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60U -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 Google Patents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60U
KR20130002160U KR2020110008718U KR20110008718U KR20130002160U KR 20130002160 U KR20130002160 U KR 20130002160U KR 2020110008718 U KR2020110008718 U KR 2020110008718U KR 20110008718 U KR20110008718 U KR 20110008718U KR 20130002160 U KR20130002160 U KR 20130002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p
support
block
bl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093Y1 (ko
Inventor
배성수
김정미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9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A"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A"자 형상의 지지부 상부에 마련되는 블록지지부로 구성되는 A-캐리어; 및 상기 A-캐리어의 블록지지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A-CARRIER WITH CAP}
본 고안은 선박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건조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대형 선박 등을 건조하기 위해 선박 구조물을 블록화하고, 이 구조물을 각각 조립하는 방식으로 선박을 건조하고 있다. 이때, 각 구조물을 조립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이렇게 선박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한 예로 캐리어(carrier)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안정된 지지를 행할 수 있는 "A"형상의 A-캐리어(A-carrier)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박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A-캐리어를 구조물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A-캐리어의 상부에 상기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블록을 위치시키고, 상기 블록의 상부에 상기 구조물을 올려 놓는 방식으로 하여, A-캐리어를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A-캐리어 및 블록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구조물의 크기가 대형일 경우 상대적으로 구조물과 블록 간의 접촉면적이 작게 되어 적절히 상기 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A-캐리어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의 크기를 크게 하여 상기 구조물과 접촉하는 블록의 면적을 크게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기 A-캐리어의 크기가 제한되어 상기 A-캐리어 상에 블록을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캐리어(1) 2개를 중복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블록(2)을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블록(2)과 구조물(S)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은 A-캐리어(1) 2개를 중복으로 겹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과 함께, 철거하는데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캐리어(1)를 중복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물량이 부족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A-캐리어(1)를 새로 제작하거나 구입해야 함으로써, 비용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캐리어(1)의 중복 적용시 일부 의장품의 설치 및 작업자의 통행에 간섭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0406678호) 및 특허문헌 2(한국공개특허 제2010-034380호)에서는 A자형 지지대에 연결판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판 상부에 보다 큰 폭을 구비하는 받침부를 볼트결합 하도록 하여 지지대와 받침부가 이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방법은 지지대와 받침부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결합 함으로써, 결합 또는 분리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A자형 지지대의 형상 자체의 변형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A자형 지지대의 기능적 특징을 제한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406678호 (2006년 01월 19일 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380호 (2010년 12월 23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A-캐리어만을 사용하여 선박 구조물을 지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A"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A"자 형상의 지지부 상부에 마련되는 블록지지부로 구성되는 A-캐리어; 및 상기 A-캐리어의 블록지지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블록지지부가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측면에 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지지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지지부가 끼움결합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측면부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블록지지부에 대해 상기 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축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는 하나의 A-캐리어만으로도 선박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A-캐리어만을 사용하므로 설치 및 해체가 빠르며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는 캡의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기 A-캐리어에 끼움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A-캐리어의 기능적 특징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 및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선박의 건조시에는 통상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구조물(S)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A"자 형상의 A-캐리어(110)를 구조물(S) 하부에 배치하고, A-캐리어(110)의 상부에 구조물(S)이 파손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구조물(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A-캐리어(110)의 상부에 캡(120)을 형성하여 하나의 A-캐리어(110) 만으로도 상기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을 캡(120)과 함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바, 도 2에서는 상기 블록에 해당하는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캡(120)을 개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는 "A"자 형상의 지지부(112)와, 상기 "A"자 형상의 지지부(112) 상부에 마련되는 블록지지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A-캐리어(110)의 블록지지부(114)를 덮도록 형성되는 캡(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캐리어(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재가 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형성되되, 각 상부가 상호 맞닿도록 하여 "A"자 형상의 지지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지부재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지지부재의 길이를 달리한 후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지지부(112)의 상측에 올려지는 구조물(S)의 무게중심에 따라 기울기가 다른 지지부(112)를 사용하여 구조물(S)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디도록 할 수 있다. 한편, "A"자 형상으로 상부가 맞닿아 형성되는 지지부(112)의 상부에는 블록지지부(114)가 위치된다.
상기 블록지지부(114)는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양단이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지지부(114)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112)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단에 위치되는 지지부(112)의 높이를 달리하여 블록지지부(114)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지지부(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블록지지부(114)의 형상은 상부에 안착되는 캡(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블록지지부(114)의 상부에는 캡(12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상기 블록지지부(114)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구조물(S)의 형상에 맞도록 A-캐리어(110)를 위치시킨 후, 캡(12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120)은 블록지지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2)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부에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받침부(126)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6)는 종래 블록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1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126)가 상기 캡(120)에 일체로 형성된 고안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캡(120)은 공간부(122)가 형성되는 하부 구조물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결합되어 받침부(126)를 이루는 상부 구조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캡(120)은 공간부(122)와 받침부(126)를 단일의 블록을 이용하여 일체화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을 따로 제작한 후 볼트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받침부(126)는 구조물(S)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부(122)의 상부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간부(122)의 상부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조물(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라면 그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공간부(122)는 블록지지부(11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지지부(114)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와 결합되는 캡(120)의 공간부(122) 역시 블록지지부(114)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블록지지부(114)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공간부(122)의 형상 역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상기 블록지지부(114)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는 다른 실시예로서 측면부(124)의 일측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재(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128)는 측면부(124)를 관통하여 공간부(122) 내측에 위치하는 블록지지부(114)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캡(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128)는 측면부(124)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축부재(128a)와, 상기 축부재(128a)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축부재(128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재(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0)의 측면부(124) 일측에 상기 공간부(122)와 연통되게 형성된 나사공에 축부재(128a)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128a)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는 핸들부재(128b)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부재(128a)가 일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공간부(122) 내측에 마련되는 블록지지부(114)를 가압하는 동시에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캡(120)을 A-캐리어(110)의 블록지지부(114)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위치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구조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A-캐리어 112 : 지지부
114 : 블록지지부 120 : 캡
122 : 공간부 124 : 측면부
126 : 받침부 128 : 구속부
128a : 축부재 128b : 핸들부재
S : 구조물

Claims (6)

  1. "A"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A"자 형상의 지지부 상부에 마련되는 블록지지부로 구성되는 A-캐리어; 및
    상기 A-캐리어의 블록지지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록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블록지지부가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측면에 측면부가 형성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지지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지지부에 끼움결합하여 삽입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측면부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블록지지부에 대해 상기 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축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재;로 형성되는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20110008718U 2011-09-28 2011-09-28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0471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18U KR200471093Y1 (ko) 2011-09-28 2011-09-28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18U KR200471093Y1 (ko) 2011-09-28 2011-09-28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60U true KR20130002160U (ko) 2013-04-05
KR200471093Y1 KR200471093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18U KR200471093Y1 (ko) 2011-09-28 2011-09-28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93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18Y1 (ko) * 2013-09-06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캐리어
KR101497647B1 (ko) * 2013-05-31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어
KR101498212B1 (ko) * 2013-08-23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캐리어
KR20150001995U (ko) * 2013-11-18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비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50004553U (ko) * 2014-06-12 2015-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150145916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지지용 서포트
KR20160000267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KR20170142447A (ko) * 2016-06-17 2017-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캐리어 조립체
KR20180036247A (ko) * 2016-09-30 2018-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CN108891528A (zh) * 2018-06-29 2018-11-2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智能胎架系统和使用方法
KR102198393B1 (ko) * 2020-02-26 2021-01-05 주식회사 태양테크 선박의 블록 분리형 상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7500U (ko) * 1976-12-21 1978-07-18
KR200306323Y1 (ko) 2002-11-28 2003-03-04 전대영 책받침대가 부설된 책장선반
KR200406678Y1 (ko) * 2005-10-19 2006-01-24 (주)대광 분리형 트래슬
JP4741021B2 (ja) 2009-08-17 2011-08-03 富士ダイカスト株式会社 モデルヘッドの支持具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47B1 (ko) * 2013-05-31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어
KR101498212B1 (ko) * 2013-08-23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캐리어
KR200476118Y1 (ko) * 2013-09-06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캐리어
KR20150001995U (ko) * 2013-11-18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비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50004553U (ko) * 2014-06-12 2015-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150145916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지지용 서포트
KR20160000267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KR20170142447A (ko) * 2016-06-17 2017-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캐리어 조립체
KR20180036247A (ko) * 2016-09-30 2018-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CN108891528A (zh) * 2018-06-29 2018-11-2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智能胎架系统和使用方法
KR102198393B1 (ko) * 2020-02-26 2021-01-05 주식회사 태양테크 선박의 블록 분리형 상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93Y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93Y1 (ko)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US8084686B2 (en) Stackable power distribution box
EP3048067A1 (en) Rack for freight
CN204838744U (zh) 电动床床架
KR20130002598U (ko) 블록 지지장치
CN102544785B (zh)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US20130233851A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Using Modular Panels
EP2687642A1 (en) Irrigation and/or drainage assembly
US20160090706A1 (en) Fluid Diversion Assembly
KR101503689B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CN205854963U (zh) 包装结构和包装组件
KR200481629Y1 (ko) 터빈축 인양장치
CN203768746U (zh) 一种矿车称重仪器轨道安装结构
CN103682183B (zh) 一种电池箱
KR101434346B1 (ko) 비계 결합 장치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KR20150004626U (ko) 케이블 리프팅 장치
CN204281189U (zh) 顶升移载装置
KR20090011534U (ko) 거치대
US20170274809A1 (en) Winch Mounting System
KR200487538Y1 (ko) 이종 정반 연결장치
CN103831782B (zh) 用于开门冰箱的压紧装置
CN203111507U (zh) 一种单边单点约束固定装置
CN203846366U (zh) 一种倾斜式垫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