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30B1 -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30B1
KR102261030B1 KR1020190079230A KR20190079230A KR102261030B1 KR 102261030 B1 KR102261030 B1 KR 102261030B1 KR 1020190079230 A KR1020190079230 A KR 1020190079230A KR 20190079230 A KR20190079230 A KR 20190079230A KR 102261030 B1 KR102261030 B1 KR 10226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ending
guide sphere
gea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445A (ko
Inventor
신현택
Original Assignee
신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택 filed Critical 신현택
Priority to KR102019007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65B27/105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by means of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체(1)를 가이드하되 환형가이드구(111)를 수평으로 2등분하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환형가이드구(111)전면에 회전가이드구(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회전가이드구(121)의 상부를 개구하여 반환형으로 형성하고 회전가이드구(121)의 외주연에 밴딩용기어(124)를 형성한 회전밴딩부(120)와,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 전면 일측에 연결브래킷(131)을 부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연결브래킷(131)에 장착샤프트(132)를 형성하여 밴딩테이프(135)를 장착하는 테이프공급부(130), 및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 좌우에 조절기어(143)를 설치하되 밴딩용기어(124)에 조절기어(143)를 각각 치차결합하고 조절기어(14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를 구비한 작동부(140)로 구성하므로, 특히 좌우 조절기어(143)의 회전으로 밴딩기어(124)를 회전시켜 반환형의 회전가이드구(121)를 회전시키므로 밴딩테이프(135)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앵커(1)의 외주연을 수차례 감겨 앵커(1)를 테이프 밴딩하도록 하는 것인 바, 따라서 앵커를 견고하고 단단하게 테이프로 밴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편리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밴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Tape bending device for anchor}
본 발명은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하는 각종 앵커의 인장재를 효율적으로 테이프 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Anchor)공법은 건설공사에서 발생되는 토압, 풍압, 수압, 지진력 등의 외력에 대응하는 앵커력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구조체의 응력보강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사면보호, 옹벽, 굴착면 앵커 및 양압력의 기초 앵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는 앵커설계 및 시공기술의 발달로 과밀하중이 작용하는 높은 타워나 교량기초 등에서 이용되고, 플랜트, 댐, 터널등 모든 분야에서 적용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앵커 공법에 적용되는 그라운드 앵커는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사면 내부로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토목 현장에서 PC 강연선 등의 고강도 인장재를 구축물과 지반 내부 양쪽에 고정하고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 등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건설자재이다.
나아가, 앵커공법은 천공홀에 인장 강도가 우수한 인장재를 내부정착제 및 내하체와 함께 삽입한 후 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팅재로 주입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인장재의 자유단에 하중을 걸고 외부 정착제로 고정시켜 강력한 정착력을 확보하여 토류벽과 같은 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건축 및 토목공사의 지하구조물용 굴착공사시 주변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나 연약지반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기 위한 공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앵커의 인장재는 다수가닥의 강연선이나 이형철근 등으로 형성하여 각종 부품을 조립 장착하는 데 이때 강연선 등을 다발로 밴딩할 때 그 길이나 크기 등으로 밴딩작업이 까다롭고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르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로 앵커제작기술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유사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410507호(테이프 밴딩머신)이 있으나, 오픈 기능없어 길이가 6미터 이상이 대부분인 앵커에 적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강연선이나 철근 등 선재 다발로 형성하는 앵커를 견고하고 단단하게 테이프로 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가 긴 선재를 외주연으로 부터 유입시켜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를 향상시키고 각각의 위치에서 동시에 테이프 밴딩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는 앵커체를 가이드하되 환형가이드구를 수평으로 2등분하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환형가이드구전면에 회전가이드구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회전가이드구의 상부를 개구하여 반환형으로 형성하고 회전가이드구의 외주연에 밴딩용기어를 형성한 회전밴딩부와, 상기 회전밴딩부의 회전가이드구 전면 일측에 연결브래킷을 부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연결브래킷에 장착샤프트를 형성하여 밴딩테이프를 장착하는 테이프공급부, 및 상기 회전밴딩부의 회전가이드구 좌우에 조절기어를 설치하되 밴딩용기어에 조절기어를 각각 치차결합하고 조절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작동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밴딩부의 회전가이드구는 양단을 연장하여 회전가이드구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밴딩용기어에 좌우 조절기어 중 최소 어느 하나는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는 환형가이드구에 앵커를 안치시켜 다음 구동모터의 구동하여 좌우 조절기어도 회전하여 치차결합시킨 밴딩기어에 의하여 반환형의 회전가이드구도 회전하므로, 밴딩테이프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앵커의 외주연을 수차례 감겨 앵커를 테이프 밴딩하도록 하는 것으로, 앵커를 견고하고 단단하게 테이프로 밴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편리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밴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테이프밴딩 준비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테이프밴딩 초기 진행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테이프밴딩 진행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밴딩부와 작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밴딩부와 작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100)는 앵커체(1)를 가이드하되 환형가이드구(111)를 수평으로 2등분하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환형가이드구(111)전면에 회전가이드구(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회전가이드구(121)의 상부를 개구하여 반환형으로 형성하고 회전가이드구(121)의 외주연에 밴딩용기어(124)를 형성한 회전밴딩부(120)와,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전면 일측에 연결브래킷(131)을 부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밴딩테이프(135)를 장착하는 테이프공급부(130), 및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 좌우에 조절기어(143)를 설치하되 밴딩용기어(124)에 조절기어(143)를 각각 치차결합하고 조절기어(143)를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를 구비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환형가이드구(111)를 수평으로 2등분하고 일측에 힌지 등의 절곡부재(113)를 형성하고 타측에 개폐부재(114)를 결합하여 환형가이드구(111)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환형가이드구(111)의 전면에 원호상으로 가이드레일(112)를 형성하되 가이드레일(112)의 내측에 걸림턱(112a)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밴딩부(120)는 회전가이드구(121)를 구비하여 환형가이드구(111)의 전방에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후방으로 슬라이드블록(123)을 돌출시켜 환형가이드구(111)의 가이드레일(112)에 결합하여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가이드구(121)와 슬라이드블록(123)은 다수개의 연결바(122)로 돌출시켜 형성하되 슬라이드블록(123)을 가이드레일(112)의 걸림턱(112a)에 걸리도록하여 한다.
특히 회전가이드구(121)는 반환형으로 형성하되 양단을 약간 연장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회전가이드구(121)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밴딩용기어(124)에 후술하는 좌우 한쌍의 조절기어(143) 중 최소 어느 하나는 항상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이상적이다.
아울러, 회전가이드구(121)의 내경은 환형가이드구(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안치시킨 앵커체(1)와 회전가이드구(121)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공급부(130)는 밴딩테이프(135)을 끼워 고정하는 장착샤프트(132)를 구비하고 장착샤프트(132)의 일측단를 연결브래킷(131)으로 회전가이드구(121)의 전단 일측에 부착하여 일체화시켜 연동하도록 하되 연결브래킷(131)을 상측에 가이드 편(133)을 형성하고 가이드편(133)의 하측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봉(134)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장착샤프트(132)에 장착시킨 밴딩테이프(135)을 통과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140)는 회전가이드구(121)의 좌우에 조절기어(143)를 각각 형성하되 외주연에 형성한 밴딩용기어(124)에 조절기어(143)를 각각 치차결합하여 형성하므로 반환형의 회전가이드구(121)가 회전하더라도 최소 어느 하나 조절기어(143)는 밴딩용기어(124)에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반환형의 회전가이드구(121)를 연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기어(14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를 구비하고 조절기어(143)과 구동모터(141) 회전축 각각에는 동력전달기어(144,142)를 결합하되, 좌우 조절기어(143)의 동력전달기어(144)와 구동모터(141)의 동력전달기어(142)를 각각의 타이밍벨트(145)로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하므로 좌우 조절기어(143)의 동력전달기어(144)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회전가이드구(121)의 밴딩용기어(124)에 최소 어느 하나 조절기어(143)가 치차결합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가이드구(121)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141)를 각각 구비하여 동력전달기어(142)에 타이밍벨트(145)로 각각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상태에서 환형가이드구(111)에 앵커(1)를 안치시켜 환영가이드구(111)를 닫고 밴딩테이프(135)의 단부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앵커(1)에 부착한 다음 구동모터(141)를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모터(141)의 구동하면 타이밍벨트(145)로 연결시킨 좌우 조절기어(143)도 회전하여 치차결합시킨 밴딩기어(124)에 의하여 반환형의 회전가이드구(121)도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가이드구(121)의 회전으로 회전가이드구(121)에 일체로 부착시킨 연결브래킷(131)도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밴딩테이프(135)가 회전하면서 앵커(1)의 외주연을 수차례 감겨 앵커(1)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앵커(1)의 테이프밴딩이 완료되면 수작업 또는 별도의 커팅날(15)을 이용하여 밴딩테이프(135)를 잘라낸 다음 환형가이드구(111)를 열고 앵커(1)를 꺼집어내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작업을 연속 반복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앵커(1)의 테이프밴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테이프 밴딩장치 110 : 지지부
111 : 환형가이드구 112 : 환형가이드레일
112a : 걸림턱 113 : 절곡부재
114 : 체결부재 120 : 회전밴딩부
121 : 회전가이드구 122 : 연결바
123 : 슬라이드블록 124 : 밴딩기어
130 : 테이프공급부 131 : 연결브래킷
132 : 장착샤프트 133 : 가이드편
134 : 가이드봉 135 : 밴딩테이프
140 : 작동부 141 : 구동모터
142 : 동력전달기어 143 : 조절기어
144 ; 동력전달기어 145 : 타이밍벨트
150 : 절단날 1 : 선재 또는 앵커

Claims (6)

  1. 앵커체(1)를 가이드하되 환형가이드구(111)를 수평으로 2등분하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에 절곡부재(113)를 형성하며 타측에 개폐부재(114)를 결합하여 환형가이드구(111)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되 환형가이드구(111)의 전면에 원호상으로 가이드레일(112)를 형성하되 가이드레일(112)의 내측에 걸림턱(112a)을 형성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환형가이드구(111)전면에 회전가이드구(121)를 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회전가이드구(121)의 상부를 개구하여 반환형으로 형성하고 회전가이드구(121)의 외주연에 밴딩용기어(124)를 형성한 회전밴딩부(120)와,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 전면 일측에 연결브래킷(131)을 부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연결브래킷(131)에 장착샤프트(132)를 형성하여 밴딩테이프(135)를 장착하는 테이프공급부(130), 및 상기 회전밴딩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 좌우에 조절기어(143)를 설치하고 밴딩용기어(124)에 조절기어(143)를 각각 치차결합하며 조절기어(14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를 구비하되 조절기어(143)와 구동모터(141) 회전축 각각에 동력전달기어(144,142)를 결합하고 좌우 조절기어(143)의 동력전달기어(144,142)와 구동모터(141)의 동력전달기어(142)를 각각의 타이밍벨트(145)로 연결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작동부(140)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밴딩부(120)는 회전가이드구(121)에 연결바(122)로 슬라이드블록(123)을 형성하고 환형가이드구(111)의 가이드레일(112)에 슬라이드블록(123)을 결합하여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회전가이드구(1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반환형으로 형성한 회전가이드구(121)의 외주연에 밴딩용기어(124)를 형성하여 작동부(140)의 좌우 조절기어(143) 중 최소 어느 하나는 치차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회전가이드구(121)의 내경을 지지부(110)의 환형가이드구(111)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안치시킨 앵커체(1)와 회전가이드구(121)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79230A 2019-07-02 2019-07-02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KR10226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30A KR102261030B1 (ko) 2019-07-02 2019-07-02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30A KR102261030B1 (ko) 2019-07-02 2019-07-02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45A KR20210003445A (ko) 2021-01-12
KR102261030B1 true KR102261030B1 (ko) 2021-06-03

Family

ID=7412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30A KR102261030B1 (ko) 2019-07-02 2019-07-02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4Y1 (ko) * 2000-11-06 2001-04-16 김건식 결속기
JP2005162428A (ja) * 2003-12-04 2005-06-23 Kyowa Kikai Seisakusho:Kk テーピ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3627A (en) * 1995-02-15 1996-11-1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Portable tap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4Y1 (ko) * 2000-11-06 2001-04-16 김건식 결속기
JP2005162428A (ja) * 2003-12-04 2005-06-23 Kyowa Kikai Seisakusho:Kk テーピ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45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533B1 (ko) 강연선 재인장 기능을 가진 앵커지지체 시스템
US968334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inforce excavation walls
JP2016521831A (ja) 風力発電装置基礎部
KR100964258B1 (ko)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CN112376559A (zh) 电力施工用地锚
KR102261030B1 (ko) 앵커용 테이프 밴딩장치
KR100797800B1 (ko)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
CN211257011U (zh) 一种三轴搅拌桩止水帷幕结构
CN210031791U (zh) 锚索孔底反向牵拉装置
JP2007239440A (ja) 既設コンクリート橋脚の耐震補強工法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CN206581314U (zh) 螺头筋体后张桩基础
JP2001323434A (ja) 空積みによる石積壁体構築工法
JP6220602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並びに、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EP3959381A1 (de) Gründung eines offshore-bauwerks mit einem übertragungskabel und einem schutzelement
CN216041131U (zh) 一种活瓣式桩尖
JPH1060914A (ja) 土留擁壁
CN215290101U (zh) 多瓣、可组合式锚杆对中支架装置
KR102081166B1 (ko) 케이블 곡선 인장장치
JP3513905B2 (ja) 永久アンカー工法
JPH10220162A (ja) 外周面に突起体を有する沈設体及びこの沈設体を構成する分割リング
CN217602176U (zh) 一种用于人工挖孔桩施工的防护装置
CN219772979U (zh) 搅拌桩桩基联合支护结构
KR102214140B1 (ko) 그라운드 앵커의 제작 장치
KR20110052191A (ko) 제거식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