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26U - 케이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26U
KR20150004626U KR2020140004642U KR20140004642U KR20150004626U KR 20150004626 U KR20150004626 U KR 20150004626U KR 2020140004642 U KR2020140004642 U KR 2020140004642U KR 20140004642 U KR20140004642 U KR 20140004642U KR 20150004626 U KR20150004626 U KR 20150004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oles
column
c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480Y1 (ko
Inventor
윤희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8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00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 B66F1/02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 B66F1/025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devices being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00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 B66F1/02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 B66F1/04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 B66F1/08Devices, e.g. jacks, for lifting loads in predetermined steps with locking elements, e.g. washers, co-operating with posts the posts being toothed and the devices being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2Lifting devices with a toothed post and pawl latch or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 B66F2700/025Lifting devices with a toothed post and pawl latch or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with a post and lo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케이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블 리프팅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 기둥에 장착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케이블을 리프팅하는 포크, 기둥에 장착되고, 포크 하부에 포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 및 포크와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포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핸드 자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리프팅 장치{CABLE LIFTING DEVICE}
본 고안은 케이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협소한 공간인 공동구 내에서의 고압케이블 증설 작업시,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교체하기 위해 케이블 전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다만, 공간의 협소함 및 케이블의 무게로 인해 케이블을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10-2014-0016552 (공개일: 2014. 02. 10)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협소한 공간에서, 케이블(cable)을 받침대로부터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 리프팅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 기둥에 장착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리프팅하는 포크, 기둥에 장착되고, 포크 하부에 포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 및 포크와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포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핸드 자키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제1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대는 다수의 제1 홀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핀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및 제2 홀을 관통하여 포크를 기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핀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및 제3 홀을 관통하여 지지대를 기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포크의 외부에는 고무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 리프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기둥, 케이블을 리프팅하고, 다수의 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기둥에 장착되는 포크 및 포크를 리프팅하는 유압 핸드 자키가 장착되고, 다수의 홀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기둥에 장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 핸드 자키는 포크와 지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케이블 리프팅 장치에 따르면, 협소한 공간에서 무거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지지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지지대 및 유압 핸드 자키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케이블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지지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지지대 및 유압 핸드 자키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 리프팅 장치(1)는 기둥(100), 포크(110), 지지대(120), 유압 핸드 자키(130), 받침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10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둥(10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다수의 제1 홀(B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10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제1 홀(BH)은 기둥(100)의 길이 방향(즉,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1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홀(BH)과 대응되도록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제1 홀(BH)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예를 들면, P1 또는 P2)은 제1 홀(BH)을 통해 기둥(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관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포크(110) 또는 지지대(120)가 기둥(1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기둥(100)의 하면이 받침대(150) 상에 장착됨으로써, 기둥(100)은 제1 방향(X)으로 곧게 세워질 수 있다.
포크(110)는 기둥(100)에 장착되고,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리프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크(110)는 제1 고정부(111)와 제1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는 다수의 제1 홀(BH)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예를 들면, 제1 핀(P1))에 의해 기둥(100)에 고정되고, 제1 돌출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12)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고정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111)는 다수의 제1 홀(BH)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2 홀(FH1, FH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11)는, 기둥(100)의 제1 홀(BH)과 오버랩되고 고정부(111)의 2 면(즉, 서로 마주보는 2면)에 각각 위치한 제2 홀(FH1, FH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핀(P1)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홀(BH) 및 제2 홀(FH1, FH2)을 관통하여 제1 고정부(111)를 기둥(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포크(110)의 외부에는 고무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패드(미도시)는 포크(1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거나 케이블과 접촉하는 제1 돌출부(112)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고무 패드(미도시)는 제1 돌출부(112)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고무 패드(미도시)를 포크(110)의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케이블을 리프팅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기둥(1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20)는 제2 고정부(121)와 제2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는 다수의 제1 홀(BH)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예를 들면, 제2 핀(P2))에 의해 기둥(100)에 고정되고, 제2 돌출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22)는 기둥(100)을 기준으로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고정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2 고정부(121)는 다수의 제1 홀(BH)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3 홀(SH1, SH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121)는, 기둥(100)의 제1 홀(BH)과 오버랩되고 제2 고정부(121)의 2 면(즉, 서로 마주보는 2면)에 각각 위치한 제3 홀(SH1, SH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핀(P1)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홀(BH) 및 제3 홀(SH1, SH2)을 관통하여 제2 고정부(121)를 기둥(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압 핸드 자키(130)는 포크(110)와 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핸드 자키(130)의 상면은 제1 돌출부(112)의 하면과 접촉하고, 유압 핸드 자키(130)의 하면은 제2 돌출부(122)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유압 핸드 자키(130)는 유압 생성부(131), 유압 제어부(132), 리프팅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생성부(131)는 유압 제어부(132)로부터 제공받은 힘 또는 신호를 토대로 리프팅부(133)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제어부(132)는 외부(예를 들면, 기계 또는 작업자)로부터 힘 또는 신호를 제공받아 유압 생성부(131)가 유압을 생성하기 위한 힘 또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리프팅부(133)는 유압 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유압에 의해 수직 방향(예를 들면, 제1 방향(X))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리프팅된 리프팅부(133)에 의해 포크(110) 역시 수직 방향(예를 들면, 제1 방향(X))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 핸드 자키(130)는 포크(110) 즉, 제1 돌출부(112)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150)는 기둥(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50) 상에는 기둥(100)이 배치될 수 있고, 받침대(150)는 기둥(100)이 제1 방향(X)으로 곧게 세워질 수 있도록 기둥(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50)는 ㄷ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받침대(150)는 기둥(10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케이블 리프팅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케이블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유압 핸드 자키(130)의 리프팅부(133)는 유압 생성부(131)로부터 제1 길이(L1)만큼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유압 제어부(132)에 특정 신호 또는 특정 힘이 제공되면, 유압 생성부(131)에서 특정 크기의 유압이 생성되고, 생성된 유압에 의해 리프팅부(133)는 B 방향(즉, 제1 방향(X))으로 리프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B 방향으로 리프팅된 리프팅부(133)에 의해 포크(110) 즉, 제1 돌출부(112)는 제1 방향(X)으로 제2 길이(L2) - 제1 길이(L1)만큼 리프팅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133)가 유압 생성부(131)로부터 제1 길이(L1)보다 긴 제2 길이(L2)만큼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지지대(110)를 리프팅시에는, 제1 고정부(111)의 제2 홀(FH1, FH2)을 관통하는 핀(예를 들면, 제1 핀(P1)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크(110)를 리프팅한 후에는, 제1 고정부(111)를 제1 핀(P1)을 이용하여 기둥(100)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지지대(120)의 경우에도, 제2 핀(P2)을 제거한 후 지지대(1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대(120)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는, 제2 고정부(121)를 제2 핀(P2)을 이용하여 기둥(100)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 장치(1)는 케이블을 리프팅하는 포크(110)를 유압 핸드 자키(130)를 이용하여 제1 방향(X)으로 리프팅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인 공동구 내에서 케이블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포크(110)의 외부에는 고무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리프팅 작업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둥 110: 포크
120: 지지대 130: 유압 핸드 자키
150: 받침대

Claims (6)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리프팅하는 포크;
    상기 기둥에 장착되고, 상기 포크 하부에 상기 포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 및
    상기 포크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핸드 자키를 포함하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다수의 제1 홀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및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포크를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다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및 제3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6.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기둥;
    케이블을 리프팅하고, 상기 다수의 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상기 기둥에 장착되는 포크; 및
    상기 포크를 리프팅하는 유압 핸드 자키가 장착되고, 상기 다수의 홀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상기 기둥에 장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
KR2020140004642U 2014-06-19 2014-06-19 케이블 리프팅 장치 KR200480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42U KR200480480Y1 (ko) 2014-06-19 2014-06-19 케이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42U KR200480480Y1 (ko) 2014-06-19 2014-06-19 케이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26U true KR20150004626U (ko) 2015-12-30
KR200480480Y1 KR200480480Y1 (ko) 2016-05-30

Family

ID=5517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42U KR200480480Y1 (ko) 2014-06-19 2014-06-19 케이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227A (zh) * 2019-04-16 2019-06-11 江苏健雄电气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变压器施工用安装装置
KR102628167B1 (ko) * 2023-06-21 2024-01-23 황하준 수동형 중량물 수직이송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034B1 (ko) 1996-12-30 1999-07-15 정범모 체인형 스토퍼가 형성된 인양기
JP2001261290A (ja) 2000-03-17 2001-09-26 Yamashita Kucho Kk 昇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227A (zh) * 2019-04-16 2019-06-11 江苏健雄电气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变压器施工用安装装置
KR102628167B1 (ko) * 2023-06-21 2024-01-23 황하준 수동형 중량물 수직이송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80Y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160U (ko)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200480480Y1 (ko) 케이블 리프팅 장치
TW201636514A (zh) 安裝裝置
KR20140003772U (ko) 단차 조정 장치
JP6360085B2 (ja) 射出装置の取付架台および射出成形装置
KR20150002736U (ko) 바퀴가 장착된 공사현장용 임시 전기 분전반
KR101286899B1 (ko) 진동 방지형 곤돌라 시스템
CN104180960A (zh) 一种用于将待测件固定在测试平台上的夹具
JP2015077715A (ja) トランスを有する射出成形機
CN105089271A (zh) 机械式预埋螺栓定位安装组件
CN103358062B (zh) 一种用于机器人焊接的夹具快速切换装置
KR20140002107U (ko) 코밍부재 설치용 지그
CN106493447B (zh) 汇流条焊接工装
KR200477683Y1 (ko) 선박용 용접 구조체 분리 장치
KR200478590Y1 (ko) 전력선 연결 장치
KR20130032651A (ko) 케이블 정리 장치
KR20150000264A (ko) 억세스 플로어 스트링거 설치 구조
KR101491246B1 (ko) 교량용 케이블 거치대
JP6105400B2 (ja) 射出成形機のケーブル配線装置及び姿勢保持部材
KR20140003553U (ko) 러그 고정 장치
CN106476040A (zh) 机器人系统组件及其移动平台
KR101826646B1 (ko)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KR101496002B1 (ko) 볼트 고정장치
KR200489010Y1 (ko) 서포트 슬리브 현장 맞춤용 지그
JP6809289B2 (ja) エレベーター機器の揚重システムおよび揚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