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12B1 - 선박 건조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12B1
KR101498212B1 KR20130100375A KR20130100375A KR101498212B1 KR 101498212 B1 KR101498212 B1 KR 101498212B1 KR 20130100375 A KR20130100375 A KR 20130100375A KR 20130100375 A KR20130100375 A KR 20130100375A KR 101498212 B1 KR101498212 B1 KR 10149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am
stiffener
plate
ball screw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열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obot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선박 건조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는 선박 건조용 블록이 적재되는 수평빔; 상기 수평빔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빔을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수평빔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빔의 외부로 출몰하여 상기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보강재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수평빔의 하나 이상의 안착구멍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건조용 캐리어{CARRIER FOR VESSEL BUILD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시 사용되는 블록을 지지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대형 선박 등을 건조하기 위해 선박 구조물을 블록화하여 블록으로 만들고, 이 블록을 각각 조립하는 방식으로 선박을 건조하고 있다. 이때, 각 블록을 조립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이렇게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 예로서, 캐리어(carrier)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선소에서는 블록을 지지 또는 적재 혹은 이동시키기 위한 받침 구조물로서, 다양한 타입, 예컨대, 안정된 지지를 행할 수 있는 "A"형상의 A-캐리어(A-carrier), D-캐리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캐리어는 단순히 해당 블록을 지지하기 위하여 특허문헌에 개시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2개로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부 및 수평빔은 중공 단면의 박스형 축부재일 수 있고, 해당 블록의 사이즈에 맞게 해당 블록을 지지할 수 있고, 복수개로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복수개를 다열로 배열하도록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어서 고정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활용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지지한 상태의 캐리어는 단수 또는 복수의 트랜스포터(transporter)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포터는 평평한 선체 블록 또는 평평한 저면의 수평빔을 갖는 캐리어를 실을 수 있도록, 평평한 철판 캐리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의 바퀴가 양 측면을 따라 이중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터는 1000톤 전후의 블록 및 캐리어를 운반할 수 있어야 하므로, 트랜스포터에 결합된 바퀴는 작은 지름을 가지며, 여러 개가 촘촘히 나열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터의 바퀴 구조는 하나의 큰 하중을 여러 개의 바퀴에서 분포하중으로 나누어 지지할 수 있어 큰 중량의 화물을 싣고 나르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선박 건조용 블록의 저부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리어의 수평빔의 평평한 상면 또는 트랜스포터의 평평한 철판 캐리어의 상면과 달리 의장품이 블록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블록의 저면 자체가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평활면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된 의장품을 갖거나 또는 평활한 저면이 아닌 상태의 블록을 캐리어의 수평빔에 적재할 때, 상기 의장품과 수평빔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곳을 찾아서 블록을 캐리어의 수평빔에 적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의장품과 캐리어의 수평빔간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평활한 저면을 갖고 있지 않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반목을 여러 층으로 적층 또는 적치하거나, 별도의 H빔을 용접하여 개재하기 때문에, 지지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특히 트랜스포터에 의해 캐리어 및 블록을 옮길 때, 급정거 상황 발생시, 상기 적층된 반목의 형태가 이쪽 부위와 저쪽 부위가 흐트러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캐리어의 사용 이후, 별도로 용접한 H빔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H빔과 캐리어의 연결 부위에 용접 부위 또는 흔적이 남기 때문에, 용접 부위 또는 흔적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부수적인 작업이 요구하는 등과 같이, 선박 건조 작업시 캐리어의 재사용에 따른 비 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160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이 조절 또는 승강이 가능한 보강재를 구비함으로써, 블록의 저면에 돌출된 의장품(이하, 의장품이라 칭한다)을 회피하거나, 평활한 저면을 갖지 않는 블록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재 사용이 용이한 선박 건조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건조용 블록이 적재되는 수평빔; 상기 수평빔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빔을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수평빔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빔의 외부로 출몰하여 상기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보강재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수평빔의 하나 이상의 안착구멍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멍은, 상기 수평빔의 정면판; 상기 정면판에서 상기 수평빔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수평빔의 배면판; 및 상기 수평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정면판의 내측면과 상기 배면판의 내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내부격벽에 의해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강재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보강재의 하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수평빔의 상면판의 레벨과 일치되고, 상기 안착구멍에 삽입 가능한 평면적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수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볼스크류식 잭업장치 또는 유압식 잭업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식 잭업장치는, 상기 안착구멍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샤프트;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수평빔의 핸들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의 외측으로 연장된 기어샤프트; 상기 기어샤프트의 끝단에 결합된 핸들; 상기 웜기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스톱퍼;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의 내부 보스에 설치된 볼스크류 블록;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의 주변으로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세워진 가이드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지지대와 보강재의 측판의 사이에 결합된 선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식 잭업장치는, 상기 안착구멍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 상기 보강재의 상판의 저면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에 결합된 작동암;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펌핑하거나 릴리싱하는 유압제어장치; 및 상기 유압제어장치의 펌핑을 위하여, 상기 수평빔의 레버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의 외부로 연장된 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는 캐리어의 수평빔의 내부에 마련된 보강재가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평활한 저면을 갖지 않는 블록의 저면 형상에 맞게 상기 보강재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어의 재 사용을 위해 보강재를 원래의 수평빔의 내부 공간으로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접 부위 제거와 같은 부가적인 작업 없이 캐리어의 재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어의 수평빔에서 돌출 또는 안착되는 보강재의 작동을 위해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수동 기구적인 승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블록을 지지한 상태의 캐리어의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강재와 제 1 승강수단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승강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강재를 갖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에 의해 블록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는 2개로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다리부(10)와, 다리부(1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빔(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부(10)는 수평빔(20)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빔(20)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직각 또는 원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A자 형상과 유사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확장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빔(20)은 캐리어의 규격에서 정한 길이를 갖는 정면판(21)과, 정면판(21)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되고 동일 길이를 갖는 배면판(22)과, 정면판(21) 및 배면판(22)의 하부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는 저면판(23), 및 정면판(21) 및 배면판(22)의 상부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판(24), 및 수평빔(20)의 양측 끝단을 마감하도록, 상기 정면판(21), 배면판(22), 저면판(23) 및 상기 상면판(24)에 연결된 마감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빔(20)의 내부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해서 다수의 격판(26)(도 2 참조)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수평빔(20)은 선박 건조용 블록이 적재되는 곳에 해당할 수 있고, 승강형 보강재(100)(이하, '보강재'로 칭함)를 안착구멍(29)에서 상향으로 돌출 또는 상승시키지 않은 경우, 보강재(100)의 상부표면의 레벨과 수평빔(20)의 상면판(24)의 상부표면의 레벨이 일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캐리어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예는 선박 건조용 특수 블록, 예컨대, 블록의 저면이 평활하지 않고 단차를 갖거나, 다수의 의장품이 돌출되어 있는 지지 대상물을 지지할 때, 보강재(100)를 상승시면서, 보강재(1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지지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재(100)의 높이 조절은 하기에 설명할 각종 승강수단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핸들(201)을 회전시켜서, 상기 보강재(100)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스톱퍼 손잡이(241)를 좌, 우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보강재(100)를 정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100) 및 안착구멍(29)은 수평빔(20)의 상면판(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착구멍(29)와 같은 수평빔(20)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빔(20)의 외부(예: 상향)로 출몰하여 지지 대상물인 해당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승강수단은 하기의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보강재(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보강재(100)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수평빔(20)의 하나 이상의 안착구멍(29)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강재와 제 1 승강수단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착구멍(29)은 상기 수평빔(20)의 정면판(21)과, 상기 정면판(21)에서 상기 수평빔(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수평빔(20)의 배면판(22)과, 상기 수평빔(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정면판(21)의 내측면과 상기 배면판(22)의 내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내부격벽(27, 2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구멍(29)의 상부는 상기 보강재(100)가 설치 및 작동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안착구멍(29)의 바닥부는 상기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의해 마감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저면판(23)에는, 수평빔(20)의 외부에서 수평빔(20)의 내부로 유입 가능한 빗물, 유체 등을 수평빔(2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면판(23)에는 드레인 구멍(23a)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멍(29)의 입구에 해당하는 상부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보강재(100)의 표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접촉을 통해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링(30)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보강재(100)는 보강재(100)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보강재(100)의 하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수평빔(20)의 상면판(24)의 레벨과 일치되고, 상기 안착구멍(29)에 삽입 가능한 평면적의 상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는 보강재(100)의 상판(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110)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승강수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홈(121, 122)이 형성된 측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0)의 측판(120)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눈금자(123)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눈금자(123)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보강재(100)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제 1 실시예의 경우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일 수 있다.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안착구멍(29)의 바닥에 해당하는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샤프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볼스크류 샤프트(210)는 스러스트 베어링(211)을 갖는 샤프트지지부(212)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 샤프트(210)는 저면판(23)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볼스크류 샤프트(210)의 끝단에 단차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213)의 상면은 보강재(100)의 상판(110)의 저면과 비 접촉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볼스크류 샤프트(210)에 결합된 웜기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웜기어(220)는 볼스크류 샤프트(210)에 축결합되어서,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210)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상기 웜기어(220)에 치합되고, 상기 수평빔(20)의 정면판에 형성된 핸들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20)의 외측으로 연장된 기어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샤프트(230)는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설치된 샤프트 지지베어링블록(2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어샤프트(230)의 끝단에는 핸들(201)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핸들(201)은 작업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22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스톱퍼(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240)는 스톱퍼 손잡이(241)를 좌, 우로 스위칭할 때, 웜기어(220) 쪽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스톱퍼 기구장치 및 스톱기어(242)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래치, 브레이크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톱퍼(240)의 스톱기어(242)가 웜기어(220)에 치합될 때 록킹 상태가 되로, 웜기어(220)로부터 분리될 때 언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볼스크류 샤프트(210)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100)의 내부 보스(130)에 설치된 볼스크류 블록(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볼스크류 샤프트(210)의 주변으로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세워진 가이드지지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는 가이드지지대(260)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271)과, 상기 가이드레일(271)에서 슬라이딩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강재(100)의 측판(120)의 내면에 설치된 가이드블록(272)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즉 가이드지지대(260)와 보강재(100)의 측판(120)의 사이에 결합된 선형가이드(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지지대(260)의 상단에는 보강재(100)의 상판(110)의 저면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재(280)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승강수단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강재를 갖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에 의해 블록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제 1 실시예의 지지 대상물인 해당 블록(9)(도 5 참조)의 설계 도면을 확인하여, 상기 블록(9)의 형상, 치수를 확인하고,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블록(9)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보강재(100)의 높이 조절량을 미리 파악한다. 이때, 스톱퍼(240)는 언록킹 상태일 수 있다.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각 보강재(100) 마다 핸들(201)을 회전시킨다.
이런 경우, 핸들(201)의 회전력이 기어샤프트(230) 및 웜기어(220)를 통해 볼스크류 샤프트(210)에 전달되어서, 볼스크류 샤프트(210)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볼스크류 샤프트(210)에 대하여 회전대우 관계에 있는 볼스크류 블록(250)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력을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이때, 보강재(100)는 선형가이드(270)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스크류 블록(250)에 연결된 보강재(100)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파악한 높이 조절량만큼 상기 보강재(100)를 상승시킨 이후, 핸들(201)의 핸들을 정지시키고, 스톱퍼(240)의 스톱퍼 손잡이(241)를 록킹 상태로 스위칭함으로서, 스톱퍼(240)의 스톱기어(242)가 웜기어(220)에 치합되고, 그 결과 보강재(100)의 상승 상태가 도 4와 같이 고정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각 보강재(100) 마다 해당 핸들(201) 및 스톱퍼 손잡이(241)를 사용하여, 보강재(100)의 높이를 각각 해당 블록(9)의 저면 형상에 맞게 조절한다.
이후, 블록(9)은 크레인에 의해 인양 및 운반되어, 수평빔(20)에 적재되고, 이후, 보강재(100)의 상면이 블록(9)의 저면 형상에 맞게 블록(9)을 지지 및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이 완료된 보강재(100)는 스톱퍼를 언록킹 상태로 하고, 역회전시켜서, 원래 상태로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용이하고, 블록(9)의 저면 형상에 맞게 보강재(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승강수단은 일 예로서 볼스크류식 잭업장치(200)를 언급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피니언 기어를 핸들(201)로 회전시킬 경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고, 보강재(100)에 부착된 랙 기어에 의해 보강재(100)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랙-피니언 방식의 구조로도 설계 변경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는, 보강재의 승강수단이 유압식 잭업장치인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선박 건조용 캐리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강재(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보강재(100)의 높이를조절하는 승강수단은 제 2 실시예의 경우 안착구멍(29)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설치되고, 보강재(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식 잭업장치(200a)일 수 있다.
유압식 잭업장치(200a)는 안착구멍(29)의 바닥에 해당하는 수평빔(20)의 저면판(23)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91)와, 보강재(100)의 상판(110)의 저면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91)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291)에 결합된 작동암(292)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암(292)의 끝단과 보강재(100)의 상판(110)의 저면의 사이에는 조인트부재(293)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압식 잭업장치(200a)는 상기 유압실린더(291)에 연결되고, 펌핑 기능(유압실린더에 유압 공급), 정지 기능(유압실린더의 밸브를 차단하여 유압실린더의 내부 유압을 유지), 릴리싱 기능(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을 회수)을 수행하는 유압제어장치(29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제어장치(294)는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핸드 헬드(hand-held) 방식의 유압램 또는 유압잭에 결합된 펌핑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잭업장치(200a)는 상기 유압제어장치(294)의 펌핑, 정지, 릴리싱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빔(20)의 레버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20)의 외부로 연장된 작동레버(29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레버(295)는 유압제어장치(294)의 내부 펌프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압제어장치(294)는 유압의 펌핑, 정지, 릴리싱 기능에 대응하게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유압실린더(291)의 밸브(미 도시)를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칭부(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96)의 손잡이는 수평빔(20)의 내부에 위치한 유압제어장치(294)에 연결되어서 수평빔(20)의 개구를 통하여 수평빔(20)의 외부로 연장된 연결바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스위칭부(296)를 펌핑 기능 쪽으로 스위칭 하고, 이후 작동레버(295)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킨다. 여기서, 작동레버(295)의 왕복 이동이란 작업자의 힘으로 작동레버(295)를 펌핑하듯이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왕복 이동에 따른 힘을 받아서, 유압제어장치(294)에서 유압이 펌핑되고, 이후 상기 작동암(292) 및 보강재(1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유압제어장치(294)의 유압이 유압실린더(291)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 결과, 보강재(100)가 상승하고, 역시 작업자는 눈금자(123)를 확인하면서, 작동레버(295)의 왕복 이동을 조절한다.
결국, 보강재(100)가 목표 높이에 도달할 경우, 작업자는 작동레버(295)의 왕복 이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위칭부(296)를 정지 기능 쪽으로 스위칭 한다.
그 결과 보강재(100)의 상승 상태가 도 8과 같이 고정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스위칭부(296)를 릴리싱 기능 쪽으로 스위칭 할 경우, 유압실린더(291)에 공급되던 유압이 유압제어장치(294) 쪽으로 회수됨과 동시에, 보강재(100) 및 작동암(292)의 자중에 원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다리부 20 : 수평빔
29 : 안착구멍 100 : 보강재
110 : 상판 120 : 측판
200 : 볼스크류식 잭업장치 200a : 유압식 잭업장치

Claims (6)

  1. 선박 건조용 블록이 적재되는 수평빔;
    상기 수평빔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빔을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수평빔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빔의 외부로 출몰하여 상기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보강재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수평빔의 하나 이상의 안착구멍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멍은, 상기 수평빔의 정면판;
    상기 정면판에서 상기 수평빔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수평빔의 배면판; 및
    상기 수평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정면판의 내측면과 상기 배면판의 내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내부격벽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강재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보강재의 하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수평빔의 상면판의 레벨과 일치되고, 상기 안착구멍에 삽입 가능한 평면적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수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볼스크류식 잭업장치 또는 유압식 잭업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식 잭업장치는,
    상기 안착구멍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샤프트;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수평빔의 핸들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의 외측으로 연장된 기어샤프트;
    상기 기어샤프트의 끝단에 결합된 핸들;
    상기 웜기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스톱퍼;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의 내부 보스에 설치된 볼스크류 블록;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의 주변으로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세워진 가이드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지지대와 보강재의 측판의 사이에 결합된 선형가이드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잭업장치는,
    상기 안착구멍의 바닥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빔의 저면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
    상기 보강재의 상판의 저면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에 결합된 작동암;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펌핑하거나 릴리싱하는 유압제어장치; 및
    상기 유압제어장치의 펌핑을 위하여, 상기 수평빔의 레버구멍을 통해서 상기 수평빔의 외부로 연장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캐리어.
KR20130100375A 2013-08-23 2013-08-23 선박 건조용 캐리어 KR10149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75A KR101498212B1 (ko) 2013-08-23 2013-08-23 선박 건조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75A KR101498212B1 (ko) 2013-08-23 2013-08-23 선박 건조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212B1 true KR101498212B1 (ko) 2015-03-03

Family

ID=5302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375A KR101498212B1 (ko) 2013-08-23 2013-08-23 선박 건조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8614A (zh) * 2020-12-03 2021-03-16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抬升出运系统
CN112693577A (zh) * 2020-04-30 2021-04-2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用于船舶碳钢槽型件的制作方法
KR20230029096A (ko) 2021-08-23 2023-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적치용 랙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169A (ko) * 1996-12-30 1998-10-07 신영균 강판의 곡면 가공 방법과 그 장치
KR2013000179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130048326A (ko) * 2011-11-02 2013-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169A (ko) * 1996-12-30 1998-10-07 신영균 강판의 곡면 가공 방법과 그 장치
KR2013000179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KR20130002160U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130048326A (ko) * 2011-11-02 2013-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3577A (zh) * 2020-04-30 2021-04-2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用于船舶碳钢槽型件的制作方法
CN112498614A (zh) * 2020-12-03 2021-03-16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抬升出运系统
CN112498614B (zh) * 2020-12-03 2024-03-26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抬升出运系统
KR20230029096A (ko) 2021-08-23 2023-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적치용 랙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6089B (zh) 飞机发动机单元体运输托架
CN104528609B (zh) 一种桥式作业平台
US8388265B2 (en) Watercraft lift system
US6786170B2 (en) Boat lifting device
EP2978651B1 (en) Skidding system for an offshore installation or vessel
KR101498212B1 (ko) 선박 건조용 캐리어
CN109466718B (zh) 一种起重船舶平衡系统及其工作方法
US20130036673A1 (en) Container or vehicle body with side door and a side door drive unit
US9233732B2 (en) Adjustable planing device for pontoon boats
KR100623202B1 (ko) 대형 구조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06829807A (zh) 模块化机动移动器附接
US8955452B1 (en) Adjustable planing device for pontoon boats
KR20150102097A (ko) 멀티 데크 자동차/트럭 캐리어(pctc)에 탑재된 차량/트럭 운반 데크 패널을 리프팅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4291129B (zh) 升降式货物装卸台
KR20090101891A (ko) 오일리그 데크의 운반, 설치 및 분해용 구조물과 이러한 구조물의 이용방법
CN114026039A (zh) 具有偏移销的剪刀式升降机
KR101984667B1 (ko) 갠트리 크레인
KR20210158528A (ko) 플로팅 도크
JP2006219971A (ja) 車両昇降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KR102125632B1 (ko) 틸팅 가능한 지게차용 기능성 포크암 어셈블리
CN201610054U (zh) 潮间带自升自行式工作船
JP2009269595A (ja) 荷役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
US11591198B2 (en) Materials handling vehicle having tilting fork carriage assembly with telescopic forks
SE542361C2 (sv) Lyftsystem
EP2465812B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n extendable m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