기어비를 점차 증가함으로써 구동기어(32)의 회전되는 각도 범위에 따라 3배 내지 10배의 회전수를 종동기어(22)에 전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1레버(20)와 제2레버(30)를 한 번 가위질 작동할 때 구동기어(32)와 종동기어(22) 사이에 배속되는 기어비로 연결된 연결기어(50)에 의하여 매듭휠(10)이 수십 회 회전되므로 매듭끈(B)을 보다 견고하게 꼬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21)에는 매듭휠(10) 또는 종동기어(22)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레버(30) 및 제1레버(20)의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제2레버(30)를 제1레버(20)에 대해 외향 탄발시키는 탄력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력부재(9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제1파지부(24)와 제2파지부(31) 사이에 설치되어 제1레버(20) 및 제2레버(30)가 가위질 작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는 공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매듭끈(B)의 회전 방향을 오른쪽으로만 꼬이게 하는 경우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은 매듭휠(10)이나 종동기어(22)의 회전축(21)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작업가가 원하는 한쪽 방향으로 매듭이 꼬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레버(20)와 제2레버(30)가 오무려질 때 매듭끈(B)이 꼬여지게 하는 경우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은 매듭휠(10) 및 종동기어(22)가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매듭끈(B)이 수차례 꼬여지게 하고, 다시 제1레버(20) 및 제2레버(30)가 벌어질 때에는 구동기어(32)와 연결기어(50) 및 회전축(21)은 반대로 함께 회전이 되지만 종동기어(22) 또는 매듭휠(10)은 공회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레버(20)와 제1레버(20)를 반복하여 가위질 작동을 함으로써 매듭끈(B)의 꼬임수를 감안하면서 꼬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매듭휠(10) 외측으로 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커버(70)가 구비된다.
커버(70)는 후방은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주면 중앙에 회전축(21)을 베어링 지지하도록 구성하면서 종동기어(22)가 수납된다.
따라서, 커버(70) 하측 일부 외주면은 원주 방향으로 슬롯 형태로 관통되게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22)와 구동기어(32) 또는 연결기어(50)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70) 내주면과 상기 매듭휠(10)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공(11)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석(81)과 자성체(82)가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끼움공(11) 정위치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매듭휠(10) 외주면에는 복수의 자석(81)이 끼움공(11)에 대응되게 방사형으로 매입되고, 자성체(82)는 상기 자석(81)의 위치에 대응되게 커버(70)의 내주면에 매입된다.
이러한 정위치부재(80)에 의하면 끼움공(11)이 거치대(40)의 걸이부(41)에 항상 위치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매듭휠(10)을 돌려 끼움공(11) 위치를 조절할 필요 없이 매듭끈(B)의 양단부를 벌려 끼움공(11)에 정확하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과실봉지(F)는 입구 크기가 어린 과실이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 아래부터는 다 자란 과실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가 넓은 경우에는 매듭끈(B)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입구를 매듭끈(B)으로 조일 때 많은 꼬임이 발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실봉지(F)의 입구는 어린 과실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만큼 좁게 형성하여 매듭끈(B)의 양단의 길이를 최소화 함으로써 매듭끈(B)의 꼬임을 최소로 하여 과실봉지(F) 씌움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실봉지(F) 입구 내주면에는 완충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S)는 입구의 내주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또는 열 융착에 의해 부착되며, 5mm 내지 8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하 폭은 어린 과실의 가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린 과실을 과실봉지(F) 입구에 삽입할 때에는 완충부재(S)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눌려 두께가 줄어들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과실봉지(F) 입구를 매듭끈(B)으로 조일 때에는 스폰지 재질의 완충부재(S)가 어린과실 가지 쪽으로 방사형으로 오무라지면서 매듭끈(B)이 직접적으로 어린 과실의 연약한 가지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어린 과실의 가지를 보호하면서 안정적으로 조여지게 된다.
또한, 완충부재(S)는 5mm 내지 8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매듭끈(B)에 의해 과실봉지(F) 입구가 조여지는 과정에서 완충부재(S)의 두께로 인해 과실봉지(F) 입구가 구겨져 어린 과실의 가지와 먼저 밀착되지 않고 완충부재(S)가 먼저 어린과실 가지와 밀착되어 적절히 조여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매듭끈(B)의 전체적인 꼬임 회전수를 적게 하면서도 어린과실 가지를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과실봉지(F) 입구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과실봉지(F) 입구를 벌린 다음 매듭끈(B)의 양단부를 나란하게 펼친 상태에서 매듭휠(10)의 끼움공(11)에 삽입한다.
이때, 매듭휠(10)은 자석(81)과 자성체(82)에 의하여 매듭휠(10)을 정면에서 볼 때 끼움공(11)이 꼬임가이드부(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걸이부(41) 위치에 위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매듭끈(B)의 단부를 걸이부(41)에 안내를 받아 진입시키면 끼움공(11)에 정확히 삽입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편리하고 신속하게 매듭끈(B)을 끼움공(11)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매듭끈(B)을 끼움공(11)에 삽입할 때 끼움공(11) 입구가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처럼 매듭끈(B)이 끼움공(11)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이에 연결되어 있는 과실봉지(F)는 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거치대(40)에 매달려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파지부(24)와 제2파지부(31)를 함께 파지한 상태이므로 어린 과실을 과실봉지(f) 입구를 통해 삽입하면 어린 과실의 줄기(미도시) 부분에 대응하여 매듭끈(B)이 자연스럽게 위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과실봉지(F) 입구 내주면에 스폰지 재질의 완충부재(S)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어린 과실을 과실봉지(F) 입구에 삽입할 때에는 완충부재(S)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두께가 줄어들게 되므로 어린 과실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파지부(31)를 잡은 상태에서 가위질 방식으로 오무리면 제2파지부(31)가 힌지부(23)를 중심으로 제1파지부(24) 쪽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며, 이때 탄력부재(90) 즉 코일스프링은 압축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2)는 연결기어(5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22)와 회전축(21)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은 종동기어(22)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구동기어(32)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매듭휠(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끼움공(11)에 삽입되어 있는 매듭끈(B)은 꼬임공간부(43) 영역에서 구동기어(32)의 회전 각도에 해당하는 기어비 만큼 종동기어(22) 및 매듭휠(10)이 수차례 회전함으로써 매듭끈(B)이 자동으로 꼬여진다.
이때, 과실봉지(F) 입구를 매듭끈(B)이 조여질 때 스폰지 재질의 완충부재(S)가 어린 과실의 가지 쪽으로 방사형으로 오무라들면서 매듭끈(B)이 어린 과실가지에 압력을 직접적으로 가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조여주게 된다.
즉, 완충부재(S)는 5mm 내지 8mm 정도의 두께이므로 매듭끈(B)에 의해 과실봉지(F) 입구가 조여지는 과정에서 완충부재(S)의 두께로 인해 과실봉지(F) 입구가 구겨지면서 어린 과실의 가지와 먼저 밀착되지 않고 완충부재(S)가 먼저 어린과실 가지를 적절히 조여주게 된다.
결국 매듭끈(B)의 꼬임 회전수를 적게 하면서도 어린과실 가지를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과실봉지(B) 입구를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손에 힘을 제거하면 탄력부재(90)의 반발력에 의해 제2파지부(31)를 외측으로 탄발시키게 된다.
이때 일방향클러치베어링(60)은 꼬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종동기어(22)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않으므로 매듭휠(10)은 꼬여진 매듭끈(B)과 연결된 상태에서 정지한 상태가 되고, 회전축(21)과 종동기어(22) 및 연결기어(50)는 구동기어(32)의 반대방향의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제2파지부(31)가 원래 위치로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작업자는 제1레버(20)와 제2레버(30)를 가위질 형태로 반복 작동함으로써 매듭끈(B)이 거치대(40)의 꼬임공간부(43) 영역에서 자동으로 꼬여질 수 있어한 손으로도 과실봉지(F)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씌운 뒤 매듭끈(B)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듭끈(B)의 결속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를 아래로 당기면 매듭끈(B)의 양단부가 끼움공(11)에서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거치대(40)는 꼬임가이드부(42)가 함께 매듭끈(B)의 꼬임부 내측에 단순히 끼워진 상태이므로 아래 방향으로 쉽게 빠지게 되어 과실봉지(F) 씌움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어린 과실의 줄기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손으로 어린 과실을 잡은 상태에서 자동묶음장치를 분리시켜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매듭휠 11: 끼움공
20: 제1레버 21: 회전축
22: 종동기어 23: 힌지부
24: 제1파지부
30: 제2레버 31: 제2파지부
32: 구동기어
40: 거치대 41: 걸이부
42: 꼬임가이드부 43: 꼬임공간부
50: 연결기어 51: 제1연결기어
52: 제2연결기어 53,54,55,56: 제1기어 내지 제4기어
60: 일방향클러치베어링
70: 커버 80: 정위치부재
81: 자석 82: 자성체
90: 탄력부재 B: 매듭끈
F: 과실봉지 S: 완충부재

Claims (8)

  1. 어린 과실을 보호하는 과실봉지 입구 외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매듭끈을 엇갈리게 하여 회전시켜 매듭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매듭끈의 양단부를 벌린 상태로 각각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끼움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매듭휠;
    상기 매듭휠이 상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조립되며, 상기 매듭휠 반대쪽에는 상기 회전축에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중간부에는 힌지부가 마련되어 이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꺽인 후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파지부가 형성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 힌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파지부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진 제2파지부가 마련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종동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원호형 구동기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2레버; 및
    상기 매듭끈 양단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얹혀지는 걸이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중앙에 형성되는 꼬임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매듭휠과 간격을 유지하여 꼬임공간부를 형성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정속 또는 배속시키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매듭휠 또는 종동기어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단속하는 일방향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매듭휠 외측으로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내주면과 상기 매듭휠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공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석과 자성체가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끼움공 정위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 및 제1레버의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제2레버를 제1레버에 대해 외향 탄발시키는 탄력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과실봉지의 입구 크기는 어린과실이 출입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 아래부터는 다 자란 과실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실봉지 입구 내주면에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3220A 2015-08-11 2015-08-11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KR10184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20A KR101843898B1 (ko) 2015-08-11 2015-08-11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20A KR101843898B1 (ko) 2015-08-11 2015-08-11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73A KR20170019173A (ko) 2017-02-21
KR101843898B1 true KR101843898B1 (ko) 2018-03-30

Family

ID=5831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20A KR101843898B1 (ko) 2015-08-11 2015-08-11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2452B (zh) * 2017-03-21 2022-11-04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园林果实套袋机
CN107466746A (zh) * 2017-09-04 2017-12-15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双夹式半自动果树快速套袋系统
CN111448927B (zh) * 2019-12-04 2022-05-13 青岛科技大学 一种新型高效、便捷水果套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60Y1 (ko) * 2000-10-02 2001-03-15 김건식 결속기
KR100689271B1 (ko) * 2005-09-09 2007-03-02 최길영 유실수 과실 포장지 자동 묶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93Y1 (ko) 2000-01-10 2000-09-01 강준철 자동 과실 봉지 씌우기 장치
KR20070072473A (ko) 2007-06-15 2007-07-04 성화금속 주식회사 과일봉지 씌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60Y1 (ko) * 2000-10-02 2001-03-15 김건식 결속기
KR100689271B1 (ko) * 2005-09-09 2007-03-02 최길영 유실수 과실 포장지 자동 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73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98B1 (ko) 과실봉지 자동묶음장치
US5944064A (en) Tying method and tying apparatus for articles
MX2013002836A (es) Dispositivo de anudado de nudo y sistema de cartucho que proporciona filamento de anudado con el mismo.
JP5948310B2 (ja) 紐結び方法と紐結び機
US20090188200A1 (en) Clip as well as a method and a hook for use in the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JP2011177516A (ja) 結び目なしの内部かがりパッケージ
EP0120948A1 (en) MOLDING MACHINE AND METHOD.
CN109018488A (zh) 一种捆绑绳打结器
EP0058479B1 (en) Device for automatic tying of packages
KR101554616B1 (ko) 생육과일 보호용 봉투 및 이를 포장하는 생육과일 보호용 봉투 포장기
JP2006248526A (ja) ビニタイ結束機
JP2005137205A (ja) 誘引紐用結束具
CN107125065B (zh) 手持式植株套装袋自动封口打结机及其控制方法
US10457429B1 (en) Pair of jaws for a twist-tying machine
JP2016120970A (ja) 転動結束
US20080282645A1 (en) Packaging
JP2721091B2 (ja) 汎用結束機
US20170002584A1 (en) Handheld Spooling Device
KR200305994Y1 (ko) 전선보호망
JP2609007B2 (ja) 汎用結束機
JP2644394B2 (ja) 汎用結束機
JP3143074U (ja) Petボトル携帯用具
JP2545486Y2 (ja) 汎用結束機
JPH04132009U (ja) 汎用結束機
TWM638198U (zh) 自動捆包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