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46B1 -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46B1
KR101826646B1 KR1020160115543A KR20160115543A KR101826646B1 KR 101826646 B1 KR101826646 B1 KR 101826646B1 KR 1020160115543 A KR1020160115543 A KR 1020160115543A KR 20160115543 A KR20160115543 A KR 20160115543A KR 101826646 B1 KR101826646 B1 KR 10182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tructure
fixing
surface contact
vertical support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고, 수직지지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그립부; 바닥지지대의 상부면에 상방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된 수직지지대; 및 포크리프트 삽입구가 형성된 바닥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Fixing and Moving Device for Circular Structure}
본 발명은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대형 구조물이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구조물의 일측 일부를 잡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대형 구조물의 일측 일부만을 잡아 고정하고 있어, 대형 구조물을 이동시킬 경우 전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높은 가압력으로 대형 구조물을 잡아 고정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높은 가압력으로 잡기 때문에 대형 구조물의 일부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522170 (2015년 05월 15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고, 수직지지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그립부; 바닥지지대의 상부면에 상방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된 수직지지대; 및 포크리프트 삽입구가 형성된 바닥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수직지지대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수평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표면과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면접촉가압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면접촉가압부의 위치를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면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연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롯 구조의 관통구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에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수직지지대의 양측부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접촉가압부의 일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접촉가압부의 일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부피를 변경시켜 원형 구조물의 약측부 면과 면접촉과 동시에 가압을 수행하는 공기압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일단부에 면접촉가압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속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 구조이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볼팅 동작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볼팅가압부; 및 상기 볼팅가압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볼팅가압부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핸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접촉가압부 사이에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면을 가압하도록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면접촉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고정부재는 작업자에 의해 폭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길이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 그립부의 일단부에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어 수직지지대의 양측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에는 바닥면과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앙카볼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그립부, 수직지지대 및 바닥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슬롯 구조의 관통구가 형성된 수평연장부, 수직지지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립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표면과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면접촉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에 대한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면접촉가압부의 일측면에 탄성부재 또는 공기압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에 대한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면접촉가압부 사이에 면접촉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의 표면을 파지함에 있어 특정 부위에만 가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면접촉 파지를 유도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바닥면과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앙카볼트를 포함하는 바닥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의 그립부 및 수직지지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그립부 및 수직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면접촉가압부 및 위치조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면접촉가압부 및 위치조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의 그립부 및 수직지지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그립부(110), 수직지지대(120) 및 바닥지지대(13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지지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포크리프트 삽입구(13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100)는 포크리프트에 의해 손쉽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닥지지대(130)에는 바닥면과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앙카볼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바닥지지대(130)는 바닥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10)는, 원형 구조물(10)의 양측부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원형 구조물(10)을 고정하고, 수직지지대(120)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부(110)는, 수평연장부(111), 면접촉가압부(112) 및 위치조정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수평연장부(111)는, 수직지지대(120)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수평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면접촉가압부(112)는, 수평연장부(111)의 일단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형 구조물(10)의 양측부 표면과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113)는, 수평연장부(111)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면접촉가압부(112)의 위치를 원형 구조물(10)의 양측부면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111)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롯 구조의 관통구(114)가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구(114)에 체결볼트(115)가 삽입되어 수직지지대(120)의 양측부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 구조의 관통구(114)가 형성된 수평연장부(111), 수직지지대(120)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그립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립부(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접촉가압부(112)의 일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16)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 구조물과 더욱 안정적으로 면접촉하며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원형 구조물의 외부면에 높은 가압력에 의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탄성부재(116)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 탄성부재(116)를 생략하고, 면접촉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접촉가압부(112)의 일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부피를 변경시켜 원형 구조물의 약측부 면과 면접촉과 동시에 가압을 수행하는 공기압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압 패드에 적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원형 구조물과의 면접촉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정부(11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가압부(117) 및 핸들(118)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팅가압부(117)는, 일단부에 면접촉가압부(112)와 회전가능하도록 결속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 구조이며, 수평연장부(111)의 일단부에 볼팅 동작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핸들(118)은 볼팅가압부(117)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볼팅가압부(117)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그립부 및 수직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10)는, 원형 구조물(10)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어 수직지지대(120)의 양측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립부(110)의 고정 위치 및 수량은 설계자의 의도 및 원형 구조물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는 그립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면접촉가압부 및 위치조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면접촉가압부(112) 사이에는, 원형 구조물(10)의 양측부면을 가압하도록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면접촉가압부(112)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119)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폭고정부재(140)는 작업자에 의해 폭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길이 변경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면접촉가압부 사이에 면접촉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119)를 장착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의 표면을 파지함에 있어 특정 부위에만 가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면접촉 파지를 유도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폭고정부재(140)의 폭을 변경할 수 있는 길이 변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원형 구조물에 대해 손쉽게 적용 가능하다.
도 8에는 도 4에 도시된 면접촉가압부 및 위치조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10)의 일단부에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돌기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그립부(110)로부터 원형 구조물이 이탈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19)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구조와 간섭을 일으켜 원형 구조물이 더 이상 일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19)의 형상과 돌출 길이는 원형구조물의 양측부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그립부, 수직지지대 및 바닥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키를 넘는 대형 구조물 특히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슬롯 구조의 관통구가 형성된 수평연장부, 수직지지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서, 원형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그립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원형구조물의 양측부 표면과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면접촉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에 대한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면접촉가압부의 일측면에 탄성부재 또는 공기압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에 대한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면접촉가압부 사이에 면접촉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원형구조물의 표면을 파지함에 있어 특정 부위에만 가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면접촉 파지를 유도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원형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원형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에 따르면, 바닥면과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앙카볼트를 포함하는 바닥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원형 구조물
20: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및 이동장치
100: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110: 그립부
111: 수평연장부
112: 면접촉가압부
113: 위치조정부
114: 관통구
115: 체결볼트
116: 탄성부재
117: 볼팅가압부
118: 핸들
119: 돌기부
120: 수직지지대
130: 바닥지지대
131: 포크리프트 삽입구
140: 폭고정부재

Claims (11)

  1.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원형 구조물을 고정하고, 수직지지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그립부;
    바닥지지대의 상부면에 상방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된 수직지지대; 및
    포크리프트 삽입구가 형성된 바닥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수직지지대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수평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판상형 구조의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면에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표면과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탄성부재가 장착되거나, 또는 일측면에 공기압을 제공받아 부피를 변경시켜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표면과 면접촉과 동시에 가압을 수행하는 공기압 패드가 장착되는 면접촉가압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면접촉가압부의 위치를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면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위치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롯 구조의 관통구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에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수직지지대의 양측부와 결속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일단부에 면접촉가압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속되고,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 구조이며, 수평연장부의 일단부에 볼팅 동작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볼팅가압부; 및
    상기 볼팅가압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볼팅가압부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면접촉가압부 사이에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면을 가압하도록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면접촉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는 폭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고정부재는 작업자에 의해 폭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길이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에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원형 구조물의 양측부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 배치되어 수직지지대의 양측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에는 바닥면과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앙카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KR1020160115543A 2016-09-08 2016-09-08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KR10182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43A KR101826646B1 (ko) 2016-09-08 2016-09-08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43A KR101826646B1 (ko) 2016-09-08 2016-09-08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646B1 true KR101826646B1 (ko) 2018-02-07

Family

ID=6120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543A KR101826646B1 (ko) 2016-09-08 2016-09-08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89A (ja) * 1999-06-18 2001-01-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クランプアタッチメント
JP2012177344A (ja) * 2011-02-28 201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半円形板状ワークの反転装置
KR200464927Y1 (ko) * 2010-11-19 2013-01-25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89A (ja) * 1999-06-18 2001-01-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クランプアタッチメント
KR200464927Y1 (ko) * 2010-11-19 2013-01-25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JP2012177344A (ja) * 2011-02-28 201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半円形板状ワークの反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4310A (ja) 固定具
US8601647B2 (en) Clip
KR101826646B1 (ko)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JP3148508U (ja) ワゴン用被搬送物の保持装置
WO2007088675A1 (ja) 板状体搬送具
KR200480480Y1 (ko) 케이블 리프팅 장치
JP6295061B2 (ja) ガラス板保持具及びガラス板搬送装置
KR101189524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2015105555A (ja) 勾配のある目地部の床用目地装置
KR20170003427U (ko) 선박의 월 블록용 핀지그
KR200465374Y1 (ko) 커버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US20160244245A1 (en) Glass plate holder and glass plate transport device
JP2017165456A (ja) ガラス板保持具及びガラス板搬送装置
KR200493022Y1 (ko) 차량 공구함용 브래킷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200228812Y1 (ko) 글래스셀 박스
KR200336973Y1 (ko) 판유리운반용팔레트
JP2016128179A (ja) 板材ストック装置
KR101737821B1 (ko) 인쇄스크린 유닛 조립구조체
JP6052198B2 (ja) 支持体
KR200420802Y1 (ko) 유리기판 탑재용 카세트
KR200253118Y1 (ko) 이동 공구대의 공구 보관구조
KR100890622B1 (ko) 급전 푸시 장치
JP5268674B2 (ja) 制御盤運搬器具
JP2014136582A (ja) 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