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27Y1 -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27Y1
KR200464927Y1 KR2020100011913U KR20100011913U KR200464927Y1 KR 200464927 Y1 KR200464927 Y1 KR 200464927Y1 KR 2020100011913 U KR2020100011913 U KR 2020100011913U KR 20100011913 U KR20100011913 U KR 20100011913U KR 200464927 Y1 KR200464927 Y1 KR 200464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frame
fixing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10U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테크
Priority to KR2020100011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2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부품에 대한 외부 응력을 최소화하여 변형됨 없이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고, 도어 부품의 스캔 작업시 간섭 부위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며, 자동차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 등의 도어 부품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고정장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는,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구비된 저면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저면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일측 고정부가 구비된 일측 메인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타측 고정부가 구비된 타측 메인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됨과 함께 일측 메인 프레임의 저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메인 프레임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왕복이동부재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in three-dimensional scan measurement system for door parts of automobile}
본 고안은 도어 판넬과 도어트림 등과 자동차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3차원으로 스캔하여 측정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 부품에 대한 외부 응력을 최소화하여 변형됨 없이 3차원 스탬 측정시스템의 고정장치에 도어 부품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여 도어 부품의 스캔 작업시 간섭 부위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자동차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 등을 갖는 도어 부품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고정장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으로서, 승용 자동차, 승합 자동차 및 화물 자동차, 특수 자동차, 이륜자동차 등이 있다.
상기 자동차의 도어 부품 즉, 도어 판넬이나 도어트림 등의 도어 부품을 3차원으로 스캔 즉, 도어 부품으로 레이져(적외선)를 방사함은 물론 도어 부품에 부딪혀 반사되어 회수되는 레이져(적외선)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 측정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 측정시스템은, 도어 부품을 고정하도록 고정 부속물(클립, 볼트 체결부 등)이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 및 알루미늄 재질인 고정지그와, 상기 도어 부품으로 레이져(적외선)를 방사 및 도어 부품의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는 레이져(적외선)를 회수하는 적외선 센서가 내장된 핸드 레이져 스캐너와, 상기 핸드 레이져 스캐너에서 회수된 레이져 시간차/위상차 등의 신호가 입력됨은 물론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전산처리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도어 부품 측정시스템은, 고정 부속물(클립 볼트 체결부 등)을 이용하여 고정지그에 제작된 도어 부품을 실차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하고 나서 상기 고정지그의 외측방에 설치된 핸드 레이져 스캐너에서는 고정된 도어 부품으로 레이져를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레이져는 도어 부품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반사되어 핸드 레이져 스캐너로 회수된다.
여기서, 도어 부품의 표면에 부딪히고 나서 반사되어 핸드 레이져 스캐너로 회수될 때 상기 회수되는 레이져는 도어 부품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차 및 위상차가 발생되며, 상기의 시간차 및 위상차에 따른 신호는 컴퓨터로 입력된다.
상기 컴퓨터에서는 입력된 신호(회수되는 레이져의 시간차, 위상차 등)에 따른 포인트(point)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의 각 포인트 좌표를 서로 연결하도록 래핑(lapping)하여 디지탈 서페이스(digital surface)를 만들고, 상기 만들어진 디지털 서페이스와 상기 도어 부품이 설계된 도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작된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어 부품 측정시스템의 고정지그는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 즉, 도어 부품의 크기에 맞춰서 해당 부품에만 사용가능하도록 해당 부품 전용으로 제작함에 따라 타차종 및 타부품과의 공용 사용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도어 부품의 형상,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고정지그를 제작하므로 인해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클립이나 볼트 체결부 등과 같은 부속품을 이용하여 고정지그에 도어 부품을 고정함으로서, 상기 고정지그에 도어 부품을 고정할 때 외부 응력에 의해 도어 부품이 변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불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됨은 물론 스캔 작업시 고정지그와 도어 부품 간에 간섭 부위가 많음으로 인해 상기 도어 부품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어 부품의 크기에 따라 고정 지그의 면적이나 중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 지그의 형상 면적, 중량의 과대함으로 인하여 측정자가 고정 지그를 취급 및 운반하기가 매우 어려움은 물론 고정지그를 위한 별도의 관리, 보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고정 지그가 파손되어 수리 및 교체할 경우 정도 보정을 위하여 고정 지그 전체를 수리하여야 하는 등 많은 작업시간, 인력, 비용 손실로 인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 지그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고정 지그를 수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전체적인 치수가 왜곡됨에 따라 상기 도어 부품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서 지지부재가 결합된 저면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각 메인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 및 회동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어 부품에 대한 외부 응력을 최소화하여 변형됨 없이 상기의 고정장치에 도어 부품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종 및 자동차 모델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도어 부품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고정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기준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여 고정장치와 도어 부품 간의 간섭 부위를 최소화함은 물론 측정 시 방해요인이 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므로,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 의해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바닥 측에 위치 설치되어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구비된 저면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저면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위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일측 고정부가 구비된 일측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타측 고정부가 구비된 타측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의 저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왕복이동부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재는, 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중공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는 지지관 내로 삽탈되도록 설치되어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도어 부품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 내로 삽탈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조절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 메인 프레임의 일측 고정부는,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어 일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이동 아암과, 상기 이동 아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동 아암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관절부의 위치에 따라 이동 아암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아암과, 상기 관절부와 회동 아암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 아암이 회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임부와, 상기 회동 아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일면을 물어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 부품의 외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이스가 형성됨과 함께 바이스 내에 삽입된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바이스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일측 그립부와, 상기 회동 아암의 외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그립부를 회동 및 고정하도록 회전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절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타측 메인 프레임의 타측 고정부는,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어 타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상하 이동 아암과,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단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좌우 이동 아암과,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이동 아암 내로 좌우 이동 아암이 이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타측 조임부와, 상기 좌우 이동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타면을 물어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 부품의 외면이 내측에 삽입되는 바이스가 형성됨과 함께 바이스 내에 삽입된 도어 부품을 고정하도록 바이스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타측 그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왕복이동부재는,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패널과, 상면에는 일측 메인 프레임의 저면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이동판과, 상기 고정패널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위치조절공과, 상기 고정패널에 왕복이동판을 고정 및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왕복이동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에 삽탈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위치조절레버와, 상기 고정패널에서 왕복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부품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가 결합된 저면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각 메인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형상에 맞춰 이동 및 회동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부재로 구성된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어 부품의 형상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의 메인 프레임이 이동 및 고정부재가 이동, 회동되면서 고정장치에 도어 부품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차종 및 모델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크기 등을 갖는 도어 부품에 대해서도 고정장치의 각 구성들이 유연하게 대응함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에 도어 부품을 고정 가능하여 상기 하나의 고정장치로 다양한 도어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범용 고정장치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고정장치를 제작하는 제작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부품에 대한 외부 응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도어 부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장치에 기준 형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고정장치의 크기를 최대한 줄임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와 도어 부품 간의 간섭 부위를 최소화함은 물론 측정 시 방해요인이 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므로 인하여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 의해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도어 부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장치의 크기는 일정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저면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 및, 왕복이동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각 프레임에서 지지부재와 각 고정부재가 분리가능함으로서, 상기의 고정장치를 제작하는 작업시간, 인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보다 빠른시간 내에 누구든지 고정장치를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 각 구성을 분리함에 따라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별도 관리, 보관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도 있다.
또한, 고정장치가 파손되어 수리 및 교체할 경우 상기 파손된 부품만 수리 및 교체 가능함에 따라 수리작업에 따른 작업시간, 인력, 비용 등의 손실을 줄임은 물론 교체 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치수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 부품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를 하나만 구비하여도 상기의 고정장치에 다양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도어 부품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부품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서 지지부재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서 일측 고정부재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서 타측 고정부재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서 왕복이동부재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 의해 도어 부품의 도어 트림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에 의해 도어 부품의 도어 판넬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어 판넬과 도어트림 등과 자동차 도어 부품(200)의 형상 및 치수 등을 3차원으로 스캔 즉, 도어 부품(200)으로 레이져를 방사함은 물론 도어 부품(200)에서 반사되어 회수되는 레이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에 의해 도어 부품(200)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하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은, 도어 부품(200)을 실차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 설치하는 고정장치(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장치(100)의 외측방에 설치되어 도어 부품(200)으로 레이져(적외선)를 방사 및 도어 부품(200)에 부딪혀 반사되는 레이져(적외선)를 회수하는 적외선 센서가 내장된 핸드 레이져 스캐너와, 상기 핸드 레이져 스캐너에서 회수된 레이져(적외선) 시간차/위상차 등의 신호가 입력됨은 물론 입력된 신호와 설계 도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제작된 도어 부품(200)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하는 등 전산처리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 부품(200)을 고정 설치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 프레임(10)과, 지지부재(20) 및, 일측 메인 프레임(30)과 타측 메인 프레임(50) 그리고, 왕복이동부재(7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 프레임(10)은 상기 고정장치(100)의 지지부재(20)와 각 메인 프레임(30,50) 등이 결합됨은 물론 고정장치(100) 전체를 지지할 수있도록 상기 고정장치(100)의 저면부인 바닥 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저면 프레임(10)은, 도면상에서와 같이 고정장치(10)의 중앙부에 가로방향으로 위치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11)과,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되어 각 가로 프레임(1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세로 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저부에는 고정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나 방향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된 고정장치(1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캐스터(8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캐스터(80)는 고정장치(100)의 무게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0)의 저부 사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어 부품(200)의 저면을 받쳐주면서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저면 프레임(10)의 가로 프레임(11) 중 어느 하나의 가로 프레임(11)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도어 부품(200)을 보다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이동가능한 지지부재(2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2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을 따라 지지부재(20)가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 이동가능한 지지판(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21)의 상면에는 중공의 지지관(2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공의 지지관(22) 상부에는 지지관(22) 내로 삽입 및 탈거되면서 도어 부품(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도어 부품(2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23)의 상면에는 도어 부품(200)의 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도어 부품(200)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22)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관(22) 내로 삽탈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3)가 이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고정조절바(2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즉 상기 지지관(22) 측인 고정조절바(25)의 단부가 높이조절부(23)의 외면에 접촉되어 눌러주게 되면 높이조절부(23)의 고정되고, 상기 고정조절바(25)의 단부가 높이조절부(23)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높이조절부(23)는 지지관(22) 내에서 삽입 및 탈거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 지지부재(20)의 왕복이동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함과 함께 가이드홈에 가이드볼트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지지판(21)에 가이드볼트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볼트를 가이드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11)을 따라 지지부재(20)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가이드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지지부재(20)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함과 함께 지지부재(20)의 지지판(21) 저면에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재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서 지지부재(20)가 왕복이동 및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의 구조 말고도 가로 프레임(11)에 지지부재(20)가 왕복이동 및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24)의 상면에는 도어 부품(200)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부품(200)의 저면이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오목한 형태의 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200)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지지부재(20)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20)의 높이조절부(23)에서 지지부(24)를 교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의 차종이나 모델별로 달라지는 도어 부품(200)을 보다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100)에는 도어 부품(200)의 양측면을 각각 고정하기 위하여 저면 프레임(10)의 양측 상면에 일측 메인 프레임(30)과 타측 메인 프레임(50)이 저면 프레임(1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은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저면 프레임(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세로 프레임(12)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후술할 상기 일측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왕복이동부재(70)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에는 도어 부품(200)의 일측을 고정하는 일측 고정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일측 고정부(40)는 이동 아암(41)과 회동 아암(42) 및 그립부(4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일측 고정부(40)는,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일면을 따라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이동 아암(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반대쪽인 이동 아암(41)의 단부에는 이동 아암(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4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42)에는 회전하는 관절부(42)의 위치에 따라 이동 아암(4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아암(4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42)와 회동 아암(43)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는 상기 회동 아암(43)이 회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임부(4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관절부(42)의 반대쪽인 회동 아암(43)의 단부에는 도어 부품(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도어 부품(200)의 일면을 물어 고정하도록 하는 일측 그립부(4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측 그립부(45)가 위치하는 회동 아암(43)의 외측부에는 회동 아암(43)의 내측으로 삽입된 일측 그립부(45)의 축부 외주면과 접촉 및 분리되면서 상기 일측 그립부(45)를 회동 및 고정하도록 회전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절바(4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일측 그립부(45)는 도어 부품(200)의 일면 외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바이스(45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스(451)에는 바이스(451) 내로 삽입된 도어 부품(200)의 외면을 고정하도록 바이스(45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스(451)의 내면과 고정볼트(452)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장치(100)에 도어 부품(200)이 고정 설치될 때 바이스(451)의 내면과 고정불트(452)의 단부에 의해 도어 부품(200)의 외면에 흠집 등과 같은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드(45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은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저면 프레임(10)의 타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에는 도어 부품(200)의 타측을 고정하는 타측 고정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측 고정부(60)는 상하 이동 아암(61)과 좌우 이동 아암(62) 및 그립부(6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타측 고정부(60)는,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일면을 따라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하 이동 아암(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반대쪽인 상하 이동 아암(61)의 단부에는 상하 이동 아암(61) 내로 삽입 및 탈거되면서 상하 이동 아암(61)의 길이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좌우 이동 아암(6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 아암(61)의 단부측에는 상기 상하 이동 아암(62) 내로 좌우 이동 아암(62)이 삽탈되도록 이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타측 조임부(6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하 이동 아암(61)의 반대쪽인 좌우 이동 아암(62)의 단부에는 도어 부품(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도어 부품(200)의 타면을 물어 고정하도록 하는 타측 그립부(6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타측 그립부(64)는 도어 부품(200)의 타면 외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바이스(6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스(641)에는 바이스(641) 내로 삽입된 도어 부품(200)의 외면을 고정하도록 바이스(64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측 고정부(60)의 바이스(641) 내면과 고정볼트(642)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장치(100)에 도어 부품(200)이 고정 설치될 때 바이스(641)의 내면과 고정불트(642)의 단부에 의해 도어 부품(200)의 외면에 흠집 등과 같은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드(64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스(451,641)는 도어 부품(200)의 외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ㄷ"자 형상이나 반원형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패드(453,643)은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일정 탄성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재질인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일면을 따라 이동 아암(4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일면을 따라 상하 이동 아암(6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은, 상기 각 메인 프레임(30,50)의 일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함과 함께 가이드홈에 가이드볼트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이동 아암(41) 및 상하 이동 아암(61)에 가이드볼트가 삽입되는가이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볼트가 가이드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메인 프레임(30,50)의 일면을 따라 이동 아암(41,61)을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가이드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각 이동 아암(41,61)을 각 메인 프레임(30,50)에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일측 상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저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부품(20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을 왕복이동시키도록 하는 왕복이동부재(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왕복이동부재(70)는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타측 상면에 고정패널(71)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저면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패널(71)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왕복이동판(7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패널(71)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위치조절공(7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왕복이동판(72)에는 도어 부품(200)의 설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고정패널(71)에 왕복이동판(72)이 고정 및 이동되도록 상기 각 위치조절공(71a) 중 어느 하나의 위지조절공(71a)에 삽탈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위치조절레버(7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71)과 왕복이동판(72)에는 상기 고정패널(71)에서 왕복이동판(7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고정패널(71)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홈부(7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왕복이동판(72)의 저면 양측부에는 각 가이드홈부(74) 내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부(7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패널(71)은 일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를 갖거나 또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즉 상기에서와 같은 고정패널(71)의 기능을 갖는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저면 프레임(10)에 고정패널(71)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저면 프레임(10)에 고정패널(71)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저면 프레임(10)과 고정패널(71) 간의 결합 구조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30,50)에는 고정장치(100)에 고정되는 도어 부품(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눈금이 새겨진 스케일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패널 및 도어 트림 등과 같은 도어 부품(200)을 3차원으로 스캔하여 그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의 각 구성을 각각 조립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가로 프레임(11) 양측에 세로 프레임(12)을 각각 위치시킨 다음 연결부재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을 연결 결합한다.
이때, 상기 도어 부품(200)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판(21)과 지지관(22) 및 높이조절부재(23), 지지부(24)와 고정조절바(25)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지지부재(20)를 상기 세로 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세로 프레임(12)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의 상면에 결합된 왕복이동부재(70)의 상면에 일측 메인 프레임(30)이 왕복이동부재(70)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결합하고, 이와 함께 상기 저면 프레임(10)의 타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11)의 상면에는 타측 메인 프레임(50)이 수직방향으로 결합 고정한다.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에는 일측 고정부(40) 즉, 이동 아암(41)과 관절부(42) 및 회동아암(43), 일측 조임부(44) 그리고, 일측 그립부(45)와 일측 조절바(46)로 이루어진 일측 고정부(40)를 설치하여 상기 일측 고정부(40)는 도어 부품(200)의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에는 타측 고정부(60) 즉, 상하 이동 아암(61)과 좌우 이동 아암(62) 및 타측 조임부(63) 그리고, 타측 그립부(64)로 이루어진 타측 고정부(60)를 설치하여 상기 타측 고정부(60)는 도어 부품(200)의 타측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의 고정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100)의 측정하고자 하는 도어 부품(200)을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도어 부품(200)을 각 지지부재(20)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즉, 상기 각 지지부재(20)의 지지관(22)으로부터 높이조절부(23)를 삽입 및 탈거시키면서 높이조절부(23)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상기 도어 부품(200)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적정 위치에 높이조절부(23)가 위치하게 되면 고정조절바(25)를 회동시켜 상기의 높이조절부(23)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지지부(24) 상면에 도어 부품(200)의 저면을 올려놓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24)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홈(2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홈(24a)으로 도어 부품(200)의 저면이 위치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각 지지부재(20)에 의하여 도어 부품(200)이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각 타측 고정부(60)가 도어 부품(200)의 타측을 고정하는데, 즉 각 타측 고정부(60)의 상하 이동 아암(61)은 타측 메인 프레임(5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상하 이동 아암(61)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하 이동 아암(61)의 단부에 결합된 좌우 이동 아암(62)을 좌우측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좌우 이동 아암(62)의 단부에 결합된 타측 그립부(64)에 도어 부품(200)의 타측면이 삽입되면 일측 조임부(44)를 회전시켜 좌우 이동 아암(62)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타측 그립부(62)의 바이스(641)에 결합된 고정볼트(642)를 회전시켜 상기 바이스(641) 내에 삽입 위치된 도어 부품(200)의 타측면을 고정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타측 고정부(60)에 의해 도어 부품(200)의 타측면이 고정되면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을 도어 부품(200) 측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적정위치에 놓은 다음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일측 고정부(40)로 도어 부품(200)의 일측면을 고정한다.
즉, 저면 프레임(10)에 결합된 왕복이동부재(70)의 고정패널(71) 상면을 따라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저면이 결합된 왕복이동판(72)이 왕복이동 즉, 가이드홈부(74)와 가이드부(75)에 의해 왕복이동판(72)이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여 일측 메인 프레임(30)이 적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위치조절레버(73)를 회전시켜 왕복이동판(72) 및 일측 메인 프레임(30)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일측 고정부(40)가 이동 및 회동되면서 도어 부품(200)의 일측을 고정하게 되는데, 즉 일측 고정부(30)의 이동 아암(41)은 일측 메인 프레임(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이동 아암(41)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 아암(41)의 단부에 결합된 관절부(42)에 회동 아암(4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절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아암(43)을 회동시켜 상기의 회동 아암(43)이 도어 부품(200)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일측 조임부(44)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 아암(4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회동 아암(43)의 단부에 결합된 일측 그립부(45)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일측 그립부(45)의 바이스(451) 내에 도어 부품(200)의 일측이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바이스(451)에 결합된 고정볼트(452)를 회전시켜 상기 바이스(451) 내에 삽입 위치된 도어 부품(200)의 일측면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바이스(451)가 회동되지 않도록 일측 조절바(46)를 조인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100)에 도어 부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 부품(200)의 고정 설치 순서를 달리 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장치에 도어 부품을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와, 일측 메인 프레임(30)의 일측 고정부(40) 및,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타측 고정부(60)에 의해 고정장치(100)에 도어 부품(200)이 고정 설치되면, 상기 고정장치(100)의 외측방에 설치된 핸드 레이져 스캐너에서는 도어 부품(200)으로 레이져(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레이져가 도어 부품(200)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반사되어 핸드 레이져 스캐너로 회수된다.
상기 회수된 레이져는 도어 부품(200)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차 및 위상차가 발생되고, 상기의 시간차 및 위상차에 따른 신호는 핸드 레이져 스캐너에서 컴퓨터로 보내져 상기 컴퓨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포인트(point) 좌표를 산출 및 각 포인트 좌표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래핑(lapping)하여 디지탈 서페이스(digital surface)를 만든다.
상기 만들어진 디지털 서페이스와 상기 도어 부품(200)을 설계한 도면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작된 도어 부품(200)의 형상 및 치수 등을 측정한다.
한편, 도어 부품(200)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100)에서 도어 부품(200)을 떼어낸 후 상기 고정장치(100)의 각 구성은 각각 분리 즉, 상기 고정장치(100)의 각 구성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장치(100)의 각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각 구성을 일정 장소에 운반 및 보관하였다가 상기의 고정장치(100)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성을 서로 조립하여 고정장치(100)를 제작한 후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고정장치(100)는 일측 메인 프레임(30)이 왕복이동하고, 일측 고정부(40)의 각 구성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상하, 좌우로 회동되며,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50)의 타측 고정부(60)의 각 구성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부품(200)을 보다 손쉽고 용이면서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도어 부품(200)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등 상기의 고정장치(100)는 자동차의 차종 및 모델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저면 프레임 11: 가로 프레임
12: 세로 프레임 20: 지지부재
21: 지지판 22: 지지관
23: 높이조절부 24: 지지부
24a: 홈 25: 고정조절바
30: 일측 메인 프레임 40: 일측 고정부
41: 이동 아암 42: 관절부
43: 회동 아암 44: 일측 조임부
45: 일측 그립부 46: 일측 조절바
50: 타측 메인 프레임 60: 타측 고정부
61: 상하 이동 아암 62: 좌우 이동 아암
63: 타측 조임부 64: 타측 그립부
70: 왕복이동부재 71: 고정패널
71a: 위치조절공 72: 왕복이동판
73: 위치조절레버 74: 가이드홈부
75: 가이드부 80: 캐스터
100: 고정장치 200: 도어 부품
451,641: 바이스 452,642: 고정볼트
453,643: 패드

Claims (8)

  1.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바닥 측에 위치 설치되어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구비된 저면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부품의 저면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저면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측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타측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의 저면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왕복이동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도어 부품의 일측을 고정하는 일측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상기 도어 부품의 타측을 고정하는 타측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저면 프레임의 저부에는 고정장치를 이동 및 고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캐스터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중공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는 지지관 내로 삽탈되도록 설치되어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도어 부품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 내로 삽탈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조절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의 일측 고정부는,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이동 아암과,
    상기 이동 아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동 아암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관절부의 위치에 따라 이동 아암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아암과,
    상기 관절부와 회동 아암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 아암이 회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임부와,
    상기 회동 아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일면을 물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부품의 외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이스가 형성됨과 함께 바이스 내에 삽입된 도어 부품을 고정하는 바이스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일측 그립부와,
    상기 회동 아암의 외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그립부를 회동 및 고정하도록 회전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일측 조절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의 타측 고정부는,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타측 메인 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상하 이동 아암과,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단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좌우 이동 아암과,
    상기 상하 이동 아암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이동 아암 내로 좌우 이동 아암이 이동 및 고정되도록 풀었다 조였다 하는 타측 조임부와,
    상기 좌우 이동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어 도어 부품의 타면을 물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부품의 외면이 내측에 삽입되는 바이스가 형성됨과 함께 바이스 내에 삽입된 도어 부품을 고정하도록 바이스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타측 그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립부의 바이스 내면과 고정볼트의 단부에는 도어 부품의 흠집을 방지하도록 하는 패드가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는,
    상기 저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패널과,
    상면에는 일측 메인 프레임의 저면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고정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이동판과,
    상기 고정패널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위치조절공과,
    상기 고정패널에 왕복이동판을 고정 및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왕복이동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위치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에 삽탈되면서 풀었다 조였다 하는 위치조절레버와,
    상기 고정패널에서 왕복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고정패널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왕복이동판의 저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에서 왕복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각 가이드홈부 내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부로 구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KR2020100011913U 2010-11-19 2010-11-19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KR200464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13U KR200464927Y1 (ko) 2010-11-19 2010-11-19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13U KR200464927Y1 (ko) 2010-11-19 2010-11-19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10U KR20120003710U (ko) 2012-05-30
KR200464927Y1 true KR200464927Y1 (ko) 2013-01-25

Family

ID=4661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13U KR200464927Y1 (ko) 2010-11-19 2010-11-19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46B1 (ko) * 2016-09-08 2018-02-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WO2022169381A1 (ru) * 2021-02-05 2022-08-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кар"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колес и рамы многоос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230025287A (ko) * 2021-08-13 2023-02-21 권중학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35B1 (ko) * 2013-12-24 2014-05-20 무진기공주식회사 금형 제품의 형상 측정장치
CN110132164B (zh) * 2019-03-25 2020-10-23 爱维迅自动化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高精度3d激光轮廓扫描装置
KR102529611B1 (ko) * 2020-10-13 2023-05-09 주식회사 피티엠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착탈결합장치
KR102660066B1 (ko) * 2022-08-16 2024-04-24 방재훈 이동식 도어 작업대
CN116625710B (zh) * 2023-07-19 2023-10-03 江苏群菱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车门制造的检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339A (ko)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19980015527A (ko) * 1996-08-22 1998-05-25 양재신 자동차 리어 도어 아우터의 크기 및 형상 게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339A (ko)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19980015527A (ko) * 1996-08-22 1998-05-25 양재신 자동차 리어 도어 아우터의 크기 및 형상 게이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46B1 (ko) * 2016-09-08 2018-02-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형 구조물 고정 및 이동장치
WO2022169381A1 (ru) * 2021-02-05 2022-08-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кар"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колес и рамы многоос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230025287A (ko) * 2021-08-13 2023-02-21 권중학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KR102599039B1 (ko) 2021-08-13 2023-11-06 권중학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10U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927Y1 (ko)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US11781860B2 (en) Mobile vehicular alignment for sensor calibration
US20190331482A1 (en) Vehicular alignment for sensor calibration
US5532816A (en) Laser tracking wheel alignment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8605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ming headlights
US20080072444A1 (en) Vehicle dimensional measuring system
US5125164A (en)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US20180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front end module
US4942667A (en)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US20230243676A1 (en) Vehicular alignment for sensor calibration
US4958439A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vehicle frame
JP2023538351A (ja) センサ校正のための車両床ターゲット位置合わせ
US20180207700A1 (en) Straightening bench for vehicle chassis and body, and kits for anchoring to a vehicle chassis
US10113866B1 (en) Portable axl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10110346A (ko) 센서 보정을 위한 이동식 차량 정렬
CN106767251B (zh) 发动机舱检测焊接装置的侧部检测定位机构
CN207309763U (zh) 一种与整车内外饰综合检具配合的前车门内板定位工装
US10054433B2 (en) Headlamp aiming tool and method
US11960024B2 (en) Angle measurement system for automotive collision avoidance sensors
JP4806269B2 (ja) 車体の基準部設定方法
US5636445A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symmetry
JP2006118922A (ja) ホイールアライメント測定装置及び同測定方法
CN213543488U (zh) 车辆对中装置及车辆标定设备
JPS625983Y2 (ko)
FI108337B (fi) Mittauslaitteisto ja menetelmõ autonkorin oikaisuty÷ssõ autonkorin mittaukses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