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553U -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53U
KR20150004553U KR2020140004430U KR20140004430U KR20150004553U KR 20150004553 U KR20150004553 U KR 20150004553U KR 2020140004430 U KR2020140004430 U KR 2020140004430U KR 20140004430 U KR20140004430 U KR 20140004430U KR 20150004553 U KR20150004553 U KR 20150004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carrier
fixing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175Y1 (ko
Inventor
정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7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반목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반목을 고정하는 반목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carrier for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물 지지용 반목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및 작업장에서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작업물(구조물)을 위치시킨 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한 예로서 캐리어(Carrier)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안정된 지지를 행할 수 있는 "A"형상의 A-캐리어(A-Carrie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캐리어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캐리어를 구조물의 하부에 배치하고, 캐리어의 상부에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반목 구비하여 상기 반목의 상부에 구조물을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캐리어와 구조물과의 높이 차가 발생하는 부분에 지지용 보강재인 반목을 위치시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캐리어(1)는 구조물(2)의 높이 조절 및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반목(3)의 위치 이동시 반목(3)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와 반목(3)을 작업자가 일일이 피스(4)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덧붙여, 사용 후 철거시에도 반목(3)을 캐리어(1)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였기 철거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함께 심할 경우 새로 캐리어를 제작하거나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구조물의 지지시 사용되는 반목의 위치를 쉽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반목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반목을 고정하는 반목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는 지지부의 상부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삽입고정되는 반목고정부를 구비하여 홀에 반목고정부를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 상에 분포된 복수개의 홀에 선택적으로 반목고정부를 끼움결합할 수 있어 위치이동이 쉽고 간편하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사용된 반목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반목고정부를 확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는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위치될 수 있도록 구조물(W)을 지지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지부(110)와, 반목(120), 그리고, 반목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구조물(W)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받침부재(112)와, 상기 받침부재(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12)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W)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1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반목고정홀(113)이 소정의 간격을 갖게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반목고정홀(113)을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반목고정부(13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지부재(114)는 상기 받침부재(112)의 하부에 기립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11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재(114)를 상방향으로 기립하게 위치시키되, 각 지지부재의 상부가 상호 맞닿도록 하여 "A"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후 맞닿은 상부에 상기 받침부재(112)의 저면이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12)의 측면 양측에 "A"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4)를 설치함으로써, 구조물(W)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디도록 한다.
반목(120)은 상기 받침부재(112)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조물(W)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조물(W)과 상기 지지부(110)의 받침부재(112) 사이의 부족한 간격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구조물(W)과 받침부재(112)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 차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W)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받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목(12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선 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조물(W)을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한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반목고정부(130)는 상기 반목(120)이 상기 지지부(110)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목(120)의 하부에 돌출되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112)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반목고정홀(113)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반목(120)의 하부에 기둥형태로 반목(12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부(110)의 받침부재(112) 상부에 형성된 반목고정홀(113)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10)에서 반목(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목(220)의 네모서리를 감싸도록 반목고정부(230)를 위치시켜 상기 반목(220)이 지지부(2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목(220)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판(232)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판(232)의 하부에 상기 반목고정홀(213)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고정구(234)로 이루어진 4개의 반목고정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220)의 각 모서리를 감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210)의 받침부재(212)에서 상기 반목(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반목고정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목고정부(230)를 상호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0)와 구조물(W) 사이의 높이의 차가 커 복수개의 반목(220)을 적층시킬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반목고정부(230) 역시 상호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판(232)의 상부에 또 다른 반목고정부(230)의 고정구(234)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공(233)을 형성하여 상기 반목고정부(230)가 상호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부(210)와 구조물(W) 사이의 높이의 차가 클 경우에도 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지지부 112 : 받침부재
113 : 반목고정홀 114 : 지지부재
120 : 반목 130 : 반목고정부
210 : 지지부 212 : 받침부재
213 : 반목고정홀 220 : 반목
230 : 반목고정부 232 : 마감판
233 : 끼움공 234 : 고정구
W : 구조물

Claims (5)

  1.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반목 및
    상기 지지부에 상기 반목을 고정하는 반목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목고정부는 상기 반목의 하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반목고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반목고정홀이 형성된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목고정부는
    상기 반목의 일부를 감싸는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반목고정홀에끼움결합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상기 반목의 측면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목고정부는 상호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감판의 상부에 또 다른 반목고정부의 고정구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공이 형성된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20140004430U 2014-06-12 2014-06-12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0479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30U KR200479175Y1 (ko) 2014-06-12 2014-06-12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30U KR200479175Y1 (ko) 2014-06-12 2014-06-12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53U true KR20150004553U (ko) 2015-12-23
KR200479175Y1 KR200479175Y1 (ko) 2015-12-31

Family

ID=5517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30U KR200479175Y1 (ko) 2014-06-12 2014-06-12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168B1 (ko) * 2017-07-31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지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35U (ja) * 1992-08-12 1994-03-08 榮 漆崎 プレート類の支持具
KR20000039472A (ko) * 1998-12-14 2000-07-05 윤종용 광센서의 위치 조절용 센서 지지부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35U (ja) * 1992-08-12 1994-03-08 榮 漆崎 プレート類の支持具
KR20000039472A (ko) * 1998-12-14 2000-07-05 윤종용 광센서의 위치 조절용 센서 지지부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75Y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663B2 (en) Holding device
USD724418S1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bond beam blocks
KR200471093Y1 (ko)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US8839574B1 (en) Solar panel device for an ISO cargo container
JP2010195411A (ja) 梱包装置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20130103807A (ko) 반송 팔레트
TW200630280A (en) Wafer container with secondary wafer restraint system
US10468173B2 (en) Support device of an active part of a current transformer
JP2015102935A (ja) 自動販売機の転倒防止具
KR200481629Y1 (ko) 터빈축 인양장치
JP5898932B2 (ja) 二重床パネル構造
JP5279798B2 (ja) 免震床構造
KR200479744Y1 (ko) 블록 지지장치
JP6238437B2 (ja) 作業足場の設置構造
KR200497779Y1 (ko)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JP3196544U (ja) 床敷材高さ調整ユニット
JP3135142U (ja) ラック
KR20130004258U (ko) 작업용 케이블 걸이대
EP2266444A1 (en) Plant holder system
JP3179702U (ja) ラック装着具
KR20140006017U (ko) 선체 블록 지지용 서포터
KR101497550B1 (ko) 구조물 인양용 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