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18Y1 - 선박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18Y1
KR200476118Y1 KR2020130007520U KR20130007520U KR200476118Y1 KR 200476118 Y1 KR200476118 Y1 KR 200476118Y1 KR 2020130007520 U KR2020130007520 U KR 2020130007520U KR 20130007520 U KR20130007520 U KR 20130007520U KR 200476118 Y1 KR200476118 Y1 KR 200476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arrier
present
seated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광홍
박종명
김동욱
원광민
박종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선박용 캐리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반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캐리어{carrier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의장 작업시에는 블록들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다음, 각각의 블록들을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블록들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블록들을 지면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블록의 하측에 캐리어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블록이 캐리어 상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블록의 하측에 반목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에서 블록을 캐리어에 안착시키는 작업시마다 반목을 캐리어 상부에 정확히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도 오랜 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반목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 인력이 필요하므로, 선박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목과 캐리어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반목과 캐리어를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한 선박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반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목 부재의 상측의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의 상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반목 부재가 수납가능하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은 반목 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목 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게 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게 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목 부재는 상기 회전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 부재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는, 사용자가 반목 부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몸체부로부터 반목 부재를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반목 부재가 회전되어 몸체부의 상측의 특정 위치에만 위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캐리어와 다르게, 반목 부재를 몸체부 상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오랜 시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선박용 캐리어에 블록을 안착시키는데 있어서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에서는 반목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캐리어에서와 다르게 반목 부재를 캐리어와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반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하여 선박 제조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에서는, 반목 부재가 프레임 부재의 특정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반목 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블록을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반목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에서 반목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대해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의 핵심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반목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는 프레임 부재(110)와, 반목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10)는 몸체부(111)와,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1)에는 수납 공간(112)이 형성된다. 수납 공간(112)은 몸체부(1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것이다. 지지부(113)는 몸체부(111)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다.
반목 부재(120)는 몸체부(111)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부(111)의 수납 공간(112)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몸체부(111)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반목 부재(120)는 몸체부(1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몸체부(111)의 수납 공간(112)에 수납된다.
반목 부재(120)의 형상은 일례로, 육면체일 수 있다. 반목 부재(120)의 소재는 일례로, 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반목 부재(120)가 프레임 부재(110)의 몸체부(111)에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는 일례로, 반목 부재(120)의 상측의 일단이 몸체부(111)의 수납 공간(112)의 상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목 부재(120)와 몸체부(111)는 경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경첩은 반목 부재(120)의 상측의 일단과 몸체부(111)의 수납 공간(112)의 상단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반목 부재(120)가 몸체부(111)에 대해 회전되게 하기 위한 구조가 상기와 같은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는, 사용자가 반목 부재(120)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몸체부(111)로부터 반목 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반목 부재(120)가 회전되어 몸체부(111)의 상측의 특정 위치에만 위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선박용 캐리어와 다르게, 반목 부재(120)를 몸체부(111) 상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오랜 시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선박용 캐리어(100)에 블록(10)을 안착시키는데 있어서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에서는 반목 부재(120)가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선박용 캐리어에서와 다르게 반목 부재(120)를 캐리어와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반목 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하여 선박 제조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200)는 반목 부재(220)와, 프레임 부재(210)와, 회전 유닛(230)과, 슬라이딩 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200)에서 반목 부재(220)와 프레임 부재(21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 도 1 참조)의 반목 부재(120, 도 1 참조)와 프레임 부재(110, 도 1 참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유닛(230)은 스틱(stick)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유닛(230)의 일측은 반목 부재(220)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부(211)에 결합된다. 회전 유닛(230)은 반목 부재(220)가 몸체부(211)의 수납 공간(112)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몸체부(211)의 상면에 안착되게 하거나, 몸체부(2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몸체부(211)의 수납 공간(112)에 수납되게 한다.
슬라이딩 유닛(240)은 회전 유닛(230)이 몸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반목 부재(220)가 회전 유닛(2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반목 부재(220)는 슬라이딩 유닛(240)에 의해 몸체부(2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슬라이딩 유닛(240)의 상세한 구조는 일례로, 레일 부재(241)와, 롤러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부재(241)는 몸체부(211)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211)의 일측면에는 레일 부재(241)가 수납될 수 있는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부재(242)는 회전 유닛(23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 부재(242)는 레일 부재(24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한 레일 부재(241)의 단면의 형상은 롤러 부재(242)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부재(241)의 단면의 형상은 측면의 일부분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롤러 부재(242)가 레일 부재(24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레일 부재(241)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반목 부재(220)는 회전 유닛(23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반목 부재(220)는 회전 유닛(230)과 샤프트(23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231)의 일단은 회전 유닛(2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목 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반목 부재(220)를 마련하여 놓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반목 부재(22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목 부재(220)가 파손된 경우에는 파손된 반목 부재(220)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용 캐리어(200)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에서 반목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대해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200)에서는, 반목 부재(220)가 프레임 부재(210)의 특정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반목 부재(220)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블록(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 도1 참조)에서는 특정 위치에만 반목 부재(120, 도 1 참조)가 위치되어 회전 운동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200)에서는 반목 부재(220)가 프레임 부재(210)의 몸체부(211) 상의 모든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캐리어(100, 도 1 참조)와 상이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선박용 캐리어 110, 210: 프레임 부재
111, 211: 몸체부 112, 212: 수납 공간
113, 213: 지지부 120, 220: 반목 부재
230: 회전 유닛 240: 슬라이딩 유닛
241: 레일 부재 242: 롤러 부재

Claims (5)

  1.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반목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 부재의 상측의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의 상단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선박용 캐리어.
  3. 반목 부재,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반목 부재가 수납가능하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은 반목 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목 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게 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게 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회전 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 부재는 상기 회전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선박용 캐리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회전 유닛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 부재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캐리어.
KR2020130007520U 2013-09-06 2013-09-06 선박용 캐리어 KR200476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20U KR200476118Y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20U KR200476118Y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18Y1 true KR200476118Y1 (ko) 2015-01-29

Family

ID=5259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520U KR200476118Y1 (ko) 2013-09-06 2013-09-06 선박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10B1 (ko) * 2017-06-22 201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78Y1 (ko) 2005-10-19 2006-01-24 (주)대광 분리형 트래슬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13007177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78Y1 (ko) 2005-10-19 2006-01-24 (주)대광 분리형 트래슬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130071778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지지 캐리어 및 도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10B1 (ko) * 2017-06-22 201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6430A (zh) 便携式容器
US20140013542A1 (en) Shoulder Hanging Type And Backpack Type Grass Trimmer Folding Device
KR200476118Y1 (ko) 선박용 캐리어
JP6165538B2 (ja) 折り畳み自在おむつ交換台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JP6165539B2 (ja) 折り畳み自在おむつ交換台
KR102216564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JP6418374B2 (ja) ベッド
CN208358987U (zh) 一种竹木加工机械用切割装置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20110098208A (ko) 다용도 접이식 선반
KR20180001637U (ko) 접이식 테이블
CN110619861B (zh) 一种便携式电子琴支架
KR20110008510U (ko) 작업대용 스토퍼
CN204105085U (zh) 一种便携式折叠伞
CN104206193B (zh) 具有可旋转手柄的修枝剪
KR20130039848A (ko) 캐스터용 손잡이 회전장치
CN103690058B (zh) 煎烤机
KR20150001244U (ko) 접철식 테이블 프레임
CN103961014B (zh) 一种马桶盖板与座体的快拆机构
CN208447492U (zh) 一种除尘器
KR20120097448A (ko)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