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039B1 -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 Google Patents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039B1
KR102599039B1 KR1020210107646A KR20210107646A KR102599039B1 KR 102599039 B1 KR102599039 B1 KR 102599039B1 KR 1020210107646 A KR1020210107646 A KR 1020210107646A KR 20210107646 A KR20210107646 A KR 20210107646A KR 102599039 B1 KR102599039 B1 KR 10259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anel
bar
plate
measuring
inse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287A (ko
Inventor
권중학
Original Assignee
권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중학 filed Critical 권중학
Priority to KR102021010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열 가공 전과 후의 백패널 외형을 마킹하여, 백패널 외형의 열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에 있어서,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측프레임부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골격부,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사이에 장착된 채, 상기 백패널을 지지하는 백패널지지부, 상기 골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백패널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백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백패널의 외형을 마킹하는 측정바가 삽입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골격부에 장착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일정범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바와 상기 백패널과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패널의 외형에 따라 상기 골격부를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Measuring jig for thermal deformation test of back panel}
본 발명은,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열 가공 전과 후의 백패널 외형을 마킹하여 백패널 외형의 열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는 필라트림, 콘솔, 도어트림, 크래쉬패드 등 다양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부품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내구품질이 점차 중요시됨에 따라 이들 플라스틱 부품들의 내구 품질 또한 중요시되고 있다.
자동차의 사용 환경이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는 환경하에 놓여 있고 특히, 밀폐된 자동차의 실내는 여름철 높은 외부 온도와 강한 햇볕을 받으면 상당히 높은 온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열적변화 환경하에 놓여 있는 플라스틱 부품들의 열변형 관련 품질 문제가 주요한 플라스틱 부품들의 내구성 관련품질 문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성형 부품의 열변형 현상은 점탄성 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부품이 사출시 갖게 되는 잔류응력과 차체에 조립 후 부품간 체결력 및 자중을 받으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고온과 저온의 열변화 환경에서 변형이 생기면서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변형은 플라스틱 부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차량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에 발생하는 열변형량은 플라스틱 재질, 부품 구조, 성형조건, 잔류응력 상태, 마운팅 조건, 환경 조건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플라스틱의 열변형량과 관련한 내구 품질을 파악하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환경시험을 하여 시험 전후의 열변형량을 측정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시험 전후 정확한 열변형량의 측정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종래의 차량용 백패널의 환경시험은 도 1에 도시된 백패널(P)에 형성된 결합부(E)를 통해 백패널(P)을 차량에 장착시키고, 차량을 환경시험 챔버에 넣어 고온과 저온의 열싸이클을 반복하게 되는데, 시험 전후 백패널(P)의 주요 지점의 변형량들을 측정하여 품질 상태를 판단하거나 개선해야 할 문제점들을 파악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백패널(P)의 형상에 따라 장착 가능한 차량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환경시험을 하고 나면 차량도 열변형되어 새로운 백패널(P)의 환경시험을 진행할 때마다 새로운 차량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068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백패널을 차량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도 열변형 시험이 가능한 측정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는, 가열 전과 후의 백패널 외형을 마킹하여, 백패널 외형의 열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에 있어서,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측프레임부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골격부,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사이에 장착된 채, 상기 백패널을 지지하는 백패널지지부, 상기 골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백패널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백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백패널의 외형을 마킹하는 측정바가 삽입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골격부에 장착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일정범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측정바와 상기 백패널과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패널의 외형에 따라 상기 골격부를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전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정바가 삽입되는 복수의 측정바관통홀이 구비된 측정바삽입판 및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에 장착된 채, 상기 측정바삽입판과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를 매개하는 삽입판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판틸팅부는,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기 골격부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기 삽입판틸팅부의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에 대한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백패널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기 하측프레임부와 수직한 기울기를 형성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백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측이 상기 백패널과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수평경로제공부 및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경로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판틸팅부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를 따라 수평 이동되는 상측구속부 및 상기 수직경로제공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를 따라 수직 이동되는 하측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측은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고, 하측은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제1 방향 또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하측구속부는, 상기 하측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부와 가까워지는 제4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며, 상기 상측구속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과 상기 하측구속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구속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과 상기 하측구속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구속부 및 상기 하측구속부는, 동일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는,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구속부가 수평 이동되는 수평경로를 제공하는 수평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는,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측구속부가 수직 이동되는 수직경로를 제공하는 수직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관통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측구속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안착함입부에 안착되어 수평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이웃한 안착함입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이 구속되는 상측구속본체, 상기 상측구속본체와 연결된 채 상기 수평관통홀에 삽입되는 상측이동바, 상기 상측구속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상측구속본체로 체결시키는 상측플레이트체결부, 상기 상측이동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이동제한부 및 상기 상측구속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를 상기 상측구속본체에 체결시키는 상측이동바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구속본체는, 하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이 삽입되는 상측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이동바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평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함입부에 안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상측함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이동제한부는, 상기 상측이동바를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로 체결시켜 상기 상측이동바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하측구속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이 구속되는 하측구속본체, 상기 하측구속본체와 연결된 채 상기 수직관통홀에 삽입되는 하측이동바, 상기 하측구속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하측구속본체로 체결시키는 하측플레이트체결부, 상기 하측이동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이동제한부 및 상기 상측구속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를 상기 하측구속본체에 체결시키는 하측이동바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측구속본체는, 상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이 삽입되는 하측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이동바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채,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직관통홀에 삽입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측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이동제한부는, 상기 하측이동바를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로 체결시켜 상기 하측이동바의 수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상측함입부는,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함입부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상측함입부의 상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1 상측평면부 및 상기 상측이동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측평면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상측평면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2 상측평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측함입부는,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이동바는,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함입부의 하측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측함입부의 하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1 하측평면부 및 상기 하측이동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측평면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평면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2 하측평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백패널지지부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기립부 및 상기 지지기립부의 상기 측정바삽입판과의 대향면에 연결되어 상기 백패널을 고정하는 복수의 백패널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기립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측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측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하측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백패널고정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향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백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백패널을 고정하는 고정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수직 이동되는 제1 길이조절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길이조절바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길이조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 길이조절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고정헤드부는,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절곡판 및 상기 절곡판을 관통한 채, 상기 절곡판에 체결되어, 상기 절곡판과 상기 제2 길이조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판은, 상기 측정바삽입판과의 대향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관통홀, 상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홀 및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바는, 상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연결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길이조절바에 체결된 채, 상기 제2 길이조절바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백패널을 장착하지 않고도 백패널의 형상에 맞춰 백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열변형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백패널의 특정지점에 측정바가 접촉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백패널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백패널의 열변형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백패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가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가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1)는, 가열 전과 후의 백패널(P) 외형을 마킹하여, 백패널(P) 외형의 열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그일 수 있다.
상기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1)는, 골격부(10), 백패널지지부(20), 플레이트부(30) 및 플레이트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격부(10)는, 하측프레임부(11), 수직프레임부(13) 및 상측프레임부(15)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부(13)는, 상기 하측프레임부(11)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15)는, 상기 수직프레임부(1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백패널지지부(20)는, 상기 상측프레임부(15)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13)의 사이에 장착된 채, 상기 백패널(P)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0)는, 상기 골격부(1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백패널지지부(20)에 지지된 상기 백패널(P)과 접촉하여 상기 백패널(P)의 외형을 마킹하는 측정바(F, 도 5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는, 상기 골격부(10)에 장착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부(30)에 상기 측정바(F)를 삽입하여 상기 백패널(P)에 접촉시키고, 상기 측정바(F)는, 상기 백패널(P)의 접촉지점과 상기 플레이트부(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바(F)는 일정범위 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바(F)는 측정본체(D)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돌출되며 상기 측정바(F)의 접촉지점과 상기 측정본체(D)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과 상기 측정본체(D) 사이의 거리가 상기 측정바(F)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측정바(F)가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접촉되지 못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바(F)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30)를 상기 골격부(10)를 기준으로 틸딩시켜, 상기 측정바(F)가 상기 백패널(P)에 접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3 참조).
사용자는, 열을 가하기 전의 상기 측정바(F)의 측정값과 열을 가한 후의 상기 측정바(F)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백패널(P)의 열변형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0)의 틸팅에 의해 상기 측정바(F)가 상기 백패널(P)에 접촉이 어떻게 가능한지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플레이트부(30)는, 측정바삽입판(31) 및 삽입판틸팅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전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정바관통홀(3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정바관통홀(31a)에는 상기 측정바(F)가 삽입되어 상기 백패널(P)의 외형을 마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전과 후에 각각 열변형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백패널(P)의 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정바관통홀(31a)에 상기 측정바(F)를 삽입하여, 상기 백패널(P)과 접촉시키고, 상기 백패널(P)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한 후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백패널(P)의 열변형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삽입판틸팅부(33)는,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에 장착된 채, 상기 측정바삽입판(31)과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를 매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판틸팅부(33)는,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기 골격부(10)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상기 삽입판틸팅부(33)의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에 대한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백패널(P)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상기 하측프레임부(11)와 수직한 기울기를 형성하는 수직위치(도 5 참조)에서, 상기 백패널(P)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백패널(P)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도 6 참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측정바(F)가 상기 백패널(P)에 어떻게 접촉이 가능한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상기 측정바(F)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최대 길이를 형성한 채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백패널(P)의 지점 중 제1 지점(G1)에는 상기 측정바(F)가 접촉되어 상기 제1 지점(G1)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지만, 상기 제2 지점(G2)에는 상기 측정바(F)가 접촉되지 못해 상기 제2 지점(G2)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바(F)를 상기 제2 지점(G2)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지점(G2)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기울기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지점(G2)과 접촉된 상기 측정바(F)는 상기 제2 지점(G2)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지지부(40)는, 수평경로제공부(41) 및 수직경로제공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15)의 상측에 고정되며, 수평관통홀(4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통홀(411)은,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의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수직프레임부(13)의 일측에 고정되며, 수직관통홀(4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통홀(431)은,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의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판틸팅부(33)는, 상측구속부(331) 및 하측구속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를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상기 수평관통홀(411)에 삽입된 채 상기 수평관통홀(311)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측구속부(332)는,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를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구속부(332)는, 상기 수직관통홀(431)에 삽입된 채 상기 수직관통홀(431)을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위치 이동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상기 수평관통홀(411)에 삽입된 채, 제1 방향(J1) 또는 제2 방향(J2)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J1)은,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방향이고, 제2 방향(J2)은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측구속부(332)는, 상기 수직관통홀(431)에 삽입된 채, 제3 방향(J3) 또는 제4 방향(J4)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방향(J3)은, 상기 하측프레임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고, 제4 방향(J4)은 상기 하측프레임부(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부(331)과 상기 하측구속부(332)는, 동일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상기 제1 방향(J1)으로 제1 거리(L1)만큼 위치 이동되면, 동시에 상기 하측구속부(332)가, 상기 제3 방향(J3)으로 제2 거리(L2)만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이 상기 백패널지지부(20)에 지지된 상기 백패널(P)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도 6 참조).
이 경우, 상기 제1 거리(L1)와 상기 제2 거리(L2)는 같은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상기 수직위치에서, 상기 백패널(P)을 향해 기울어 지며, 상측이 상기 백패널(P)과 가까워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상기 제2 방향(J2)으로 상기 제1 거리(L1)만큼 위치 이동되면, 동시에 상기 하측구속부(332)가, 상기 제4 방향(J4)으로 상기 제2 거리(L2)만큼 위치 이동되어, 동일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이 상기 제2 방향(J2)으로는 상기 하측프레임부(11)와 수직위치까지만 위치 이동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 및 상기 수평관통홀(411)을 상기 제2 방향(J2)으로 더 연장하여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상기 제2 방향(J2)으로 더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위치에서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상기 제2 방향(J2)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상측이 상기 백패널(P)과 멀어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골격부(10)와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이 형성하는 공간보다 큰 백패널(P)의 열변형정도를 측정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측을 상기 백패널(P)과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백패널(P)이 상기 백패널지지부(20)에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가 상기 상측프레임부(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장착된 상기 상측구속부(331)를 상기 제1 방향(J1) 또는 상기 제2 방향(J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측프레임부(15)를, 상기 제2 방향(J2)으로 연장하여, 연장된 부분에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은 상측이 상기 백패널(P)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관통홀(411)은, 복수의 안착함입부(41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착함입부(411a)는, 상기 수평관통홀(411)의 내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상기 안착함입부(411a)에 안착되어 이웃한 안착함입부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방향(J1) 또는 상기 제2 방향(J2)으로 제1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이웃한 안착함입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력이란, 상기 상측구속부(331)가 이웃한 안착함입부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가해지는 외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자중에 의해 상기 안착함입부(411a)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방향(J1) 또는 상기 제2 방향(J2)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자중과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무게에 의해 상기 안착함입부(411a)에 안착되므로, 수평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측정바삽입판은 관통홀위치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위치표시부(미도시)는 복수의 측정바관통홀(31)의 행과 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전면에 형성되며, 전면의 일측에는 상기 측정바관통홀(31a)의 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를 표기하고,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측정바관통홀(31a)의 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알파벳을 표기하여, 사용자가 측정바(F)를 삽입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바관통홀(31a)의 위치를 쉽게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백패널(P)의 가열 전과 후에 동일한 측정바관통홀(31a)에 측정바(F)를 삽입하여 측정값을 얻어야 하는데, 상기 측정바삽입판(31)에는 다수개의 측정바관통홀(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열 후에 측정바를 삽입할 때 가열 전에 삽입했던 측정바관통홀(31a)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관통홀위치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열 전에 삽입했던 측정바관통홀(31a)을 가열 후에도 용이하게 찾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부(331)는, 상측구속본체(3311), 상측이동바(3312), 상측플레이트체결부(3313), 수평이동제한부(3314) 및 상측이동바체결부(3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는, 상측함입부(3311a)를 구비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측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상측함입부(3311a)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측함입부(3311a)는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이동바(33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평관통홀(411)에 삽입된 채 상기 안착함입부(411a)에 안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상측함입부(33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측이동바(3312)는, 상기 수평관통홀(411)내에서 상기 제1 방향(J1) 또는 상기 제2 방향(J2)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착함입부(411a)는,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외주면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상측이동바(3312)가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플레이트체결부(3313)는,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을 상측구속본체(3311)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제한부(3314)는, 상기 상측이동바(3312)를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로 체결시켜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상기 수평관통홀(411) 내에서의 수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이동제한부(3314)가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에 상기 상측이동바(3312)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경로제공부(41)에 체결된 상기 상측이동바(3312)는, 수평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을 틸팅시킬 경우 상기 수평이동제한부(3314)를 상기 상측이동바(3312)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상기 상측이동바(3312)를 위치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이동바체결부(3315)는, 상기 상측이동바(3312)를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이동바(3312)는, 제1 상측평면부(3312a) 및 제2 상측평면부(33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평면부(3312a)는,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외주면 일측에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상측함입부(3311a)의 상측면과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측평면부(3312b)는,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상측면과 면접촉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상측평면부(3312a)를 구비하여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로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측평면부(3312a)와 상기 상측함입부(3311a)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측이동바체결부(3315)를 통해 상기 상측이동바(3312)를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로 체결시키므로, 상기 상측이동바(3312)의 체결 전 초기위치를 잡는 데에 용이하고, 상기 상측이동바(3312)가 상기 상측구속본체(3311)에 더욱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도 4의 (a) 분해단면도 참조)
상기 하측구속부(332)는, 하측구속본체(3321), 하측이동바(3322), 하측플레이트체결부(3323), 수직이동제한부(3324) 및 하측이동바체결부(33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을 구속하며 하측함입부(332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함입부(3321a)는, 상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함입부(3321a)는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이동바(33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직관통홀(431)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측함입부(332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측이동바(3322)는, 상기 수직관통홀(431) 내에서 상기 제3 방향(J3) 또는 상기 제4 방향(J4)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측플레이트체결부(3323)는,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을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제한부(3324)는,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상기 수직관통홀(431)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이동제한부(3324)는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에 상기 하측이동바(3322)를 체결하고,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에 체결된 상기 하측이동바(3322)는, 수직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을 틸팅시킬 경우 상기 수직이동제한부(3324)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하측이동바(3322)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는,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상기 수직관통홀(412a)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의 폭방향 일측면에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직체결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체결부(미도시)는, 상기 복수의 안착함입부(411a)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3312)가 상기 안착함입부(411a)에 안착됐을 경우 상기 하측이동바(3322)를 상기 수직경로제공부(43)에 체결하여 상기 수직관통홀(431)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측구속부(332)가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4 방향(J4)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받으므로, 추가로 상기 수직체결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구속부(332)의 상기 제4 방향(J4)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하측이동바체결부(3325)는,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3322)를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하측이동바(3322)는, 제1 하측평면부(3322a) 및 제2 하측평면부(332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평면부(3322a)는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외주면 일측에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측함입부(3321a)의 하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평면부(3322b)는,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측평면부(3322a)와 대칭되는 위치에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의 하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하측평면부(3322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로의 체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측평면부(3312a)와 상기 하측함입부(3312a)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측이동바체결부(3325)를 통해 상기 하측이동바(3322)를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로 체결시키므로, 상기 하측이동바(3322)의 체결 전 초기위치를 잡는 데에 용이하고, 상기 하측이동바(3322)가 더욱 긴밀하게 상기 하측구속본체(3321)에 체결될 수 있다(도 4의 (b) 분해단면도 참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의 상기 백패널지지부(20)는, 지지기립부(21), 백패널고정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립부(21)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15)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11)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측프레임부(15)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11)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기립부(21)는,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상측프레임부(15)의 하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측프레임부(11)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15) 및 상기 하측프레임(11)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백패널고정부(23)는, 상기 지지기립부(21)의 상기 측정바삽입판(31)과의 대향면에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백패널(P)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백패널고정부(23)는, 길이조절부(231) 및 고정헤드부(232)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231)는, 상기 측정바삽입판(31)을 향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231)는, 제1 길이조절바(2311) 및 제2 길이조절바(2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조절바(2311)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기립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립부(21)를 따라 상하로 수직 이동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수직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길이조절바(2311)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길이조절바(2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수평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부(232)는, 절곡판(2321) 및 연결부(2322)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판(2321)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판(2321)은, 고정관통홀(2321a), 제1 슬라이딩홀(2321b) 및 제2 슬라이딩홀(232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통홀(2321a)은, 상기 절곡판(2321)의 상기 측정바삽입판(31)과의 대향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고정수단(S)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S)이란, 상기 고정헤드부(23)와 상기 백패널(P)을 결합해주는 패스너 또는 스크류나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헤드부(23)는, 상기 고정수단(S)에 의해 상기 백패널(P)의 결합부(E)에 체결되어, 상기 백패널(P)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홀(2321b)은, 상기 절곡판(2321)의 상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홀(2321c)은, 상기 절곡판(2321)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는, 연결장착홀(2312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장착홀(2312a)은,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의 상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22)는, 상기 제1 슬라이스홀(2321b), 상기 제2 슬라이스홀(2321c) 및 상기 연결장착홀(2312a)을 관통하여 삽입된 채, 상기 절곡판(2321)을,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에 체결시킬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상기 고정헤드부(23)는, 상기 연결부(2322)에 의해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에 체결된 채 상기 제2 길이조절바(2312)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백패널(P)을 상기 백패널지지부(20)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지지기립부(21) 및 상기 백패널고정부(2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상기 백패널(P)의 형상에 따라 상기 지지기립부(21) 및 상기 백패널고정부(2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백패널(P)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10: 골격부
20: 백패널지지부 21: 지지기립부
23: 백패널고정부 30: 플레이트부
31: 측정바삽입판 33: 삽입판틸팅부
331: 상측구속부 332: 하측구속부
40: 플레이트지지부 41: 수평경로제공부
43: 수직경로제공부 P: 백패널
F: 측정바

Claims (10)

  1. 가열 전과 후의 백패널 외형을 마킹하여, 백패널 외형의 열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에 있어서,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측프레임부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하는 골격부;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사이에 장착된 채, 상기 백패널을 지지하는 백패널지지부;
    상기 골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백패널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백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백패널의 외형을 마킹하는 측정바가 삽입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골격부에 장착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일정범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측정바와 상기 백패널과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패널의 외형에 따라 상기 골격부를 기준으로 틸팅 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전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정바가 삽입되는 복수의 측정바관통홀이 구비된 측정바삽입판 및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에 장착된 채, 상기 측정바삽입판과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를 매개하는 삽입판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판틸팅부는,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기 골격부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기 삽입판틸팅부의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에 대한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백패널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기 하측프레임부와 수직한 기울기를 형성하는 수직위치에서, 상기 백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측이 상기 백패널과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지지부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수평경로제공부 및
    사각관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경로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판틸팅부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를 따라 수평 이동되는 상측구속부 및
    상기 수직경로제공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을 구속한 채,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를 따라 수직 이동되는 하측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바삽입판은,
    상측은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고, 하측은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제1 방향 또는 상기 수평경로제공부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상기 하측구속부는,
    상기 하측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부와 가까워지는 제4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며,
    상기 상측구속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과 상기 하측구속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구속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과 상기 하측구속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구속부 및 상기 하측구속부는,
    동일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는,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측구속부가 수평 이동되는 수평경로를 제공하는 수평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는,
    폭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측구속부가 수직 이동되는 수직경로를 제공하는 수직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관통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측구속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안착함입부에 안착되어 수평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이웃한 안착함입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구속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이 구속되는 상측구속본체,
    상기 상측구속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수평관통홀 내에서 수평 이동되는 상측이동바,
    상기 상측구속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상측구속본체로 체결시키는 상측플레이트체결부,
    상기 상측이동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의 상기 수평관통홀 내에서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이동제한부 및
    상기 상측구속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를 상기 상측구속본체에 체결시키는 상측이동바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구속본체는,
    하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이 삽입되는 상측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이동바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평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안착함입부에 안착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상측함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이동제한부는,
    상기 상측이동바를 상기 수평경로제공부로 체결시켜 상기 상측이동바의 상기 수평관통홀 내에서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하측구속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이 구속되는 하측구속본체,
    상기 하측구속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수직관통홀 내에서 수직 이동되는 하측이동바,
    상기 하측구속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하측구속본체로 체결시키는 하측플레이트체결부,
    상기 하측이동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의 상기 수직관통홀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이동제한부 및
    상기 상측구속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이동바를 상기 하측구속본체에 체결시키는 하측이동바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측구속본체는,
    상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이 삽입되는 하측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이동바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채,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수직관통홀에 삽입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측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직이동제한부는,
    상기 하측이동바를 상기 수직경로제공부로 체결시켜 상기 하측이동바의 상기 수직관통홀 내에서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함입부는,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이동바는,
    외주면의 일측에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상측함입부의 상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1 상측평면부 및
    상기 상측이동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측평면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상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2 상측평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측함입부는,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이동바는,
    외주면의 일측에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측함입부의 하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1 하측평면부 및
    상기 하측이동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측평면부와 대칭되는 위치에 평면을 제공하여, 상기 측정바삽입판의 하측면과 면접촉 되는 제2 하측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지지부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상기 하측프레임부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기립부 및
    상기 지지기립부의 상기 측정바삽입판과의 대향면에 연결되어 상기 백패널을 고정하는 복수의 백패널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기립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측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측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상측프레임부 및 하측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백패널고정부는,
    상기 측정바삽입판을 향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된 채,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백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백패널을 고정하는 고정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기립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수직 이동되는 제1 길이조절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제1 길이조절바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길이조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 길이조절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헤드부는,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바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절곡판 및
    상기 절곡판을 관통한 채, 상기 절곡판에 체결되어, 상기 절곡판과 상기 제2 길이조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판은,
    상기 측정바삽입판과의 대향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관통홀,
    상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홀 및
    하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바는,
    상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연결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길이조절바에 체결된 채, 상기 제2 길이조절바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KR1020210107646A 2021-08-13 2021-08-13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KR10259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46A KR102599039B1 (ko) 2021-08-13 2021-08-13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46A KR102599039B1 (ko) 2021-08-13 2021-08-13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87A KR20230025287A (ko) 2023-02-21
KR102599039B1 true KR102599039B1 (ko) 2023-11-06

Family

ID=8532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646A KR102599039B1 (ko) 2021-08-13 2021-08-13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0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896B1 (ko) 2007-12-13 200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열변형 측정용 지그
KR200464927Y1 (ko) 2010-11-19 2013-01-25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KR102001947B1 (ko) * 2018-01-23 2019-07-19 주식회사 알티솔루션 극한 환경조건이 적용가능한 다부품 내구성 테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4882B2 (ja) * 2016-02-29 2020-07-01 Agc株式会社 形状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896B1 (ko) 2007-12-13 200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열변형 측정용 지그
KR200464927Y1 (ko) 2010-11-19 2013-01-25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 도어 부품의 3차원 스캔 측정시스템용 고정장치
KR102001947B1 (ko) * 2018-01-23 2019-07-19 주식회사 알티솔루션 극한 환경조건이 적용가능한 다부품 내구성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87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1825B2 (ja) コンパクトな重量測定機器用の調整可能な平行案内機構
KR100672059B1 (ko) 3축 굽힘 실험용 지그
KR102599039B1 (ko) 백패널 열변형 측정지그
CN107533100A (zh) 特别用于极端温度应用的用于电子器件的测试装置的探针卡
KR100964502B1 (ko) 자유낙하시험장치
CA2532853A1 (en) Probe assembly with multi-directional freedom of motion and mounting assembly therefor
KR100906896B1 (ko) 차량 내장용 플라스틱 부품의 열변형 측정용 지그
CN101498571A (zh) 测量设备
JP4891797B2 (ja) 接触式温度計
CN113074604B (zh) 一种车架横梁检具
US2504985A (en) Heat-distortion testing apparatus
KR100868949B1 (ko) 인장시험기
JP2005083920A (ja) 線膨張係数測定装置
CN220894108U (zh) 光学杯的限位检测装置及光学检测设备
CN208579846U (zh) 用于固定温度传感器的装置
JP3783423B2 (ja) 電子天秤
CN106338273B (zh) 水平仪
CN217818441U (zh) 一种浮动定心检测装置
CN216700322U (zh) 测试治具
KR102547365B1 (ko)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US20180095020A1 (en) Safety test apparatus of battery cell
CN219890308U (zh) 一种打印头支架检测装置
KR100903290B1 (ko) 듀얼 서포트 프레임을 갖는 프로브 카드
US20240053381A1 (en) Probe array and probe structure
CN112776724B (zh) 弹性缓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